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306B1 -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306B1
KR101593306B1 KR1020140061424A KR20140061424A KR101593306B1 KR 101593306 B1 KR101593306 B1 KR 101593306B1 KR 1020140061424 A KR1020140061424 A KR 1020140061424A KR 20140061424 A KR20140061424 A KR 20140061424A KR 101593306 B1 KR101593306 B1 KR 10159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pipe connecting
guide por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578A (ko
Inventor
남기수
최재혁
서양오
우종익
김진만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4006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3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8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ttachment of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25H1/16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 프레임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면에 파이프 연결장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프레임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WORK TABLE FOR A PI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0602호(발명의 명칭: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게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합성수지관(1, 1')은 이음관(11)과 밀착링(14)에 의해 체결되며, 열융착부(17)에 의한 열 융착, 및 고정을 위한 절개링(12)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파이프 연결장치(10)는 작업자가 작업대에 각 부품을 올려놓고, 직접 수동으로 양 파이프(1, 1')를 연결하여야 하며, 파이프 연결의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는 단순한 테이블을 사용하여, 각종 공구 및 부수장치들이 난잡하게 놓여 있어,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작업 능률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 연결장치의 배치 및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 프레임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면에 파이프 연결장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프레임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하측면에는 바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기어 잭, 공압 잭 또는 유압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이트 상측면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 연결장치를 고정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개구단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대향측으로 축회동되는 스토퍼를 각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측 프레임부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월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한 인접한 두 면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요입홈에 배치되어 상, 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월프레임의 일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메인 컨트롤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작업 컨트롤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는 경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배치 및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파이프, 커넥터 및 클립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결합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플레이트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는 파이프 연결장치가 탈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가 도시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인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30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파이프(21, 22)의 체결관계를 설명하고,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2는 파이프, 커넥터 및 클립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결합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플레이트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 및 클립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립된 파이프(20)는 크게 제1 파이프(21), 제2 파이프(22) 및 커넥터(23)를 포함하며, 조립된 커넥터(23)와 파이프(21, 22) 부분을 다시 한 번 견고히 고정시키는 클립(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된 파이프(20)는 유입구(21a)에서 배출구(22a)까지 관로가 직선이 아닌 복잡한 형상을 지닌다. 이러한 조립된 파이프(20)는 자동차의 내연기관 또는 각종 기계장치에 조립되므로, 정밀한 조립공차가 요구된다.
이러한 파이프(20)는 금속관 또는 고무 호스와 같은 비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고무 호스(rubber hose)로서 실시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2-way 방식이나, 본 발명에 기술되고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는 단일 파이프, 커넥터 또는 클립이 연결되는 1-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n개의 파이프, n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넥터, 또는 n개의 클립을 조립하는 n-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가 결합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플레이트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를 기준으로, 이하, z 방향은 지면에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x 방향은 두 개의 제2 지지부의 이동 방향을 의미하고, y 방향은 상기 x 방향과 y 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에 장착되는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고정부재(110),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130),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또는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측면(111)을 제외한 각 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측면(111) 중앙부에 후술할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클립 클램핑부(1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1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111a) 안에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10)는 하측단의 형상에 따라, 후술할 가이드부(321)의 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된 수직부(121)와, 상기 수직부(121)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제1 지지부(120)에 배치되며, 커넥터(23)를 클램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커넥터(23)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안착부(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안착부(141)는 커넥터(23)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커넥터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커넥터(23)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커넥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고정부(143) 또한 커넥터(23)의 형상에 따라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수직부(121)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절곡부(122)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를 이동시키는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 또는 커넥터 고정부(143)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23)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커넥터 감지센서(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23)가 커넥터 안착부(141) 또는 고정부에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커넥터 감지센서(145)로 인하여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도 3과 같이 커넥터 안착부(141)가 y축을 기준으로 후진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커넥터(23)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는 y축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z축을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23)를 가압함으로써, 커넥터(23)의 클램핑 구동이 완성된다. 이 후, 파이프(21, 22)와 조립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이 진행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부(130)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2 지지부(130)는 대략적으로 z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어 있는 후술할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배치되며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일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는 파이프의 절곡 형상 및 직경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파이프 고정부(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상기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파이프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고정부(153) 또한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를 파이프 안착부(15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의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타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는 파이프(21, 22)와 부속품(23, 24), 또는 파이프(21)와 파이프(22)의 조립 공차를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파이프(21, 22) 일단이 정확하게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파이프(21, 22) 타단이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파이프(21, 22)의 조립공차가 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2 지지부(13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 또는 파이프 고정부(153)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파이프 감지센서(1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 또는 파이프 고정부(153)에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파이프 감지센서(155)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이 완성되면, 상기 커넥터(23)에 형성된 연통홀(미도시)의 위치는 상기 파이프(21, 22)의 일단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 후,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의 파이프 안착부(151) 및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파이프(21, 22)가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가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가 파이프(21, 22)를 고정한다. 이 후, 후술할 장착 액추에이터(160)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130)를 상기 커넥터(23)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파이프(21, 22)가 상기 커넥터(23)의 연통홀에 삽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상기 제2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130)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23) 방향으로 이동시켜 클램핑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23)에 장착시키는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축의 방향은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커넥터(23)의 연통홀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 액추에이터(160)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가 커넥터(23)의 연통홀에 삽착되어 견고하게 체결된다고 하여도, 상기 파이프와 연통홀이 체결된 부위에 클립(24)을 체결하여 더욱 사용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배치되며, 클립(24)을 상기 파이프(21, 22)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돌출된 샤프트(131)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클립(24)이 고정되는 고정홈(171a)이 대향되게 형성된 집게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을 이격시키는 이격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172)는 후술할 클립 액추에이터(173)의 구동축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172)의 폭은 상기 집게부(171) 타측의 평소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171) 타측에 삽입 시 상기 집게부(171) 타측을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이격부(172)를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클립 액추에이터(173)를 포함하며, 이러한 클립 액추에이터(173)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부(171)의 대향면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이격부(172)가 상기 집게부(171)에서 해제시 상기 집게부(17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24)이 고정된 집게부(171)의 일측은 상기 이격부(172)의 구동에 의해 상호 인접하게 되고 클립(24)이 벌려지지만, 상기 이격부(172)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벌려진 클립(24)의 복귀력에 의해 집게부(171) 일측 및 타측은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립(24)이 불량품일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프링(174)을 두어 더욱 확실한 집게부(171) 구동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고정홈(171a)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24)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클립 감지센서(175)를 더 포함하여, 클립(24)이 상기 고정홈(171a)에 제대로 안착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클립 감지센서(175)로 인하여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이격부(172)가 집게부(171)의 타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힌지부의 회동으로 인해 집게부(171)의 일측이 상호 인접해지고, 이러한 구동은 고정된 클립(24)을 벌릴 수 있다. 이 후, 파이프(21, 22) 일측을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시키게 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파이프 일측은 상기 벌려진 클립(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가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커넥터(23)에 삽착되면, 상기 클립 액추에이터(173)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이격부(172)를 상기 집게부(171) 타측에서 빼내게 되고, 이러한 구동에 의해 상기 집게부(171) 일측은 원상태로 이격되어 벌려진 클립(24)을 파이프(21, 22)에 클램핑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2-way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되고 있다. 2-way 체결구조에서는 상기 커넥터(23)가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또는 제2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두 개씩 배치되며, 클립(24)을 두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것과 같이 단일 파이프(21), 커넥터(23) 또는 클립(24)이 연결되는 1-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n개의 파이프, n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넥터(23), 또는 n개의 클립(24)을 조립하는 n-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way 체결구조에서는 상기 커넥터(23)가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는 상기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세 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 개의 제2 지지부(130)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24)을 세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각 구성요소의 구동순서는 클립 클램핑부(170),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 액추에이터부(160)의 순서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와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순서가 바뀔수도 있다. 물론, 초기 상태의 복귀는 진행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컨트롤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부(200)는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클립 클램핑부(17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부(200)는 크게 메인 컨트롤러(210)와, 작업 컨트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 또는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는 상기 각각의 감지센서(145, 155, 175)에 의해 커넥터(23), 파이프(21, 22) 또는 클립(24)의 고정이 감지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클립 클램핑부(170) 또는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는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클립 클램핑부(17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는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클립 클램핑부(17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구현할 수 있는 선택버튼(2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는 상기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에 따른 제어 내용을 입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는 전원을 on/off 하기 위한 전원버튼(212)과, 상기 모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14)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직관적으로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클립 클램핑부(17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작업 컨트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두 개의 이중적인 컨트롤러(210, 220)를 구비하여 정확성 및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는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를 구동시키는 제1 버튼(221)과,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를 구동시키는 제2 버튼(222)과,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를 구동시키는 제3 버튼(223)과, 상기 모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버튼(22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버튼(222)을 누르면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 후, 상기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이동된 커넥터(23)를 고정시키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시 한 번 누르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구비된 커넥터 감지센서(145)에 의해 커넥터(23)가 정확히 안착되지 아니한 것이 감지될 경우, 제2 버튼(222)에 의한 명령은 구현되지 않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버튼(222)의 구동 방식은 상기 제1 버튼(221) 및/또는 제3 버튼(223)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버튼(223)은 상기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더 구동시키며,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의 양측에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제3 버튼(223)을 동시에 눌러야 작동되도록 구현되어, 작업자의 양손을 구속함으로써 작업 중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 버튼(223)에 의한 구동 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 구동 후 상기 장착 액추에이터(160)가 구동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파이프 연결장치(100) 전방에서 작업자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작업자가 앉아서 작업하거나, 서서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대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함과 동시에 전술한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한다.
도 6은 파이프 연결장치가 탈거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의 정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대(300)는 하측프레임부(310), 플레이트(320), 높이조절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월프레임(340, wall 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측프레임부(310)는 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의 각 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각 면의 어느 일면만 개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의 하측면에는 바퀴(311)가 배치되어 작업장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업대(3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퀴(311)는 롤러 형상의 바퀴로써, 상기 하측프레임부(310) 네 모서리에 각각 한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월프레임(340)은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월프레임(340)은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의 두 개의 수직프레임에서 연장 형성되거나, 두 개의 수직프레임에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프레임(340)은 후술할 플레이트(320)에 대한 인접한 두 면에 요입홈(34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프레임(340)의 일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메인 컨트롤러(2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컨트롤러 장착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 장착부(342)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10) 밑면을 지지하는 지지체(34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 일측면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체(34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342a) 및 회동체(342b)를 둘다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20)는 상기 하측프레임부(310)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면에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320) 상측면에 가이드부(321)가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고정부재(1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부재(110) 하측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321)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측에서 바라볼 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321)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 제1가이드부(321')와 제2가이드부(321'') 및 제3가이드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321')와 제2가이드부(321'') 각각의 일단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가이브두(321''')는 제1가이드부(321')와 제2가이드부(321'')의 각각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슬라이딩시켜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용이한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321')의 일단과 상기 제2가이드부(321'')의 일단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21)의 양측 개구단에는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대향측으로 축회동되는 스토퍼(322)를 각각 더 포함하여, 작업시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미세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320)는 작업자의 키 또는 작업 자세를 고려하여 상, 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320)의 높이 조절을 위해,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와 상기 플레이트(3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측프레임부(310)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320)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유닛(330)은 기어 잭, 공압 잭 또는 유압 잭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기계적으로 구동되어 신뢰성이 높은 기어 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유닛(330)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상기 플레이트(320)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320)에는 상기 요입홈(341)에 배치되어 상, 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롤러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무거운 파이프 연결장치가 상측면에 배치된 플레이트(320)의 상, 하 이동시 지면과 수평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320) 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100)의 작업 컨트롤러(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3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324)는 경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를 축회동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321)의 개구가 전방을 향해서 형성되면, 전방에서 후측으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100)를 슬라이딩하여 안착시켜야하는데,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가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업 컨트롤러(220)는 상기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324)에 의해 축회동되어 상기 플레이트(320)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해, 자동화를 구현하여 인건비 감소, 생산성 증가, 불량품 감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조립 공차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작업 현장에서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파이프 연결장치 110: 고정부재
120: 제1 지지부 121: 수직부
122: 절곡부 130: 제2 지지부
140: 커넥터 클램핑부 141: 커넥터 안착부
142: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 143: 커넥터 고정부
144: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 145: 커넥터 감지센서
150: 파이프 클램핑부 151: 파이프 안착부
152: 파이프 배치 교정부 153: 파이프 고정부
154: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 155: 파이프 감지센서
160: 장착 액추에이터 170: 클립 클램핑부
171: 집게부 172: 이격부
173: 클립 액추에이터 174: 스프링
175: 클립 감지센서 200: 컨트롤부
210: 메인 컨트롤러 211: 선택버튼
212: 전원버튼 213: 비상정지버튼
214: 디스플레이부 220: 작업 컨트롤러
221: 제1 버튼 222: 제2 버튼
223: 제3 버튼 224: 비상정지버튼
300: 작업대 310:하측프레임부
311: 바퀴 320: 플레이트
321: 가이드부 321a: 테이퍼부
322: 스토퍼 323: 롤러부
324:작업 컨트롤러 장착부 330: 높이조절유닛
340: 월프레임부 341: 요입홈
342: 메인 컨트롤러 장착부

Claims (10)

  1. 하측프레임부;
    상기 하측 프레임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측면에 파이프 연결장치가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를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하측 프레임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기 플레이트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일단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각각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측에서 바라볼때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부와 함께 'ㄷ'자 형상을 형성하는 제3가이드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일단이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진 테이퍼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개구단에 파이프 연결장치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대향측으로 축회동되는 스토퍼를 각각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부의 하측면에는 바퀴가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기어 잭, 공압 잭 또는 유압 잭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부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월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프레임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한 인접한 두 면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요입홈에 배치되어 상, 하 이동이 가이드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프레임의 일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메인 컨트롤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측면에는 파이프 연결장치의 작업 컨트롤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컨트롤러 장착부는 경첩으로 형성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KR1020140061424A 2014-05-22 2014-05-22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KR101593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24A KR101593306B1 (ko) 2014-05-22 2014-05-22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24A KR101593306B1 (ko) 2014-05-22 2014-05-22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578A KR20150135578A (ko) 2015-12-03
KR101593306B1 true KR101593306B1 (ko) 2016-02-12

Family

ID=5487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424A KR101593306B1 (ko) 2014-05-22 2014-05-22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6205A (zh) * 2017-01-18 2017-07-07 苏州睿达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c型立柱的大理石台面
CN107838608A (zh) * 2017-11-03 2018-03-27 许昌商通实业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钣金焊接用工作台
CN109176427A (zh) * 2018-08-24 2019-01-11 芜湖凯兴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压力传感器制造用多工位加工装置
CN110539259B (zh) * 2019-08-29 2020-04-28 南京禹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汽配零件维修用紧压固定装置及其紧压方法
CN111872892A (zh) * 2020-07-03 2020-11-03 格力电器(洛阳)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半自动胶塞推进装置
CN113896096A (zh) * 2021-08-30 2022-01-07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齿轮箱转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92Y1 (ko) * 2013-03-08 2013-11-14 박종규 고소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545A (ko) * 2007-08-17 2009-02-20 최동철 제품생산용 셀작업대
KR20100001973U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92Y1 (ko) * 2013-03-08 2013-11-14 박종규 고소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578A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306B1 (ko)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JP6036725B2 (ja) クランプ装置
JP5167548B2 (ja) 吊下げ型協調作業ロボット
CN103419021B (zh) 装配装置和装配室
JP2017042900A (ja) 自動組立方法及び自動組立装置
JP5688582B2 (ja) クランプ装置
CN106862918B (zh) 用于行李箱盖铰链的智能装载机装置及其控制方法
US8601664B2 (en) Fixture exchange rail system and method of use
TWI577508B (zh) 夾鉗裝置
JP5942126B2 (ja) クランプ装置
KR102060867B1 (ko) O링 부착 장치 및 방법
US9597760B1 (en) Table clamp device and pallet changer
TW201304888A (zh) 進給緊固件之方法及裝置
KR101607291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10082753A (ja) ワーク圧入装置
US7798387B2 (en) Friction stir weld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50080787A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101613473B1 (ko) 용접 부품 장착대
KR101513286B1 (ko) 승강 장치
JP6647034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アッセンブリ搭載装置
KR102033887B1 (ko) 팔렛트 트래킹 및 속도 동기 장치
KR20130082252A (ko) 센터설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파이프 접합설비
KR101816670B1 (ko) 플라스틱 용접 장치 및 이것을 위한 플라스틱 용접 방법
KR20100057955A (ko) 커플링 볼트 조립,분해용 지그
JP6378434B2 (ja) 車体組立方法および車体組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