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301B1 -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301B1
KR101270301B1 KR1020130025046A KR20130025046A KR101270301B1 KR 101270301 B1 KR101270301 B1 KR 101270301B1 KR 1020130025046 A KR1020130025046 A KR 1020130025046A KR 20130025046 A KR20130025046 A KR 20130025046A KR 101270301 B1 KR101270301 B1 KR 101270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bolt body
mounting groov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우
이연심
Original Assignee
이연심
임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심, 임채우 filed Critical 이연심
Priority to KR102013002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3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41Specially-shaped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볼트너트 체결장치는 중앙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게하고,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하는 회전방향제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향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통;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회전통; 상기 장착홈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톱니부와 마주하는 제2톱니부를 구비한 규제돌기; 및, 상기 규제돌기와 상기 장착홈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릴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중공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제1톱니부가 제2톱니부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려 할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 2 톱니부가 맞물린 채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에 막힘으로써, 상기 회전통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BOLT-NUT TYPE COUPLING DEVICE FOR LOOSENESS PREVENTION}
본 발명은 볼트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볼트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일반 기계분야나 건축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체결부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볼트를 피 고정물에 관통하도록 삽입한 다음, 너트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그런, 종래의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등에 의하여 서서히 풀리게 되는 바, 각종 기계장치나 구조물 등의 부품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가 풀릴 경우 부품으 분리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볼트와 너트사이에 와셔를 삽입하여 풀림방지기능을 하는 볼트너트 체결부재가 개발되었고, 이러한 와셔를 적용시킨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장기간 진동이 작용되는 경우, 풀림방지가 충분히 지속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종래의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부재는 와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 부품을 볼트와 너트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322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4179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너트에 대한 볼트의 조임방향회전은 가능하고, 풀림방향회전은 규제하여 볼트가 너트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종래에 비해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볼트너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볼트너트 체결장치는 중앙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게하고,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하는 회전방향제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향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통;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회전통; 상기 장착홈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톱니부와 마주하는 제2톱니부를 구비한 규제돌기; 및, 상기 규제돌기와 상기 장착홈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릴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중공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제1톱니부가 제2톱니부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려 할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 2 톱니부가 맞물린 채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에 막힘으로써, 상기 회전통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회전통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중공부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중공부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통에 형성된 커버판은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회전통의 일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삽입공의 직경은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통은 상기 너트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너트부에 회전방향제한유닛을 장착하고, 회전방향제한 유닛을 통해 볼트부를 끼워 너트부와 체결함으로써, 볼트부의 조임방향회전은 가능하고, 풀림방향회전은 규제되어 볼트부가 너트부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나 충격으로부터 볼트와 너트가 자연스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임의의 누군가가 볼트와 너트를 풀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향제한유닛이 결합된 너트부에 볼트부를 체결하면 되므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제한유닛이 너트부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볼트부와 너트부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회전제한유닛을 너트부로부터 분리해 낸 다음, 볼트부를 너트부로부터 풀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방향제한유닛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회전방향제한유닛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가 결합된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볼트너트 체결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볼트너트 체결장치(10)는 너트부(100), 볼트부(300),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을 포함한다.
너트부(100)는 통상의 너트와 같이 단면이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이 관통되어 암나사산(111a)이 형성된 체결공(111)을 구비한다.
볼트부(300)는 체결공(111)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13)이 형성된 볼트몸통(310)과, 볼트몸통(3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볼트머리(320)로 구성된다. 볼트몸통(310)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316)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홈(316)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에 2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 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이상으로만 설치되면 무방하다.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은 볼트부(300)의 볼트몸통(310)이 너트부(100)의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게 하고,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트부(100)의 일면에 결합 설치된다.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은 고정통(210), 회전통(230), 규제돌기(250), 코일스프링(260)을 포함한다.
고정통(2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너트부(100)의 일면에 고정결합 설치된다. 고정통(210)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213)가 마련된다. 이 중공부(213)는 회전통(230)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213a)와, 제1중공부(213a)와 동일한 중심축을 갖으며 제1중공부(213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중공부(213b)로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통(213b)은 제2중공부(213b)을 이루는 커버판(214)을 갖으며, 커버판(214)은 제1중공부(213a)에 삽입된 회전통(230)의 일면 가장자리를 덮는다.
상기 중공부는 상기 회전통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중공부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중공부를 이루는 상기 고정통의 밑판은 되며,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회전통의 측면 가장자리를 덮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고정통(210)은 중공부(213)의 측방, 구체적으로 제1중공부(213a)의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홈(215)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은 제1중공부(231a)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통(230)은 제1중공부(213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중공부(213a)에 삽입되어 회전된다. 회전통(230)의 중앙에는 삽입공(231)이 형성되고, 삽입공(23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3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돌기(233)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돌기(233)는 걸림홈(316)의 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통(230)의 외주면에는 제1톱니부(235)가 형성되며, 회전통(230)의 삽입공(231)과 제2중공부(213b)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규제돌기(250)는 장착홈(215)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장착홈(215)에 삽입된다. 또한, 규제돌기(250)는 장착홈(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톱니부(235)와 마주하는 제2톱니부(253)가 형성된다.
코일스프링(260)은 장착홈(215)과 규제돌기(2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규제돌기(250)가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도 3와 같이, 회전통(230)이 A방향<여기서, A방향은 볼트몸통(310)의 수나사산(313)이 너트부(100)의 체결공(111)의 암나사산(111a)에 체결(조임)되는 방향임>으로 회전하려 할 경우, 제1톱니부(235)가 제2톱니부(253)를 밀어내면서, 규제돌기(250)가 제1중공부(213a)와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장착홈(215) 내에서, 제1중공부(213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제1톱니부(235)가 제2톱니부(253)를 타고 넘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회전통(230)의 A방향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이때, 규제돌기(250)가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으로부터 후퇴할 경우, 코일스프링(260)은 압축되게 된다.
반면, 도 4와 같이, 회전통(230)이 B방향(여기서, B방향은 볼트몸통(310)의 수나사산(313)이 너트부(100)의 암나사산(313)으로부터 풀리는 방향임)으로 회전하려 하여도, 제1톱니부(235)와 제2톱니부(253)가 맞물린채로, 규제돌기(250)가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을 향해 전진하여,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에 막혀 이동되지 못함으로써, 회전통(230)의 회전이 규제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통(230)이 B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여도, 규제돌기(250)는 제1톱니부(235)와 제2톱니부(253)가 맞물린채로, B방향 즉, 제1중공부(213a)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려 하나, 제1중공부(213a)와 가까워질수록 좁아지는 장착홈(215)의 일측벽(215a)에 막혀,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회전통(230)은 B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볼트너트 체결장치(100)에서 너트부(100)와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고정통(210)에 제1결합공(216)을 설치하고, 너트부(100)에 상기 제1결합공(216)과 대응되는 제2결합공(115)을 형성하여, 나사(미도시)를 이용해, 고정통(210)과 너트부(100)를 나사결합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이 너트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부(300)를 너트부(100)에 풀리지 않도록 체결하고, 추후 필요에 따라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을 너트부(100)와 분리함으로써, 볼트부(300)를 너트부(100)로부터 풀어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결합공(216) 및 제2결합공(115)을 형성하지 않고, 용접방식이나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에 의해, 고정통(210)이 너트부(100)에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10)을 사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볼트부(300)를 너트부(100)에 체결하길 원할 경우, 걸림홈(316)에 걸림돌기(233)가 끼워지도록 볼트몸통(310)을 삽입공(231)에 삽입한 후, 볼트부(300)를 도3과 같이, A방향으로 돌리면, 제1톱니부(235)가 제2톱니부(253)를 밀어 규제돌기(253)를 제1중공부(213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면서, 제1톱니부(235)가 제2톱니부(253)를 타고 넘어가, 회전통(230)이 A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시에, 볼트몸통(310)의 수나사산(313)이 너트부(100)의 체결공(111)의 암나사산(111a)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 볼트부(300)를 B방향으로 돌리려 하더라도, 회전통(230)의 제1톱니부(235)와 규제돌기(250)의 제2톱니부(253)가 서로 맞물려 회전통(230)의 B방향으로의 회전이 규제됨으로써, 볼트몸통(310)이 너트부(100)의 체결공(111)으로부터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방향제한유닛(200)을 너트부(100)에 설치함으로써, 볼트부(300)가 너트부(100)에 체결되는 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게 하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너트부(100)에 체결된 볼트부(300)를 임의적으로 풀지 못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도 너트부(100)가 볼트부(300)로부터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너트부
111...체결공
111a...암나사산
200...회전방향제한유닛
210...고정통
213...중공부
213a...제1중공부
213b...제2중공부
215...장착홈
215a...일측벽
230...회전통
231...삽입공
233...걸림돌기
235...제1톱니부
250...규제돌기
253...제2톱니부
260...스프링

Claims (4)

  1. 중앙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구비된 너트부;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나산이 형성된 볼트몸통을 구비하고, 상기 볼트몸통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너트부 일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볼트몸통이 중앙을 통과한 후, 상기 체결공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가능하게하고, 상기 볼트몸통이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의 회전은 규제하는 회전방향제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향제한유닛은,
    중앙이 관통되어 상하가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기 중공부의 측방으로 연장형성된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너트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통;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며,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이 결합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제1톱니부가 형성된 회전통;
    상기 장착홈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톱니부와 마주하는 제2톱니부를 구비한 규제돌기; 및,
    상기 규제돌기와 상기 장착홈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릴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중공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후퇴함으로써, 상기 제1톱니부가 제2톱니부를 타고 넘어가면서 상기 회전통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걸림홈이 상기 걸림돌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몸통을 상기 체결공에 대해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려 할 경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제1톱니부와 상기 제 2 톱니부가 맞물린 채 상기 장착홈의 일측벽에 막힘으로써, 상기 회전통의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체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회전통이 삽입되는 제1중공부와, 상기 제1중공부보다 작은크기로 형성되는 제2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중공부를 이루도록 상기 고정통에 형성된 커버판은 상기 제1중공부에 삽입된 상기 회전통의 일면 가장자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체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공부와 상기 삽입공의 직경은 동일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체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은 상기 너트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너트 체결장치.
KR1020130025046A 2013-03-08 2013-03-08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KR101270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46A KR101270301B1 (ko) 2013-03-08 2013-03-08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046A KR101270301B1 (ko) 2013-03-08 2013-03-08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301B1 true KR101270301B1 (ko) 2013-05-31

Family

ID=4866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046A KR101270301B1 (ko) 2013-03-08 2013-03-08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3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63A1 (ko) * 2013-10-28 2015-05-07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및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101534442B1 (ko) * 2014-04-10 2015-07-07 길병모 로크 볼트 어셈블리
CN108591227A (zh) * 2018-07-17 2018-09-28 佛山市鑫锦龙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自锁螺母
KR20190025774A (ko) * 2017-09-01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풀림 방지장치
CN109869398A (zh) * 2019-04-10 2019-06-11 张小春 一种防松螺栓组件
CN110397660A (zh) * 2019-08-29 2019-11-01 海盐盛信标准件有限公司 一种机械设备用分体式紧固螺母
KR102048634B1 (ko) 2018-07-23 2019-11-25 정재용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진용 볼트너트 체결장치
KR20210042760A (ko) * 2019-10-10 2021-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서 장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28A (ja) 1998-08-10 2000-02-22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ボルト、ナットによる締結構造
JP2004169902A (ja) 2002-11-15 2004-06-17 Satoshi Takagi 木材の木痩せに対応するナ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28A (ja) 1998-08-10 2000-02-22 Japan Steel & Tube Constr Co Ltd ボルト、ナットによる締結構造
JP2004169902A (ja) 2002-11-15 2004-06-17 Satoshi Takagi 木材の木痩せに対応するナッ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4863A1 (ko) * 2013-10-28 2015-05-07 길병모 로크 너트 어셈블리 및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101534442B1 (ko) * 2014-04-10 2015-07-07 길병모 로크 볼트 어셈블리
KR20190025774A (ko) * 2017-09-01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풀림 방지장치
KR102507223B1 (ko) * 2017-09-01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풀림 방지장치
CN108591227A (zh) * 2018-07-17 2018-09-28 佛山市鑫锦龙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自锁螺母
KR102048634B1 (ko) 2018-07-23 2019-11-25 정재용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내진용 볼트너트 체결장치
CN109869398A (zh) * 2019-04-10 2019-06-11 张小春 一种防松螺栓组件
CN110397660A (zh) * 2019-08-29 2019-11-01 海盐盛信标准件有限公司 一种机械设备用分体式紧固螺母
CN110397660B (zh) * 2019-08-29 2024-04-09 海盐盛信标准件股份有限公司 一种机械设备用分体式紧固螺母
KR20210042760A (ko) * 2019-10-10 2021-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서 장착 장치
KR102598994B1 (ko) * 2019-10-10 2023-1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센서 장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301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US11884147B2 (en) Circumferential locking mechanism and battery locking device comprising same,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RU255298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замка, предусмотренное с подобным соединительным средством
EP2496848A1 (en) Removable and reusable quick nut
JP2004510926A (ja) ホイールナット装置
JP6239696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CN108071656A (zh) 防松垫圈组件
KR20150137910A (ko) 풀림방지 볼트 및 너트
WO2017020863A1 (zh) 一种止转套、紧固连接组件和紧固连接结构
KR20150010484A (ko) 풀림방지 너트
US20150240854A1 (en) Blind rivet fastener
KR101328802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CN210318132U (zh) 一种防松动螺栓结构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EP2493040B1 (en) Cable gland
EP2754902A2 (en) Threaded fastening system
KR101231873B1 (ko) 너트 풀림 방지 장치
KR101317616B1 (ko) 풀림방지 볼트너트 체결장치
US9180564B2 (en) Device for securing a cap screw to an element that is to be attached to another element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KR101213456B1 (ko) 체결구 조립체
CN206190716U (zh) 防松垫圈组件
CN108443288B (zh) 紧固件
KR102098074B1 (ko) 볼트-너트 조립체
KR102194640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강화한 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