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222A - 화장 시트 및 화장재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및 화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222A
KR20230016222A KR1020227045642A KR20227045642A KR20230016222A KR 20230016222 A KR20230016222 A KR 20230016222A KR 1020227045642 A KR1020227045642 A KR 1020227045642A KR 20227045642 A KR20227045642 A KR 20227045642A KR 20230016222 A KR20230016222 A KR 2023001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rotective
protective layer
decorative sheet
layer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오리하라
고이치 사가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1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the layer being formed of fibres, chips, or particles, e.g. MDF, HDF, OSB, chipboard, particle board, h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32B2264/1051Silver or g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4Inert, i.e. inert to chemical degradation, corrosion
    • B32B2307/7145Rot proof, resistant to bacteria, mildew, mould, fung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높은 내흠집성을 구비하고, 또한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제공한다. 기재 시트와, 접착제층과, 표면 보호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은, 조핵제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에 대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은,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다.

Description

화장 시트 및 화장재
본 개시는, 화장 시트 및 화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염화비닐제의 화장 시트를 대신하는 화장 시트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화장 시트가 많이 제안되어 있지만, 내찰상성이 나쁘고, 종래의 폴리염화비닐 시트에 뒤떨어진 것이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88941호 공보
근년, 항바이러스 성능의 수요가 높아지고, 항바이러스 제품의 개발이 급선무가 되고 있다. 그러나, 화장 시트가 마모하거나 흠집이 생기거나 함으로써, 최표면이 닳아서 줄어들고, 항바이러스성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바닥용 화장 시트에 있어서, 구두나 힐 등을 상정한 토족 용도의 바닥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흠집 성능 등이 떨어지고, 바닥용 화장재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쉽고, 항바이러스제를 첨가한 최표면이 닳아서 줄어든 것이 눈에 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높은 내흠집성을 구비하고, 또한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화장 시트는, 기재 시트와, 접착제층과, 표면 보호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은, 조핵제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에 대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은,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화장 시트라면, 높은 내흠집성을 구비하고, 또한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화장 시트 및 화장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는 구성은 모식적인 것이고,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르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등이 하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화장 시트의 구성)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는, 기재 시트(11)의 한쪽 면측에,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및 표면 보호층(14)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하, 각 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재 시트)
기재 시트(11)는, 화장 시트(10)의 기재가 되는 층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재 시트(11)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금속 중화물(아이오노머)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수지, 6-나일론, 6,6-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 등 혹은 그것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공중합체, 복합체,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 시트(11)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다수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었지만, 근년의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고조를 감안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염소(할로겐)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비할로겐계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종 물성이나, 가공성, 범용성, 경제성 등의 면에서는, 비할로겐계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비정질 또는 2축 연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이미 열거한 많은 종류로부터, 화장 시트(10)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특히, 일반적인 용도에 가장 적합한 것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즉,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또는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단독 또는 적절히 배합하거나, 그것들에 또한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적절히 배합한 수지 등을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갖고, 또한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부텐-1,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코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15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유연화에 사용되고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등의 개질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11)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착색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활제, 난연제, 항균제, 방미제, 감마제, 광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기재 시트(11)의 두께는, 160㎛ 이상 22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80㎛ 이상 1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 시트(11)의 두께가 160㎛ 이상인 경우, 하지가 되는 바닥재의 요철이나 단차 등을 흡수하여 화장 시트(10)의 시공 마무리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시트(11)의 두께가 190㎛ 이하인 경우, 기재 시트(11)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일이 없고, 화장 시트(10)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착색 무늬층)
착색 무늬층(12)은, 기재 시트(11) 상에 형성되고,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늬를 부가하기 위한 층이고, 필요에 따라서 마련된다. 착색 무늬층(12)은, 기재 시트(11)의 착색으로 대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도 가능하다. 착색 무늬층(12)은, 염료 또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적당한 바인더 수지와 함께 적당한 희석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이루어지는 인쇄 잉크 또는 도료 등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인쇄 잉크 또는 도료 등은,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법 또는 오프셋 인쇄법 등의 각종 인쇄법이나, 그라비아 코팅법 또는 롤 코팅법 등의 각종 도공법 등에 의해 도포된다. 또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질화면 등, 혹은 그것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물론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무늬로서는, 임의의 무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나무결 무늬, 돌결 무늬, 옷감결 무늬, 추상 무늬, 기하학 모양, 문자, 기호, 단색 무지 등, 혹은 그것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10)의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착색 무늬층(12)과 기재 시트(11)의 층간에, 이산화티타늄이나 산화철 등의 불투명 안료를 많이 포함하는 불투명한 인쇄 잉크나 도료에 의한 은폐층을 마련해도 된다.
착색 무늬층(12)의 두께는, 3㎛ 이상 2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 무늬층(12)의 두께가 3㎛ 이상인 경우, 인쇄를 명료하게 할 수 있다. 착색 무늬층(12)의 두께가 20㎛ 이하인 경우, 화장 시트(10)를 제조할 때의 인쇄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색 무늬층(12)에는,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체질 안료, 가소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점착 부여제, 접착 보조제, 건조제, 경화제, 경화 촉진제 및 경화 지연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착색 무늬층(12)은, 예를 들어 화장 시트(10)를 부착할 수 있는 하지의 색·모양을 은폐하기 위하여 전부 칠해진 착색층과 의장성을 부여하기 위한 무늬를 부가하기 위한 무늬 모양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접착제층)
접착제층(13)은, 착색 무늬층(12) 상에 형성되고, 기재 시트(11)와 표면 보호층(14)을 접착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마련되는 층이다. 접착제층(13)은, 다른 층이 갖는 접착성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생략도 가능하다. 접착제층(13)은, 접착제층(13)에 사용하는 접착제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의 주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에테르폴리올 등,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
표면 보호층(14)은, 접착제층(13) 상에 형성되는 층이고, 화장 시트(10)에 내후성, 내흠집성, 내오염성, 의장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련된 층이다.
표면 보호층(14)의 재료로서는, 내찰상성·내후성·내구성을 고려하면,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내흠집성으로서는, 표면 보호층(14)은, JIS K 5600에 준한 연필 경도 시험의 경도가 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반응하는 성질을 갖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등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프리폴리머, 올리고머 및 모노머의 적어도 어느 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선,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에는,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제나 증감제 등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프리폴리머나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 모노머나,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의 2관능 모노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을 주제로 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한 반응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폴리올 화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아크릴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통상의 아크릴계 모노머에,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등의 수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와, 필요에 따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디비닐벤젠, 아세트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버사트산비닐, 에틸비닐에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공중합 가능한 중합성 모노머를 배합하여,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의 고분자 화합물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N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 첨가 MDI), 수소 첨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수소 첨가 X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후성·황변성·생산성을 고려하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3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HDI를 원료로 하는 이소시아누레이트형, 즉, HDI의 유도체인 HDI 이소시아누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프리폴리머의 측쇄로서는, 예를 들어 표면 보호층(14)에 유연성에 대한 부여를 고려하면, 우레탄 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14)은,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광안정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포착제, 착색제, 광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14)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재료를 도액화한 것을,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팅,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나이프 코팅, 다이 코팅 등 통상의 방법으로 도포한 후, 열경화나 자외선 경화 등 재료에 적합한 방법으로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호층(14)을 형성한다.
또한, 표면 보호층(14)은,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다. 계면 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 활성제가 첨가되어 있음으로써, 은계 항바이러스제와 표면 보호층의 바인더 중의 상용성이 양호해지고, 도공 중의 항바이러스제의 침전 등에 의한 농도의 변동이 억제된 화장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14)의 층 두께는, 3㎛ 이상 15㎛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층(14)의 두께가 3㎛ 이상이면, 내흠집성이 향상된다. 표면 보호층(14)의 두께가 15㎛ 이하이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
표면 보호층(14)은, 항바이러스성을 향상시키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는, 은계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제로서는, 무기 화합물의 제올라이트, 아파타이트, 지르코니아 등의 물질에 은 이온, 구리 이온, 아연 이온의 어느 것의 금속 이온을 도입하여 형성한 항균성 제올라이트, 항균성 아파타이트, 항균성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계 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항바이러스제로서 징크 피리치온, 2-(4-티아졸릴)-벤즈이미다졸, 10,10-옥시비스페녹사노진, 유기 질소황산할로겐계, 피리딘-2-티올-옥시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항바이러스 효과의 점에서 은계 항바이러스제가 우수하다.
또한, 항바이러스제는 은계 재료가 무기 재료에 담지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표면 보호층(14)에 있어서의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은,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인 경우, 항바이러스제가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항바이러스성이 향상된다.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이 10질량부 이하인 경우, 내흠집성이 향상된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은, 표면 보호층(14)의 두께의 0.5배 이상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을 φ,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D로 했을 때에, 0.5≤φ≤2D의 관계가 성립한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이 표면 보호층(14)의 0.5배 이상 2배 이하인 경우, 항바이러스제와의 접촉 면적 확대 및 항바이러스제 자체의 표면적 확대에 의해 항바이러스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은, 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이 1㎛ 이상인 경우, 표면 보호층(14)과 항바이러스제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고, 항바이러스성이 양호해진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이 10㎛ 이하인 경우, 내흠집성이 향상된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입경 피크는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항바이러스제의 입경 피크는, 1㎛ 이상 5㎛ 이하의 범위인 제1 피크와, 5㎛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제2 피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2 피크는, 제1 피크보다 큰 값으로 한다.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피크는 복수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항바이러스제의 충전 밀도가 보다 향상되고, 항바이러스제를 보다 많이 첨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바이러스제와의 접촉 면적이 확대되고, 항바이러스 자체의 표면적도 확대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이 향상된다.
표면 보호층(14)은, 수지 재료의 결정화도를 향상시키는 조핵제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핵제는, 외막에서 포함되어 베시클화된 조핵제 베시클의 상태에서 수지 재료에 첨가되어 있다.
〔조핵제〕
표면 보호층(14)은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를 포함하고 있다.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의 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첨가되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 보호층(14)을 구성하는 수지 중의 조핵제는, 당해 조핵제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베시클에 내포되어 있어도 된다. 표면 보호층(14)은 조핵제를 포함하기 위하여 결정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화장 시트(10)의 내찰상성(내흠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는, 평균 입경이 가시광의 파장 영역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의 파장 영역이 400nm 이상 750nm 이하이므로, 평균 입경이 37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는, 입경이 매우 작기 때문에, 단위 체적당에 존재하는 조핵제의 수와 표면적이 입자 직경의 3승에 반비례하여 증가한다. 그 결과, 각 조핵제 입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수지에 첨가된 하나의 조핵제 입자의 표면으로부터 결정 성장이 발생했을 때에, 결정이 성장하고 있는 단부가 즉시, 하나의 조핵제 입자에 인접하는 다른 조핵제 입자의 표면으로부터 성장하고 있는 결정의 단부와 접촉하고, 서로의 결정 단부가 성장을 저해하여 각 결정의 성장이 멈춘다. 그 때문에, 결정성 수지의 결정부에 있어서의, 구정의 평균 입경을 작게, 예를 들어 구정 사이즈를 작게 해서 1㎛ 이하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결정화도가 높은 고경도의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굽힘 가공 시에 발생하는 구정 간의 응력 집중이 효율적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굽힘 가공 시의 갈라짐이나 백화를 억제한 수지 필름을 실현할 수 있다.
조핵제를 단순 첨가한 경우, 수지 중의 조핵제가 2차 응집함으로써 입경이 커진다. 한편, 조핵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경우, 수지 중에 있어서의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조핵제를 단순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첨가한 조핵제량에 대한 결정핵의 수가 대폭으로 증가한다. 이 때문에, 수지의 결정부에 있어서의 구정의 평균 입경이 작아지고, 굽힘 가공 시의 갈라짐이나 백화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조핵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결정화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탄성률 향상과 가공성을 보다 양립 가능하게 된다.
표면 보호층(14)은, 예를 들어 주성분으로서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질량부 이상 0.5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부 이상 0.3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조핵제가 첨가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조핵제 베시클을 사용하는 경우, 수지 재료에 대한 조핵제의 첨가량은, 조핵제 베시클 중의 조핵제로 환산한 첨가량이다. 조핵제의 첨가량이 0.05질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고, 표면 보호층(14)의 내흠집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조핵제의 첨가량이 0.5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결정핵이 과다하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의 구정 성장이 반대로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도가 충분히 향상되지 않고, 표면 보호층(14)의 내흠집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표면 보호층(14)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50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수지 재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조핵제를 나노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조핵제에 대하여 주로 기계적인 분쇄를 행하여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얻는 고상법, 조핵제나 조핵제를 용해시킨 용액 중에서 나노 사이즈의 입자의 합성이나 결정화를 행하는 액상법, 조핵제나 조핵제를 포함하는 가스·증기로부터 나노 사이즈의 입자의 합성이나 결정화를 행하는 기상법 등의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고상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볼 밀, 비즈 밀, 로드밀, 콜로이드 밀, 코니컬 밀, 디스크 밀, 해머 밀, 제트 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상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정석법, 공침법, 졸겔법, 액상 환원법, 수열 합성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상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기로법, 화학 염법, 레이저법, 열 플라즈마법 등을 들 수 있다.
조핵제를 나노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 바람직하다.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란, 초임계 상태 또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또는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대상 물질을 내포한 캡슐(나노 사이즈의 베시클)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30.98℃) 및 임계 압력(7.3773±0.0030MPa) 이상의 초임계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하고,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또는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란, 온도만 또는 압력만이 임계 조건을 초과한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또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한 구체적인 나노화 처리로서는, 먼저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외막 형성 물질로서의 인지질과 내포 물질로서의 조핵제와의 혼합 유체 중에 수상을 주입하고, 교반함으로써,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수상의 에멀션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감압함으로써, 이산화탄소가 팽창·증발하여 전상이 발생하고, 인지질이 조핵제 입자의 표면을 단층막으로 덮은 나노 캡슐(나노 베시클)을 생성시킨다. 이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함으로써, 조핵제 입자 표면에서 외막이 다중 막이 되는 종래의 캡슐화 방법과는 달리, 용이하게 단층막의 캡슐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소경의 캡슐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조핵제 베시클은, 예를 들어 Bangham법, 익스트루전법, 수화법, 계면 활성제 투석법, 역상 증발법, 동결 융해법, 초임계 역상 증발법 등에 의해 조제된다. 조핵제 베시클은, 그 중에서도 특히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여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핵제 베시클을 구성하는 외막은 예를 들어 단층막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 외막은, 예를 들어 인지질 등의 생체 지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외막이 인지질과 같은 생체 지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조핵제 베시클을, 조핵제 리포솜이라고 칭한다.
외막을 구성하는 인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호스파치진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르디오핀, 황란 레시틴, 수소 첨가 황란 레시틴,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등의 글리세로 인지질,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포스포릴에탄올아민, 세라마이드포스포릴글리세롤 등의 스핑고인지질을 들 수 있다.
베시클의 외막이 되는 그 밖의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나, 이것과 콜레스테롤류 또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혼합물 등의 분산제를 들 수 있다. 이 중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에테르, 디알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부타디엔-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폴리(2-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에틸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카프로락탐 공중합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류로서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α-콜레스탄올, β-콜레스탄올, 콜레스탄, 데스모스테롤(5,24-콜레스타디엔-3β-올), 콜산나트륨 또는 콜레칼시페롤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리포솜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에 있어서는, 조핵제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한 라디칼 포착제 리포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막을 인지질로 구성함으로써, 화장 시트(10)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와 베시클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조핵제로서는, 수지가 결정화할 때에 결정화의 기점이 되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핵제로서는, 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벤조산 금속염, 피멜산 금속염, 로진 금속염, 벤질리덴 소르비톨, 퀴나크리돈, 올레산나트륨, 시아닌 블루 및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올레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나노화 처리의 효과를 최대한으로 얻기 위해, 비용융형으로 양호한 투명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인산에스테르 금속염, 벤조산 금속염, 피멜산 금속염, 로진 금속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나노화 처리에 의해 재료 자체의 투명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유색의 퀴나크리돈, 시아닌 블루, 탈크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용융형의 조핵제에 대하여 용융형의 벤질리덴 소르비톨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게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는,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 및 조핵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높은 항바이러스성과 높은 내흠집성의 양립을 실현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0)는, 표면 보호층(14)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항바이러스제를 0.2질량부 이상 포함함으로써 항바이러스 효과가 향상됨과 함께, 항바이러스제를 10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고내흠집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화장 시트의 구성)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2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화장 시트(20)는, 기재 시트(11)의 한쪽 면측에,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열가소성 수지층(25) 및 표면 보호층(14)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화장 시트(20)는, 열가소성 수지층(25)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와 상이하다. 또한, 화장 시트(20)는, 적어도 표면 보호층(14)에 항바이러스제가 포함되어 있고, 표면 보호층(14) 또는 열가소성 수지층(25)의 적어도 한쪽에 조핵제를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와 상이하다.
이하, 열가소성 수지층(2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25) 이외의 각 층(기재 시트(11),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및 표면 보호층(14))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10)의 각 층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열가소성 수지층)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층(25)은, 접착제층(13)과 표면 보호층(14) 사이에 형성된 층이다.
열가소성 수지층(25)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 이상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상 9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층(25)의 두께가 70㎛ 이상인 경우, 구두 굽이나 작은 돌 등에 대한 열가소성 수지층(25)의 내흠집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25)의 두께가 110㎛ 이하인 경우, 화장 시트(10)의 굽힘성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높아지지 않고, 화장 시트(10)를 첩부하는 바닥재가 평면이 아닌 경우에도 바닥재에 대하여 밀착한 상태에서 시공할 수 있다.
〔수지 재료〕
열가소성 수지층(25)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 시트(11)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 금속 중화물(아이오노머) 등의 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수지, 6-나일론, 6,6-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수지 등 또는 그것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공중합체, 복합체, 적층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가소성 수지층(25)에 사용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다수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었지만, 근년의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고조를 감안하면,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염소(할로겐)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비할로겐계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종 물성이나, 가공성, 범용성, 경제성 등의 면에서는, 비할로겐계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비정질 또는 2축 연신)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이미 열거한 많은 종류로부터, 화장 시트(10)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특히, 일반적인 용도에 가장 적합한 것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즉,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또는 공중합체이다. 예를 들어,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을 단독 또는 적절히 배합하거나, 그것들에 또한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을 적절히 배합한 수지 등을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프로필렌 이외의 올레핀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결정부를 갖고, 또한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20의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부텐-1,4-메틸펜텐-1, 헥센-1 또는 옥텐-1의 코모노머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15몰% 이상 함유하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통상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유연화에 사용되고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등의 개질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25)에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착색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활제, 난연제, 항균제, 방미제, 감마제, 광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25)은, 화장 시트(10)의 표면(상면)으로부터 무늬층(2)의 무늬를 투시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무색 투명, 유색 투명, 반투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25)은, 표면 보호층(14)과 마찬가지로, 항바이러스성을 향상시키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14)에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함으로써, 화장 시트의 최표면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층(25) 및 표면 보호층(14)의 양쪽에 항바이러스제가 포함됨으로써, 표면 보호층(14)의 마모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층(25)이 노출되어도 항바이러스성을 갖는다. 이것으로부터, 표면 보호층(14) 및 열가소성 수지층(25)의 양쪽에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10)의 표면 보호층(14)에 포함되는 항바이러스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층(14) 또는 열가소성 수지층(25)의 적어도 한쪽은, 조핵제를 포함한다. 표면 보호층(14)에 조핵제를 포함함으로써, 내흠집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중보행 시에 있어서의 구두 굽이나 작은 돌에 의한 흠집의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25)에 조핵제를 포함함으로써, 표면 보호층(14)이 닳아서 줄어들고, 열가소성 수지층(25)이 표면에 노출되어도, 화장 시트 전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14) 및 열가소성 수지층(25)의 양쪽에 조핵제를 포함함으로써, 바닥재 성능으로서 필요한 내흠집성, 내충격성, 내캐스터성 등이 향상된다. 이것으로부터, 표면 보호층(14) 및 열가소성 수지층(25)의 양쪽에 조핵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조핵제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10)의 표면 보호층(14)에 포함되는 조핵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20)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20)는, 열가소성 수지층(25)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화장 시트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화장 시트의 구성)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에 대해서,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3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화장 시트(30)는, 기재 시트(11)의 한쪽 면측에,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열가소성 수지층(35) 및 표면 보호층(34)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즉, 화장 시트(20)는, 표면 보호층(14) 대신에 표면 보호층(34)을 구비하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35)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와 상이하다. 또한, 화장 시트(30)는, 표면 보호층(34) 또는 열가소성 수지층(35)이, 조핵제 대신에 나노 입자를 갖는 점에서, 화장 시트(10)와 상이하다.
이하, 표면 보호층(34) 및 열가소성 수지층(35)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표면 보호층(34) 및 열가소성 수지층(35) 이외의 각 층(기재 시트(11), 착색 무늬층(12) 및 접착제층(13))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10)의 각 층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나노 사이즈의 실리카, 유리,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표면 보호층(34)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 100질량부에 대하여 0.1질량부 이상 30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에서 무기 입자가 첨가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무기 입자의 첨가량이 0.1질량부 이상인 경우, 내찰상성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무기 입자의 첨가량이 30질량부 이하인 경우, 투명성의 악화를 방지하고, 재료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보호층(34) 또는 열가소성 수지층(35)의 적어도 한쪽은, 무기 재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화장 시트(30)의 강도가 향상된다.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30)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제4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40)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화장재)
화장재(40)는, 기재 시트(11)의 한쪽 면측에,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및 표면 보호층(14)이 이 순으로 적층되어 있고, 기재 시트(11)의 다른 쪽 면측에,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가 마련되어 있다.
즉, 화장재(40)는,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0)와 상이하다.
이하,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 이외의 각 층(기재 시트(11), 착색 무늬층(12), 접착제층(13) 및 표면 보호층(14))에 대해서는, 화장 시트(10)의 각 층과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프라이머층)
프라이머층(46)은, 화장 시트(10)의 착색 무늬층(12)과는 반대의 면측에 마련되는 기판과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판이 목질계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착제로서, 아세트산비닐 에멀션계, 2액 경화형 우레탄계 등의 접착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프라이머층(46)은, 이들의 접착제에 맞춘 수지 설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우레탄계, 아크릴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에 의한 2액 경화형 우레탄계의 프라이머제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실리카나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의 무기질 분말을 첨가하면, 권취 보존 시의 블로킹의 방지나 투묘 효과에 의한 접착력의 향상에 유효하다.
(기재)
기재(47)로서는, 목질 기재 또는 금속 기재를 사용 할 수 있다. 목질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목재 단판, 목재 합판, 집성재, 파티클 보드, 중밀도 섬유판, 경질 섬유판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47)를 형성함으로써, 중보행 시에 있어서의 구두 굽이나 작은 돌에 의한 흠집의 발생을 억제 가능한 화장 시트(4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장 시트(10)에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가 접합되어 있지만, 화장 시트(10) 대신에 화장 시트(20) 또는 화장 시트(30)를 사용하여 화장재를 형성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40)는,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재(40)는, 프라이머층(46) 및 기재(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보행 시에 있어서의 구두 굽이나 작은 돌에 의한 흠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기재로서, 착색된 폴리에틸렌 수지(PE)의 시트를 준비하였다. 기재의 두께는 55㎛로 하였다. 계속해서, 기재의 한쪽 면(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기재의 표면에, 우레탄계 인쇄 잉크를 도포하여 무늬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형성한 무늬층의 표면에, 우레탄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형성한 접착제층의 표면에, 폴리프로필렌(PP)의 필름을 마련하여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열가소성 수지층의 두께는 100㎛로 하였다. 이하에,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베시클화한 조핵제를 첨가한 열가소성 수지층의 수지 조성물의 상세한 조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한 조핵제의 베시클화 처리 방법은, 메탄올 100중량부, 조핵제로서의 인산에스테르 금속염계 조핵제(아데카스탭 NA-11, ADEKA사제) 82중량부, 베시클의 외막을 구성하는 물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어서 밀폐하고, 압력이 20MPa가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 상태로 한 후,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이온 교환수를 100중량부 주입한다. 용기 내의 온도 및 압력을 초임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15분간 교반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베시클화된 조핵제를 얻는다. 실제로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 시트를 형성할 때에는, 펜타드 분율이 97.8%, MFR(멜트 플로 레이트)이 15g/10min(230℃), 분자량 분포 MWD(Mw/Mn)가 2.3인 고결정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 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제)를 500PPM과,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티누빈 328: BASF사제)를 2000PPM과,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치마소브 944: BASF사제)를 2000PPM과, 상기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나노화 처리된 조핵제를 1000PPM을 첨가한 수지를 용융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고,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 사용하는 두께 100㎛의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제의 수지 시트를 얻는다.
계속해서, 열가소성 수지층의 표면에, 전리 방사선 경화 수지와, 아크릴폴리올을 주제로 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경화제로 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과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경화함으로써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이소시아네이트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비율은, 표면 보호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30질량부로 하였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첨가량은,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질량부 첨가(NCO/OH=1.0)하였다. 또한, 항바이러스제로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 평균 입경 5㎛의 은계 무기 첨가제(가부시키가이샤 다이쇼테크노스제, 비오사이드 TB-B100)를 0.2질량부 첨가하였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유효 성분은 무기 재료에 의해 담지되어 있다. 이때,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는 3㎛로 하고, 제2 피크를 7㎛로 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에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을 0.01질량부 첨가하였다. 여기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한 베시클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메탄올 100중량부, 분산제로서의 올레산나트륨 70중량부, 베시클의 외막을 구성하는 물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어서 밀폐하고, 압력이 20MPa가 되도록 당해 용기 내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초임계 상태로 한다. 그 후, 당해 용기 내를 격렬하게 교반함과 함께, 이온 교환수 100중량부를 주입한다. 온도와 압력을 초임계 상태로 유지하면서 15분간 더 교반 혼합 후, 이산화탄소를 용기로부터 배출하여 대기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분산제를 내포한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리포솜이 얻어진다. 또한, 베시클의 외막을 분산제 등의 물질로 하는 경우에는, 포스파티딜콜린 대신에 상술한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여기서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10㎛로 하였다. 이때,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은, 표면 보호층의 두께의 0.5배가 되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1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또한, 화장 시트의 두께는 140㎛로 하였다.
<실시예 2>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을 5질량부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을 10질량부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3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을 0.1㎛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4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을 1㎛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5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을 1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6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을 2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7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0.1㎛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8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1㎛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9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0>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5㎛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0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1>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6㎛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1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2>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2 피크를 4㎛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2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3>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2 피크를 5㎛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3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4>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2 피크를 1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4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5>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2 피크를 2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5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6>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0.1㎛로 변경하고, 제2 피크를 4㎛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6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7>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제1 피크를 10㎛로 변경하고, 제2 피크를 20㎛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7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8>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1㎛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8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9>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3㎛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19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0>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15㎛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0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1>
표면 보호층의 두께를 25㎛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1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2>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이 아니고, 처리하고 있지 않은 조핵제를 사용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2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조핵제 베시클이 아닌 무기 입자를 0.01질량부 첨가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3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4>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조핵제의 첨가를 생략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을 0.01질량부 첨가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4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5>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이 아닌, 처리하고 있지 않은 조핵제를 사용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5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6>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조핵제 베시클이 아닌 무기 입자를 0.01질량부 첨가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6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7>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층 전체 질량에 대하여,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나노 사이즈의 조핵제가 내포된 조핵제 베시클을 0.01질량부 첨가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실시예 27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를 생략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8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교예 1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을 0.1질량부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교예 2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표면 보호층에 있어서, 조핵제의 첨가를 생략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교예 3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을 11질량부로 변경하였다. 그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비교예 4의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평가 판정>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27,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화장 시트에 대해서, 이하의 방법으로 항바이러스 성능 및 내흠집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항바이러스 성능〕
실시예 1 내지 2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 시트를 ISO 21702에 준하여 항바이러스 시험을 실시하였다. 공시 시료를 멸균 샬레 내에 두고, 0.4mL의 바이러스 액을 시료 상에 접종하였다. 이때, 바이러스 액은, 엔벨로프 바이러스(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바이러스 액을 사용하였다. 그 후, 시료 상에 사방 40mm의 폴리에틸렌 필름을 씌웠다. 샬레에 덮개를 덮은 후, 25도·습도 90% 이상의 조건에서, 시료와 바이러스를 접종시켰다. 소정 시간 후, 10mL의 SCDLP 배지를 샬레에 주입하고, 바이러스를 씻어냈다. 씻어낸 액은, 플라크법으로 바이러스 감염 가를 측정하였다.
<바이러스 감염가의 측정(플라크법)>
숙주 세포를 6웰 플레이트 상에 단층 배양하고, 계단 희석한 씻어낸 액을 웰에 0.1mL씩 접종하였다. 5% CO2·37℃의 조건에서 1시간 배양하고, 세포에 바이러스를 흡착시킨 후, 6웰 플레이트에 한천 배지를 주입하여 2 내지 3일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고정·염색하고, 형성한 플라크의 수를 계측하였다.
<바이러스 감염가의 산출>
이하의 식에 수반하여, 시료 1㎠당의 바이러스 감염가를 산출하였다.
V=(10×C×D×N)/A
V: 시료 1㎠당의 바이러스 감염가(PFU/㎠)
C: 계측한 플라크 수
D: 플라크를 계측한 웰의 희석 배율
N: SCDLP양
A: 시료와 바이러스의 접촉 면적(폴리에틸렌 필름의 면적)
<항바이러스 활성값의 산출>
이하의 식에 수반하여, 항바이러스 활성값을 산출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값=log(Vb)-log(Vc)
Log(Vb): 24시간 후의 무가공 시료 1㎠당의 바이러스 감염가의 상용 대수값
Log(Vc): 24시간 후의 항바이러스 가공 시료 1㎠당의 바이러스 감염가의 상용 대수값
산출한 항바이러스 활성값을 이하의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항바이러스 활성값 3log10 이상인 경우
○: 항바이러스 활성값 2log10 이상인 경우
×: 항바이러스 활성값 2log10 미만인 경우
〔내흠집성〕
실시예 1 내지 2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 시트를 JIS K 5600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을 하여, 흠집의 생기는 방식을 확인하고, 이하의 ◎, ○, ×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B 이상에서 흠집 없음
○: 2B 내지 3B에서 흠집 없음
×: 4B 이하에서 흠집 있음
이상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1
표 1 중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27, 비교예 1, 2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27과 같이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비교예 1, 2와 같이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이 0.2질량부 미만인 경우와 비교하여 항바이러스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27, 비교예 3의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27과 같이 표면 보호층 또는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조핵제 또는 무기 입자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교예 3과 같이 표면 보호층 및 열가소성 수지층에 있어서 조핵제 및 무기 입자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내흠집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개시의 화장 시트 및 화장재는, 상기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0, 20, 30: 화장 시트
40: 화장재
11: 기재 시트
12: 착색 무늬층
13: 접착제층
14, 34: 표면 보호층
25, 35: 열가소성 수지층
46: 프라이머층
47: 기재

Claims (11)

  1. 기재 시트와,
    접착제층과,
    표면 보호층과,
    열가소성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은,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은, 조핵제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호층에 대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첨가량은, 0.2질량부 이상 10질량부 이하인, 화장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는, 은계 재료인, 화장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의 두께는, 3㎛ 이상 15㎛ 이하인, 화장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은, 상기 표면 보호층의 두께의 0.5배 이상 2배 이하인, 화장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경은, 1㎛ 이상 10㎛ 이하인, 화장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피크는, 복수 존재하는, 화장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입경의 상기 피크는, 1㎛ 이상 5㎛ 이하의 범위인 제1 피크와, 5㎛ 이상 10㎛ 이하의 범위인 제2 피크를 포함하는, 화장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는, 무기 재료에 의해 담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층은, 계면 활성제가 더 첨가되어 있는, 화장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화장 시트.
  11. 화장재용 기재와,
    상기 화장재용 기재에 맞대어 붙여진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시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재.
KR1020227045642A 2020-08-31 2020-11-11 화장 시트 및 화장재 KR202300162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6135A JP6888725B1 (ja) 2020-08-31 2020-08-31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JP-P-2020-146135 2020-08-31
PCT/JP2020/042091 WO2022044351A1 (ja) 2020-08-31 2020-11-11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222A true KR20230016222A (ko) 2023-02-01

Family

ID=7631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5642A KR20230016222A (ko) 2020-08-31 2020-11-11 화장 시트 및 화장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91760A1 (ko)
EP (1) EP4205966A4 (ko)
JP (1) JP6888725B1 (ko)
KR (1) KR20230016222A (ko)
CN (1) CN116096565A (ko)
TW (1) TW202220842A (ko)
WO (1) WO202204435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8941A (ja) 2013-03-28 2014-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304A (ja) * 2002-01-28 2003-08-05 Catalysts & Chem Ind Co Ltd 抗ウイルス剤、これを含有する塗料および基材
JP2007070299A (ja) * 2005-09-08 2007-03-22 Nippon Soda Co Ltd 無機抗菌剤の水分散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IN2015DN01799A (ko) * 2012-08-09 2015-05-29 Ii Kenneth Gauthier Trinder
JP6229429B2 (ja) * 2013-10-22 2017-11-15 凸版印刷株式会社 抗ウィルス性を有する内装用化粧シート
JP2017094566A (ja) * 2015-11-20 2017-06-01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CN108882715B (zh) * 2016-04-13 2021-05-11 富士胶片株式会社 抗菌性组合物、抗菌膜及湿型擦拭布
JP7092475B2 (ja) * 2017-09-06 2022-06-28 Dicデコール株式会社 化粧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88941A (ja) 2013-03-28 2014-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91760A1 (en) 2023-06-22
JP6888725B1 (ja) 2021-06-16
EP4205966A4 (en) 2024-02-21
JP2022041100A (ja) 2022-03-11
EP4205966A1 (en) 2023-07-05
CN116096565A (zh) 2023-05-09
TW202220842A (zh) 2022-06-01
WO2022044351A1 (ja)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9611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475652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479216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판
JP2016137585A (ja) 化粧シート
JP2019006870A (ja) 化粧シート
JP2017019134A (ja) 化粧シート
JP2022058503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2001181985A (ja) 床用シート及び床材
KR20230016222A (ko) 화장 시트 및 화장재
JP202116915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7322381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144439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984720B1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60116052A (ko) 바닥용 화장재
WO2017209240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80126513A (ko)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JP6944934B2 (ja) 化粧材
JP7006164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7138635A1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88508B2 (ja) 化粧シート、化粧材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16895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202404002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板
JP7424008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WO2021230386A2 (ja) 抗ウイルス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抗ウイルス性粘着加工シート及び抗ウイルス性化粧板
TW202402526A (zh) 裝飾片及裝飾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