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970A - 차량용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970A
KR20230028970A KR1020210110896A KR20210110896A KR20230028970A KR 20230028970 A KR20230028970 A KR 20230028970A KR 1020210110896 A KR1020210110896 A KR 1020210110896A KR 20210110896 A KR20210110896 A KR 20210110896A KR 20230028970 A KR20230028970 A KR 2023002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astening
vehicle
fastening par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현진
오헌영
황호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8970A/ko
Priority to DE202022103921.6U priority patent/DE202022103921U1/de
Priority to CN202221802751.1U priority patent/CN217800116U/zh
Priority to US17/871,626 priority patent/US11767066B2/en
Publication of KR2023002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와, 제2구조물에 고정되고, 제1체결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회전 및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체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체결 장치{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의 샤시프레임에 탑햇(Top Hat) 또는 배터리 묘듈을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형 모빌리티) 차량은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사용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용도에 맞게 차량의 실내 공간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미래형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PBV 차량은 하부에 배터리 모듈을 넓게 배치한 스케이트보드 형태의 샤시프레임에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설계된 탑햇(Top Hat) 즉, 상부 차체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차량의 샤시프레임으로부터 탑햇 또는 배터리 모듈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조립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체결 구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7367호(2021.06.25 공개, 발명의 명칭: 차체 조립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PBV(Purpose Built Vehicle) 차량의 샤시프레임에 탑햇(Top Hat) 또는 배터리 묘듈을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차량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제1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 제2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및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1체결부가 삽입되는 제1구간;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2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구간; 및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3구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은 내주면이 상기 제2체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의 직경은 상기 제3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구간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2구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구간을 향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구조물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체결부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진입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입안내부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구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구연결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제1구조물과 제2구조물의 체결에 필요한 부품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구현함으로써 조립 시 추가적인 피딩 작업을 위한 기계 및 인력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부품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작업 공구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 및 분리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어 조립의 효율성 및 일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제2체결부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제3구간에 의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체결 과정에서 제2체결부를 제1체결부에 대해 정위치로 정렬시켜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직경이 제3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1구간에 의해 제1체결부와 제2체결의 체결 시, 이중 나사 결합으로 인한 제2체결부의 잠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는 직경이 제3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제2구간에 의해 제2체결부와 제1체결부의 분리 시, 제2체결부의 공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제2체결부의 계속된 직선 이동에 의한 이탈방지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와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1)는 제1체결부(100), 케이스부(200), 가이드부(300), 제2체결부(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은 각각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커스터마이징과 교체가 가능한 차체에 해당하는 탑햇(Top Hat)과, 차량의 하방에 설치되어 차량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샤시프레임으로 예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샤시프레임과 배터리 모듈 등 차량에 있어 상호 체결 및 분리 가능한 서로 다른 구조물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체결부(100)는 제1구조물(10)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제2체결부(400)와 체결되어 제2구조물(20)과 제1구조물(10)을 상호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100)는 고정부(110), 연장부(120), 진입안내부(13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연장부(120) 및 진입안내부(1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는 제1구조물(10)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고정부(110)는 제1구조물(10)의 내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되어 제1구조물(1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원형의 형상 이외에도 제1구조물(10)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연장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연장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100)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120)는 고정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20)는 제1구조물(10)의 내측면을 관통하여 제1구조물(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연장부(120)는 후술하는 제2체결부(400)와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구비된다.
진입안내부(130)는 연장부(120)로부터 연장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1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진입안내부(130)는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의 체결 시 연장부(120)가 제2체결부(400)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입안내부(130)는 연장부(12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진입안내부(130)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진입안내부(130)는 대략 원뿔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제2구조물(20)에 고정되고, 제1체결부(1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케이스부(20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300) 및 제2체결부(40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케이스부(200)는 제2구조물(20)에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조물(20)에 별도로 마련된 브라켓 등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와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200)는 내부에 후술하는 가이드부(300)가 형성되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는 상단부가 제2구조물(20)로부터 연장되는 브라켓의 하측면에 용접 또는 접착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부(200)의 상부면은 제1구조물(10)에 고정된 제1체결부(100)의 단부 즉, 진입안내부(130)의 하단부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케이스부(200)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체결부(400)가 가이드부(300)의 제2구간(3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210)는 케이스부(200)의 하단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구간(320), 즉 케이스부(200)의 중심축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되는 원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10)의 중앙부에는 전동 드릴, 소켓 렌치 등의 작업 공구(30)가 진입될 수 있는 공구홀부(21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00)는 케이스부(2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2체결부(400)의 회전 및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00)는 제1구간(310), 제2구간(320), 제3구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간(310)은 케이스부(200)의 일측을 관통하고, 내부로 제1체결부(10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간(310)은 케이스부(200)의 상부면을 케이스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구간(320)은 케이스부(200)의 타측을 관통하고, 내부로 제2체결부(40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간(320)은 케이스부(200)의 하부면을 케이스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관통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구간(320)은 제1구간(310)과 케이스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구간(310)과 제2구간(320)이 이격되는 소정 간격은 후술하는 제3구간(3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구간(320)의 하부면은 이탈방지부(2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공구홀부(211)와 연통된다.
제3구간(330)은 제1구간(310)과 제2구간(32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2체결부(40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구간(330)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각각 제1구간(310)의 하부면과 제2구간(320)의 상부면과 연통되는 홀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구간(310), 제3구간(330), 제2구간(320)은 케이스부(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통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제3구간(330)은 제2체결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41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3구간(330)은 제2체결부(400)의 회전 시 제2체결부(400)를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3구간(330)은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의 체결 시 제2체결부(400)의 중심축이 틀어지지 않고 제1체결부(100)에 대해 정위치로 정렬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제2체결부(40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구간(310)과 제2구간(320)의 내주면은 나사산이 구비되지 않은 평탄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구간(310)과 제2구간(320)은 내주면이 제2체결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바디부(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제1구간(310)과 제2구간(320)의 직경은 제3구간(3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구간(310)은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의 체결 시, 제2체결부(40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의 이중 나사 결합으로 인한 제2체결부(400)의 잠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구간(320)은 제2체결부(400)와 제1체결부(100)의 분리 시, 내부에서 제2체결부(400)의 공회전을 유도함으로써 제2체결부(400)의 계속된 직선 이동에 의한 이탈방지부(210)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체결부(400)는 가이드부(300)에 회전 및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체결부(4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체결부(100)와 체결 또는 분리되며 제1구조물(10)과 제2구조물(20)의 결합 상태를 가변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400)는 바디부(410), 공구연결부(420)를 포함한다.
바디부(4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4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공구연결부(42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410)는 중공형의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부(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디부(410)의 직경은 제3구간(33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410)는 가이드부(3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 및 승강 이동될 수 있다.
바디부(41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각각 제3구간(330)과 연장부(12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된다. 바디부(41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의 피치 및 각도는 제1구간(310)과 제3구간(330)의 경계에서 바디부(410)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제3구간(330)과 연장부(120)에 동시에 나사 결합되더라도 바디부(410)의 회전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공구연결부(420)는 바디부(410)로부터 연장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체결부(4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공구연결부(420)는 전동 드릴, 소켓 렌치 등과 같은 작업 공구(30)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연결부(420)는 바디부(410)의 하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막대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구연결부(420)는 바디부(410)가 제2구간(320)에 위치한 경우, 하단부가 공구홀부(211)를 통해 케이스부(20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구연결부(420)는 작업 공구(30)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구연결부(420)의 면적은 공구홀부(21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연결부(420)는 공구홀부(211)에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부(3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승강 이동이 가능하다. 공구연결부(420)는 작업 공구(30)와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작업 공구(30)로부터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1)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체결 장치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구조물(10)이 제2구조물(20)의 상부에 안착됨에 따라, 제1구조물(10)에 고정된 제1체결부(100)의 연장부(120) 및 진입안내부(130)는 제1구간(3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제2체결부(400)는 바디부(410)가 제2구간(320)의 내부에 위치되고, 공구연결부(420)가 케이스부(20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바디부(410)의 하측면은 이탈방지부(210)의 상측면에 접해 제2구간(3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공구연결부(420)는 작업 공구(30)와 연결되고, 제2체결부(400)는 작업 공구(30)의 작동에 의해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승 이동된다.
제2체결부(400)가 소정 거리 상승 이동되어 바디부(410)의 상단부가 제2구간(320)과 제3구간(330)의 경계선을 지남에 따라, 바디부(410)의 외주면은 제3구간(330)의 내주면에 맞물려 나사 결합된다.
바디부(410)는 내주면의 중심축이 연장부(120)의 중심축과 동축상으로 마주보도록 정렬되고,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되며 연장부(120)로 향해 상승 이동된다.
이 경우, 작업 공구(30)는 공구홀부(211)를 통해 가이드부(300)의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공구연결부(420)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디부(410)의 상단부가 제3구간(330)과 제1구간(310)의 경계선을 지남에 따라, 연장부(120)는 바디부(4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경우, 진입안내부(130)의 폭이 단부로 향할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에 따라 연장부(120)는 바디부(410)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바디부(410)의 내부로 삽입된 연장부(120)는 외주면이 바디부(4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후, 바디부(410)는 연장부(120)와 맞물린 상태에서 계속하여 회전되며 연장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이동된다.
바디부(410)의 하단부가 제3구간(330)과 제1구간(310)의 경계선을 지나는 경우, 바디부(410)는 외주면의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내주면만이 연장부(12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는 바디부(410)의 상부면이 제2구조물(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지점에서 체결이 완료되고, 제1구조물(10)은 제2구조물(20)에 대해 위치 고정된다.
이후, 작업 공구(30)는 공구홀부(211)를 통해 케이스부(200)의 외부로 이탈된다.
한편,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의 분리 과정은 상술한 제1체결부(100)와 제2체결부(400)의 체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 경우, 바디부(410)의 상단부가 제3구간(330)과 제2구간(320)의 경계선을 지남에 따라, 바디부(410)는 제2구간(320)의 내부에서 하강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 회전된다. 이에 따라 작업 공구(30)의 오조작 등에 의해 바디부(410)가 과도하게 하강 이동되며 이탈방지부(2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체결 장치 10 : 제1구조물
20 : 제2구조물 30 : 작업 공구
100 : 제1체결부 110 : 고정부
120 : 연장부 130 : 진입안내부
200 : 케이스부 210 : 이탈방지부
211 : 공구홀부 300 : 가이드부
310 : 제1구간 320 : 제2구간
330 : 제3구간 400 : 제2체결부
410 : 바디부 420 : 공구연결부

Claims (11)

  1. 제1구조물에 고정되는 제1체결부;
    제2구조물에 고정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및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 또는 분리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1체결부가 삽입되는 제1구간; 및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을 관통하고, 상기 제2체결부가 삽입되는 제2구간;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3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은 내주면이 상기 제2체결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의 직경은 상기 제3구간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간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2구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타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2구간을 향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1구조물의 내측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제2체결부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진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안내부는 단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외주면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연결부는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체결 장치.
KR1020210110896A 2021-08-23 2021-08-23 차량용 체결 장치 KR20230028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96A KR20230028970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용 체결 장치
DE202022103921.6U DE202022103921U1 (de) 2021-08-23 2022-07-12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Fahrzeug
CN202221802751.1U CN217800116U (zh) 2021-08-23 2022-07-13 用于车辆的紧固设备
US17/871,626 US11767066B2 (en) 2021-08-23 2022-07-22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896A KR20230028970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용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970A true KR20230028970A (ko) 2023-03-03

Family

ID=8279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896A KR20230028970A (ko) 2021-08-23 2021-08-23 차량용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67066B2 (ko)
KR (1) KR20230028970A (ko)
CN (1) CN217800116U (ko)
DE (1) DE202022103921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15A (ko) *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산포관리형 외관장식장치를 적용한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6080A (en) * 1958-01-29 1961-03-21 Ford Motor Co Motor vehicle body mounts
US3032370A (en) * 1958-01-29 1962-05-01 Ford Motor Co Motor vehicle body mounts
US4720075A (en) * 1986-07-28 1988-01-19 Buell Industries, Inc. Shock isolating mount
US4921203A (en) * 1989-01-30 1990-05-01 Buell Industries, Inc. Spring element for a shock isolating mount
DE10063649A1 (de) * 2000-12-20 2002-07-04 Daimler Chrysler Ag Schraubverbindung
US6416102B1 (en) * 2001-03-20 2002-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body mount with anti-rotation feature
JP5472025B2 (ja) * 2010-10-14 2014-04-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締結構造
KR101317616B1 (ko) * 2013-04-10 2013-10-15 이연심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KR20210077367A (ko) 2019-12-17 2021-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조립 구조
US20230056302A1 (en) * 2021-08-23 2023-02-23 Hyundai Mobis Co., Ltd.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30028972A (ko) * 2021-08-23 2023-03-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7066B2 (en) 2023-09-26
DE202022103921U1 (de) 2022-07-21
CN217800116U (zh) 2022-11-15
US20230055806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1380A1 (en) Jig mounting device for material testing machine
KR20230028970A (ko) 차량용 체결 장치
KR20140034941A (ko) 클램프 장치
JP2008051800A (ja) 位置検出センサ
KR20230042624A (ko) 거푸집 장치
KR101792326B1 (ko) 튜브 홀더 서포트
JPWO2011158370A1 (ja) エレベータの改修工事用装置
CN210850081U (zh) 一种定位销装配工装
CN110976963B (zh) 一种钢结构制作型钢打孔加工机械
CN220488695U (zh) 一种快速连接锁
JP5936322B2 (ja) 地上設置用支柱
KR200146767Y1 (ko) 파이프 고정지그
JP2021030369A (ja) インタフェース機構および水平多関節ロボット
KR20230028974A (ko) 차량용 체결 장치
CN220453156U (zh) 一种led显示屏系统
CN205446337U (zh) 一种定位夹紧装置专用螺栓
KR20230117844A (ko) 차량용 체결 장치
CN216327916U (zh) 一种带弹簧圈关节轴承防尘盖的安装夹具
CN210280911U (zh) 一种可直接安装刀具的专用气缸及配套刀具
CN216780832U (zh) 一种同轴度定位装置
JPH06315809A (ja) 穿孔機
KR101634746B1 (ko)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JP2010105135A (ja) ロボット教示用治具
CN217913334U (zh) 一种新型机器人焊机进丝装置
CN211351888U (zh) 动力导向装置壳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