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7616B1 -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7616B1
KR101317616B1 KR1020130038947A KR20130038947A KR101317616B1 KR 101317616 B1 KR101317616 B1 KR 101317616B1 KR 1020130038947 A KR1020130038947 A KR 1020130038947A KR 20130038947 A KR20130038947 A KR 20130038947A KR 101317616 B1 KR101317616 B1 KR 10131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gear member
nut
bolt body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우
이연심
Original Assignee
이연심
임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심, 임채우 filed Critical 이연심
Priority to KR102013003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7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F16B39/16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in which the screw-thread of the locknut differs from that of the nut

Abstract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볼트너트 체결장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이 체결되거나 풀리도록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진동 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너트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제1톱니가 마련된 고정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톱니에 맞물리는 제2톱니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에 맞물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재를 상기 고정기어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대해 체결되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톱니가 제2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이게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볼트몸통이 회전되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며, 외부진동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볼트몸통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BOLT-NUT TYPE COUPLING DEVICE FOR LOOSENESS PREVENTION}
본 발명은 볼트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일반 기계분야나 건축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체결부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볼트를 피 고정물에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너트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런, 종래의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등에 의하여 서서히 풀리게 되는 바, 각종 기계장치나 구조물 등의 부품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릴 경우 부품으 분리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사이에 와셔를 삽입하여 풀림방지기능을 하는 볼트너트 체결부재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와셔를 적용시킨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장기간 진동이 작용되는 경우, 풀림방지가 충분히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45054호에는 볼트너트 풀림방지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45054호에 개시된 볼트너트 풀림방지장치는 별도의 풀림방지편을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볼트가 체결되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도 풀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는 볼트와 너트가 풀리는 것이 방지되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볼트가 너트에 대해 풀리도록 구조가 개선된 볼트너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볼트너트 체결장치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이 체결되거나 풀리도록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진동 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너트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제1톱니가 마련된 고정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톱니에 맞물리는 제2톱니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에 맞물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재를 상기 고정기어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대해 체결되거나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톱니가 제2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이게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볼트몸통이 회전되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며, 외부진동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볼트몸통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부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판스프링이 빠지지 않게 하는 커버판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회전기어부재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볼트몸체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볼트너트 체결장치는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클릭감이 발생하면서 볼트가 너트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의 진동에 의해서는 볼트가 너트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외력으로 볼트를 너트에 대해 회전시켜 조이거나 풀 때, 클릭감이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볼트와 너트의 결합 또는 해제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볼트너트 체결장치의 단면도(단, 회전규제유닛의 고정기어부재 및 회전기어부재는 단면이 아닌 측면도임).
도 3은 도 2의 너트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2의 회전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도 2의 판스프링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가 결합된 단면도.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볼트너트 체결장치(10)는 너트부(100), 볼트부(150), 회전제한유닛(200)을 포함한다.
너트부(100)는 통상의 너트와 같이 단면이 육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이 관통되어 암나사산(111a)이 형성된 체결공(111)을 구비한다.
볼트부(150)는 체결공(11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155)이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몸통(151)과, 볼트몸통(151)의 일측단에 형성된 볼트머리(153)로 구성된다. 볼트몸통(151)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58)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홈(158)은 도 6과 같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2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이상으로만 설치되면 무방하다.
회전제한유닛(200)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볼트부(150)의 볼트몸통(151)이 너트부(100)의 체결공(111)에 체결되거나 풀수 있도록 회전가능하나,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는 볼트몸통(151)이 체결공(111)으로부터 회전을 규제하여 풀림방지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너트부(100)의 일면에 결합설치된다.
회전제한유닛(200)은 케이싱(210), 고정기어부재(220), 회전기어부재(230),판스프링(250)을 포함한다.
케이싱(2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너트부(100)의 일면에 고정결합설치된다. 케이싱(210)은 용접방식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에 의해 너트부(100)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가능하게도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210)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211)가 마련된다. 이 중공부(211)에는 고정기어부재(220), 회전기어부재(230), 및 판스프링(250)이 삽입 수용된다.
이때, 케이싱(210)의 중공부(211) 상단에는 커버판(212)이 케이싱(2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중공부(211)에 삽입된 회전기어부재(230), 및 판스프링(250)이 중공부(211)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중공부(211)는 너트부(100)의 체결공(111)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고정기어부재(22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너트부(100)의 상면에 원형링 형상으로 일체로 고정 형성된다. 고정기어부재(220)에는 제1톱니(22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고정기어부재(220)는 케이싱(210)의 중공부(21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회전기어부재(230)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정기어부재(220)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중앙에 통과공(232)이 형성된 원형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고정기어부재(220)의 제1톱니(223)가 맞물리는 제2톱니(233)가 형성된다.
회전기어부재(230)는 제2톱니(233)가 제1톱니(223)에 맞물린 상태로 중공부(211)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회전기어부재(230)는 고정기어부재(220)보다 두께가 크도록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하도록 설치되어, 걸림홈(158)에 삽입가능한 한 쌍의 걸림돌기(235)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35)의 수는 걸림홈(158)의 수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걸림홈(158)이 한개 일 경우, 걸림돌기(235)는 한개로 구성될 수 있고, 걸림돌기가 두개 일 경우, 걸림돌기(235)는 두개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250)은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판스프링(250)은 중공부(211)에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되, 회전기어부재(230)의 상면과 커버판(212)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기어부재(230)를 고정기어부재(220) 방향 즉 하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제1톱니(223) 및 제2톱니(233)가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기어부재(230)가 고정기어부재(220)를 가압한다.
한편, 고정기어부재(220), 회전기어부재(230)의 내경은 볼트몸통(151)의 외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볼트몸통(151)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볼트몸통(151)이 고정기어부재(220), 회전기어부재(230)에 삽입될 경우, 걸림홈(158)에 걸림돌기(235)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10)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볼트부(150)를 너트부(100)에 체결(조임)하려 할 경우, 걸림홈(158)에 걸림돌기(235)가 끼워지도록 볼트몸통(151)을 중공부(211)에 삽입되어 있는 회전기어부재(230) 및 고정기어부재(220) 내에 삽입한 후, 볼트부(150)를 너트부(10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리면, 도 6과 같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기어부재(230)가 회전하면서 볼트부(150)의 수나사산(155)이 너트부(100)의 암나사산(111a)에 체결되게 되는데, 이경우, 도 2를 참조하면, 회전기어부재(230)는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기어부재(220)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기어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회전기어부재(230)의 제2톱니(233)가 고정기어부재(220)의 제1톱니(223)를 타고 넘어가고 맞물리는 것을 반복하면서 클릭감을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외력에 의한 회전기어부재(2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기어부재(230)가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이기고 제2톱니(233)가 제1톱니(223)를 타고 올라가도록 회전기어부재(230)가 상측으로 올라갔다가 제2톱니(233)가 제1톱니(223)에 다시 맞물리면서 회전기어부재(230)가 다시 하측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볼트부(150)를 너트부(100)에 대해 풀려고 할 경우, 상기 와는 반대방향<볼트부(150)가 너트부(100)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 너트부(100)에 대해 볼트부(150)를 돌려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클릭감이 발생하면서 볼트부(150)가 너트부(100)에 대해 풀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볼트너트 체결장치(1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기어부재(230)가 고정기어부재(220)를 가압함으로써, 회전기어부재(230)의 제2톱니(233)가 고정기어부재(220)의 제1톱니(223)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는 볼트몸통(151)의 걸림홈(158)이 회전기어부재(230)의 걸림돌기(235)에 걸려 있어 볼트부(150)가 너트부(100)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제한유닛(200)이 너트부(100)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여 자의적으로 볼트부(150)를 돌리지 않는 이상, 외부의 환경(진동, 충격)에 의해서는 볼트부(150)가 너트부(100)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체결된 볼트부(150) 및 너트부(100)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자의적으로 볼트부(150)를 돌릴 경우, 클릭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클릭감에 따라, 사용자가 볼트부(150)의 체결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외력이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볼트나(150)나 너트부(100)를 잡고 돌리는 경우가 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스패너와 같은 볼트,너트에 관련된 공구를 이용한 경우가 될 수 있고, 아울러, 전동공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볼트부(150)와 너트부(100)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판스프링(250)은 재질이나 단면 경사도에 따라 다양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판스프링(250)을 적용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탄성력이 높은 판스프링(250)을 설치한 경우, 외부의 환경(진동, 충격)에 의해 볼트부(150)와 너트부(100)의 풀림방지효과는 더욱더 향상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가 외력이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이길 수 있도록 좀더 증가되어야 한다. 반대로, 탄성력이 낮은 판스프링(250)을 설치한 경우, 사용자의 외력이 작더라도 판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이겨 볼트부(150)와 너트부(100)의 체결 또는 풀림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외부의 환경(진동,충격)에 의해 볼트부(150)와 너트부(100)의 풀림방지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250)의 설치하여, 외부의 환경(진동,충격)에 의해 볼트부(150)와 너트부(100)의 풀림방지효과도 양호하면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볼브투(150)와 너트부(100)의 체결 또는 풀림이 이루어질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너트부
111...체결공
111a...암나사산
150...볼트부
151...볼트몸통
155...수나사산
158..걸림홈
200...회전제한유닛
210...케이싱
220...고정기어부재
223...제1톱니
230...회전기어부재
233...제2톱니
250...판스프링

Claims (3)

  1.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이 체결되거나 풀리도록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외부 진동 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되, 상기 너트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방사상으로 제1톱니가 마련된 고정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제1톱니에 맞물리는 제2톱니를 구비하며,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전기어부재;
    상기 중공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에 맞물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재를 상기 고정기어부재 측으로 가압하는 링 형상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이게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볼트몸통이 회전되면,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거나 풀리게 되며,
    외부진동환경에 의해서는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기어부재가 상기 고정기어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제2톱니가 상기 제1톱니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볼트몸통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중공부의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회전기어부재, 및 상기 판스프링이 빠지지 않게 하는 커버판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회전기어부재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한 쌍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볼트몸체의 외주면에 대향되게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38947A 2013-04-10 2013-04-10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KR10131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47A KR101317616B1 (ko) 2013-04-10 2013-04-10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47A KR101317616B1 (ko) 2013-04-10 2013-04-10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7616B1 true KR101317616B1 (ko) 2013-10-15

Family

ID=4963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47A KR101317616B1 (ko) 2013-04-10 2013-04-10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7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5806A1 (en) * 2021-08-23 2023-02-23 Hyundai Mobis Co., Ltd.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598B1 (ko) * 1990-10-11 1992-10-21 주식회사삼성전자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US5533849A (en) * 1994-07-15 1996-07-09 Hi-Shear Corporation Self-locking nut for a wheel bearing
KR19980083807A (ko) * 1997-05-19 1998-12-05 현상수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JP2003120643A (ja) * 2001-10-12 2003-04-23 Tsunehiro Yoshida 緩み止め機構を有するボルトナ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598B1 (ko) * 1990-10-11 1992-10-21 주식회사삼성전자 풀림방지용 체결기구
US5533849A (en) * 1994-07-15 1996-07-09 Hi-Shear Corporation Self-locking nut for a wheel bearing
KR19980083807A (ko) * 1997-05-19 1998-12-05 현상수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JP2003120643A (ja) * 2001-10-12 2003-04-23 Tsunehiro Yoshida 緩み止め機構を有するボルトナ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55806A1 (en) * 2021-08-23 2023-02-23 Hyundai Mobis Co., Ltd.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US11767066B2 (en) * 2021-08-23 2023-09-26 Hyundai Mobis Co., Ltd. Fastening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01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WO2018121399A1 (zh) 周向锁止机构、包括其的电池锁定装置、动力电池包及车辆
TW201525310A (zh) 螺紋體的逆旋轉防止構造
KR102243164B1 (ko) 체결 요소 및 체결 조립체
WO2018039949A1 (zh) 一种紧固连接结构、止转结构、紧固连接组件、曲轴连杆机构
JP3187298U (ja) ダブルロックナット
JP5388290B2 (ja) 締結部材
JP2013087947A (ja) クロスボルト緩み止め組み合わせナット
US20190234446A1 (en) Two-piece anti-loosening screw assembly
KR102048634B1 (ko)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진용 볼트너트 체결장치
KR101317616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JPH0738733U (ja) カム座金
KR101328802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JP2009121577A (ja) 緩み止めナット装置
KR20150010484A (ko) 풀림방지 너트
WO2017020863A1 (zh) 一种止转套、紧固连接组件和紧固连接结构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CN206190716U (zh) 防松垫圈组件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GB2287764A (en) Lock nut
US3616828A (en) Fastener construction
KR20140110169A (ko) 풀림방지 스프링와셔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US3225808A (en) Lock nut
JP6215601B2 (ja) ボルト・ナットの弛み止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