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623A - 거푸집 장치 - Google Patents

거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623A
KR20230042623A KR1020220080644A KR20220080644A KR20230042623A KR 20230042623 A KR20230042623 A KR 20230042623A KR 1020220080644 A KR1020220080644 A KR 1020220080644A KR 20220080644 A KR20220080644 A KR 20220080644A KR 20230042623 A KR20230042623 A KR 20230042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crew
hole
diamet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호 왕
Original Assignee
치엔-호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엔-호 왕 filed Critical 치엔-호 왕
Publication of KR2023004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hich are collapsible, foldable, or able to be rolled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연결구가 벗어나지 않도록 거푸집에 장착할 수 있는 거푸집 장치의 제공.
[요약] 소정의 축선(L)을 따라서 연신하는 나사 결합부(11)와, 나사 결합부(11)에 인접하며, 또한, 축선(L)을 따라서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12)와, 위치 결정부(12)에 연접하고 있는 헤드부(1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연결구(1)와, 연결구(1)에 의해 삽통 가능하며, 또한, 위치 결정부(12)의 적어도 일부 및 헤드부(13)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는 삽통 구멍(221)과, 연결구(1)의 나사 결합부(11)를 받아들여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 결합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는 거푸집(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거푸집 장치{FORMWORK APPARATUS}
본 발명은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건축용의 거푸집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건설 공사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가설의 거푸집은, 1매의 판재와 옆으로 연신하도록 상기 1매의 판재에 장착하여 보강하는 복수 개의 누름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거푸집을 복수매 준비하고 연결구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것에 의해, 1매의 큰 거푸집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대만 특허 제 I716319 호 명세서
거푸집에 있어서, 누름대의 반대측에 있는 면은, 콘크리트 타설면으로서 이용되지만, 상기와 같이 복수의 거푸집을 1매의 큰 거푸집으로서 이용하는 경우, 통상, 콘크리트 타설면은 면일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에서는 복수매의 거푸집을 연결구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복수매의 거푸집 각각이 갖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면일하게 하는 기술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에서는, 1개의 연결구의 양 단부에 각각 1개의 거푸집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2매의 거푸집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2매의 거푸집이 각각 연결구를 받아들이는 구멍과 연결구의 사이즈에 오차가 있을 때, 연결구의 거푸집에 대한 회전축은 벗어나게 되어, 상기 2매의 거푸집이 각각 갖는 콘크리트 타설면은 불일치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벗어나지 않도록 거푸집에 장착할 수 있는 연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결구와 거푸집을 갖는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소정의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 결합부에 인접하며, 또한, 외주면에 있어서 소정의 제 1 테이퍼비를 갖는 소경 부분과, 상기 나사 결합부로부터 이격된 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소정의 제 2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부분을 갖도록, 상기 나사 결합부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서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에 연접하고 있는 헤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에 연접하며, 또한,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상기 대경 부분의 가장 넓은 개소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 결합부측에 면하는 걸림고정면을 갖는 걸림고정 부분과, 상기 걸림고정 부분으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서 상기 나사 결합부의 반대측으로 연신하는 접속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거푸집은 거푸집 장착면과, 거푸집 장착면의 반대측에 있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와, 상기 판체의 상기 거푸집 장착면에 장착되는 거푸집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거푸집의 상기 거푸집부에는, 삽통 구멍과 나사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통 구멍은 상기 연결구에 의해 삽통 가능하며, 또한, 상기 연결구에 의해 삽통될 때, 상기 연결구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연결구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결합 구멍은 상기 삽통 구멍을 삽통하는 상기 연결구와는 상이한 다른 1개의 상기 연결구의 상기 나사 결합부를 받아들이며 상기 연결구의 상기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연결구는 위치 결정부가 축선을 따라서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거푸집측의 삽통 구멍은 연결구에 의해 삽통될 때, 상기 연결구의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의 대경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구는 벗어나지 않고 거푸집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각 거푸집이 각각 갖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면일하게 하는 것이 간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거푸집에 연결구가 장착되는 형태가 도시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구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제 1 실시형태의 연결구가 도시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제 1 실시형태의 연결구가 도시되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구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연결구와 제 2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 1 거푸집과 제 2 거푸집을 연결하는 형태가 도시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연결구와 제 2 연결구를 이용하여 제 1 거푸집과 제 2 거푸집을 연결하는 형태가 도시되는 단면도이다.
이하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는 연결구(1)와 거푸집(2)을 갖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푸집(2)에는 상기 거푸집(2)을 반송하는 기계와 접속하는 후크(3)가 장착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거푸집(2)은 거푸집 장착면(211)과 거푸집 장착면(211)의 반대측에 있는 콘크리트 타설면(212)을 갖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21)와, 판체(21)의 거푸집 장착면(211)에 장착되는 거푸집부(22)를 갖는다.
도시와 같이, 거푸집부(22)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부(22)의 표면에 삽통 구멍(221)과 나사 결합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통 구멍(221)과 나사 결합 구멍(222)은 거푸집부(22)의 표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면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통 구멍(221)과 나사 결합 구멍(222)에 관해서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방의 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 복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삽통 구멍(221)은 연결구(1)에 의해 삽통 가능하며, 또한, 연결구(1)에 의해 삽통될 때,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상기 연결구(1)의 위치 결정부(12)(도 2, 도 3 참조)의 대경 부분(122)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1)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 결합 구멍(222)은 삽통 구멍(221)을 삽통하는 연결구(1)와는 상이한 다른 1개의 연결구(1)의 나사 결합부(11)(도 2, 도 3 참조)를 받아들여 상기 연결구(1)의 나사 결합부(11)와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의 연결구(1)의 제 1 실시형태는, 도 4에 있어서 좌우로 연신하는 소정의 축선(L)을 따라서 연신하는 원기둥체인 나사 결합부(11)와, 나사 결합부(11)의 일단(도 4에 있어서의 좌단)으로부터 축선(L)을 따라서 연신하는 위치 결정부(12)와, 위치 결정부(12)에 연접하고 있는 헤드부(13)와, 조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나사 결합부(11)가 있는 도 4에 있어서의 우측을 전방측이라 칭하며, 조작부(14)가 있는 도 4에 있어서의 좌측을 후방측이라 칭한다.
나사 결합부(11)의 외표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12)는 나사 결합부(11)에 인접하며, 또한, 외주면에 있어서 소정의 제 1 테이퍼비를 갖는 소경 부분(121)과, 나사 결합부(11)로부터 이격된 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소정의 제 2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부분(122)을 갖도록, 나사 결합부(11)의 일단으로부터 축선(L)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경 부분(121)과 대경 부분(122)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테이퍼비와 상기 제 2 테이퍼비는 모두 1:8이다.
헤드부(13)는 원기둥체로 형성되며, 위치 결정부(12)의 대경 부분(122)에 연접하며, 또한, 축선(L)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대경 부분(122)의 가장 넓은 개소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나사 결합부(11)측에 면하는 걸림고정면을 갖는 걸림고정 부분(131)과, 걸림고정 부분(131)으로부터 축선(L)을 따라서 나사 결합부(11)의 반대측으로 연신하는 접속 부분(132)을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부(13)의 접속 부분(132)에는, 나사 결합부(11)의 반대측, 즉,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며, 조작부(14)가 받아들여지는 수용 오목부(1321)와, 축선(L)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접속 부분(132)을 관통하며, 또한, 수용 오목부(1321)에 연통하는 고정 구멍(1323)과, 상기 고정 구멍(1323) 내에 삽입되는 고정 볼트(1322)(도 4 참조)를 갖는다. 또한, 헤드부(13)는 원기둥체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부(14)는 형상이 헤드부(13)의 수용 오목부(1321)에 대응하는 기둥 형상이며, 일부가 접속 부분(132)에 있어서의 수용 오목부(1321) 내에 끼워지고, 수용 오목부(1321) 내에서 고정 볼트(1322)에 의해 삽통되는 것에 의해, 헤드부(13)에 대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14)의 접속 부분(132)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은, 다각 기둥 형상(도 5 참조, 이 실시형태에서는 6각 기둥)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다각 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는 조작부(14)의 접속 부분(132)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과 끼워맞추어지는 수공구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연결구 전체를 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시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구멍(1323)은 헤드부(13)의 접속 부분(132)을 관통하고 있지만, 고정 구멍(1323)은 조작부(14)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므로, 수용 오목부(1321)에 연통하고 있으면, 고정 구멍(1323) 및 상기 고정 구멍(1323) 내에 삽입되는 고정 볼트(1322)는 접속 부분(132)을 관통할 필요는 없다.
또한, 고정 볼트(1322)도 조작부(14)를 관통할 필요는 없다. 고정 볼트(1322)가 축선(L)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조작부(14) 내에 삽입되는 구성이면, 조작부(14)를 헤드부(13)에 대해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조작부(14) 자체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작부(14)가 생략되는 경우에서는, 헤드부(13)의 접속 부분(132)에 형성되며 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오목부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에 의해, 다각 기둥 형상의 수공구를 받아들이고 상기 수공구에 의한 회전 조작을 받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연결구 전체를 축선(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연결구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이 도시되는 측면도이지만,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구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헤드부(13)의 접속 부분(13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신하도록 헤드부(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조작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즉, 조작부(14)를 헤드부(13)와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에 의해, 조작부(14)를 헤드부(13)에 결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1321)나 고정 볼트(1322), 고정 구멍(1323)(도 2 참조)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 2로 복귀하여, 거푸집(2)의 거푸집부(22)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221)의 결합 구조의 형상은, 연결구(1)의 헤드부(13)에 대응하며, 상기 헤드부(13)를 받아들이고 수용 가능한 헤드 수용부(223)와, 연결구(1)의 대경 부분(122) 대응하며, 상기 대경 부분(122)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대경 부분(122)의 제 2 테이퍼비와 동일한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 수용부(223)와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 사이에는, 연결구(1)의 헤드부(13)의 걸림고정 부분(131)의 걸림고정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 결합 구멍(222)은 연결구(1)의 나사 결합부(11)의 나사산(111)과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부(225)와, 연결구(1)의 소경 부분(121)에 대응하여 상기 소경 부분(121)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소경 부분(121)의 제 1 테이퍼비와 동일한 테이퍼비를 갖는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6)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연결구(1)는 위치 결정부(12)가 축선(L)을 따라서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대경 부분(122)을 가지며, 그리고, 거푸집(2)측의 삽통 구멍(221)은 연결구(1)에 의해 삽통될 때, 상기 연결구(1)의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12)의 대경 부분(122)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1)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 즉, 헤드부(13)를 받아들이고 수용 가능한 헤드 수용부(223)와, 연결구(1)의 대경 부분(122)에 대응하는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와, 걸림고정 부분(131)의 걸림고정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구(1)는 벗어나지 않고 거푸집(2)에 장착될 수 있어서, 상기 연결구(1)를 이용하여 복수의 거푸집(2)을 연결할 때, 각 거푸집(2)이 각각 갖는 콘크리트 타설면(212)을 간단하게 면일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과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00)끼리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시와 같이 좌우 1개씩의 거푸집 장치(100)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사정상 도면 중의 좌측에 있는 거푸집 장치(100)를 제 1 거푸집 장치(100A)라 호칭하며, 우측에 있는 거푸집 장치(100)를 제 2 거푸집 장치(100B)라 호칭하지만, 제 1 거푸집 장치(100A)와 제 2 거푸집 장치(100B)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00)이다.
또한, 제 1 거푸집 장치(100A)와 제 2 거푸집 장치(100B)가 각각 갖는 연결구(1)나 거푸집(2), 그리고 연결구(1)나 거푸집(2)에 형성되는 구조의 호칭에 관해서도 "제 1", "제 2"를 붙여 식별하고, 그들에 대응하는 부호에 대해 말미에 "A"나 "B"를 붙여 식별한다.
즉, 제 1 거푸집 장치(100A)는 제 1 연결구(1A)와, 제 1 거푸집(2A)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결구(1A)는 제 1 나사 결합부(11A)와, 제 1 위치 결정부(12A)와, 제 1 헤드부(13A)와, 제 1 조작부(14A)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위치 결정부(12A)는 제 1 소경 부분(121A) 및 제 1 대경 부분(122A)을 갖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헤드부(13A)는 제 1 걸림고정 부분(131A)을 갖는다.
제 1 거푸집(2A)은 제 1 거푸집부(22A)를 가지며, 상기 제 1 거푸집부(22A)에는 제 1 삽통 구멍(221A)과, 제 1 나사 결합 구멍(222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삽통 구멍(221A)에는 제 1 헤드 수용부(223A)와, 제 1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나사 결합 구멍(222A)에는 제 1 나사 구멍부(225A)와, 제 1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6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거푸집 장치(100B)는 제 2 연결구(1B)와 제 2 거푸집(2B)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연결구(1B)는 제 2 나사 결합부(11B)와, 제 2 위치 결정부(12B)와, 제 2 헤드부(13B)와, 제 2 조작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위치 결정부(12B)는 제 2 소경 부분(121B) 및 제 2 대경 부분(122B)을 갖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헤드부(13B)는 제 2 걸림고정 부분(131B)을 갖는다.
제 2 거푸집(2B)은 제 2 거푸집부(22B)를 가지며, 상기 제 2 거푸집부(22B)에는 제 2 삽통 구멍(221B)과, 제 2 나사 결합 구멍(222B)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삽통 구멍(221B)에는 제 2 헤드 수용부(223B)와, 제 2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나사 결합 구멍(222B)에는, 제 2 나사 구멍부(225B)와, 제 2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6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와 같이, 제 1 연결구(1A)는 제 1 나사 결합부(11A)측으로부터 제 1 거푸집(2A)의 제 1 삽통 구멍(221A)을 삽통하고, 제 1 나사 결합부(11A)와 제 1 조작부(14A)는 제 1 삽통 구멍(221A)의 양단의 개구 외부에 각각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결구(1A)의 제 1 위치 결정부(12A)에 관해서는, 제 1 소경 부분(121A)은 제 1 나사 결합부(11A)와 함께 제 1 삽통 구멍(221A)의 외측에 노출되고, 제 1 대경 부분(122A)은 제 1 삽통 구멍(221A) 내에 있어서 제 1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A)에 접촉한다. 또한, 제 1 헤드부(13A)는 제 1 걸림고정 부분(131A)은, 제 1 삽통 구멍(221A)의 제 1 헤드 수용부(223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연결구(1A)의 제 1 삽통 구멍(221A)으로부터 노출되는 제 1 나사 결합부(11A) 및 제 1 소경 부분(121A)은, 제 2 거푸집(2B)의 제 2 거푸집부(22B)에 형성되는 제 2 나사 결합 구멍(222B) 내에 삽입되고, 제 1 나사 결합부(11A)는 제 2 나사 구멍부(225B)와 나사 결합하며, 제 1 소경 부분(121A)은 제 2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6B)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1 연결구(1A)의 제 1 나사 결합부(11A)와, 제 2 거푸집(2B)의 제 2 거푸집부(22B)에 형성되는 제 2 나사 결합 구멍(222B) 내의 제 2 나사 구멍부(225B)의 나사 결합이 진행되고, 제 1 나사 결합부(11A)가 제 2 나사 구멍부(225B) 내에 깊게 진입할수록, 제 1 연결구(1A)의 제 1 위치 결정부(12A)의 제 1 대경 부분(122A)이 제 1 거푸집(2A)의 제 1 삽통 구멍(221A)에 접촉하며, 그리고 제 1 헤드부(13A)는 제 1 걸림고정 부분(131A)도 제 1 헤드 수용부(223A)와 제 1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A) 사이에 있는 접촉면에 접촉하므로, 제 1 거푸집(2A)을 제 2 거푸집(2B)측에 강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연결구(1B)는 제 2 나사 결합부(11B)측으로부터 제 2 거푸집(2B)의 제 2 삽통 구멍(221B)을 삽통하고, 제 2 나사 결합부(11B)와 제 2 조작부(14B)는 제 2 삽통 구멍(221B)의 양단의 개구 외부에 각각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2 연결구(1B)의 제 2 위치 결정부(12B)에 관해서는, 제 2 소경 부분(121B)은 제 2 나사 결합부(11B)와 함께 제 2 삽통 구멍(221B)의 외측에 노출되며, 제 2 대경 부분(122B)은 제 2 삽통 구멍(221B) 내에 있어서 제 2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B)에 접촉한다. 또한, 제 2 헤드부(13B)의 제 2 걸림고정 부분(131B)은, 제 2 삽통 구멍(221B)의 제 2 헤드 수용부(223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연결구(1B)의 제 2 삽통 구멍(221B)으로부터 노출되는 제 2 나사 결합부(11B) 및 제 2 소경 부분(121B)은, 제 1 거푸집(2A)의 제 1 거푸집부(22A)에 형성되는 제 1 나사 결합 구멍(222A) 내에 삽입되고, 제 2 나사 결합부(11B)는 제 1 나사 구멍부(225A)와 나사 결합되며, 제 2 소경 부분(121B)은 제 1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6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2 연결구(1B)의 제 2 나사 결합부(11B)와, 제 1 거푸집(2A)의 제 1 거푸집부(22A)에 형성되는 제 1 나사 결합 구멍(222A) 내의 제 1 나사 구멍부(225A)의 나사 결합이 진행되어, 제 2 나사 결합부(11B)가 제 1 나사 구멍부(225A) 내에 깊게 진입할수록, 제 2 연결구(1B)의 제 2 위치 결정부(12B)의 제 2 대경 부분(122B)이 제 2 거푸집(2B)의 제 2 삽통 구멍(221B)에 접촉하고, 그리고, 제 2 헤드부(13B)는 제 2 걸림고정 부분(131B)도 제 2 헤드 수용부(223B)와 제 2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B) 사이에 있는 접촉면에 접촉하므로, 제 2 거푸집(2B)을 제 1 거푸집(2A)측에 강하게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00)의 응용은, 2매의 거푸집(2)을 연결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도 7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 혹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푸집(2)의 각 면에 있어서 각각 삽통 구멍(221)과 나사 결합 구멍(222)을 갖는 것에 의해, 1매의 거푸집(2)에 2매 이상의 다른 거푸집(2)을 연결하는 응용법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구성으로서, 모든 수식 및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100)에 있어서, 연결구(1)는 위치 결정부(12)가 소경 부분(121) 및 대경 부분(122)을 갖도록, 축선(L)을 따라서 후방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거푸집(2)측의 삽통 구멍(221)은 연결구(1)에 의해 삽통될 때, 상기 연결구(1)의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12)의 대경 부분(122)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1)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 즉,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224)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구(1)는 벗어나지 않고 거푸집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1)의 나사 결합부(11)가 다른 1개의 거푸집 장치(100)의 거푸집(2)의 나사 결합 구멍(222) 내의 나사 구멍부에 끼워넣어질수록, 2개의 거푸집 장치가 각각 갖는 거푸집(2)을 확실히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그리고, 각 거푸집(2)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221) 및 나사 결합 구멍(222)의 위치나 치수가 올바르면, 연결구(1)를 이용하여 복수의 거푸집 장치(100)의 거푸집(2)을 연결할 때, 각 거푸집 장치(100)가 각각 갖는 판체(21)의 각 콘크리트 타설면(212)을 확실히 면일하게 할 수 있다.
1: 연결구 1A: 제 1 연결구
1B: 제 2 연결구 100: 거푸집 장치
100A: 제 1 거푸집 장치 100B: 제 2 거푸집 장치
11: 나사 결합부 111: 나사산
11A: 제 1 나사 결합부 11B: 제 2 나사 결합부
12: 위치 결정부 12A: 제 1 위치 결정부
12B: 제 2 위치 결정부 121: 소경 부분
121A: 제 1 소경 부분 121B: 제 2 소경 부분
122: 대경 부분 122A: 제 1 대경 부분
122B: 제 2 대경 부분 13: 헤드부
13A: 제 1 헤드부 13B: 제 2 헤드부
131: 걸림고정 부분 131A: 제 1 걸림고정 부분
131B: 제 2 걸림고정 부분 132: 접속 부분
1321: 수용 오목부 1322: 고정 볼트
1323: 고정 구멍 14: 조작부
14A: 제 1 조작부 14B: 제 2 조작부
2: 거푸집 2A: 제 1 거푸집
2B: 제 2 거푸집 21: 판체
211: 거푸집 장착면 212: 콘크리트 타설면
22: 거푸집부 22A: 제 1 거푸집부
22B: 제 2 거푸집부 221: 삽통 구멍
221A: 제 1 삽통 구멍 221B: 제 2 삽통 구멍
222: 나사 결합 구멍 222A: 제 1 나사 결합 구멍
222B: 제 2 나사 결합 구멍 223: 헤드 수용부
223A: 제 1 헤드 수용부 223B: 제 2 헤드 수용부
224: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224A: 제 1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224B: 제 2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225: 나사 구멍부 225A: 제 1 나사 구멍부
225B: 제 2 나사 구멍부 226: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226A: 제 1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226B: 제 2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3: 후크 L: 축선

Claims (8)

  1. 연결구와 거푸집을 갖는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소정의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외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와,
    상기 나사 결합부에 인접하며, 또한, 외주면에 있어서 소정의 제 1 테이퍼비를 갖는 소경 부분과, 상기 나사 결합부로부터 이격된 측에 있어서, 외주면에서 소정의 제 2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부분을 갖도록, 상기 나사 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서 점차 넓어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에 연접하고 있는 헤드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에 연접하며, 또한, 상기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적이 상기 대경 부분의 가장 넓은 개소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나사 결합부측에 면하는 걸림고정면을 갖는 걸림고정 부분과, 상기 걸림고정 부분으로부터 상기 축선을 따라서 상기 나사 결합부의 반대측으로 연신하는 접속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거푸집은 거푸집 장착면과 상기 거푸집 장착면의 반대측에 있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갖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체와, 상기 판체의 상기 거푸집 장착면에 장착되는 거푸집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거푸집의 상기 거푸집부에는, 삽통 구멍과 나사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통 구멍은, 상기 연결구에 의해 삽통 가능하며, 또한, 상기 연결구에 의해 삽통될 때, 상기 연결구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대경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구의 삽통을 한층 더 저지하는 결합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결합 구멍은, 상기 삽통 구멍을 삽통하는 상기 연결구와는 상이한 다른 1개의 상기 연결구의 상기 나사 결합부를 받아들이고 상기 연결구의 상기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기 접속 부분에는, 상기 나사 결합부의 반대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형상이 상기 헤드부의 상기 수용 오목부에 대응하며, 일부가 상기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오목부 내에 끼워지고 상기 헤드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접속 부분으로부터 연신하도록 상기 헤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상기 접속 부분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은, 다각 기둥 형상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 구멍의 상기 결합 구조는, 상기 연결구의 상기 헤드부에 대응하며, 상기 헤드부를 받아들이고 수용 가능한 헤드 수용부와, 상기 연결구의 상기 대경 부분에 대응하며, 상기 대경 부분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대경 부분의 상기 제 2 테이퍼비와 동일한 테이퍼비를 갖는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결합 구멍은, 상기 연결구의 상기 나사 결합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부와, 상기 연결구의 상기 소경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소경 부분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소경 부분의 상기 제 1 테이퍼비와 동일한 테이퍼비를 갖는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 부분과 상기 대경 부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비와 상기 제 2 테이퍼비는 모두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장치.
KR1020220080644A 2021-09-22 2022-06-30 거푸집 장치 KR20230042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35146A TWI800001B (zh) 2021-09-22 2021-09-22 具有鎖固件的建築模板裝置
TW110135146 2021-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623A true KR20230042623A (ko) 2023-03-29

Family

ID=8194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644A KR20230042623A (ko) 2021-09-22 2022-06-30 거푸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6478B2 (ko)
EP (1) EP4155482A1 (ko)
JP (1) JP7397127B2 (ko)
KR (1) KR20230042623A (ko)
CN (1) CN115897992A (ko)
TW (1) TWI8000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18446S (zh) * 2021-08-30 2022-04-21 王建和 鎖固件
TWD219304S (zh) * 2021-08-30 2022-06-11 王建和 鎖固裝置之部分
TWD218620S (zh) * 2021-08-30 2022-05-01 王建和 鎖固裝置的部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19B1 (ko) 1998-09-29 2007-05-1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4736A (en) * 1919-08-21 1921-01-04 Steve Mihalkevicz Lock
US1382758A (en) * 1919-10-16 1921-06-28 Martha A Brown Sash-fastener
US1410829A (en) * 1919-11-22 1922-03-28 Morgenthau Bernard Lock
US1424136A (en) * 1921-05-12 1922-07-25 Morgenthau Bernard Lock
CH113786A (de) * 1925-01-30 1926-02-01 Jules Suchsland Kopfschraube.
US2297899A (en) * 1941-03-25 1942-10-06 Flangelock Patents Corp Structural form for concrete and locking means therefor
US2526381A (en) * 1948-03-17 1950-10-17 William R Mathis Molding apparatus
JPS4729677Y1 (ko) 1969-03-29 1972-09-05
US3872904A (en) * 1972-11-24 1975-03-25 John W Barlow Flex coupling fastener
ZA76128B (en) * 1976-01-09 1977-02-23 A Carter Anchor screw and extractor therefor
FR2470220A1 (fr) * 1979-11-21 1981-05-29 Husson Et Cie Sa Roland Banche pour la realisation de murs, ou analogues
FR2544356B1 (fr) 1983-04-18 1987-07-17 Pujol Barcons Salvador Ensemble de construction pour la coulee de structures rigides monolithiques et procede de construction de telles structures
JPS61127911A (ja) 1984-11-24 1986-06-16 吉江 勝廣 螺子
US5104070A (en) * 1989-06-01 1992-04-14 Space Industries, Inc. Structural latch for vehicle coupling mechanisms
US5174909A (en) * 1990-01-18 1992-12-29 Western Forms, Inc. Latching bolt mechanism and mount for concrete forming system
US5288051A (en) * 1990-01-18 1994-02-22 Western Forms, Inc. Latching bolt mechanism with lubricant reservoir for concrete forming system
JPH0562716U (ja) * 1992-02-03 1993-08-20 株式会社ハーモニック・ドライブ・システムズ 締結装置
US5265836A (en) * 1992-07-01 1993-11-30 Dale, Cox & Simon Concrete form
JP2623200B2 (ja) 1992-10-28 1997-06-25 日綜産業株式会社 型枠装置
US5686010A (en) * 1995-02-17 1997-11-11 Lee; Wen-Yuan Connecting device for form panels
TW363103B (en) * 1996-04-24 1999-07-01 yong-chuan Zhuang Horizontal supporting table for easy operation of moldboards
JPH1130215A (ja) * 1997-07-07 1999-02-02 Haruhiko Yanagihara 三角穴木ネジと三角ドライバー
JP3974991B2 (ja) 1998-02-05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樹脂製部材の締結構造
US6428061B1 (en) * 1999-06-09 2002-08-06 Avaya Technology Corp. Retractable safety mechanism for a cabinet
US6691976B2 (en) * 2000-06-27 2004-02-17 Feather Lite Innovations, Inc. Attached pin for poured concrete wall form panels
DE10119799A1 (de) * 2001-04-23 2002-10-24 Hilti Ag Nagelförmiges Befestigungselement
FR2851308A1 (fr) * 2003-02-19 2004-08-20 Andre Carossino Vis de fixation destinee notamment a l'industrie mecanique
JP2005042877A (ja) 2003-07-25 2005-02-17 Sanshin Kogyo Kk 部材の接合構造
FR2897376B1 (fr) * 2006-02-13 2008-05-16 Mesa Imalat Sanayii Ve Ticaret Systeme de coffrage perfectionne pour batiment ou travaux publics.
FR2904022B1 (fr) * 2006-07-18 2011-12-09 Hussor Dispositif d'assemblage des rives verticales de banches
ITMI20071227A1 (it) 2007-06-19 2008-12-20 Milano Politecnico Dispositivo di fissaggio di elementi sovrapposti.
DE102009044357A1 (de) * 2009-10-29 2011-05-05 Fischerwerke Gmbh & Co. Kg Kombination aus Schraubendreher und Schraube sowie Schraube
JP5493848B2 (ja) 2009-12-28 2014-05-14 株式会社大林組 鋼製型枠をなす側板端部同士の接合構造
US8864100B2 (en) * 2010-02-08 2014-10-21 Philip T. Ward Formwork connecting pin assembly
KR20120017693A (ko) * 2010-08-19 2012-02-29 조순화 렌치볼트 및 그 제조방법
DE202010012699U1 (de) * 2010-09-17 2010-12-09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Drehspannverschluss mit Erkennbarkeit der Verschlussstellung
DE102010038067B4 (de) 2010-10-08 2014-07-17 Wolfgang Weiss Formschlussverbindung mit Ausgleich von Lagefehlern
CN201902114U (zh) * 2010-12-22 2011-07-20 宁波驰球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保险箱柜门板锁定的旋转机构
JP3182061U (ja) 2012-12-21 2013-03-07 幸三郎 高木 型枠保持用コーン、およびその型枠保持用コーンを取外すために使用するスクリュードライバー
TWM519686U (zh) * 2015-11-12 2016-04-01 hong-yi Xu 螺絲
KR101850948B1 (ko) 2016-01-05 2018-04-2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거푸집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목조 건축물의 시공 방법
FR3079540B1 (fr) * 2018-03-29 2021-10-29 Outinord St Amand Dispositif de coffrage a montage ameliore
US11173589B2 (en) * 2018-11-06 2021-11-16 Bryce Fastener Compan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 fastener head having a dual zone socket area and a mating driver bit
TWI716319B (zh) 2020-05-14 2021-01-11 宏帝德物創股份有限公司 建築用模板
DE102020004179B4 (de) * 2020-07-11 2023-11-16 ORTHO HUB VENTURES UG (haftungsbeschränkt) Schraubenelement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m Schraubendreher und mindestens einem solchen Schraubenelement
CN112593701B (zh) * 2020-11-26 2021-12-14 中核华辰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柱模板结构及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19B1 (ko) 1998-09-29 2007-05-1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97127B2 (ja) 2023-12-12
JP2023046238A (ja) 2023-04-03
TWI800001B (zh) 2023-04-21
CN115897992A (zh) 2023-04-04
EP4155482A1 (en) 2023-03-29
US20230092718A1 (en) 2023-03-23
TW202314093A (zh) 2023-04-01
US11976478B2 (en)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2623A (ko) 거푸집 장치
KR20230042621A (ko) 연결구
US7931420B2 (en) Multivalent section for making frames, supports,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like
EP2235384B1 (en) A connector assembly
EP0760410A1 (en) Concrete form spacing fixture
KR20230042622A (ko) 전향 연결 기구
CN102239030B (zh) 夹紧系统
TW201505749A (zh) 具有偏心器之緊固系統
JP3241359U (ja) ドリルビット及びドリルビット用アダプター
EP3258033A1 (en) Anchor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US20040238558A1 (en) Device for Connecting Ends of Bars
CN106836653B (zh) 挤压直插式钢筋连接装置
DE10021873B4 (de) Elementsystem zum Aufbau von Halte- und/oder Messvorrichtungen
JP4657268B2 (ja) 締結構造
CN113882658B (zh) 连接结构以及模板框架
KR20220121142A (ko) 철근 커플러
JP2011075064A (ja) 電子機器の固定構造
DE2225747A1 (de) Werkzeughalter
JP4167947B2 (ja) ローパーテーションの連結装置
JP2016075030A (ja) 鉄筋用マーキング治具
EP2713063B1 (en) Mechanical joint for reversible coupling of two or more elements and joining
JP2005265536A (ja) ロータリエンコーダの取付け装置及び取付け方法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AT525653B1 (de) Montagesystem zum Verbinden von zwei Tragelementen
KR20200012116A (ko)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