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746B1 -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746B1
KR101634746B1 KR1020140173868A KR20140173868A KR101634746B1 KR 101634746 B1 KR101634746 B1 KR 101634746B1 KR 1020140173868 A KR1020140173868 A KR 1020140173868A KR 20140173868 A KR20140173868 A KR 20140173868A KR 101634746 B1 KR101634746 B1 KR 101634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s
fixed
torc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039A (ko
Inventor
천종현
정진한
백우진
박종찬
변재욱
Original Assignee
(주)에이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딕 filed Critical (주)에이딕
Priority to KR1020140173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7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05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guided by h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토치를 용접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토치를 용접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Angle adjustment device for welding torch}
본 발명은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토치를 용접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용접 토치를 용접 위치에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금속재료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고체 사이에 직접 결합이 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으로써,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볼트 및 리벳 등으로 연결하는 것과는 다르며, 금속재료를 용접하기 위해 접합면을 청결하게 하고 두 재료의 금속원자가 서로 금속 결합을 할 수 있는 거리 이내에 두 재료를 접근시킨 후 접합부를 가열, 용융시켜 그 부분의 금속원자를 재배열하는 용접법과, 접합부에 외부 힘을 가해서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압접법 등이 있다.
이러한, 용접 방법은 기계, 토목, 건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 선박의 건조에서 블록과 블록을 결합하는 방법으로도 시용된다.
종래에 용접 캐리지에 설치된 토치의 각을 조절하는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치(T)를 고정할 수 있는 토치 클램프(10)와, 캐리지에 고정된 각도조절판(20) 및 각도조절판(20)에 조여지는 고정 볼트(20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판(20)은 캐리지에 고정되어 있고, 각도조절판(20)의 일측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동심원상에 호형으로 호형가이드홀(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호형가이드홈(20a)을 관통하여 토치클램프(10)에 고정 볼트가 조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도조절장치는 고정볼트(20b)를 풀어 느슨하게 한 후 토치클램프(10)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용접 토치를 조절한 후 다시 고정볼트(20b)를 조여 토치클램프(10)를 고정시켜 토치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장치는 스패너나 렌치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22b)를 풀거나 조여 토치 각도를 조절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자들이 토치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과 힘을 소모할 뿐만 아니라 사용 중의 뜨거워진 토치의 주위에서 각도 조절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도 조절을 하려면 꼭 렌치나 스패너 등의 풀고 조이는 공구를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공구를 이용하여 고정볼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을 여러번 반복할 경우 볼트머리 부위가 부식되거나 마모가 되어 홈이 헐거워졌을 때 렌치 등의 공구로도 풀기가 어려워지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여 토치의 각도 조절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773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7392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토치의 각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치의 각도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토치의 각도 조절 중에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토치클램프의 일측 상, 하부 각각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토치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시간에 보다 쉽게 토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토치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게 되고, 이로 인해 공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작동부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부는 제1하우징이 구비된 하단에 설치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본체부의 제1하우징 내측 바닥면에 제1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1레일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어 일측이 제1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1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되,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작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레일과 제1슬라이드부재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본체부의 제2하우징 내측 상부면에 제2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 일측이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2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되,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2작동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작동부는 본체부의 제2하우징 내측 상부면에 제2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제2레일의 하부에 결합 고정되어 일측이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제2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의 일측부에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를 결속 해지시키는 고정클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레일과 제2슬라이드부재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고정부재에 결속되어 토치고정부의 토치클램프에 결합 고정되는 제1,2고정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본체부의 제1하우징 일측부에 설치되되, 모터축에는 작동부의 제1작동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스크루축이 마련된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본체부의 제2하우징 일측부에 설치되되, 모터축에는 작동부의 제2작동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2스크루축이 마련된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토치고정부는 일측 상부에 작동부의 제1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된 제1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일측 하부에 작동부의 제2슬라이드부재에 구비된 제2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클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토치의 각도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치의 각도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토치의 각도 조절 중에 화상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치클램프의 일측 상, 하부 각각에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부를 설치함으로써, 용접 위치에 용접 토치가 위치할 수 있도록 미세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치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시간에 보다 쉽게 토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치의 각도 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치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게 되고, 이로 인해 공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조 조절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조 조절 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100)는 용접 캐리지 등 용접을 수행하는 장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접 캐리지(미도시) 등에 설치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는 작동부(210)와, 상기 본체부(110)에 설치되어 작동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10)와, 상기 작동부(210)에 설치되어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부(4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는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1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하우징(112)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2)의 하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210)는 본체부(110)의 제1하우징(112)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되, 제1하우징(11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레일(2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레일(212)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제1하우징(112)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14)의 일측부, 즉 제1하우징(112)의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슬라이드부재(214)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고정부재(2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216)는 제1슬라이드부재(214)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1슬라이드부재(214) 상부에 양측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중앙을 관통하는 나사공(218a)이 형성된 제1작동부재(2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작동부재(218)는 동력전달부(310)에 의해 작동하게 되고, 제1작동부재(218)의 작동에 따라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제1레일(212)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120)의 내측 상단면에 설치되되, 제2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2레일(2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220)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단이 각각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제2하우징(120)의 외측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한 쌍의 제2슬라이드부재(222) 각각의 일측부, 즉 제2하우징(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슬라이드부재(222)의 끝단부에는 제2고정부재(2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224)는 제2슬라이드부재(222)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2슬라이드부재(222) 하부에 양측부가 각각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중앙을 관통하는 나사공(226a)이 형성된 제2작동부재(2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부재(226)는 동력전달부(310)에 의해 작동하게 되고, 제2작동부재(226)의 작동에 따라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제2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310)는 본체부(110)의 제1하우징(112) 외측, 즉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돌출된 타측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제1작동부재(218)의 나사공(218a)에 나사 결합되는 제1스크루축(314)이 마련된 제1모터(31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모터(312)의 작동에 의해 제1스크루축(314)이 회전하면서 제1작동부재(218)를 동작시켜 제1슬라이드부재(21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의 제2하우징(120) 외측, 즉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돌출된 타측부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제2작동부재(226)의 나사공(226a)에 나사 결합되는 제2스크루축(322)이 마련된 제2모터(3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스크루축(314)(322)의 일측 끝단부가 결합 고정되되, 제1,2하우징(112)(120)의 내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제1,2스크루축(314)(322)의 끝단부가 각각 결합 고정되는 고정구(316)(3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제2스크루축(322)이 회전하면서 제2작동부재(226)를 동작시켜 제2슬라이드부재(222)를 슬라이드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하우징(112)(120)에 설치된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의 외측, 즉 제1,2하우징(112)(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 각각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2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30)는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의 동작에 따라 절첩되도록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치고정부(410)는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공(414)이 형성되고, 일측부 상단에는 제1고정부재(216)가 결합 고정되고, 하단에는 제2고정부재(224)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클램프(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토치클램프(412)에 결합 고정되는 제1,2고정부재(216)(224)는 힌지핀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되도록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의 작동에 따라 토치클램프(412)가 회동하거나, 또는 상, 하부가 동시에 수평 이동하게 되어 용접 토치의 각도 및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100)는 먼저, 토치고정부(410)의 토치클램프(412)에 형성된 토치고정공(414)에 용접 토치를 결합 고정시킨 후 용접 토치를 용접부에 위치되도록 용접토치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접 토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제1모터(312) 또는 제2모터(320)를 병행하여 작동시키거나, 또는 제1,2모터(312)(320)를 동시에 작동시켜 토치클램프(412)의 각도를 조절하여 용접작업 위치에 용접토치를 위치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모터(3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스크루축(314)에 결합 고정된 제1작동부재(218)가 이동하면서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제1레일(21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제1슬라이드부재(214)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1고정부재(214)에 힌지핀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된 토치클램프(412)의 상부가 밀리면서 하부에 제2고정부재(224)가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토치클램프(412)의 상부가 회동하면서 용접토치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모터(320)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2스크루축(322)에 결합 고정된 제2작동부재(226)가 이동하면서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제2레일(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제2슬라이드부재(222)의 이동에 따라 제2고정부재(224)에 결합 고정된 토치클램프(412)의 하부가 밀리면서 제1고정부재(216)에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토치클램프(412)의 하부가 회동하면서 용접토치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모터(312)(320)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2작동부재(218)(226)와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가 제1,2레일(212)(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의 이동에 따라 토치클램프(412)의 상, 하부가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접토치의 위치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접클램프(412)를 회동 또는 수평이동시키게 되어 용접작업을 수행할 위치에 용접토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2)의 내측에는 전자에서와 동일하게 제1레일(212)과, 제1레일(212)에 결합되되, 일측부에 제1고정부재(216)가 구비된 제1슬라이드부재(214)와, 제1슬라이드부재(214)에 결합 고정되어 제1모터(312)의 모터축에 결합 고정되는 제1스크루축(314)이 나사 결합된 제1작동부재(218)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120)에는 제2레일(220)이 구비되고, 제2레일(220)에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에 제2고정부재(224)가 마련된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120)의 일측부에는 제2슬라이드부재(222)를 결속/해지시킬 수 있도록 제2슬라이드부재(222)를 단속하는 고정클램프(2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슬라이드부재(214)(222)의 일측부에 구비된 제1,2고정부재(216)(224) 각각에는 제1,2고정부재(216)(224)에 결합 고정되어 토치클램프(412)에 결속되는 제1,2고정핀(250)(25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토치고정부(41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클램프(240)를 회동시켜 제2슬라이드부재(222)의 가압상태에서 해지시 상태가 되어 제2슬라이드부재(222)는 제2레일(220)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2고정핀(250)(252)을 제1,2고정부재(216)(224)와 토치클램프(412)에 끼워지도록 결속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3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토치클램프(412)에 제2고정핀(252)에 의해 고정된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동일하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고정부재(216)와 토치클램프(412)를 제1,2고정핀(250)(252)에 의해 서로 고정시키고, 고정크램프(240)를 해지시킨 상태에서 제1모터(312)를 작동하게 되면 토치클램프(412)는 수평 상태로 이동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고정부재(216)(224)로부터 토치클램프(412)를 고정시키는 제1,2고정핀(250)(252)을 분리시키고, 고정클램프(2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슬라이드부재(222)를 가압하면서 결속 고정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모터(31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슬라이드 동작을 하면서 토치클램프(41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222)가 고정클램프(24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제1슬라이드부재(214)가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2고정부재(224)가 고정된 토치클램프(412)의 하부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고정부재(216)가 결합 고정된 토치클램프(412)의 상부만 회동 동작을 수행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용접토치용 각도 조절장치
110 : 본체부 112 : 제1하우징
120 : 제2하우징 210 : 작동부
212 : 제1레일 214 : 제1슬라이드부재
216 : 제1고정부재 218 : 제1작동부재
218a : 나사공 220 : 제2레일
222 : 제2슬라이드부재 224 : 제2고정부재
226 : 제2작동부재 226a : 나사공
230 : 커버부재 310 : 동력전달부
312 : 제1모터 314 : 제1스크루축
316 : 고정구 320 : 제2모터
322 : 제2스크루축 324 : 고정구
410 : 토치고정부 412 : 토치클램프
414 : 토치고정공

Claims (13)

  1.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레일과, 상기 제1레일의 상부 및 제2레일의 하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일측이 제1 및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의 일측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상부 및 제2슬라이드부재의 하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고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 및 제2작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 일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모터축에는 작동부의 제1 및 제2작동부재에 각각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및 제2스크루축이 마련된 제1 및 제2모터가 구비되어 작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일측 상부에는 제1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일측 하부에는 제2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클램프가 구비되어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일측이 개방되게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수단에 의해 상,하로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레일과, 상기 제1레일의 상부 및 제2레일의 하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어 일측이 제1 및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의 일측부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상부에 결합 고정되고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작동부재 및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에 연결 설치되어 제2슬라이드부재를 결속 해지시키는 고정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제1하우징 일측부에 설치되고, 모터축에는 작동부의 제1작동부재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제1스크루축이 마련된 제1모터가 구비되어 작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일측 상부에는 제1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일측 하부에는 제2고정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클램프가 구비되어 용접 토치가 결합 고정되는 토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재는 제1 및 제2고정핀에 의해 토치클램프에 선택적으로 결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는 각각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를 각각 커버하고, 주름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의 이동에 의해 절첩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KR1020140173868A 2014-12-05 2014-12-05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KR10163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68A KR101634746B1 (ko) 2014-12-05 2014-12-05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68A KR101634746B1 (ko) 2014-12-05 2014-12-05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39A KR20160069039A (ko) 2016-06-16
KR101634746B1 true KR101634746B1 (ko) 2016-07-01

Family

ID=5635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68A KR101634746B1 (ko) 2014-12-05 2014-12-05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4067A (zh) * 2017-12-27 2018-05-04 安陆市盛鑫风机有限公司 一种等离子切割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02B1 (ko) * 2005-08-03 2007-01-10 김두호 토치봉의 각도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172B1 (ko) * 2007-05-18 2009-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티그 용접을 이용한 파이프 회전 용접의 일정 거리유지장치
KR20100038837A (ko) * 2008-10-07 2010-04-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아크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KR101047737B1 (ko) 2008-11-19 2011-07-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용접부재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용접부 자동추적이 가능한필렛용접용 캐리지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00104681A (ko) * 2009-03-18 2010-09-29 (주)태원이엔엠 가스토치 승강 유니트
KR101173922B1 (ko) 2010-08-31 2012-08-16 (주)인우엔지니어링 파이프 궤도 용접 캐리지의 토치 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602B1 (ko) * 2005-08-03 2007-01-10 김두호 토치봉의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039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4201B1 (en) Hook pin unit having weld slag protection
CN101296784B (zh) 具有一个型廓轨及至少一个固定件的装置
US20130056588A1 (en) Arrangement related to guiding of hoses and/or cables
KR102046011B1 (ko) 다기능 용접 지그 시스템
US9993899B2 (en) Vehicle body manufacturing apparatus
US9409598B2 (en) Replaceable coupling cartridge
US10828742B2 (en) Quick tensioning device for a portable machine tool, in particular for an angle grinding machine
CN105817702A (zh) 切割长度指示装置
US4621854A (en) Device for changing tools in industrial robots
KR101634746B1 (ko) 용접 토치용 각도 조절 장치
CN204053323U (zh) 夹具
KR101593306B1 (ko)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EP3045264B1 (en) Processing device
US2005027667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holding and actuating power tools
JP7038055B2 (ja) 工作機械上で被加工物をロックする装置
JP2020007791A (ja) 被締付部材の緊解機、及びソケット
US20170080602A1 (en) Tile saw
US10118234B2 (en) Portable drilling and/or boring machine
JP3602804B2 (ja) 直線走行装置
CN104289929A (zh) 偏心夹紧夹具
KR102317061B1 (ko) 오버헤드 조립 및 분해 중에 스크루 이음을 위한 유지 장치를 위치 설정하는 장치
KR101237032B1 (ko) 너트 런너를 이용한 지그
CN211916635U (zh) 装配夹具
JP2011144014A (ja) エレベータの組立治具
KR20190070014A (ko) 기동장비 조향 핸들 탈거용 풀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