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1973U -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 Google Patents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1973U
KR20100001973U KR2020080010881U KR20080010881U KR20100001973U KR 20100001973 U KR20100001973 U KR 20100001973U KR 2020080010881 U KR2020080010881 U KR 2020080010881U KR 20080010881 U KR20080010881 U KR 20080010881U KR 20100001973 U KR20100001973 U KR 201000019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eavy
slide shelf
shelf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Priority to KR2020080010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1973U/ko
Publication of KR201000019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9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보관대(10)의 수납공간부 양측으로 고정되는 제1안내가이드(21)에 제2안내가이드,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에 슬라이드 선반(20)이 안내되어 출몰 작동하되,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는 축핀(45)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브라켓(42)을 설치하되, 상기 작동브라켓을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30) 일측 전방의 걸고리(37)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하므로서, 작동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또는 후방을 고정되게 지지하여 중량물 보관 및 인출과정의 사용 편리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중량물, 보관장치, 보관대, 슬라이드 선반, 다단계, 인출, 스톱퍼

Description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Stopper for device deposit of heavy load}
본 고안은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을 전방으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도록 사용하되, 작동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또는 후방을 고정되게 지지하여 중량물 보관 및 인출과정의 사용 편리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장 등에서는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이 작업자가 직접 들어 운반하기 무거운 중량물도 취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량물은 지게차나 운반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중량물은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취급함의 불편함 때문에 제조 공장의 일측에 별도 펼쳐진 상태로 관리, 보관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중량물을 별도의 수납 공간 등에 정리 보관하지 못함은 작업자가 무거운 중량물을 직접 들어 취급하기 곤란함은 물론 지게차나 운반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도 수납 공간에 보관 및 인출 사용함이 불편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제조 공장 등에서는 상기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관리함과 함께 간편하면서 인출 사용함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므로 지게차, 운반 트레이 등에 중량물을 간편하게 이동 사용하므로 사용편리성, 공간활용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작동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또는 후방을 고정되게 지지하여 중량물 보관 및 인출과정의 사용 편리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안내가이드와, 상기 제1안내가이드에서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제2안내가이드와, 상기 제2안내가이드에서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슬라이드 선반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를 구획 형성하여, 상기 중량물 보관부에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를 전후로 마련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안내가이드 중앙에는 상하로 가압된 엠보싱 돌기부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를 제1안내가이드의 중앙 위치까지 제한적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안내가이드 전방에는 작동브라켓을 좌우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 일측 전방의 걸고리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 및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작동부를 더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스톱작동부 작동브라켓은 제2안내가이드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절결홈을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 및 슬라이드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 후 선반 후단이 후퇴함을 방지하게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는 전방 중앙에 작동레버를 좌우 회전시켜 선반 전방의 걸고리에 삽입함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중량물의 전방 인출을 제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는 전후 이송로울러 전방에 이송로울러 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스톱로울러를 설치 구성하여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므로 지게차, 운반 트레이 등에 중량물을 간편하게 이동 사용 하므로 사용편리성, 공간활용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됨은 물론, 작동브라켓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또는 후방을 고정되게 지지하여 중량물 또는 중량물이 보관되는 선반을 고정 상태로 인출, 보관 작업하기 때문에 안전성 및 작업성을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중량물 보관장치는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에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도록 사용함에 그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수납공간부(12)를 갖는 보관대(10)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안내가이드(21)와,
상기 제1안내가이드의 내측 안내공간(21a)에서 안내로울러(25)에 의해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제2안내가이드(22)와,
상기 제2안내가이드의 내측 안내공간(22a)에서 안내로울러(26)에 의해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슬라이드 선반(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32)를 구획 형성하여,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에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35)를 전후로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에는 상하로 가압된 엠보싱 돌기부(21b)를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스톱 작동하면서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 위치까지 제한적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는 축핀(45)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브라켓(42)을 설치하되, 상기 작동브라켓을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30) 일측 전방의 걸고리(37)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작동부(40)가 구성된다.
상기 스톱작동부의 작동브라켓(42)은 하부 중앙에 제2안내가이드(22)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절결홈(43)을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인출 후 선반 후단이 후퇴함을 방지하게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브라켓(42)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90도 절곡 형성된 파지부(44)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에는 전방 중앙에 축핀(50)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레버(52)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선반 전방의 걸고리(38)에 삽입함에 의해 선반(30)에 보관된 중량물의 전방 인출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후 이송로울러(35) 전방에 상기 이송로울러(35) 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스톱로울러(60)를 설치 구성하여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보관대(10)에 형성된 다층의 수납공간부(12)에는 지게차,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을 전방으로 수평 인출하여 이동 가능한 높이까지만 슬라이드 선반(30)을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로서, 24는 제1,2안내 가이드 후단에 설치되는 완충패드, 70은 중량물을 담아 보관하는 보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에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1)을 보관하면서 효과적으로 인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관대(10)의 다층 수납공간부(12)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선반(30) 상에 좌우로 구획 형성된 보관부(32)에 중량물(1)이 직접 또는 별도의 보관함(70) 등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상기 보관대(10)에 형성된 다층의 수납공간부(12)에는 하부 위치, 즉 지게차,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을 전방으로 수평 인출하여 이동 가능한 높이 까지만 슬라이드 선반(30)을 설치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수납공간부(12)에 보관된 중량물을 인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서 스톱작동부의 작동브라켓(42)을 슬라이드 선반의 걸고리(37)에 걸려진 상태에서 축핀(45)을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회전 개방시켜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을 따라 슬라이드 선반(30)과 함께 제2안내가이드(22)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안내공간(21a)을 따라 안내되어 인출되되,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안내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엠보싱 돌기부(21b)에 걸려 스톱 작동하기까지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안내가이드(22)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 위치까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2안내가이드의 안내공간(22a)을 따라 슬라이드 선반(30)의 안내로울러(26)가 안내되어 전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에 의해 다단계에 걸쳐 전방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중량물이 전방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한 상태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에는 작동레버(52)가 걸고리(38)에 삽입되어 돌출 지지되므로 선반 내부에 보관되는 중량물(1)이 전방으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다단계 인출하면, 상기 작동브라켓(42)을 축핀(4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되, 절결홈(43)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의 삽입되어 간섭을 배제하면서 회전하여 슬라이드 선반(30)이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도록 배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위치로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을 수평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중앙에 작동레버(52)를 축핀(5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걸고리(38)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해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드 선반의 구획 형성된 중량물 보관부(32)에 보관되는 중량물(1)은 그 선단이 전방으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중량물의 전방 위치에 중량물을 지지하는 이송로울러(35)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된 스톱로울러(60)가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중량물(1)을 외측으로 밀어 인출하면, 상기 중량물(1)은 전방의 스톱로울러(60)를 구름 작동으로 넘어섬과 동시에 양측에 전후로 다수 설치된 전후 이송로울러(35)에 의해 중량물(1)을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는 중량물(1)은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에 간편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1)을 운반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량물(1)을 인출 사용한 후 다시 보관대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중량물 인출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을 단계로 인출한 후,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이 후방으로 휴동됨을 작 동브라켓(42)에 의해 지지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위치에 중량물(1)이 운반된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을 수평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중량물(1)을 인출시와 역방향으로 밀어 선반의 중량물 보관부(32)에 중량물(1)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의 양측에 전후로 다수 설치된 전후 이송로울러(35)에 의해 중량물(1)을 간편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량물을 슬라이드 선반(30)의 보관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에서 작동레버(52)를 걸이구(38)에 삽입하여 잠금 작동한 후,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작동 브라켓(42)을 원위치 회전시켜 지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과 함께 제2안내가이드(22)을 후방으로 인출시와 역으로 밀어 원위치시키므로 상기 중량물을 보관함(10)의 보관공간부(12)내로 위치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10)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30)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면서 중량물을 간편하게 보관, 인출 사용하게 됨은 물론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 보관되는 중량물 또는 중량물이 보관되는 선반을 고정 상태로 보관, 인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 편리성, 공간활용성, 안전성 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선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안내가이드가 결합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스톱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안내가이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관대 12: 수납공간부
21,22: 안내가이드 21a,22a: 안내공간
25,26: 안내로울러 30: 슬라이드 선반
32: 중량물 보관부 35: 이송로울러
21b: 엠보싱 돌기부 40: 스톱작동부
42: 작동브라켓 45: 축핀
37,38: 걸고리 43: 절결홈
50: 축핀 52: 레버
60: 스톱로울러

Claims (2)

  1. 보관대(10)의 수납공간부 양측으로 고정되는 제1안내가이드(21)에 제2안내가이드,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에 슬라이드 선반(20)이 안내되어 출몰 작동하되,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는 축핀(45)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브라켓(42)을 설치하되, 상기 작동브라켓을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30) 일측 전방의 걸고리(37)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고,
    상기 작동브라켓(42)은 하부 중앙에 제2안내가이드(22)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절결홈(43)을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인출 후 선반 후단이 후퇴함을 방지하게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톱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브라켓(42)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파지부(4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톱퍼.
KR2020080010881U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KR201000019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1U KR20100001973U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1U KR20100001973U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73U true KR20100001973U (ko) 2010-02-24

Family

ID=4419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881U KR20100001973U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197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578A (ko) * 2014-05-22 2015-12-0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578A (ko) * 2014-05-22 2015-12-0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파이프 연결장치용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568B1 (ko) 중량물 보관장치
KR101935990B1 (ko) 철판 적재타워
US10106293B2 (en) Pallet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rticles
JPS62255302A (ja) 重力式貯蔵装置
US7770903B2 (en) Drawer type storage cart
KR101043703B1 (ko) 슬라이드 인출 식 선반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
US20110266078A1 (en) Order picking cart for stock chaser vehicle
US11008202B2 (en) Cart transport vessel
KR200449091Y1 (ko)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KR20100001973U (ko)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CN207903265U (zh) 一种防止托盘掉落的装置
KR200483669Y1 (ko) 회전식 선반
JP5712837B2 (ja) 自動倉庫
KR200441019Y1 (ko) 서랍형 수납장
KR20050043117A (ko) 금형 보관대
KR101561653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 장치
JP5466444B2 (ja) コンテナ入出庫装置
KR20110090075A (ko) 테이블 리프트
JPS6048803A (ja) 立体収納庫の棚体出入装置
JP2954457B2 (ja) 荷移載装置
KR20150124059A (ko) 스태커 크레인의 로딩장치
KR102038824B1 (ko) 수납함이 구비된 유리 이송용 파렛트
KR101247887B1 (ko) 보관물 출입이 용이한 무빙랙 드로우 시스템
CN104305734B (zh) 一种储物柜
KR101400272B1 (ko) 적입 작업용 진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