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622A - 전향 연결 기구 - Google Patents

전향 연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622A
KR20230042622A KR1020220080643A KR20220080643A KR20230042622A KR 20230042622 A KR20230042622 A KR 20230042622A KR 1020220080643 A KR1020220080643 A KR 1020220080643A KR 20220080643 A KR20220080643 A KR 20220080643A KR 20230042622 A KR20230042622 A KR 2023004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output shaft
holding means
linkage mechanism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호 왕
Original Assignee
치엔-호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엔-호 왕 filed Critical 치엔-호 왕
Publication of KR2023004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04G19/003Arrangements for stabilising the forms or for moving the forms from one place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panel fasteners, i.e. permanent attachments allowing for quick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2017/008Pin and hole connect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과제] 회전 구동의 회전축 방향을 변환하는 전향 연결 기구를 제공한다.
[요약] 보지 수단(1)과, 제 1 축선보(L1)에 연신하는 입력축(21) 및 제 1 축선보(L1)에 직교하는 제 2 축선보(L2)에 연신하는 출력축(22)을 가지며, 보지 수단(1)에 보지되는 구동축 전향 수단(2)과, 구동축 전향 수단(2)은 출력축(22)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보지 수단(1)에 보지되는 연결구(3)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입력축(21)이 제 1 축선보(L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될 때, 출력축(22)의 연동에 의해 연결구(3)는 제 2 축선보(L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Description

전향 연결 기구{DIVERTIBLE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전향 연결 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건축용의 거푸집을 연결하고 고정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건설 공사의 콘크리트 타설시 이용되는 가설의 거푸집은, 1매의 판재와 옆으로 연신하도록 상기 1매의 판재에 장착하여 보강하는 복수 개의 누름대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거푸집을 복수매 준비하고 연결구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것에 의해, 1매의 큰 거푸집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거푸집은 각각의 누름대의 반대측에 있는 면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이용된다.
대만 특허 제 I716319 호 명세서
상기와 같이, 거푸집의 누름대의 반대측에 있는 면은 콘크리트 타설면으로서 이용되므로, 복수매의 거푸집을 한 장의 큰 거푸집으로 조립할 때, 통상은 면일하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기술에서는 복수매의 거푸집을 연결구로 연결하고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복수매의 거푸집 각각이 갖는 콘크리트 타설면을 면일하게 하는 기술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연결구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2매의 거푸집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정할 때, 통상은 쓰는 손으로 연결구를 회전하는 수공구 혹은 전동 드라이버를 조작하고, 쓰는 손이 아닌 손으로 연결구를 보지하는 자세로 실행하지만, 연결구를 쓰는 손의 방향으로 압입하여 연결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서는, 쓰는 손으로 전동 드라이버를 조작하는 것은 부자연스럽게 되고, 쓰는 손이 아닌 반대측 손으로 연결구를 보지하는 움직임도 곤란하다. 물론, 쓰는 손이 아닌 손으로 전동 드라이버를 조작하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지만, 높은 기량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결 작업이 곤란하면, 각 거푸집의 콘크리트 타설면이 면일하게 된다는 고수준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편한 자세로 연결구를 조작할 수 있는 전향 연결 기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용의 거푸집에 이용되는 전향 연결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의 거푸집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보지 수단과,
입력축 및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보지 수단으로 보지되는 구동축 전향 수단과,
상기 구동축 전향 수단의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축 전향 수단의 상기 입력축은,
양단에 입력 단부와 제 1 맞물림 단부를 각각 갖도록, 상기 표면에 대략 평행하는 제 1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축은 상기 입력축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부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단부와 출력 단부를 각각 갖도록, 상기 제 1 축선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출력축의 상기 출력 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장착되는 수동 부재와,
상기 수동 부재에 인접하는 소정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더욱 연신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로부터 더욱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를 갖는데다가,
상기 나사 결합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소정의 일부가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상기 보지 수단 외부에 노출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수동 부재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소정의 일부가 상기 보지 수단 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는, 구동축 전향 수단으로 연결구를 구동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연결구의 연신 방향인 제 2 축선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1 축선 방향으로 구동축 전향 수단의 입력축을 구동하면,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신하는 입력축의 회전이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신하는 출력축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연결구를 회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로 연결구를 회전하여 거푸집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기량의 레벨을 낮출 수 있으며, 거푸집끼리를 깔끔하게 연결한다는 작업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의 외부 구성이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의 내부 구성이 도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제 2 축선(L2)을 따른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Ⅵ-Ⅵ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가 거푸집 장치에 적용되는 형태가 도시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가 작동하는 형태가 도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가 작동하는 형태가 도시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는 주로, 대응하는 거푸집 장치에 장착 가능(도 7)에 구성된 보지 수단(1)과, 입력축(21) 및 출력축(22)을 갖는 구동축 전향 수단(2)과, 구동축 전향 수단(2)의 출력축(22)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보지 수단(1)에 보지되는 연결구(3)와, 조작 수단(4)과, 탄성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보지 수단(1)은 구동축 전향 수단(2)과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13)을 둘러싸는 하우징(11)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은 수용 공간(13)을 둘러싸는 동시에, 수용 공간(13)에 연통하는 전방 개구(111)와, 후방 개구(112)와, 상방 개구(113)와, 안내 홈(114)과, 하방 개구(115)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110)와, 하방 개구(115)를 덮도록 하우징 본체(110)에 장착되는 하방 덮개부(12)와, 하방 덮개부(12)를 하우징 본체(110)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볼트(14)와, 상방 개구(113)를 덮도록 하우징 본체(110)에 장착되는 상방 덮개부(15)와, 상방 개구(113)의 옆에 설치되는 스프링 설치용 돌기(16)와, 후방 개구(112)를 덮도록 하우징 본체(110)에 장착되는 후방 덮개부(17)에 의해 구성된다.
상방 개구(113)와 하방 개구(115)는, 제 1 축선(L1)에 있어서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그리고, 하방 개구(115)는 하우징 본체(110)의 하방측 뿐만이 아니라, 하우징 본체(110)의 측면측에도 개구되어 있다. 전방 개구(111)와 후방 개구(112)는, 제 1 축선(L1)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축선(L2)에 있어서 전후로 서로 마주 본다. 또한, 하우징(11)의 하우징 본체(110)에는, 상방 개구(113)의 전방측에 있어서, 제 2 축선(L2)에 평행한 안내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의 상방, 하방, 전방, 후방에 관한 호칭은, 간략히 도 1 및 도 2에 대응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거푸집 장치를 실제로 이용할 때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3이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개구(113)가 지면측에 면하는 경우도 있다.
스프링 설치용 돌기(16)는 탄성 수단(5)에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탄성 수단(5)과 함께 후술한다.
구동축 전향 수단(2)의 입력축(21)은 양단에 입력 단부(212)와 제 1 맞물림 단부(211)를 각각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맞물림 단부(211)에는 베벨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입력축(21)은, 입력 단부(212)의 선단이 하방 개구(115)의 하방측에서 노출되며, 또한, 제 1 맞물림 단부(211)가 보지 수단(1)의 수용 공간(13) 내에 위치하도록, 상방 개구(113)로부터 보지 수단(1)에 삽입되고, 제 1 축선(L1)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제 1 축선(L1)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하우징 본체(110)와 하방 덮개부(12)에 의해 하우징(11)에 보지되며, 보지 수단(1)에 보지된다. 또한, 입력축(21)의 회전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입력축(21)과 하우징 본체(110) 및 하방 덮개부(12) 사이에, 제 1 베어링(231)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와 같이, 하방 덮개부(12) 및 하우징 본체(110)에 있어서, 하방 덮개부(12)에 마주보는 개소에는, 입력축(21)을 보지하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가 대응하는 거푸집 장치에 배치될 때, 입력축(21)의 연신 방향인 제 1 축선(L1)은 상기 거푸집 장치에 설치되는 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된다.
출력축(22)은 입력축(21)의 제 1 맞물림 단부(211)와 맞물릴 수 있는 제 2 맞물림 단부(221)와 출력 단부(222)를 각각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맞물림 단부(221)는 제 1 맞물림 단부(211)의 베벨 치차와 맞물려 연동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베벨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출력축(22)은 제 2 맞물림 단부(221)가 입력축(21)의 제 1 맞물림 단부(211)와 맞물릴 수 있도록, 후방 개구(112)로부터의 수용 공간(13) 내에 삽입되고, 제 1 축선(L1)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지 수단(1)에 보지된다. 또한, 출력축(22)의 회전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출력축(22)과 하우징 본체(110) 사이에, 제 2 베어링(232)이 개재되어 있다.
연결구(3)는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에 의해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게 출력축(22)에 장착되는 수동 부재(31)와, 수동 부재(31)에 인접하는 대경 테이퍼부(321)로부터 출력축(22)의 반대측에 있는 소경 테이퍼부(322)까지,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결정부(32)와, 위치 결정부(32)로부터 더욱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거푸집 장치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 구멍에 끼워넣을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33)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와 소경 테이퍼부(322)는 일체로 형성/작성되어 있으며, 또한, 대경 테이퍼부(321)의 테이퍼 비와 소경 테이퍼부(322)의 테이퍼 비는 모두 1:8이다.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는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에 의해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게 출력축(22)에 장착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후단 슬리브(311)와,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에 접속되어 있는 전단 슬리브(312)와, 후단 슬리브(311)와 전단 슬리브(312)를 접속하는 접속 유닛(3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동 부재(31)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조립되는 구성이 되고, 각 부품의 역할에 따라서 적절한 재료를 이용하여 각각 독자적으로 작성하고 나서 조립하는 것에 의해,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단 슬리브(312)의 직경(D1)은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의 가장 폭이 넓은 개소의 직경(D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단 슬리브(311)는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 공간(317)을 둘러싸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 및 삽입 공간(317)은, 모두 제 2 축선(L2)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을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단 슬리브(311)는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즉,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동시에,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단 슬리브(312)에는, 접속 유닛(313)을 향하여 개구되는 삽입 구멍(3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 유닛(313)은 후단 슬리브(311)에 고정되는 고정 단부(3131)와, 전단 슬리브(312)를 향하여 돌출되며 삽입 구멍(3121)에 삽입되는 삽입 단부(3132)와, 삽입 단부(313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 구멍(313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단부(3131)는 후단 슬리브(311)의 전단에 형성되는 수용 슬롯(3111) 내에 삽입되며,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전단 슬리브(312)에는, 접속 유닛(313)의 결합 구멍(3133)의 양단 개구에 각각 대응하는 결합 구멍(3122)과 나사 구멍(3123)이 형성되어 있다. 전단 슬리브(312)에 형성되는 결합 구멍(3122)과 접속 유닛(313)의 결합 구멍(3133)에 삽통하고, 전단 슬리브(312)에 형성되는 나사 구멍(3123)과 나사 결합하는 결합 볼트(7)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단 슬리브(312)는 접속 유닛(313)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구멍(3121) 및 삽입 단부(3132)는, 모두 제 2 축선(L2)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 수단(4)은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에 대해,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또한, 제 2 축선(L2)을 따른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부(41)와, 링부(41)로부터 돌출되며, 하우징(11)에 형성되는 안내 홈(114)을 통과하는 결합 돌기(4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단 슬리브(311)의 후단, 즉,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 측에 인접하는 단부에는, 설치 관부(3112)와 나사 결합 접속부(3113)가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수단(4)의 링부(41)는 설치 관부(3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리고, 나사 결합 접속부(3113)에 환상의 스토퍼(3134)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링부(41)의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에 대한 제 2 축선(L2)을 따른 상대 이동이 저지되므로, 링부(41)는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에 대해,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또한, 제 2 축선(L2)을 따른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되게 된다.
또한, 조작 수단(4)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조작 수단(4)의 링부(41)로부터 돌출되며 하우징(11)에 형성되는 안내 홈(114)을 통과하는 결합 돌기(42)를 잡고 안내 홈(114)을 따라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 수단(4)이 장착되는 연결구(3)의 제 2 축선(L2)을 따른 움직임, 즉, 연결구(3)의 도 8에 도시되는 전진 위치와, 도 9에 도시되는 후퇴 위치 사이의 왕복 이동, 특히 도 9에 도시되는 후퇴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되는 전진 위치로의 이동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작 수단(4)이 연결구(3)의 수동 부재(31)에 대해, 제 2 축선(L2)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연결구(3)의 제 2 축선(L2)을 따른 움직임을 수동으로 조작할 때, 연결구(3)는 출력축(22)의 출력 단부(222)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계속 회전할 수 있다.
탄성 수단(5)은 양단이 보지 수단(1)과 연결구(3)에 장착되며, 연결구(3)에 대해,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세력을 항상 부여하는 것이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성 수단(5)은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은 양단이 각각 보지 수단(1)의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스프링 설치용 돌기(16)와 조작 수단(4)의 결합 돌기(42)에 장착되므로, 조작 수단(4)을 경유하여 연결구(3)에 대해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세력을 항상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수단(4)이 외력(수동에 의한 조작)을 받지 않으며, 또한, 연결구(3)의 나사 결합부(33)의 나사 결합 등에 의한 결합을 받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가 갖는 연결구(3)는 도 9에 도시되는 나사 결합부(33)가 삽통 구멍(821) 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에 보지된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가 거푸집 장치에 적용되는 상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가 대응하는 거푸집 장치는, 예를 들면, 좌우 한개씩의 거푸집(8)의 연결에 이용된다.
거푸집(8)은 판체(81)와, 판체(81)의 일면에 장착되는 거푸집 본체(82)와, 상기 거푸집(8)을 반송하는 기계와 접속하기 위한 후크 수단(83)을 갖는다.
거푸집 본체(82)는 도면 중의 좌우에 종 방향으로 연신하는 1개씩의 종 프레임부(801)와, 도면 중의 상하로 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1개씩의 횡 프레임부(802)와,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2개의 종 프레임부(801)와 2개의 횡 프레임부(802)를 접속하여 지지하는 서포터부(8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거푸집 본체(82)에 있어서의 각(各) 종 프레임부(801)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기 종 프레임부(801)를 관통하는 삽통 구멍(821)과, 상기 외측면에 개구를 갖는 나사 결합 구멍(82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삽통 구멍(821)은 대응하는 종 프레임부(801)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까지 관통하는 것에 대하여, 나사 결합 구멍(822)은 외측면에만 개구를 갖지만, 나사 결합 구멍(822)을 삽통 구멍(821)과 동일하게 대응하는 종 프레임부(801)를 관통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거푸집 본체(82)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821) 및 나사 결합 구멍(822)의 수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거푸집(8) 전체의 치수나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삽통 구멍(821)의 부근에 나사 결합 구멍(8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와 같이, 여기에서는 좌우 2개씩의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를 이용하여, 좌우 1개씩의 거푸집(8)을 연결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각 전향 연결 기구(10)를 이용하여, 도면 중의 좌우에 인접하는 2개의 거푸집 장치의 서로 마주 보는 종 프레임부(801)끼리를 연결하여 1매의 큰 거푸집으로서, 건설 공사의 콘크리트 타설에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도 7에 도시되는 2개의 거푸집 장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좌우로도 상하로도 다른 거푸집 장치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는, 거푸집 본체(82)에 있어서의 종 프레임부(801)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821)에 대응한다. 즉,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는 연결구(3)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거푸집 본체(82)에 있어서의 종 프레임부(801)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821)을 삽통하고 나서, 옆에 있는 다른 1개의 거푸집 본체(82)에 있어서의 종 프레임부(801)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 구멍(822) 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10)가 갖는 연결구(3)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축선(L2)을 따라서, 조작 수단(4)에 대한 조작에 의해, 나사 결합부(33) 및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가 삽통 구멍(821)외부에 노출되는 전진 위치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동 부재(31) 및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가 보지 수단(1)의 하우징(11) 내에 수용되며, 나사 결합부(33)가 삽통 구멍(821) 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푸집 본체(82)에 형성되는 삽통 구멍(821)은, 연결구(3)의 전단 슬리브(312)에 대응하여, 전단 슬리브(312)를 받아들이고 수용 가능한 슬리브 수용부(823)와, 연결구(3)의 대경 테이퍼부(321)에 대응하여 상기 대경 테이퍼부(321)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대경 테이퍼부(321)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824)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푸집 본체(82)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 구멍(822)은 연결구(3)의 나사 결합부(33)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부(825)와, 연결구(3)의 소경 테이퍼부(322)에 대응하여 상기 소경 테이퍼부(322)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상기 소경 테이퍼부(322)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826)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전향 연결 기구(10)가 갖는 연결구(3)가 조작 수단(4)에 대한 조작에 의해, 도 9에 도시되는 후퇴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되는 전진 위치로 이동하려고 하면, 우선 연결구(3)의 선단에 있는 나사 결합부(33)가 상기 대응하는 삽통 구멍(821)을 통과하고, 인접하는 다른 1개의 거푸집 장치의 거푸집 본체(82)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 구멍(822) 내에 끼워넣어지면, 연결구(3)의 나사 결합부(33)와 다른 1개의 거푸집 장치의 거푸집 본체(82)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 구멍(822)내에 있는 나사 구멍부(825)의 나사 결합이 진행되어, 나사 결합부(33)가 상기 나사 결합 구멍(822) 내에 깊게 진입할수록, 위치 결정부(32)의 대경 테이퍼부(321)가 대응하는 삽통 구멍(821) 내에 있는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824)에 접촉하며, 그리고, 전단 슬리브(312)는 삽통 구멍(821) 내에 있는 슬리브 수용부(823)에 접촉하므로, 상기 전향 연결 기구(10)가 장착되는 거푸집 본체(82)는, 다른 1개의 거푸집 장치의 거푸집 본체(82)측에 강하게 가압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장 넓은 해석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구성으로서, 모든 수식 및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향 연결 기구는, 구동축 전향 수단으로 연결구를 구동하는 구성을 가지므로, 연결구의 연신 방향인 제 2 축선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제 1 축선 방향으로 구동축 전향 수단의 입력축을 구동하면, 제 1 축선 방향으로 연신하는 입력축의 회전은 제 2 축선 방향으로 연신하는 출력축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연결구를 회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로 연결구를 회전하여 거푸집끼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 작업에 요구되는 기량의 레벨을 낮출 수 있으며, 거푸집끼리를 깔끔하게 연결한다는 작업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보지 수단 10: 전향 연결 기구
11: 하우징 110: 하우징 본체
111: 전방 개구 112: 후방 개구
113: 상방 개구 114: 안내 홈
115: 하방 개구 12: 하방 덮개부
13: 수용 공간 14: 볼트
15: 상방 덮개부 16: 스프링 설치용 돌기
17: 후방 덮개부 2: 구동축 전향 수단
21: 입력축 211: 제 1 맞물림 단부
212: 입력 단부 22: 출력축
221: 제 2 맞물림 단부 222: 출력 단부
231: 제 1 베어링 232: 제 2 베어링
3: 연결구 31: 수동 부재
311: 후단 슬리브 3112: 설치 관부
3113: 나사 결합 접속부 312: 전단 슬리브
3121: 삽입 구멍 3122: 결합 구멍
3123: 나사 구멍 313: 접속 유닛
3131: 고정 단부 3132: 삽입 단부
3133: 결합 구멍 3134: 스토퍼
317: 삽입 공간 32: 위치 결정부
321: 대경 테이퍼부 322: 소경 테이퍼부
33: 나사 결합부 4: 조작 수단
41: 링부 42: 결합 돌기
5: 탄성 수단 8: 거푸집
801: 종 프레임부 802: 횡 프레임부
803: 서포터부 81: 판체
82: 거푸집 본체 821: 삽통 구멍
822: 나사 결합 구멍 823: 슬리브 수용부
824: 대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825: 나사 구멍부
826: 소경 테이퍼 형상 구멍부 83: 후크 수단
D1: 직경 D2: 직경
L1: 제 1 축선 L2: 제 2 축선

Claims (9)

  1. 건축용의 거푸집에 이용되는 전향 연결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의 거푸집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 보지 수단과,
    입력축 및 출력축을 가지며,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는 구동축 전향 수단과,
    상기 구동축 전향 수단의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는 연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축 전향 수단의 상기 입력축은,
    양단에 입력 단부와 제 1 맞물림 단부를 각각 갖도록, 제 1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상기 제 1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축은, 상기 입력축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부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단부와 출력 단부를 각각 갖도록, 상기 제 1 축선에 대략 직교하는 제 2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지 수단에 보지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출력축의 상기 출력 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출력축에 장착되는 수동 부재와,
    상기 수동 부재에 인접하는 소정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더욱 연신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로부터 더욱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연신하며,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 결합부를 갖는데다가,
    상기 나사 결합부 및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소정의 일부가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상기 보지 수단 외부에 노출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수동 부재의 상기 소정의 일부가 상기 보지 수단 내에 수용되는 후퇴 위치 사이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양단이 상기 보지 수단과 상기 연결구에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에 대해, 상기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세력을 항상 부여하는 탄성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수단은, 상기 구동축 전향 수단과 상기 연결구의 상기 수동 부재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2 축선에 평행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향 연결 기구는, 상기 연결구의 상기 수동 부재에 장착되는 조작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상기 연결구의 상기 수동 부재에 대해,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기 제 2 축선을 따른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링부와, 상기 링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상기 안내 홈을 통과하는 결합 돌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상기 수동 부재는,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출력축의 상기 출력 단부에 의해 상기 제 2 축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게 상기 출력축에 장착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후단 슬리브와,
    상기 위치 결정부의 상기 소정의 일부에 접속되어 있는 전단 슬리브와,
    상기 후단 슬리브와 상기 전단 슬리브를 접속하는 접속 유닛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슬리브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출력 단부에 의해 삽입되는 삽입 공간을 둘러싸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축의 상기 출력 단부 및 상기 삽입 공간은, 모두 상기 제 2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슬리브에는, 상기 접속 유닛을 향하여 개구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후단 슬리브에 고정되는 고정 단부와, 상기 전단 슬리브를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삽입 구멍에 삽입하는 삽입 단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 구멍 및 상기 삽입 단부는, 모두 상기 제 2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서로 끼워맞춤 가능한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동 부재에 인접하는 대경 테이퍼부로부터 상기 출력축의 반대측에 있는 소경 테이퍼부까지,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서 점차 좁아지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경 테이퍼부는 제 1 항에 기재된 상기 소정의 일부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테이퍼부와 상기 소경 테이퍼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 테이퍼부의 테이퍼 비와 상기 소경 테이퍼부의 테이퍼 비는, 모두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향 연결 기구.
KR1020220080643A 2021-09-22 2022-06-30 전향 연결 기구 KR20230042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135167 2021-09-22
TW110135167A TWI808495B (zh) 2021-09-22 2021-09-22 鎖固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622A true KR20230042622A (ko) 2023-03-29

Family

ID=8194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643A KR20230042622A (ko) 2021-09-22 2022-06-30 전향 연결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92689A1 (ko)
EP (1) EP4155481B1 (ko)
JP (1) JP7397126B2 (ko)
KR (1) KR20230042622A (ko)
CN (1) CN115929030A (ko)
PL (1) PL4155481T3 (ko)
TW (1) TWI8084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218446S (zh) * 2021-08-30 2022-04-21 王建和 鎖固件
TWD219304S (zh) * 2021-08-30 2022-06-11 王建和 鎖固裝置之部分
TWD218620S (zh) * 2021-08-30 2022-05-01 王建和 鎖固裝置的部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19B1 (ko) 1998-09-29 2007-05-1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4736A (en) * 1919-08-21 1921-01-04 Steve Mihalkevicz Lock
US1382758A (en) * 1919-10-16 1921-06-28 Martha A Brown Sash-fastener
US1410829A (en) * 1919-11-22 1922-03-28 Morgenthau Bernard Lock
US1424136A (en) * 1921-05-12 1922-07-25 Morgenthau Bernard Lock
US2297899A (en) * 1941-03-25 1942-10-06 Flangelock Patents Corp Structural form for concrete and locking means therefor
US2526381A (en) * 1948-03-17 1950-10-17 William R Mathis Molding apparatus
US3877674A (en) * 1973-02-16 1975-04-15 Blaw Knox Const Equipment Spring lock means for connecting abutting form panels
JPS5286599A (en) * 1976-01-14 1977-07-19 Tokyo Shibaura Electric Co Wrench
JPS5942866U (ja) * 1982-09-10 1984-03-21 伊東電機株式会社 ねじ締付工具
US5104070A (en) * 1989-06-01 1992-04-14 Space Industries, Inc. Structural latch for vehicle coupling mechanisms
JPH0368777U (ko) * 1989-11-02 1991-07-08
US5288051A (en) * 1990-01-18 1994-02-22 Western Forms, Inc. Latching bolt mechanism with lubricant reservoir for concrete forming system
US5686010A (en) * 1995-02-17 1997-11-11 Lee; Wen-Yuan Connecting device for form panels
US5743670A (en) * 1995-10-02 1998-04-28 Ader; Thompson G. Structural fastener
US6428061B1 (en) * 1999-06-09 2002-08-06 Avaya Technology Corp. Retractable safety mechanism for a cabinet
US6691976B2 (en) * 2000-06-27 2004-02-17 Feather Lite Innovations, Inc. Attached pin for poured concrete wall form panels
FR2897376B1 (fr) * 2006-02-13 2008-05-16 Mesa Imalat Sanayii Ve Ticaret Systeme de coffrage perfectionne pour batiment ou travaux publics.
US8864100B2 (en) * 2010-02-08 2014-10-21 Philip T. Ward Formwork connecting pin assembly
DE202010012699U1 (de) * 2010-09-17 2010-12-09 Emka Beschlagteile Gmbh & Co. Kg Drehspannverschluss mit Erkennbarkeit der Verschlussstellung
CN201902114U (zh) * 2010-12-22 2011-07-20 宁波驰球安防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保险箱柜门板锁定的旋转机构
FR3045690A1 (fr) * 2015-12-16 2017-06-23 Hussor Dispositif d'assemblage et de fixation destine a assembler et fixer deux banches juxtaposees
JP3224493U (ja) * 2019-10-10 2019-12-19 薪螢企業有限公司 工具ジョイント
CN112593701B (zh) * 2020-11-26 2021-12-14 中核华辰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柱模板结构及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19B1 (ko) 1998-09-29 2007-05-11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이미지 포인트들을 가진 디지털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46237A (ja) 2023-04-03
JP7397126B2 (ja) 2023-12-12
CN115929030A (zh) 2023-04-07
TWI808495B (zh) 2023-07-11
EP4155481A1 (en) 2023-03-29
PL4155481T3 (pl) 2024-04-02
TW202314095A (zh) 2023-04-01
US20230092689A1 (en) 2023-03-23
EP4155481B1 (en) 202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2622A (ko) 전향 연결 기구
EP2059370B1 (de) Zusatzhandgriffvorrichtung
KR20230042623A (ko) 거푸집 장치
EP1755815A1 (de) Universalsäge
KR20230042621A (ko) 연결구
CA2495494A1 (en) Clamping assembly
JPH0771161A (ja) 連接棒駆動装置
DE19922189A1 (de) Elektrisch betriebene Schneide- und Biegemaschine
JP2009068293A (ja) 建築用木材連結具
KR102375606B1 (ko) 콘크리트 정착력이 우수한 코어드릴
CN108716541B (zh) 变速箱与换挡拉索之间的锁止器安装装置
KR20230042624A (ko) 거푸집 장치
EP2019216B1 (de) Übertragungssystem
KR20170064585A (ko) 철근체결장치
DE10312981A1 (de) Elektrohandwerkzeugmaschine
KR20230028970A (ko) 차량용 체결 장치
DE19804818C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von Hohlwanddosen
DE102021117304A1 (de) Schachteckenschalung
JP4494934B2 (ja) 穿孔装置
EP2068224A2 (de) Drehstellvorrichtung
JP2006183427A (ja) 建築用接合金具
EP2818282B1 (de) Kernbohrgerät mit einer Kernbohrständeraufnahme und einem Kernbohrständer
JP2019056261A (ja) 旋回補助具
WO2004042267A1 (de) Verbindungselement
JP2023184271A (ja) 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