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091Y1 -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091Y1
KR200449091Y1 KR2020080010880U KR20080010880U KR200449091Y1 KR 200449091 Y1 KR200449091 Y1 KR 200449091Y1 KR 2020080010880 U KR2020080010880 U KR 2020080010880U KR 20080010880 U KR20080010880 U KR 20080010880U KR 200449091 Y1 KR200449091 Y1 KR 200449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eavy
shelf
slide
slide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972U (ko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에프. 에이
Priority to KR2020080010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09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0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로울러(26)에 의해 전후 안내 이동하게 설치 사용하도록 슬라이드 선반(30)을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32)를 구획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의 각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35)를 전후로 마련하므로서,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함과 중량물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간편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중량물, 보관, 선반장치, 슬라이드 선반, 다단계, 인출

Description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Deposit shelf device of heavy load}
본 고안은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는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설치 사용하되, 중량물을 전후 슬라이드 인출함과 중량물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간편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장 등에서는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이 작업자가 직접 들어 운반하기 무거운 중량물도 취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량물은 지게차나 운반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중량물은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취급함의 불편함 때문에 제조 공장의 일측에 별도 펼쳐진 상태로 관리, 보관하기 때문에 작업 환경이 저하됨은 물론 작업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중량물을 별도의 수납 공간 등에 정리 보관하지 못함은 작업자가 무거운 중량물을 직접 들어 취급하기 곤란함은 물론 지게차나 운반 트레이 등을 이용하여도 수납 공간에 보관 및 인출 사용함이 불편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제조 공장 등에서는 상기 중량물을 효과적으로 보관, 관리함과 함께 간편하면서 인출 사용함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므로 지게차, 운반 트레이 등에 중량물을 간편하게 이동 사용하므로 사용편리성, 공간활용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 선반에서 중량물을 전후 슬라이드 인출함과 중량물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간편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안내가이드와, 상기 제1안내가이드에서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제2안내가이드와, 상기 제2안내가이드에서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슬라이드 선반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를 구획 형성하여, 상기 중량물 보관부에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를 전후로 마련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안내가이드 중앙에는 상하로 가압된 엠보싱 돌기부에 의 해 제2안내가이드를 제1안내가이드의 중앙 위치까지 제한적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제1안내가이드 전방에는 작동브라켓을 좌우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 일측 전방의 걸고리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 및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작동부를 더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스톱작동부 작동브라켓은 제2안내가이드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절결홈을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 및 슬라이드 선반을 전방으로 인출 후 선반 후단이 후퇴함을 방지하게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는 전방 중앙에 작동레버를 좌우 회전시켜 선반 전방의 걸고리에 삽입함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중량물의 전방 인출을 제한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는 전후 이송로울러 전방에 이송로울러 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스톱로울러를 설치 구성하여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므로 지게차, 운반 트레이 등에 중량물을 간편하게 이동 사용하므로 사용편리성, 공간활용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됨은 물론, 상기 슬라이드 선 반에 보관되는 중량물을 전후 슬라이드 인출함과 중량물을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간편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중량물 보관장치는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에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도록 사용함에 그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수납공간부(12)를 갖는 보관대(10)와,
상기 수납공간부의 양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제1안내가이드(21)와,
상기 제1안내가이드의 내측 안내공간(21a)에서 안내로울러(25)에 의해 전후 출몰하도록 안내되는 제2안내가이드(22)와,
상기 제2안내가이드의 내측 안내공간(22a)에서 안내로울러(26)에 의해 전후 출몰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획된 슬라이드 선반(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32)를 구획 형성하여,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에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35)를 전후로 마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에는 상하로 가압된 엠보싱 돌기부(21b)를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스톱 작동하면서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 위치까지 제한적으로 슬라이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는 축핀(45)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브라켓(42)을 설치하되, 상기 작동브라켓을 회전시켜 슬라이드 선반(30) 일측 전방의 걸고리(37)에 삽입함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출몰 작동을 제한하는 스톱작동부(40)가 구성된다.
상기 스톱작동부의 작동브라켓(42)은 하부 중앙에 제2안내가이드(22)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절결홈(43)을 형성하여 제2안내가이드(22) 및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인출 후 선반 후단이 후퇴함을 방지하게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브라켓(42)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90도 절곡 형성된 파지부(44)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에는 전방 중앙에 축핀(50)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레버(52)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선반 전방의 레버걸고리(38)에 삽입함에 의해 선반(30)에 보관된 중량물의 전방 인출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좌우측에 전후로 형성된 전후 이송로울러(35)의 전방에 상기 이송로울러(35) 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스톱로울러(60)를 설치 구성하여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보관대(10)에 형성된 다층의 수납공간부(12)에는 지게차,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을 전방으로 수평 인출하여 이동 가능한 높이까지만 슬라이드 선반(30)을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로서, 24는 제1,2안내 가이드 후단에 설치되는 완충패드, 70은 중량물을 담아 보관하는 보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장치는 다층의 수납공간부를 갖는 보관대에 공구박스나 금형 등과 같은 중량물(1)을 보관하면서 효과적으로 인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관대(10)의 다층 수납공간부(12)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선반(30) 상에 좌우로 구획 형성된 보관부(32)에 중량물(1)이 직접 또는 별도의 보관함(70) 등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이때 상기 보관대(10)에 형성된 다층의 수납공간부(12)에는 하부 위치, 즉 지게차,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을 전방으로 수평 인출하여 이동 가능한 높이 까지만 슬라이드 선반(30)을 설치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수납공간부(12)에 보관된 중량물을 인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1안내가이드(21)의 전방에서 스톱작동부의 작동브라켓(42)을 슬라이드 선반의 걸고리(37)에 걸려진 상태에서 축핀(45)을 중심으로 반대편으로 회전 개방시켜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의 지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안내가이드(21)을 따라 슬라이드 선반(30)과 함께 제2안내가이드(22)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안내공간(21a)을 따라 안내되어 인출되되, 상기 제2안내가이드(22)의 안내로울러(25)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안내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엠보싱 돌기부(21b)에 걸려 스톱 작동하기까지 전방으로 인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안내가이드(22)가 제1안내가이드(21)의 중앙 위치까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2안내가이드의 안내공간(22a)을 따라 슬라이드 선반(30)의 안내로울러(26)가 안내되어 전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에 의해 다단계에 걸쳐 전방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중량물이 전방으로 쏠림 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지지한 상태로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에는 작동레버(52)가 레버걸고리(38)에 삽입되어 돌출 지지되므로 선반 내부에 보관되는 중량물(1)이 전방으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선반(30)을 전방으로 다단계 인출하면, 상기 작동브라켓(42)을 축핀(4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되, 절결홈(43)에 의해 제2안내가이드(22)의 삽입되어 간섭을 배제하면서 회전하여 슬라이드 선반(30)이 후방으로 밀림을 방지하도록 배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위치로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을 수평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중앙에 작동레버(52)를 축핀(5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레버걸고리(38)에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 해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상기 슬라이드 선반의 구획 형성된 중량물 보관부(32)에 보관되는 중량물(1)은 그 선단이 전방으로 유동됨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중량물의 전방 위치에 중량물을 지지하는 이송로울러(35)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된 스톱로울러(60)가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중량물(1)을 외측으로 밀어 인출하면, 상기 중량물(1)은 전방의 스톱로울러(60)를 구름 작동으로 넘어섬과 동시에 양측에 전후로 다수 설치된 전후 이송로울러(35)에 의해 중량물(1)을 전방으로 간편하게 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인출되는 중량물(1)은 슬라이드 선반의 전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에 간편하게 옮겨 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에 의해 중량물(1)을 운반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중량물(1)을 인출 사용한 후 다시 보관대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중량물 인출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2안내가이드(22)와 슬라이드 선반(30)을 단계로 인출한 후,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이 후방으로 휴동됨을 작동브라켓(42)에 의해 지지하여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 위치에 중량물(1)이 운 반된 지게차나 이동 트레이 등을 수평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중량물(1)을 인출시와 역방향으로 밀어 선반의 중량물 보관부(32)에 중량물(1)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의 양측에 전후로 다수 설치된 전후 이송로울러(35)에 의해 중량물(1)을 간편하게 슬라이드 이동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량물을 슬라이드 선반(30)의 보관부에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방에서 작동레버(52)를 레버걸고리(38)에 삽입하여 잠금 작동한 후,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후방을 지지하는 작동 브라켓(42)을 원위치 회전시켜 지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과 함께 제2안내가이드(22)을 후방으로 인출시와 역으로 밀어 원위치시키므로 상기 중량물을 보관함(10)의 보관공간부(12)내로 위치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층 수납공간 구조의 보관대(10)에 중량물을 보관하되, 상기 중량물을 보관하는 슬라이드 선반(30)이 전방으로 다단계로 출몰함과 함께 중량물을 전후로 슬라이드 인출하면서 중량물을 간편하게 보관, 인출 사용하게 됨은 물론 상기 슬라이드 선반에 보관되는 중량물 또는 중량물이 보관되는 선반을 고정 상태로 보관, 인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 편리성, 공간활용성, 안전성 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슬라이드 선반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안내가이드가 결합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스톱작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안내가이드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관대 12: 수납공간부
21,22: 안내가이드 21a,22a: 안내공간
25,26: 안내로울러 30: 슬라이드 선반
32: 중량물 보관부 35: 이송로울러
21b: 엠보싱 돌기부 40: 스톱작동부
42: 작동브라켓 45: 축핀
37: 걸고리 38: 레버걸고리
43: 절결홈 50: 축핀
52: 레버 60: 스톱로울러
삭제
삭제

Claims (2)

  1. 중량물을 보관, 인출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로울러(26)에 의해 전후 안내 이동하게 설치 사용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구획된 슬라이드 선반(30)을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은 좌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량물 보관부(32)를 구획 형성하고, 상기 중량물 보관부(32)의 각 바닥 양측에 중량물을 전후로 인출하도록 다수의 전후 이송로울러(35)를 전후로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의 전후 이송로울러(35) 전방에는 상기 이송로울러(35) 보다 직경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스톱로울러(60)를 설치 구성하여 중량물의 선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선반(30)에는 전방 중앙에 축핀(50)으로 좌우 회전 가능케 축설된 작동레버(52)를 설치하되,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선반 전방의 레버걸고리(38)에 삽입함에 의해 선반(30)에 보관되는 중량물의 전방 인출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KR2020080010880U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KR200449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0U KR200449091Y1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880U KR200449091Y1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72U KR20100001972U (ko) 2010-02-24
KR200449091Y1 true KR200449091Y1 (ko) 2010-06-17

Family

ID=441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880U KR200449091Y1 (ko) 2008-08-14 2008-08-14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0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501A (zh) * 2016-11-29 2017-05-10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防错托盘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159Y1 (ko) 2005-05-09 2005-08-19 주식회사 롯데기공 슬라이딩 선반이 구비된 개방형 쇼케이스
JP2007203405A (ja) 2006-02-01 2007-08-16 Murata Mach Ltd セル生産用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159Y1 (ko) 2005-05-09 2005-08-19 주식회사 롯데기공 슬라이딩 선반이 구비된 개방형 쇼케이스
JP2007203405A (ja) 2006-02-01 2007-08-16 Murata Mach Ltd セル生産用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8501A (zh) * 2016-11-29 2017-05-10 无锡特恒科技有限公司 防错托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972U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568B1 (ko) 중량물 보관장치
EP1075439B1 (de) Kommissionieranlage
US10106293B2 (en) Pallet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rticles
KR101935990B1 (ko) 철판 적재타워
JPS62255302A (ja) 重力式貯蔵装置
JP5383643B2 (ja) 収納棚
CN106005860A (zh) 一种快速自动存取货物的堆垛机
US7770903B2 (en) Drawer type storage cart
KR20200029205A (ko) 수납선반 슬라이드장치
KR101043703B1 (ko) 슬라이드 인출 식 선반을 구비한 물품 보관대
KR200449091Y1 (ko) 중량물 보관용 선반장치
US20110266078A1 (en) Order picking cart for stock chaser vehicle
US3220790A (en) Convertible cabinet structure
KR20100001973U (ko) 중량물 보관장치용 스토퍼
EP3094576B1 (de) System aus regaleinrichtung und korrespondierem teleskopierbarem lastaufnahmemittel ohne breitenverstellung
KR200483669Y1 (ko) 회전식 선반
CN207903265U (zh) 一种防止托盘掉落的装置
KR20050043117A (ko) 금형 보관대
JP2013023331A (ja) 自動倉庫
KR101561653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 장치
JP3169409U (ja) 荷役運搬車両における荷台スライド装置
JP2954457B2 (ja) 荷移載装置
KR101598842B1 (ko)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KR101247887B1 (ko) 보관물 출입이 용이한 무빙랙 드로우 시스템
JP2011020796A (ja) コンテナ入出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