KR20200059265A -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265A
KR20200059265A KR1020207011641A KR20207011641A KR20200059265A KR 20200059265 A KR20200059265 A KR 20200059265A KR 1020207011641 A KR1020207011641 A KR 1020207011641A KR 20207011641 A KR20207011641 A KR 20207011641A KR 20200059265 A KR20200059265 A KR 20200059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ss
pigment
res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821B1 (ko
Inventor
마사노리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6Veined printings; Fluorescent printings; Stereoscopic images; Imitated patterns, e.g. tissue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차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기재의 은폐성에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암색의 색조 조정이 간이한 화장(化粧) 시트를 제공한다.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 상에,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포함하는 장식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솔리드 인쇄층은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 시트.

Description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본 발명은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 벽, 창, 도어, 난간, 담, 울짱, 살평상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은, 금속 부재, 수지 부재 및 목질 부재 등의 기체(피착재) 상에,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화장(化粧) 시트를 맞붙여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하 기체(피착재) 상에 화장 시트를 맞붙인 것을 「화장재」라고 부른다.
이들 화장 시트는, 고급스런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서 암색(暗色)으로 조제되는 경우가 있다. 화장 시트를 암색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통상 범용의 흑색 안료인 카본 블랙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카본 블랙은 적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태양광의 조사를 많이 받는 곳에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재를 이용한 경우, 화장 시트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화장재의 변형, 피착재와 화장 시트의 박리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카본 블랙을 이용한 화장 시트는 차열성(遮熱性)이 불충분한 것이었다.
차열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컨대 특허문헌 1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111559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산화티탄 등의 적외선을 반사하는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필름 상에,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를 포함하는 적외선 투과성의 흑색 안료에 의해서 암색의 패턴층을 형성한 차열 화장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이용하고 있는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는, 가시광선 대역 380∼780 nm의 흡수율은 높고 흑색이지만, 적외선 대역, 특히 온도 상승에의 기여가 높은 780∼2500 nm 대역에서는 흡수율은 낮아 적외선의 흡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패턴층에 입사한 적외선은 이 패턴층을 투과하여, 그 배면에 있는 적외선 반사성의 착색 필름 표면에서 반사하고, 다시 상기 패턴층을 투과하여 공중으로 되돌려진다. 그 때문에, 상기 화장 시트의 차열성은 비교적 양호하다. 그러나,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는 은폐성이 불충분하므로, 기재가 되는 착색 필름의 색감이 들여다 보이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은폐성에 관해서는, 패턴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를 다량으로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약간은 개선되지만, 그 경우, 블로킹, 백 트랩 등의 인쇄 적성, 내후성 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로 암색을 표현하는 경우, 아조메틴계 안료의 착색력이 약하기 때문에 색조의 조정이 곤란하며, 또한 내후성이 뒤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차열성 및 기재의 은폐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암색의 색조 조정이 간이한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1]∼[2]를 제공한다.
[1]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 상에,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포함하는 장식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솔리드 인쇄층은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 시트.
[2] 피착재와 상기 [1]에 기재한 화장 시트를 갖는 화장재.
본 발명에 의하면, 차열성 및 기재의 은폐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암색의 색조 조정이 간이한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 시트의 그 밖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장 시트]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 상에,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포함하는 장식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솔리드 인쇄층은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외선이란, 파장 780∼2500 nm의 빛(소위 「근적외선」)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는 화장 시트(100)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화장 시트(100)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10) 상에, 솔리드 인쇄층(21) 및 패턴층(22)을 포함하는 장식층(20)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의 화장 시트(100)는 장식층(20) 상에 투명성 수지층(30) 및 표면 보호층(40)을 갖고 있다.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는, 예컨대 바인더 수지와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하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를 「기재」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ABS 수지」라고도 부름),아크릴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 보다 우수한 내후성 및 내상성 등의 표면 특성 및 랩핑 가공 등의 가공 적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염화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ABS 수지가 바람직하고, 가공 적성이라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및 염화비닐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폴리에틸렌(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우수한 내후성 및 내상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염화비닐 수지로서는 중합도 650∼3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비닐 수지는 가소제와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트리멜리트산트리옥틸, 트리멜리트산트리데실 등의 트리멜리트산트리알킬, 아디프산과 알킬렌글리콜과의 올리고에스테르, 그 말단을 알칸올 변성한 것이나 알칸산 변성 또는 알켄산 변성한 것, 프탈산디운데실(DUP) 등의 탄소수가 10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프탈산에스테르가 적합하다.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안료로서는, 망간과 망간 이외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이하,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음), 금속 안료, 백색 안료 등의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백색 안료는 장식층의 색상을 조정하기 쉽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백색 안료는 적외선의 흡수가 적다는 점에서도 적합하다.
백색 안료로서는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고, 그 밖에 무기 안료로서는 산화철,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안료로서는 알루미늄, 은, 놋쇠 등을 들 수 있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솔리드 인쇄층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기재 중의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안료의 함유량은, 적외선 반사율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이다. 또한, 화장 시트의 성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상한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기재 중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안료 이외의 안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기재에는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가 배합되어도 좋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난연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발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요구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기재에 첨가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안정제로서는, 예컨대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인 작용기 등을 갖는 반응성기 함유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예컨대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메트)아크릴레이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인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또한,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조에이트,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등의 각종 유기산 유래의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과 숙신산디에틸과의 중축합물, 1,6-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헥산과 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s-트리아진과의 중축합물 등의 중축합물계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1,5,8,12-테트라키스〔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s-트리아진-6-일〕-1,5,8-12-테트라아자도데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기재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기재 중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하이다.
기재 중의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블리드아웃하기 어렵고, 우수한 첨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재는 단층 구조라도 좋고, 동종 혹은 이종의 층을 2 이상 갖는 복층 구조라도 좋다.
기재의 두께는, 취급성 및 강도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으로서는 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6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는, 장식층 등의 화장 시트를 구성하는 다른 층과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혹은 피착재와의 접착성 강화 등을 위해서,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산화법, 요철화법 등의 물리적 표면 처리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 산화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법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표면 처리의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기재와 다른 층과의 층간 밀착성 향상, 피착재와의 접착성 강화 등을 위해서, 기재에 프라이머층, 이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이들 프라이머층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기재는, JIS K5602:2008에 준거하여 측정한 파장 780∼2500 nm의 분광 반사율의 평균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장식층>
본 발명의 화장 시트(100)는, 기재(10) 상에, 솔리드 인쇄층(21) 및 패턴층(22)을 포함하는 장식층(20)을 갖는다.
<<솔리드 인쇄층>>
솔리드 인쇄층은,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솔리드 인쇄층이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기재의 색감을 은폐할 수 있고, 의장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기재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포함하는 경우, 장식층에 의해서 암색의 의장을 표현한다는 관점에서, 기재의 색감을 은폐하는 것은 중요하다. 한편, 특허문헌 1의 아조메틴아조계 안료와 같은 유기 안료로는 기재의 색감을 은폐할 수 없다.
여기서, 암색이란, 농회색, 심녹색, 감색(紺色), 흑색, 농자색, 연지색(검은 적색), 갈색 등의 낮은 명도, 낮은 채색의 어두운 느낌이 드는 색을 말한다.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로서는, 망간과 망간 이외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및 산화철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및 산화철은, 은폐성이 우수하면서 암색계의 안료라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산화철은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보다도 적외선의 흡수가 적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산화철은 적외선 투과성을 갖는 무기 안료이다.
산화철은, 조성식 Fe3O4로 표시되는 흑색 산화철, 조성식 FeOOH로 표시되는 황색 산화철, 조성식 Fe2O3으로 표시되는 적색 산화철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성식 FeOOH로 표시되는 황색 산화철, 조성식 Fe2O3으로 표시되는 적색 산화철의 2종을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은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이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에 포함되는 망간 이외의 금속 원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다 명도가 낮은 안정된 의장을 얻는다는 관점 및 차열성이라는 관점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망간 이외의 금속 원소는 1종 단독이라도 좋고, 2종 이상의 조합이라도 좋다. 망간 이외의 금속 원소의 구체예로서는, 칼슘, 바륨 등의 제2족 원소; 이트륨, 란탄,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등의 제3족 원소; 티탄, 지르코늄 등의 제4족 원소; 붕소, 알루미늄, 갈륨, 인듐 등의 제13족 원소; 안티몬, 비스무트 등의 제15족 원소 등의 금속 원소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2족 원소, 제4족 원소, 제15족 원소가 바람직하고, 칼슘, 티탄 및 비스무트가 보다 바람직하고, 칼슘 및 티탄이 더욱 바람직하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망간, 칼슘 및 티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구조로서의 안정성, 차열성 및 의장성 등의 관점에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사방정(斜方晶) 구조, 육방정 구조 등인 것이 바람직하고,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한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은 예컨대 WO2016/125907A1에 기재되어 있다.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로서는, 망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및 산화철 이외의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무기 안료로서는 예컨대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솔리드 인쇄층 중에 있어서의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의 함유량은, 기재의 색감을 은폐한다는 관점 및 화장 시트의 성형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솔리드 인쇄층의 고형분 기준으로 20∼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40∼8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8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솔리드 인쇄층 중에, 적외선 투과성을 갖는 무기 안료 및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를 복수 종류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무기 안료의 함유량은, 적외선 투과성을 갖는 무기 안료 및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의 합계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의 평균 입자경은, 가시광 영역의 흡수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의 평균 입자경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장식층의 의장성을 섬세한 것으로 한다는 관점에서는,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자경이란, 레이저광 회절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질량 평균치 D50으로서 구할 수 있는 값이다.
솔리드 인쇄층의 바인더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우레탄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아크릴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폴리머 주쇄에 카보네이트 결합을 가지고, 말단, 측쇄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유래의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소화프로필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액 경화형 외에,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ID),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동반하는 2액 경화형 등, 다양한 타입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솔리드 인쇄층 중에는, 색감을 조정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유기 안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솔리드 인쇄층 및 후술하는 패턴층은,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서는, 기재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내후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표면 보호층 중의 함유량과 동일한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솔리드 인쇄층의 두께는, 은폐성과 성형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0.5∼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솔리드 인쇄층은, 기재 상의 전면에 형성하는 소위 「전체 솔리드 인쇄층」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기재의 은폐성을 양호하게 한다는 관점에서, 솔리드 인쇄층은, 기재의 전면적의 90% 이상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을 덮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이상을 덮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를 덮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솔리드 인쇄층은 차열성이라는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란, 솔리드 인쇄층을 구성하는 전체 고형분의 0.1 질량% 이하임을 의미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 질량%이다. 후술하는 패턴층도 실질적으로 카본 블랙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나뭇결 모양인 경우, 솔리드 인쇄층은 나무껍질 모양(나뭇결 모양을 구성하는 모양 중, 도관 홈 모양 및/또는 마디 모양 이외의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트래버틴 등의 돌 모양인 경우, 솔리드 인쇄층은 함몰부 이외의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타일 모양 또는 벽돌 모양인 경우, 솔리드 인쇄층은 타일 부분 또는 벽돌 부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리드 인쇄층은 단층이라도 좋고, 복수의 솔리드 인쇄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패턴층>>
패턴층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다.
패턴층이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암색의 색조를 간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퀴나크리돈은 분자식 C20H12N2O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퀴나크리돈은 결정 구조의 차이에 따라,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C.I. 피그먼트 레드 122, C.I. 피그먼트 레드 209, C.I. 피그먼트 레드 202, C.I. 피그먼트 오렌지 48, C.I. 피그먼트 오렌지 49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인돌리논은 인돌리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이소인돌리논으로서는, C.I. 피그먼트 옐로우 109, C.I. 피그먼트 옐로우 110, C.I. 피그먼트 옐로우 173, C.I. 피그먼트 오렌지 61 등을 들 수 있다.
니켈아조 착체는, 전자 억셉터인 니켈과 전자 도너인 아조기와의 배위 결합에 의한 배위 화합물이다. 니켈아조 착체로서는 C.I. 피그먼트 그린 10, 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등을 들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은, 4개의 프탈산이미드가 질소 원자로 가교된 구조를 갖는 환상 화합물이다. 프탈로시아닌으로서는,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인 C.I. 피그먼트 블루 16, 금속 프탈로시아닌인 C.I. 피그먼트 블루 15, C.I. 피그먼트 블루 15:3, C.I. 피그먼트 블루 15:4, C.I. 피그먼트 블루 15:6, C.I. 피그먼트 그린 7, C.I. 피그먼트 그린 36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은, 원하는 색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합할 수 있으며, 예컨대 (i) 적색 안료 또는 귤색 안료의 1종과, (ii) 황색 안료 또는 녹색 안료의 1종과, (iii) 청색 안료 또는 자색 안료의 1종을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유기 안료의 조합으로서는, C.I. 피그먼트 레드 122와 C.I. 피그먼트 옐로우 150와 C.I. 피그먼트 블루 15의 조합, C.I. 피그먼트 레드 122와 C.I. 피그먼트 옐로우 109와 C.I. 피그먼트 블루 15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패턴층은, 예컨대 전술한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패턴층 형성용 잉크를 이용한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단색에 의해서 패턴층을 형성하여도 좋고, 유기계 안료의 배합을 바꾼 복수의 잉크를 준비한 다색 인쇄에 의해서 패턴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패턴층은 단층이라도 좋고, 복수의 패턴층이 서로 겹치도록 적층하여도 좋다.
패턴층 중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계 안료의 함유량은, 암색을 부여한다는 관점 및 화장 시트의 성형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패턴층의 고형분 기준으로 10∼8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30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상기 유기계 안료의 함유량이란, 3종 이상의 유기계 안료를 합계한 함유량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유기계 안료의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의 분산 정도이면 0.03∼0.20 ㎛ 정도이다.
패턴층의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솔리드 인쇄층의 바인더 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층은,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서는, 기재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내후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표면 보호층 중의 함유량과 동일한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패턴층의 두께는, 암색의 부여와 성형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0.5∼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8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패턴층이 다층인 경우, 각 패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층의 패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암색의 패턴이므로, 오목부를 표현하는 패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나뭇결 모양인 경우, 패턴층은 도관 홈 모양 및/또는 마디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트래버틴 등의 돌 모양인 경우, 패턴층은 함몰부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층에 의해 부여하는 의장이 타일 모양 또는 벽돌 모양인 경우, 패턴층은 줄눈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암색에 의한 고급스런 느낌을 높이기 위해서, 화장 시트의 장식층 측의 표면의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갖는 부위에 있어서의, JIS Z8781-4:201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CIE(국제조명위원회) L*a*b* 표색계의 L* 값이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패턴층>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장식층으로서 그 밖의 패턴층(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패턴층 이외의 패턴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암색의 의장을 표현한다는 관점에서는, 그 밖의 패턴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패턴층으로서는, 예컨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패턴층, 아조메틴아조계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패턴층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층 A>
화장 시트는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층 A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화장 시트가 후술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 장식층과 상기 투명성 수지층의 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킬 때에, 접착제층 A를 마련하는 것은 유효하다. 접착제층 A를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통상 화장 시트에서 이용되는 접착제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접착제가 접착력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의 각종 폴리올 화합물과, 상기한 각종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아크릴-폴리에스테르-비닐클로라이드아세테이트계 수지 등도 가열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성을 발현하여, 고온에서의 사용에서도 접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적합한 접착제이다.
접착제층 A의 두께는,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투명성 수지층>
화장 시트는, 장식층을 보호한다는 관점, 내후성 및 내상성 등의 표면 특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장식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투명성 수지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단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염화비닐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 수지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후성 및 내상성 등의 표면 특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로서는, 기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로서는,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사불화에틸렌, 에틸렌-사불화에틸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육불화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단일체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은, 불소 수지와는 별도로,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성 수지층을 이용하는 경우, 그 밖의 투명성 수지층을 병용하여, 투명성 수지층을 다층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 밖의 투명성 수지층이 장식층 측으로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가 배합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상기 기재 중에 배합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예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각종 첨가제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와 같은 내후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로서는, 기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를 들 수 있다. 이들 내후제의 함유량은, 내후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기재 중의 함유량과 동일한 범위를 예시할 수 있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장식층의 보호,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 시트의 취급성이라는 관점에서, 상한으로서는 1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장식층을 보호하면서 우수한 내상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기재와 동등 이상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투명성 수지층과 다른 층과의 층간 밀착성의 향상 등을 위해서, 그 편면 또는 양면에, 산화법, 요철화법 등의 물리적 표면 처리,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들 물리적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로서는, 상기한 기재의 표면 처리와 동일한 방법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투명성 수지층과 다른 층과의 층간 밀착성의 향상을 위해서, 투명성 수지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이 프라이머층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표면 보호층>
화장 시트에는, 주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부여한다는 관점에서, 장식층 상에 직접 또는 다른 층(접착제층 A, 투명성 수지층, 프라이머층) 상에 표면 보호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은,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구성되는 층이다.
표면 보호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경화성 수지로서는, 2액 경화형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외에,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이들의 복수 종을 조합한, 예컨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를 병용하거나, 또는 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를 병용하는, 소위 하이브리드 타입이라도 좋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가교 밀도를 높여,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또한 취급이 용이하다고 하는 관점에서, 전자선 경화성 수지가보다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란, 전리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 경화하는 수지를 말하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것이다. 여기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란,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가교 경화하는 기이며,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작용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전리 방사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자외선(UV) 또는 전자선(EB)이 이용되지만, 그 밖에 X선, γ선 등의 전자파, α선, 이온선 등의 하전 입자선도 포함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종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 관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올리고머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서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작용기로서 적어도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고,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작용기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이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컨대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작용기로서 적어도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그 밖에 폴리부타디엔 올리고머의 측쇄에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소수성이 높은 폴리부타디엔(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주쇄에 폴리실록산 결합을 갖는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작은 분자 내에 많은 반응성기를 갖는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변성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혹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비닐에테르, 방향족 비닐에테르 등의 분자 중에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 등이 있다.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카보네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의 작용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며,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이들 중합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보다 우수한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2,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3,0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5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15,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2,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 분석에 의해서 측정되며, 또한 표준 폴리스티렌으로 환산된 평균 분자량이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상기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함께, 그 점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목적으로, 단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적절하게 병용할 수 있다. 이들 단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중합성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의 중합성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8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표면 보호층 중에 자외선 흡수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엄혹한 환경 하에서라도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기재에 포함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예시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가 바람직하고, 기재에 이용할 수 있는 광안정제로서 예시한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내후성이라는 관점에서, 데칸2산(세바신산) 유래의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가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이들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블리드아웃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보다 다량으로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표면 보호층 중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2 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질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2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 중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표면 보호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상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1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질량부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 중의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블리드아웃하는 일 없이 우수한 첨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면 보호층에는,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외에, 자외선 차폐제, 내마모성 향상제, 중합 금지제, 가교제, 대전 방지제, 접착성 향상제, 레벨링제, 틱소트로피성 부여제, 커플링제, 가소제, 소포제, 충전제, 블로킹 방지제, 윤활제, 용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내상성 및 내후성 등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 ㎛ 이상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화장 시트를 성형할 때의 표면 보호층의 크랙 억제라는 관점에서,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
화장 시트는 원하는 바에 따라서 프라이머층을 마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주로 층간 밀착성 향상 효과를 얻기 위해서 마련하는 층이다. 또한, 프라이머층이 기재의 표면 보호층 측과는 반대쪽의 면에 형성되는 경우(이러한 경우의 프라이머층은 「이면 프라이머층」이라고도 불림)는, 기재와 피착재와의 층간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기재와 장식층과의 사이, 접착제층 A와 투명성 수지층과의 사이, 투명성 수지층과 표면 보호층과의 사이, 기재의 장식층 측과는 반대쪽의 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곳 이상에 마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형성에는, 바인더, 경화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 블로킹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하게 혼합한 수지 조성물이 이용된다.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솔리드 인쇄층에 이용할 수 있는 바인더로서 예시한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와 아크릴폴리올 수지와의 혼합물을 바인더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액 경화형 외에, 예컨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ID),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동반하는 2액 경화형 등, 다양한 타입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내후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내후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로서는, 기재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이며, 또한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프라이머층에 있어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이며, 또한, 상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질량부 이하이다.
프라이머층 중의 자외선 흡수제 및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프라이머층으로서의 우수한 성능과 함께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층간 밀착성 향상 효과, 나아가서는 각 층의 열수축 완화 효과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2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으로서는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화장 시트는 엠보스 가공 등으로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엠보스 가공을 행하는 경우, 예컨대 화장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2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1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40℃ 이하로 가열하고, 화장 시트에 엠보스판을 압박하여, 엠보스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엠보스판은, 화장 시트의 기재를 기준으로 하여 장식층 측에 대고 꽉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예컨대, 바닥, 벽, 창, 도어, 난간, 담, 울짱, 살평상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대시보드, 글로브 박스, 인스트루먼트 패널 업퍼 케이스, 센터 콘솔, 플로어 콘솔 등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화장 시트로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태양광의 조사에 의한 열이 문제가 되기 쉬운 창틀용의 화장 시트, 자동차 등의 차량 내장의 화장 시트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화장재]
본 발명의 화장재는 피착재와 상기한 본 발명의 화장 시트를 갖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착재의 장식이 필요한 측의 면과 화장 시트의 기재 측의 면을 대향시켜 적층한 것이다.
<피착재>
피착재로서는, 각종 소재의 평판, 곡면판 등의 판재, 입체 형상 물품, 시트(혹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삼목, 노송나무, 소나무, 나왕 등의 각종 목재로 이루어지는 목재 단판, 목재 합판, 파티클 보드, MDF(중밀도 섬유판) 등의 목질 섬유판 등의 판재나 입체 형상 물품 등으로서 이용되는 목질 부재; 철, 알루미늄 등의 판재나 강판, 입체 형상 물품, 혹은 시트 등으로서 이용되는 금속 부재; 유리, 도자기 등의 세라믹스, 석고 등의 비시멘트 요업계 재료,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판 등의 비도자기 요업계 재료 등의 판재나 입체 형상 물품 등으로서 이용되는 요업 부재;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페놀 수지, 염화비닐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고무 등의 판재, 입체 형상 물품, 혹은 시트 등으로서 이용되는 수지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부재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피착재의 두께는, 용도 및 재료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며, 0.1 mm 이상 10 mm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mm 이상 5 mm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mm 이상 3 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B>
피착재와 화장 시트는, 우수한 접착성을 얻기 위해서, 접착제층 B를 통해 맞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 B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감열 접착제, 감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 접착제층 B를 구성하는 접착제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경화제로 하는 2액 경화형의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 B에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고무계 등의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층 B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우수한 접착성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1 ㎛ 이상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 ㎛ 이상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화장재의 제조 방법>
화장재는 화장 시트와 피착재를 적층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본 공정은, 피착재와 본 발명의 화장 시트를 적층하는 공정이며, 피착재의 장식이 필요한 측의 면과 화장 시트의 기재 측의 면을 대향시켜 적층한다. 피착재와 화장 시트를 적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접착제층 B를 통해 화장 시트를 판형의 피착재에 가압 롤러로 가압하여 적층하는 라미네이트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로서 핫멜트 접착제(감열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제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가온 온도는 160℃ 이상 200℃ 이하가 바람직하며,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에서는 100℃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 성형 가공의 경우는 가열하면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80℃ 이상 13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120℃ 이하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화장재는, 예컨대 바닥, 벽, 창, 도어, 난간, 담, 울짱, 살평상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대시보드, 글로브 박스, 인스트루먼트 패널 업퍼 케이스, 센터 콘솔, 플로어 콘솔 등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태양광의 조사에 의한 열이 문제가 되기 쉬운 창틀용 화장재 등의 내장 또는 외장재의 화장재, 자동차 등의 차량 내장 또는 외장의 화장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1. 측정 및 평가
1-1. 차열성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화장재에, 200 W형 램프(백열등, 이와사키덴키(주) 제조)를 이용하여, 실온(23℃),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에, 30 cm 높이에서 조사하고, 10분 후의 화장재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 표면 온도는 75℃ 미만이었다.
B: 표면 온도는 75℃ 이상 85℃ 미만이었다.
C: 표면 온도는 85℃ 이상 95℃ 미만이었다.
D: 표면 온도는 95℃ 이상이었다.
1-2. 은폐성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화장 시트의 기재를 검은 착색 폴리프로필렌 시트 기재(두께: 60 ㎛,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을 5 질량부, 산화철을 5 질량부, 카본 블랙을 0.1 질량부)로 변경한 것을,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레퍼런스로서 준비했다. 형광등의 조명 하에서, 레퍼런스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 시트를 대비하여, 장식층의 색감이 레퍼런스와 동등하게 느껴지는 것을「A」, 어느 쪽라고도 말할 수 없는 것을 「B」, 장식층의 색감이 레퍼런스와 다르고 느껴지는 것을 「C」로 했다.
1-3. 암색의 조정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및 패턴층 형성용 잉크로 형성되는 장식층의 암색을 기준으로 하여, 솔리드 인쇄층 및/또는 패턴층의 잉크 조성을 조정하여, 명도, 색상, 채도가 다른 장식층의 형성 용이성을 평가했다. 잉크의 조정에 의해 명도, 색상, 채도가 다른 장식층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있었던 것을「A」, 어느 쪽이라고도 말할 수 없는 것을 「B」, 잉크의 조정에 의해 명도, 색상, 채도가 다른 장식층을 간이하게 형성할 수 없었던 것을 「C」로 했다.
2. 화장 시트 및 화장재의 제작
[실시예 1]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로서 백색 폴리프로필렌 시트(두께: 60 ㎛,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을 10 질량부 함유, 파장 780∼2500 nm의 분광 반사율의 평균 40%)를 준비하고, 이 시트의 한쪽의 면에, 하기 처방의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도포, 건조하여, 두께 4 ㎛의 솔리드 인쇄층(나무껍질 모양)을 형성했다.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30 질량부
·적외선 반사성 안료(TiO2) 5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2 ㎛)
·적외선 투과성 안료(FeOOH) 8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 ㎛)
·적외선 투과성 안료(Fe2O3)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 ㎛)
·청색 안료(C.I. 피그먼트 블루 15) 1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4 ㎛)
·희석 용제 적량
이어서, 솔리드 인쇄층 상에, 하기 처방의 패턴층 형성용 잉크 1을 그라비아 코트법에 의해 도포, 건조하고, 두께 7 ㎛의 패턴층(도관 홈 모양)을 형성하여,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포함하는 나뭇결 모양의 장식층을 형성했다.
<패턴층 형성용 잉크 1>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76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10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청색 안료(C.I. 피그먼트 블루 15)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4 ㎛)
·희석 용제 적량
이어서, 패턴층 상에 접착제층(폴리에스테르 수지, 두께: 5 ㎛)을 형성하고, 이 접착제층 상에 투명성 수지층(투명 폴리프로필렌 수지, 두께: 80 ㎛)을 압출 라미네이트 방식으로 적층했다.
이어서,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2액 경화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두께: 2 ㎛)을 형성했다.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처방의 표면 보호층 형성용 잉크를 롤코트법으로 도포하고, 전자선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산소 농도: 200 ppm, 가속 전압: 175 keV, 조사량: 5 Mrad의 조건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두께 3 ㎛의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화장 시트를 얻었다.
<표면 보호층 형성용 잉크>
·3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질량부
(질량 평균 분자량 5000)
·무기 필러 25 질량부
(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경: 5 ㎛)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도포한 도장 강판(두께: 0.4 mm)를 오븐에 넣어, 150℃에서 1분간 양생한 후,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도장 강판과 상기한 화장 시트를 접착하여, 실시예 1의 화장재를 얻었다. 접착 시에는, 도장 강판의 접착제 도포면과 화장 시트의 백색 폴리프로필렌 시트 측을 대향시켰다.
얻어진 화장 시트 및 화장 부재에 관해서 상기한 평가를 행하고, 그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2로 변경하고, 패턴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패턴층 형성용 잉크 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2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얻었다.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2>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30 질량부
·적외선 반사성 안료(TiO2) 50 질량부
·적외선 투과성 안료(FeOOH)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 ㎛)
·적외선 투과성 안료(Fe2O3) 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 ㎛)
·적외선 반사성 안료 5 질량부
(금속 원소로서 망간, 칼슘 및 티탄을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이시하라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품번: MPT-370, 흑색 안료, 평균 일차 입자경 0.8 ㎛)
·희석 용제 적량
<패턴층 형성용 잉크 2>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80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청색 안료(C.I. 피그먼트 블루 15)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4 ㎛)
·희석 용제 적량
[비교예 1]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3으로 변경하고, 패턴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패턴층 형성용 잉크 3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1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얻었다.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3>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76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10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청색 안료(C.I. 피그먼트 블루 15)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4 ㎛)
<패턴층 형성용 잉크 3>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80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흑색 안료(아조메틴아조계 안료)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2 ㎛)
·희석 용제 적량
[비교예 2]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2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얻었다.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4>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80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흑색 안료(아조메틴아조계 안료) 5 질량부
(평균 입자경: 0.2 ㎛)
·희석 용제 적량
[비교예 3]
패턴층 형성용 잉크 1을 하기 처방의 패턴층 형성용 잉크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3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얻었다.
<패턴층 형성용 잉크 4>
·바인더 수지(아크릴우레탄계 수지) 80 질량부
·적색 안료(C.I. 피그먼트 레드 122) 6 질량부
(평균 입자경: 0.13 ㎛)
·황색 안료(C.I. 피그먼트 옐로우 150) 9 질량부
(평균 입자경: 0.05 ㎛)
·흑색 안료(카본 블랙) 5 질량부
·희석 용제 적량
[비교예 4]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1을 상기한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4로 변경하고, 패턴층 형성용 잉크 1을 상기한 패턴층 형성용 잉크 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4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얻었다.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화장 시트는, 차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기재의 은폐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암색의 색조 조정이 간이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암색의 색조 조정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말하면, 비교예 1 및 2의 화장 시트는, 솔리드 인쇄층 형성용 잉크 또는 패턴층 형성용 잉크가 착색력이 뒤떨어지는 아조메틴아조계 안료를 포함하고, 또한 그것을 보완하는 무기계의 암색 안료를 어느 잉크에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암색의 조정이 곤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는, 차열성이 우수하며 또한 기재의 은폐성이 우수하고, 나아가서는 암색의 색조 조정이 간이하기 때문에, 바닥, 벽, 창, 도어, 난간, 담, 울짱, 살평상 등의 건축물이나 구조물; 대시보드, 글로브 박스, 인스트루먼트 패널 업퍼 케이스, 센터 콘솔, 플로어 콘솔 등의 자동차 등의 차량; 등의 화장 시트로서 유용하며, 특히 태양광의 조사에 의한 열이 문제가 되기 쉬운 창틀용의 화장 시트, 자동차 등의 차량 내장의 화장 시트로서 매우 유용하다.
10: 기재, 21: 솔리드 인쇄층, 22: 패턴층, 20: 장식층, 30: 투명성 수지층, 40: 표면 보호층, 100: 화장 시트

Claims (10)

  1.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 상에, 솔리드 인쇄층 및 패턴층을 포함하는 장식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솔리드 인쇄층은 적외선 투과성 또는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무기 안료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층은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리논, 니켈아조 착체 및 프탈로시아닌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안료의 군에서 선택되는 3종 이상의 화합물과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인쇄층은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무기 안료를 20∼80 질량% 포함하는, 화장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안료로서, 망간과 망간 이외의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복합 산화물 및 산화철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솔리드 인쇄층의 두께가 0.5∼15 ㎛인, 화장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유기계 안료를 10∼80 질량% 포함하는, 화장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의 두께가 0.5∼20 ㎛인, 화장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성을 갖는 기재는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화장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는 상기 장식층 상에 투명성 수지층 및 보호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화장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 시트의 상기 장식층 측의 표면의 상기 솔리드 인쇄층 및 상기 패턴층을 갖는 부위에 있어서의, JIS Z8781-4:2013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CIE(국제조명위원회) L*a*b* 표색계의 L* 값이 50 이하인, 화장 시트.
  10. 피착재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화장 시트를 갖는 화장재.
KR1020207011641A 2017-09-27 2018-09-27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KR1025848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7134 2017-09-27
JP2017187134A JP6962108B2 (ja) 2017-09-27 2017-09-27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PCT/JP2018/035838 WO2019065800A1 (ja) 2017-09-27 2018-09-27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265A true KR20200059265A (ko) 2020-05-28
KR102584821B1 KR102584821B1 (ko) 2023-10-05

Family

ID=6590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1641A KR102584821B1 (ko) 2017-09-27 2018-09-27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24533A1 (ko)
EP (1) EP3689596A4 (ko)
JP (1) JP6962108B2 (ko)
KR (1) KR102584821B1 (ko)
CN (1) CN111315575B (ko)
AU (1) AU2018341792B2 (ko)
WO (1) WO2019065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7975A (zh) * 2020-05-22 2020-09-01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高耐光老化性能的聚氨酯超细纤维革及其制备方法与用途
MX2022014257A (es) * 2020-05-27 2022-12-07 Proampac Holdings Inc Estructuras con una pelicula a base de poliolefina laminada reciclable.
US11987026B2 (en) 2020-05-27 2024-05-21 Proampac Holdings Inc. Recyclable laminated polyolefin-based film structures
WO2024076747A1 (en) * 2022-10-07 2024-04-11 Proampac Holdings Inc. Recyclable laminated polyolefin-based film structures
WO2024190676A1 (ja) * 2023-03-10 2024-09-1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化合物、化合物粒子、近赤外線透過材料、及び近赤外線透過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559U (ja) 1984-06-27 1986-01-23 東京印刷紙器株式会社 商品包装ケ−ス
JPH10120956A (ja) * 1995-12-08 1998-05-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0334892A (ja) * 1999-05-25 2000-12-05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
KR100743754B1 (ko) * 2000-02-10 2007-08-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색안정성의 착색된 중합체 필름
KR20130119470A (ko) * 2011-02-07 2013-10-31 가부시키가이샤 에프 컨설턴트 피복재, 피복재층, 및 적층 구조체
KR20140022782A (ko) * 2010-12-03 2014-02-25 3쥐 머멧 코퍼레이션 근적외선 반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 피복재
JP2014156501A (ja) * 2013-02-14 2014-08-28 Clariant Internatl Ltd 黒色顔料組成物
WO2016125907A1 (ja) * 2015-02-06 2016-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2016168713A (ja) * 2015-03-12 2016-09-23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KR20170063719A (ko) * 2014-09-30 2017-06-0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투과성 암색 잉크 및 그것을 사용한 적외선 반사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712A (en) 1977-06-23 1979-01-24 Toshiba Corp Slipping frequency control method of induction motor
EP0778321B2 (en) * 1995-12-08 2012-10-10 Seiko Epson Corporation Ink set for ink jet recording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02038654A1 (fr) * 2000-11-10 2002-05-16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Film/feuille de protection de surface et film/feuille a fonction decorative, et materiau decoratif
JP4741364B2 (ja) * 2005-12-20 2011-08-03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積層体
JP5279437B2 (ja) * 2008-10-10 2013-09-04 東リ株式会社 床材
JP2012082602A (ja) * 2010-10-08 2012-04-26 Okamoto Kk 遮熱化粧シート
JP6111559B2 (ja) * 2012-08-28 2017-04-12 凸版印刷株式会社 遮熱化粧シート
JP2014169379A (ja) * 2013-03-04 2014-09-18 Fujifilm Corp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成形物、インモールド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品
JP6123358B2 (ja) * 2013-03-06 2017-05-10 凸版印刷株式会社 木目模様を有する遮熱性化粧シート
JP6597644B2 (ja) * 2015-02-06 2019-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部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559U (ja) 1984-06-27 1986-01-23 東京印刷紙器株式会社 商品包装ケ−ス
JPH10120956A (ja) * 1995-12-08 1998-05-12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0334892A (ja) * 1999-05-25 2000-12-05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
KR100743754B1 (ko) * 2000-02-10 2007-08-01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색안정성의 착색된 중합체 필름
KR20140022782A (ko) * 2010-12-03 2014-02-25 3쥐 머멧 코퍼레이션 근적외선 반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 개방구용 피복재
KR20130119470A (ko) * 2011-02-07 2013-10-31 가부시키가이샤 에프 컨설턴트 피복재, 피복재층, 및 적층 구조체
JP2014156501A (ja) * 2013-02-14 2014-08-28 Clariant Internatl Ltd 黒色顔料組成物
KR20170063719A (ko) * 2014-09-30 2017-06-08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적외선 투과성 암색 잉크 및 그것을 사용한 적외선 반사 시트
WO2016125907A1 (ja) * 2015-02-06 2016-08-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2016168713A (ja) * 2015-03-12 2016-09-23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5575A (zh) 2020-06-19
KR102584821B1 (ko) 2023-10-05
US20200324533A1 (en) 2020-10-15
EP3689596A1 (en) 2020-08-05
WO2019065800A1 (ja) 2019-04-04
CN111315575B (zh) 2023-04-04
EP3689596A4 (en) 2021-10-13
JP6962108B2 (ja) 2021-11-05
AU2018341792B2 (en) 2024-07-04
JP2019059178A (ja) 2019-04-18
AU2018341792A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4821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JP7004110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KR102584824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CN107206744B (zh) 装饰片和具备该装饰片的装饰部件
JP6760459B2 (ja) 化粧シート
JP6819419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2019038195A (ja) 暗色絵柄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2017185782A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6977294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2019038194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2019126984A (ja) 遮熱性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2020151902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7415403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7001196B2 (ja) 化粧材及び化粧部材
CN114450176B (zh) 装饰片以及使用了该装饰片的装饰材料
JP2020124860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部材
JP2020163767A (ja) 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