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0573B1 -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573B1
KR101720573B1 KR1020160062275A KR20160062275A KR101720573B1 KR 101720573 B1 KR101720573 B1 KR 101720573B1 KR 1020160062275 A KR1020160062275 A KR 1020160062275A KR 20160062275 A KR20160062275 A KR 20160062275A KR 101720573 B1 KR101720573 B1 KR 10172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otation
fixing nut
prevent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재승
Original Assignee
(주)무림설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림설계기술단 filed Critical (주)무림설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60062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5/0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진압시 소방차의 릴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에 연결되어 사각지대에 발생된 화점에 효과적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축볼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볼트로부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INJECTIO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ASY INJECTION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진압시 소방차의 릴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에 연결되어 사각지대에 발생된 화점에 효과적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축볼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볼트로부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분사장치는 화재현장으로 고압의 소방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소방차의 릴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분사하는 소방용 관창이 그 대표적인 분사장치에 해당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방용 관창은 소방용 호스로부터의 소방용수가 긴 직선형의 전방관창을 거쳐 전방관창의 선단부에 형성된 전면방수구를 통해 직사되면서 전방관창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된 전방쪽으로만 분사되도록 되어 있어 화점(火點)이 소방수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각종 틈새나 차량하부 또는 벽면 뒤쪽, 천정 등의 사각지대에 형성된 경우에는 분사각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화점을 향해 소방용수의 정확한 분사가 어렵고 화재로 인한 열기 등에 의해 가까이 근접하여 분사할 수도 없어 화재진압이 초기에 이루어지지 않아 더욱 큰 화재로 번지거나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해소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2092호(2011.01.25.)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에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는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축볼트가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고정너트가 축볼트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52092호(2011.01.25.)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진압시 소방차의 릴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에 연결되어 사각지대에 발생된 화점에 효과적으로 소방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축볼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축볼트로부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방용 호스와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으면서 분사작동을 조절하는 분사건; 상기 분사건의 배출구에 단수 또는 복수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및 타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급유로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몸체와,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분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방된 일단부에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회전몸체로 이루어지는 분사각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몸체는, 일단부 하측에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하부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유로를 이루는 상부면에 수직하방으로 세워진 축볼트의 상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몸체는, 타단부 상측에 상기 하부연통공과 대향되며, 상기 분출유로와 연통되는 상부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볼트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를 관통하면서 외측에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사각이 임의로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너트의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베이스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로써, 상기 축볼트로부터 상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단부가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제2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하단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승강을 방지하는 승강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2몸체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승강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승,하강이 차단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통한 상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화점(火點)이 소방수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각종 틈새나 차량하부 또는 벽면 뒤쪽, 천정 등의 사각지대에 형성된 경우에도 분사각조절부에 구비된 회전몸체의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하여 소방용수의 분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화점을 향해 소방용수의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초기 화재진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 화재로 인한 열기 등에 의해 가까이 근접하여 분사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복수개의 연결파이프를 다단식으로 연결하여 원거리에서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축볼트의 머리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구비됨으로써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축볼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축볼트에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그 축볼트로부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회전몸체를 180°회전시켜 상하돌출부가 뾰족한 첨단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분사각조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분사각조절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에서 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실용신안 제045209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실용신안 제045209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5209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축볼트로부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5209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이하 "소방용 분사장치"라 한다)(1)는 화재진압시 소방차의 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3)에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각종 틈새나 사각지대에서 발생된 화점에 효과적으로 분사하는 소방용 분사장치로써, 소방용 호스(3)와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으면서 분사작동을 조절하는 분사건(2), 상기 분사건(2)의 배출구(5)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일렬로 연결되며 사용자가 화기로부터 안전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방용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연결파이프(6), 상기 연결파이프(6)의 일단부에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베이스몸체(10)와 상기 베이스몸체(10)의 하부에 연통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단부에 분사노즐(20)이 구비되는 회전몸체(15)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몸체(15)의 회전에 따라 소방용수의 분사각을 임의로 조절하는 분사각조절부(9)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건(2)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소방용수의 분사작동이 조절된다.
상기 분사건(2)은 하단부에 통상의 소방차의 릴호스나, 옥내외 소화전 등에 구비된 각종 소방용 호스(3)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며, 소방용수를 공급받으면서 분사레버(4)의 조작에 따라 소방용수의 분사작동을 조절한다.
상기 분사건(2)은 선단부에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배출구(5)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파이프(6)의 타단부에 형성된 체결돌기(8)와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되거나, 통상의 커플링(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연결파이프(6)의 체결돌기(8)와 연결된다.
상기 분사건(2)에는 수압조절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건(2)을 거쳐 상기 연결파이프(6)로 공급되는 소방용수의 수압을 알맞게 조절한다.
상기 연결파이프(6)는 도 1 내지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기(火氣)로부터 일정한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원거리에서의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결파이프(6)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단수 또는 복수개가 상기 분사건(2)과 상기 분사각조절부(9)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파이프(6)의 일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구(7)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돌기(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파이프(6)는 상기 체결돌기(8)가 상기 분사건(2)의 선단부에 형성된 배출구(5)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체결구(7)가 다른 연결파이프(6)의 체결돌기(8)와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몸체(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연결돌기(12)와 나사결합되면서 사용자가 화기로부터 일정한 안전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방용수가 분사각조절부(9)로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각조절부(9)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파이프(6)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방용수의 분사각을 임의로 조절하며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개방되는 파이프형상으로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공급유로(11)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타단부에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연결돌기(12)가 형성되면서 상기 연결파이프(6)의 체결구(7)와 나사결합되어 상호 연통되며, 하부에 상기 공급유로(11)와 연통되는 하부연통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유로(11)는 일단부 상측에 수직하방으로 세워진 축볼트(14)의 상단부가 일체로 고정 부착된다.
상기 축볼트(14)는 하부연통공(13)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베이스몸체(10)에 맞닿게 위치되는 회전몸체(15)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몸체(15)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개방되는 파이프형상으로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분출유로(16)가 형성된다.
개방된 상기 회전몸체(15)의 일단에는 분사노즐(20)이 장착되면서 상기 분출유로(16)를 통해 공급되는 소방용수가 외부로 분사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몸체(15)의 타단부 상측에는 상기 분출유로(16)와 연통되는 상부연통공(17)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통공(17)은 상기 하부연통공(13)과 상하로 부합되게 위치되어 상호 연통된다.
상기 축볼트(14)는 하부가 상기 상부연통공(17)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회전몸체(15)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8)을 통해 그 회전몸체(15)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몸체(15)의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축볼트(14)의 하단부에는 나비 너트 등을 포함하는 고정너트(19)가 체결되면서 상기 베이스몸체(10)와 상기 회전몸체(15)를 체결한다.
화점(火點)이 소방수의 시야에 보이지 않는 각종 틈새나 차량하부 또는 벽면 뒤쪽, 천정 등의 사각지대에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고정너트(19)를 풀고 상기 축볼트(14)를 중심축으로 상기 회전몸체(15)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다시 상기 고정너트(19)를 조임하여 소방용수의 분사각을 임의대로 조절한 상태에서 화점을 향해 정확한 소방용수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통공(13)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턱(2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5)는 상기 상부연통공(17)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돌출턱(21)이 끼움결합되는 요홈부(22)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상기 돌출턱(21)이 상기 요홈부(22)로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회전몸체(15)와 긴밀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상기 돌출턱(21)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으로 밀폐링(24a)이 삽입되는 밀폐링삽입홈(23)이 형성되어 고압으로 분사되는 소방용수가 결합부분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또한, 상기 회전몸체(15)의 관통공(18)을 통해 하부 외측으로 돌출된 축볼트(14)의 하부에도 밀폐링(24b)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너트(19)가 체결되어 상기 관통공(18)을 통해 소방용수가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몸체(10)는 일단부에 상부돌출부(25)가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5)는 타단부에 하부돌출부(26)가 상향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15)를 180°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돌출부(25)와 하부돌출부(26)가 상하로 서로 맞닿게 되면서 끝단이 뾰족한 첨단부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첨단부로 각종 플라스틱이나 목재 판넬 또는 유리창 등을 파괴하면서 별도의 장비없이 내부의 화재를 손쉽게 진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 또는 우측면이나 상면부에 갈고리(27)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갈고리(27)는 화점 부근에 각종 전선이나 가벼운 인화성 물체가 있는 경우 상기 갈고리(27)로 걸어 당겨 제거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볼트(14)로부터 고정너트(19)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회전몸체(15)의 회전이나, 상기 고정너트(19)의 풀림 회전 등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19)가 상기 축볼트(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축볼트(14)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축볼트(14)는 상기 베이스몸체(10)의 내측에 고정되는 머리부(14a)와, 상기 머리부(14a)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연통공(17,13) 및 상기 회전몸체(15)의 하부 즉, 상기 관통공(18)을 통과하면서 외측에 고정너트(19)가 결합되는 몸체부(1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방용 분사장치(1)는 상기 관통공(18)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몸체부(14b) 간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회전몸체(15)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볼, 스냅링, 베어링 등을 포함하는 회전유도수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방용 분사장치(1)는 상기 머리부(14a)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50)는 상기 머리부(14a)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몸체(10)의 내측으로 인입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너트(19)의 회전이나, 상기 회전몸체(1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볼트(14)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전방지돌기(50)는 상기 머리부(14a)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상기 머리부(14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4b)는 상단부가 상기 머리부(14a)에 연결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19)가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14b-1) 및 상기 제1몸체(14b-1)의 하부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14b-2)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3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31a)이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14b-2)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31)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1)는 상,하부면을 갖는 원기둥 또는 육면체 등을 포함하는 다각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31a)은 상기 이탈방지부재(31)의 상,하부면을 관통한다.
상기 제2몸체(14b-2)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1)는 상기 체결공(31a)을 이루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몸체(14b-2)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14b-1)는 상기 제2몸체(14b-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31)의 승강을 차단하는 승강방지턱(14b-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1)가 상기 제2몸체(14b-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몸체(14b-1)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재(31)는 상기 제1몸체(14b-1)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몸체부(14b)로부터의 이탈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0)는 상기 제2몸체(14b-2)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32)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턱(32)은 상기 제2몸체(14b-2)의 하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너트(19)가 상기 제1몸체(14b-1)에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31)가 상기 제2몸체(14b-2)에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이탈방지부재(31)는 상기 제2몸체(14b-2)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승강방지턱(14b-3) 및 상기 이탈방지턱(32)에 의해 승,하강이 차단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통한 상기 고정너트(19)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1 : 소방용 분사장치 2 : 분사건
3 : 소방용 호스 4 : 분사레버
5 : 배출구 6 : 연결파이프
7 : 체결구 8 : 체결돌기
9 : 분사각조절부 10: 베이스몸체
11 : 공급유로 12: 연결돌기
13 : 하부연통공 14: 축볼트
14a : 머리부 14b : 몸체부
14b-1 : 제1몸체 14b-2 : 제2몸체
14b-3 : 승강방지턱 15 : 회전몸체
16: 분출유로 17 : 상부연통공
18: 관통공 19 : 고정너트
20: 분사노즐 21 : 돌출턱
22: 요홈부 23 : 밀폐링삽입홈
24a, 24b: 밀폐링 25 : 상부돌출부
26: 하부돌출부 27 : 갈고리
30 : 스토퍼 31 : 이탈방지부재
31a : 체결공 32 : 이탈방지턱
40 : 회전유도수단 50 : 회전방지돌기

Claims (1)

  1. 소방용 호스와 연결되어 소방용수를 공급받으면서 분사작동을 조절하는 분사건;
    상기 분사건의 배출구에 단수 또는 복수 연결되는 연결파이프; 및
    타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급유로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연결파이프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베이스몸체와,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분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몸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개방된 일단부에 분사노즐이 장착되는 회전몸체로 이루어지는 분사각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몸체는,
    일단부 하측에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하부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유로를 이루는 상부면에 수직하방으로 세워진 축볼트의 상부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몸체는,
    타단부 상측에 상기 하부연통공과 대향되며, 상기 분출유로와 연통되는 상부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볼트는,
    상기 베이스몸체의 내측에 고정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외측에 고정너트가 결합되는 몸체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사각이 임의로 조절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너트의 조임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몸체가 상기 베이스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로써,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이나, 상기 고정너트의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축볼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
    상기 관통공을 이루는 둘레와 상기 몸체부 간에 형성되는 빈공간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회전몸체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수단; 및
    상기 머리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몸체의 내측으로 인입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너트의 회전이나, 상기 회전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축볼트가 함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단부가 상기 머리부에 연결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나사결합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하부로부터 하방항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이탈방지부재; 및
    상기 제2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면서 하단부에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승강을 방지하는 승강방지턱을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제2몸체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상기 승강방지턱 및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승,하강이 차단되면서 안정된 고정상태를 통한 상기 고정너트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가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의 하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0160062275A 2016-05-20 2016-05-20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KR10172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75A KR101720573B1 (ko) 2016-05-20 2016-05-20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275A KR101720573B1 (ko) 2016-05-20 2016-05-20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573B1 true KR101720573B1 (ko) 2017-03-30

Family

ID=58503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275A KR101720573B1 (ko) 2016-05-20 2016-05-20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092A (ko) 2002-12-13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브러시먼지 탈거장치
KR20060035256A (ko) * 2004-10-22 2006-04-26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패널 이송장치
KR200452092Y1 (ko) * 2008-11-04 2011-02-01 주식회사 나노이앤씨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KR20140093501A (ko) * 2013-01-18 2014-07-28 주해식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092A (ko) 2002-12-13 2004-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브러시먼지 탈거장치
KR20060035256A (ko) * 2004-10-22 2006-04-26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패널 이송장치
KR200452092Y1 (ko) * 2008-11-04 2011-02-01 주식회사 나노이앤씨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KR20140093501A (ko) * 2013-01-18 2014-07-28 주해식 체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6667B (zh) 喷头
US8387712B2 (en) Fire sprinkler with ball-type cutoff valve and tamper-resistant features
KR100585936B1 (ko) 소화용 분무장치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KR100709382B1 (ko) 소방용 관창
KR101565831B1 (ko) 소방호스용 연결구
KR101693765B1 (ko) 소방노즐
US9561393B2 (en) Fluid hose apparatus with integrated nozzl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713236B1 (ko)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KR10127952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용 스프링클러 헤드
KR101277009B1 (ko) 소방용 방수압조절 연결관창
KR101720573B1 (ko) 분사각도 조절이 용이한 소방용 분사장치
KR200452092Y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1468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KR102176066B1 (ko) 건축물의 공동주택 소방용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JP6697918B2 (ja) 消火用ノズル
KR101952821B1 (ko) 고압 미분무수 화재 진압 건
KR101353445B1 (ko) 미스트 분무 기능을 갖는 화재진화용 관창
CN214344085U (zh) 一种双水幕水枪
CN206809593U (zh) 带有滤网的多功能水枪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100751526B1 (ko) 직사와 미분사 겸용 소화장치
KR101465191B1 (ko) 소방용 관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