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501A -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501A
KR20140093501A KR1020130005974A KR20130005974A KR20140093501A KR 20140093501 A KR20140093501 A KR 20140093501A KR 1020130005974 A KR1020130005974 A KR 1020130005974A KR 20130005974 A KR20130005974 A KR 20130005974A KR 20140093501 A KR20140093501 A KR 20140093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stened
thread
screw portion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해식
Original Assignee
주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식 filed Critical 주해식
Priority to KR1020130005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3501A/ko
Publication of KR2014009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머리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1수나사산을 갖는 제1나사부와 제1나사부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2나사산을 갖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와, 상기 볼트의 제2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를 포함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에도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부재{Contra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의 몸체에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나사부 및 제2나사부를 연장되게 형성하여 제1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1너트 및 제2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2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되게 체결하여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와 너트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는 결합용 기계요소이다. 이러한 볼트와 너트는 물체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한 후, 풀림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 와셔를 구비하거나, 볼트 및 너트에 구멍을 뚫어 분할핀을 체결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장시간 사용 중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풀림이 발생하여 안전상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트 및 너트가 풀리게 되면 작업자가 다시 조여줘야 되기 때문에 시간적, 경제적인 손실과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트의 몸체에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나사부 및 제2나사부를 연장되게 형성하여 제1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1너트 및 제2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2너트를 구비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한 후에도 볼트와 너트가 풀리지 않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너트의 하부면 일측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제2너트의 상부면 일측에 끼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제1너트가 체결된 후, 제2너트를 체결함과 동시에 끼움돌기가 끼움홈에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체결된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외측으로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감싸도록 씌워지는 캡을 구비함으로써, 너트가 더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머리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1수나사산을 갖는 제1나사부와 제1나사부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2나사산을 갖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 및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부의 하부로 상기 제2나사부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부의 축경이 상기 제2나사부의 축경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1암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암나사산이 상기 제1나사부의 축경과 동일한 크기의 축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너트는, 하부면 일측에 안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암나사산을 축으로 원형의 둘레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2암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암나사산이 상기 제2나사부의 축경과 동일한 크기의 축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너트는 상부면 일측에 밖으로 볼록한 형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는 원형의 둘레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너트를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 후, 상기 제2너트를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하면, 상기 제1너트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상기 제2너트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가 억지끼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너트 및 상기 제2너트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씌워지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양측 끝단에 상기 제1너트 및 상기 제2너트를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볼트의 몸체에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나사부 및 제2나사부를 연장되게 형성하여 제1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1너트 및 제2나사부에 맞게 체결되는 제2너트를 구비하여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체결함으로써, 체결부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제1너트의 하부면 일측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제2너트의 상부면 일측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끼움홈에 끼움돌기가 억지끼움 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미세한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체결된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외측으로 제1너트 및 제2너트를 함께 감싸도록 씌워지는 캡을 구비함으로써, 체결부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캡에 의해 제1너트 및 제2너트가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 B'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너트와 제2너트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 - C'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100)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100)는 부품(P)에 관통되는 볼트(110)와, 상기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1너트(130)와, 상기 볼트(110)에 체결되는 제2너트(150)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110)는 머리부(1110), 상기 머리부(1110)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1130)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1110)는 부품(P)의 상면 또는 하면에 지지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육각형, 사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시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형상 및 구조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1130)는 상부에 형성되는 제1나사부(1131) 및 하부에 형성되는 제2나사부(1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나사부(1131)는 소정의 축경(M1)을 갖으며, 오른쪽방향 또는 왼쪽방향을 갖는 나선형상의 제1수나사산(1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수나사산(1131a)에 하기 제1너트(130)의 제1암나사산(1310)이 맞물림 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나사부(1133)는 제1나사부(113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소정의 축경(M2)을 갖으며, 오른쪽방향 또는 왼쪽방향을 갖는 나선형상의 제2수나사산(11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수나사산(1133a)에 하기 제2너트(150)의 제2암나사산(1510)이 맞물림 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수나사산(1133a)은 제1수나사산(1131a)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나사부(1131)를 이루는 축경(M1)보다 제2나사부(1133)를 이루는 축경(M2)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너트(130)는 볼트(110)에 형성된 제1나사부(11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1나사부(1131)에 형성된 제1수나사산(1131a)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제1암나사산(1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암나사산(1310)은 제1나사부(1131)의 축경(M1)과 동일한 축경(M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너트(130)가 제1나사부(113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너트(150)는 볼트(110)에 형성된 제2나사부(11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2나사부(1133)에 형성된 제2수나사산(1133a)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제2암나사산(1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암나사산(1510)은 제2나사부(1133)의 축경(M2)과 동일한 축경(M4)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너트(150)가 제2나사부(1133)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100)는 상기 제1나사부(1131)를 이루는 축경(M1)보다 제2나사부(1133)를 이루는 축경(M2)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나사부(1131) 및 제2나사부(1133)에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가 체결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나사부(1131)의 축경(M1) 및 제2나사부(1133)의 축경(M2)이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나사부(1131)에 형성된 제1수나산(1131a)과 제2나사부(1133)에 형성된 제2수나산(1133a)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제1너트(130)를 체결하지 못하고 제2너트(150)만을 체결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상기 제1나사부(1131) 축경(M1)보다 제2나사부(1133)의 축경(M2)이 더 큰 크기를 가진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나사부(1131)의 하부에 제2나사부(11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너트(130)를 체결하지 못하고 제2너트(150)만을 체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나사부(1131)를 이루는 축경(M1)보다 제2나사부(1133)를 이루는 축경(M2)을 작게 형성함으로 인해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너트 및 제2너트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130)의 하부면 일측에 안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1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제2너트(150)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530)가 맞물려 끼워지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끼움홈(1330)은 상기 제1암사나산(1310)을 축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원형의 둘레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끼움홈(1330)에 후술하는 끼움돌기(1530)가 체결되기 위함인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너트(150)의 상부면 일측에 밖으로 볼록한 형상의 끼움돌기(153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너트(130)에 형성되는 끼움홈(1330)에 맞물려 억지끼움 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1530)는 끼움홈(1330)이 이루는 원형의 둘레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아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00)는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씌워지는 캡(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170)은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연속되게 쌓아 놓은 높이만큼의 높이를 가지며,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의 외각 둘레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동시에 감싸도록 씌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캡(17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캡(170)이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7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원활하게 씌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캡(170)의 양측 끝단에는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1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캡(170)을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의 외측으로 씌워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가 캡(1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체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두 개 이상의 부품(P)을 결합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의 부품(P)의 일축선상에 형성될 수 있는 체결홈(미도시)에 볼트(110)를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볼트(110)는 머리부(1110)의 하부면이 부품(P)에 안착되고, 몸체(1130)가 체결홈(미도시)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것인데,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기 몸체(1130)의 제1나사부(1131)에 제1너트(130)를 위치하여 제1수나사산(1131a)이 이루는 방향으로 제1너트(130)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1너트(130)는 제1나사부(1131)의 축경(M1)과 동일한 축경(M3)을 갖기 때문에 제2나사부(1133)를 지나 제1나사부(1131)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1수나사산(1131a)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제1암나사산(1310)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수나사산(1131a)에 제1암나사산(1310)이 맞물려 가이드 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너트(130)가 제1나사부(1131)에 체결되어 두 개 이상의 부품(P)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몸체(1130)의 제2나사부(1133)에 제2너트(150)를 위치하여 제2수나사산(1133a)이 이루는 방향으로 제2너트(150)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너트(150)는 제2나사부(1133)의 축경(M2)과 동일한 축경(M4)을 갖기 때문에 제1나사부(113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는 제2나사부(1133)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수나사산(1133a)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제2암나사산(1510)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2수나사산(1133a)에 제2암나사산(1510)이 맞물려 가이드 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너트(150)가 제1너트(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체결되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부품(P)이 분리되지 않고 풀리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는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부품(P)에 볼트(110)를 끼워 넣은 후, 볼트(110)의 제1나사부(1131)에 제1너트(130)를 체결하고, 제2나사부(1133)에 제2너트(150)를 체결한다.
다음, 상기 제2너트(150)에 형성된 끼움돌기(1530)가 제1너트(130)에 형성된 끼움홈(1330)에 억지끼움될 때까지 제2수나사산(1133a)이 이루는 방향으로 제2너트(150)를 회전시켜 체결한다. 이때, 상기 끼움홈(1330)은 제1암사나산(1310)을 축으로 원형의 둘레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돌기(1530)는 끼움홈(1330)이 형성된 원형의 둘레 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힘을 가하여 제2너트(150)를 회전시켜 끼움돌기(1530)를 원하는 위치에 형성된 끼움홈(1330)에 억지끼움 되도록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부품(P)에 볼트(110)를 끼워 넣은 후, 볼트(110)의 제1나사부(1131)에 제1너트(130)를 체결하고, 제2나사부(1133)에 제2너트(150)를 체결한다.
다음, 상기 제1너트(130) 또는 제2너트(150)를 회전시켜 제1너트(130)의 둘레의 형태와 제2너트(150)의 둘레의 형태가 동일하도록 위치시켜 정렬한다.
다음, 상기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캡(170)을 씌운다. 이때, 상기 캡(17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710)에 의해 캡(170)이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에 지지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의 작용관계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100)는 장시간 사용시 미세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1너트(130)가 조여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1너트(130)가 제1수나사산(1131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풀리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수나사산(1131a)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수나사산(1133a)에 제2너트(150)를 체결하였기 때문에 제1너트(130)가 풀리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오히려 제2너트(150)는 조여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더욱 견고히 조여지고, 제1너트(130)는 제2너트(150)에 맞닿아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100)를 장시간 사용시 미세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2너트(150)가 조여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제2수나사산(1133a)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나사산(1131a)에 제1너트(130)를 체결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제1너트(130)는 조여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더욱 조여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너트(150)가 제2수나사산(1133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풀리게 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작용관계를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130)를 체결한 후, 제2너트(130)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제1너트(130)의 하부면에 형성된 끼움홈(1330)에 제2너트(150)의 상부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30)가 억지끼움 되기 때문에 제2너트(150)는 제1너트(130)에 의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두 개 이상의 부품(P)이 누르는 하중이 제1너트(130)에 가해지면 제1너트(130)의 끼움홈(1330)이 제2너트(150)의 끼움돌기(1530)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억지끼움 된 제1너트(130)의 끼움홈(1330)과 제2너트(150)의 끼움돌기(1530)는 더욱 고정되어 질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일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체결한 후,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캡(170)을 씌우게 되면, 체결부재(100)가 어느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더라도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가 캡(17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제1너트(!30)가 회전하는 방향 또는 제2너트(15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해도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는 서로 회전방향이 달라 서로 방해하게 되어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는 더이상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의 풀림은 발생하지 않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110)의 몸체(1130)에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의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제1나사부(1131) 및 제2나사부(1133)를 연장되게 형성하여 제1나사부(1131)에 맞게 체결되는 제1너트(130) 및 제2나사부(1133)에 맞게 체결되는 제2너트(150)를 구비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부품(P)을 결합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미세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 등에도 체결부재(100)가 결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너트(130)의 하부면 일측에 끼움홈(1330)을 형성하고, 제2너트(150)의 상부면 일측에 끼움돌기(1530)를 형성하여 억지끼움 시키거나, 제1너트(130) 및 제2너트(150)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캡(170)을 씌움으로써, 두 개 이상의 부품(P)을 결합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미세한 진동이나 외부의 충격 등에도 체결부재(100)가 결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체결부재 110 : 볼트
1130 : 몸체 1131 : 제1나사부
1133 : 제2나사부 130 : 제1너트
1330 : 끼움홈 150 : 제2너트
1530 : 끼움돌기 170 : 캡

Claims (9)

  1. 머리부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몸체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1수나사산을 갖는 제1나사부와 제1나사부의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2나사산을 갖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볼트;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너트;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부의 하부로 상기 제2나사부가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나사부의 축경이 상기 제2나사부의 축경보다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1암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암나사산은 상기 제1나사부의 축경과 동일한 크기의 축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는,
    하부면 일측에 안으로 오목한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암나사산을 축으로 원형의 둘레를 이루도록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수나사산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수나사산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의 제2암나사산이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암나사산은 상기 제2나사부의 축경과 동일한 크기의 축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는,
    상부면 일측에 밖으로 볼록한 형상의 끼움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는 원형의 둘레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너트를 상기 제1나사부에 체결 후, 상기 제2너트를 상기 제2나사부에 체결하면, 상기 제1너트에 형성된 상기 끼움홈에 상기 제2너트에 형성된 상기 끼움돌기가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너트 및 상기 제2너트를 감싸도록 외측으로 씌워지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양측 끝단에 상기 제1너트 및 상기 제2너트를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
KR1020130005974A 2013-01-18 2013-01-18 체결부재 KR20140093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74A KR20140093501A (ko) 2013-01-18 2013-01-18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974A KR20140093501A (ko) 2013-01-18 2013-01-18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501A true KR20140093501A (ko) 2014-07-28

Family

ID=5173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974A KR20140093501A (ko) 2013-01-18 2013-01-18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35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73B1 (ko) * 2016-05-20 2017-03-30 (주)무림설계기술단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KR20180079657A (ko) * 2017-01-02 2018-07-11 이수용 배관용 클램프
CN108412837A (zh) * 2018-05-16 2018-08-17 无锡市威特机械有限公司 一种挤压机内零件锁紧机构
CN109838445A (zh) * 2019-03-25 2019-06-04 南京工业大学 一种组合式螺母锁紧的螺纹防松结构及设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573B1 (ko) * 2016-05-20 2017-03-30 (주)무림설계기술단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KR20180079657A (ko) * 2017-01-02 2018-07-11 이수용 배관용 클램프
CN108412837A (zh) * 2018-05-16 2018-08-17 无锡市威特机械有限公司 一种挤压机内零件锁紧机构
CN109838445A (zh) * 2019-03-25 2019-06-04 南京工业大学 一种组合式螺母锁紧的螺纹防松结构及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4147B2 (en) Circumferential locking mechanism and battery locking device comprising same, power battery pack, and vehicle
KR102270032B1 (ko) 공구 맞물림 부분을 가지는 나사 요소
US10060465B2 (en) Anti-loosening bolt
CN203548499U (zh) 紧固组件和具有该紧固组件的车辆
JP3187298U (ja) ダブルロックナット
US9664235B2 (en) Shaf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shafts
CN107407319A (zh) 分段螺母
JP2014523829A5 (ko)
RU2700954C2 (ru) Соединение, содержащее застопоренную крепежную шпильку
KR20140093501A (ko) 체결부재
JP6096420B2 (ja) ロックナット
US8979457B2 (en) Device for fastening
JP6239696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KR102082598B1 (ko) 설치 장치
CN108071656A (zh) 防松垫圈组件
KR20140112802A (ko) 풀림방지너트
CN206190709U (zh) 紧固件
KR20150114293A (ko) 가요전선관 커넥터
CN206190716U (zh) 防松垫圈组件
WO2016080888A1 (en) Fastening device
KR20200014651A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13064415A (ja) ナットおよび締付部材
CN109538605B (zh) 紧固件
CN206175450U (zh) 用于紧固件的防松装置
JP6194069B1 (ja) ケーブルグラ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