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5146A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5146A
KR20230015146A KR1020210096539A KR20210096539A KR20230015146A KR 20230015146 A KR20230015146 A KR 20230015146A KR 1020210096539 A KR1020210096539 A KR 1020210096539A KR 20210096539 A KR20210096539 A KR 20210096539A KR 20230015146 A KR20230015146 A KR 20230015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wind direction
air
activit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엽
김성용
한동우
채연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5146A/ko
Priority to JP2022115689A priority patent/JP7438278B2/ja
Priority to US17/869,971 priority patent/US20230035576A1/en
Priority to CN202210867047.2A priority patent/CN115682128A/zh
Priority to EP22186432.5A priority patent/EP4123229A1/en
Publication of KR20230015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4Activity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14HVAC, heating, ventillation, climat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둘레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패널;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공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각 영역별로 제공되는 기류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써,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된다.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 및 기화되면서 주변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고, 실내기 팬이 회전 동작함에 따라 냉기가 실내로 토출된다.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액화되면서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 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풍향조절수단을 손으로 직접 조작하거나, 리모컨 등의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조작한다. 그러나 풍향조절수단을 수동으로 일일이 조작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할 일이며,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거나, 원격제어장치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원격제어장치를 분실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풍향조절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풍향조절수단을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기술 1(한국 공개특허공부 제10-2012-0025955호)의 경우,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를 통해 재실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마이크를 통해 검출되는 소리의 종류에 대응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판단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종래기술 2(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661호)의 경우, 실내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공간 내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이동거리를 판단하고,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활동량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마이크를 이용하는 경우, 공간 내외에서 소리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면, 마이크에 다양한 소리가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종래기술 1에 따르면, 마이크에 동시에 입력되는 다양한 소리에 대한 판단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지므로, 결과적으로 재실자의 활동량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실자가 고정된 위치에서 격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재실자의 실제 활동량은 재실자가 단순히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 큰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2에 따르면, 재실자의 이동거리가 단순히 길다는 이유로, 재실자가 단순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재실자의 활동량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어, 재실자의 실제 활동량에 최적화된 공조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025955 A KR 10-1333661 B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재실자의 활동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실자의 위치 및 활동량에 기초하여, 재실자에게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재실자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토출구와 복수의 토출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장치와,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공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크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고, 난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3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제3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의 총 합과 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실내공간의 현재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재실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연산된 상기 복수의 픽셀에 대한 상기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상기 복수의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을,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의 배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동작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결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과,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공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크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1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1 동작은, 냉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2 동작과, 난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3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3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제3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의 총 합과 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를 설정하는 동작과,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실내공간의 현재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재실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하는 동작과,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연산된 상기 복수의 픽셀에 대한 상기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상기 복수의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을,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 각각의 배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보다 길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들을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재실자의 위치 및 활동량을,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하여 판단함으로써, 각 영역으로 제공되는 기류의 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재실자에게 최적의 기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모든 재실자의 활동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재실자의 활동량에 최적화된 목표온도를 설정할 수 있어, 실내공간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와 풍향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위치별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와 냉방모드에서의 풍향조절장치의 배치에 따른 기류범위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풍향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재실자의 활동량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위치별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위치별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측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의 회전속도별 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00)는 천장에 장착되는 공기조화기(100)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하측으로 개구된 흡입구(122)와 흡입구(122) 둘레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개구된 토출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구된 케이스(110), 케이스(110)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22)와 토출구(124)를 형성하는 패널(120),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는 팬(112), 팬(112)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14),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고, 팬(112)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6), 토출구(124)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패널(120)에는, 흡입구(122)의 둘레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124a, 124b, 124c, 124d)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4)는,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 각각은, 순차적으로 인접하고, 흡입구(122)를 기준으로 서로 수직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구(124a), 제2토출구(124b), 제3토출구(124c), 및 제4토출구(124d) 각각에는, 제1풍향조절장치(130a), 제2풍향조절장치(130b), 제3풍향조절장치(130c), 및 제4풍향조절장치(130d)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나의 토출구(124)와 그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130)의 구성은, 나머지 토출구와 그에 배치되는 풍향조절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공통된 식별번호를 사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2개의 링크(160, 170)와 연결되는 제1베인(140)과, 제1베인(140)과 연결된 하나의 링크와 연결되고 일측이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구(124), 제2토출구(124), 제3토출구(124), 및 제4토출구(124) 각각에 배치되는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서로 다른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토출구(124)를 커버하거나, 토출구(124)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제2베인(150)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은, 팬(112)이 작동하지 않는 정지상태에서, 제2베인(15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가이드하는 제1베인판(142)과, 제1베인판(142)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링크(160, 170)와 연결되는 제1링크판(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인(150)은, 제2베인판(152)과, 제2베인판(152)의 좌우방향 양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3링크(180)와 연결되는 제2링크판(154)과, 제2베인판(152)의 좌우방향에 배치되고 패널(120)에 연결되는 커넥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인판(152)은 곡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제2베인판(152)이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패널(120)과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60), 제1링크(160)와 이격배치되고 패널(120)과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제1링크(160)의 일단과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160)는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160)는, 베인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링크(160)는,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패널연결부(162), 패널연결부(162)에서 제1베인(140)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가 제1베인(14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바(164), 패널연결부(162)에서 제2베인(150)을 향해 연장되고 단부가 제2베인(1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바(1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2링크바(166)의 길이(166L)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2링크(170)의 길이(170L)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바(164)의 길이(164L)는, 제3링크(180)의 길이(180L)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160)는, 제2링크(170)보다 흡입구(1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제1링크(160), 제2링크(170)에 의해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제1링크(160)와 제2링크(170)에 의해 배치가 변경되므로, 토출구(124)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은, 토출구(124)로부터 하측으로 엘리베이션되고, 이후,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경사가 변경될 수 있다.
제2베인(150)은, 제1단부(151a)가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후 제3링크(180)의 배치에 따라 제1단부(151a)가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 각각은, 흡입구(122)에 원거리에 배치되는 단부를 제1단부(141a, 151a)로 설정하고, 흡입구(1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부를 제2단부(141b, 151b)로 설정하여, 이하의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을 설명한다.
제2베인(150)은, 제1베인(140)보다 내측방향에서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구(122)에 인접한 방향을 내측방향으로, 흡입구(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130)는 배치에 따라 토출구(1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는 토출구(124)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지면에 대략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30도 이내의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각(θ1)은,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제1베인(140)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으로, 제1베인(14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1경사각(θ1)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제2단부(151b)를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2경사각(θ2, 또는 '제2베인과 가상의 수평산 사이의 제2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경사각(θ2)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제2단부(151b)를 연결한 가상의 선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에서 형성되는 경사각으로 제2베인(15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124)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2베인(150)과 제1베인(140)을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60도 이상의 제1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는 제2베인(150)의 제2단부(151b)보다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1경사각(θ1)은, 제2베인(150)과 가상의 수평선 사이의 제2경사각(θ2)과 비슷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보내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과 제2베인(150)을 거쳐 토출되는 공기는 제1위치(P1)의 수평풍보다 하측을 향하고, 제2위치(P2)의 수직풍보다 상측을 향하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은,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과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 사이의 경사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과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w제1경사각(θ1)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제1위치에서의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는,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제1베인(140)의 제2단부(141b)와 제2베인(150)의 제1단부(151a)가 서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평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평풍과 간접풍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수직풍과 직접풍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토출구(1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풍향조절장치(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3개의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하측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방향과 하측방향의 사이인 중간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른 상하방향 기류의 범위는, 제3위치(P3)일 때, 제1위치(P1)에서의 기류보다 낮게 형성되고, 제2위치(P2)에서의 기류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냉방조건과 난방조건에서,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른 상하방향 기류의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1방향(D1)으로 유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D1)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0도 내지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방향(D1)은, 난방조건이나 냉방조건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2방향(D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방향(D2)은, 난방조건과 냉방조건에서 범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난방조건에서, 제2방향(D2)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60도 내지 9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냉방조건에서, 제2방향(D2)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45도 내지 9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1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3방향(D3)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3방향(D3)은, 난방조건과 냉방조건에서 범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난방조건에서, 제3방향(D3)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30도 내지 6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냉방조건에서, 제3방향(D3)은 토출구(12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주된 기류가 유동하는 방향이 지면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이 45도 내지 6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의 제1방향(D1), 제2방향(D2), 및 제3방향(D3)의 각도범위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공기조화기가 배치되는 공간이나, 공기조화기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b에서는,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를 4개 내지 6개 영역으로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와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통신부(610), 센서부(620), 메모리(660), 팬(651)을 구동하는 팬 구동부(650), 압축기(102)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부(640) 및/또는 제어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실외기(710)와 실내기(7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실외기(710)와 실내기(720)는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외기(710)와 실내기(720)의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 방식, 시리얼 통신 방식(예: RS-485 통신), 냉매 배관을 통한 유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등의 무선 통신 방식일 수도 있다.
통신부(610)는, 공기조화기(100)의 외부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670)로 전송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열교환기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기 온도센서는, 실내 열교환기(108)의 내부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08)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공기조화기(100)의 각 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는 배관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610)는, 공기조화기(100)의 각 배관을 통해 유동하는 기체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 온도센서(미도시) 및/또는 실외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외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실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실내 습도센서(미도시) 및/또는 실외의 습도를 검출하는 실외 습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620)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pixel)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토 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된 빛이 통과하는 렌즈, 이미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구성 및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는, 제어부(67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제어부(67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가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제어부(67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된 후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630)는, 공기조화기(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630)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인, 베인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 풍향조절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풍향조절장치(630)(예: 도 2의 풍향조절장치(130))는, 2개의 링크(160, 170)와 연결되는 제1베인(140)과, 제1베인(140)과 연결된 하나의 링크와 연결되고 일측이 패널(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베인(15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640)는, 압축기(102)를 구동할 수 있다. 압축기 구동부(64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미도시), 정류부로부터의 맥동 전압을 저장하는 dc 단 커패시터(미도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인버터(미도시) 및/또는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교류 전원에 따라, 압축기(102)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모터(102b)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650)는,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팬(651)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651)은, 실외팬(105a) 및/또는 실내팬(112)를 포함할 수 있다.
팬 구동부(65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미도시), 정류부로부터의 맥동 전압을 저장하는 dc 단 커패시터(미도시), 복수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평활된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 및 출력하는 인버터(미도시) 및/또는 인버터로부터 출력되는 3상 교류 전원에 따라 팬(651)을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팬 구동부(650)는, 실외팬(105a) 및 실내팬(112)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각각 구분하여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실외팬(105a)를 구동하기 위한 제1 팬 구동부와, 실내팬(112)를 구동하기 위한 제2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60)는,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동작과 관련된 기준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60)는, 제어부(6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처리된 데이터 및 처리 대상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60)는, 제어부(67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다양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제어부(670)의 요청 시,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60)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SDRAM 등)나,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공기조화기(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과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는 ASIC과 같은 전용 장치(dedicated device)이거나 다른 하드웨어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67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과 상호 간에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여,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팬 구동부(650)의 동작을 제어하여, 팬(651)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구동부(65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따라, 실외팬용 모터(105b)로 출력되는 3상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실외팬(105a)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구동부(65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따라, 실내팬용 모터(114)로 출력되는 3상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실내팬(112)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압축기 구동부(6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부(640)는, 제어부(67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용 모터(102b)로 출력되는 3상 교류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70)는, 연산 부하를 고려하여, 소정 주기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과 관련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 압축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압축기(10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 압축기(102)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 토출압력 압축기(10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 실내기(720)의 입구측 배관온도, 실내기(720)의 출구측 배관온도, 실내 온도, 실외 온도, 전자식 팽창팰브(EEV)의 개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획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고, 연산 결과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된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이미지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이미지에 대한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 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메트릭스(color matrix), 색 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등의 방법을 통해 이미지에 포함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특징점에 기초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70)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Adaboost 등의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의 경계를 결정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복수의 이미지를 처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특징적인 일부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를 연산하는 희소 광학 흐름(sparse optical flow)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67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활동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실외기(710)나 실내기(720)뿐만 아니라, 실외기(710) 및/또는 실내기(7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미도시)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실외기(71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02b)와, 압축기(102b)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102b)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04)와, 실외측 열교환기(104)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05a)과, 실외팬(105a)을 회전시키는 모터(105b)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밸브(10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107)와,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1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72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108)와, 실내측 열교환기(108)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12), 실내팬(112)을 회전시키는 모터(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풍향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들이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공기조화기(100)의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직교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공기조화기(100)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지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y축 방향은 공기조화기(100)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z축 방향은 공기조화기(100)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z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카메라(190)를 통해 소정의 실내공간(80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90)는, 렌즈, 이미지센서,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800)에서 방출된 빛이 렌즈를 통과하여 이미지센서로 입사될 수 있고, 이미지센서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670)에 그대로 전달되거나,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후 제어부(67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100)에 하나의 카메라(19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카메라(190)가 공기조화기(100)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이미지센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실내공간(80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실내공간(800)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처리하여, 실내공간(800)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190)는, 공기조화기(100)의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90)는, 공기조화기(100)의 케이스(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패널(120)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실내공간(80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은, 공기조화기(100)에 포함된 복수의 토출구(124)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1 영역(801)은, 공기조화기(100)의 제1 토출구(124a)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2 영역(802)은, 공기조화기(100)의 제2 토출구(124b)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3 영역(803)은, 공기조화기(100)의 제3 토출구(124c)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4 영역(804)은, 공기조화기(100)의 제4 토출구(124d)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2 영역(802)의 좌측방향에 위치하는 제5 영역(805)은, 공기조화기(100)의 제2 토출구(124b)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4 영역(804)의 우측방향에 위치하는 제6 영역(806)은, 공기조화기(100)의 제4 토출구(124d)에 대응할 수 있다. 실내공간(800)의 제1 영역(801) 내지 제4 영역(804)에 둘러싸인 제7 영역(807)은, 공기조화기(100)의 제1 토출구(124a) 내지 제4 토출구(124d)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내공간(800)의 제1 영역(801)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영역 및/또는 실내공간(800)의 제3 영역(80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이 실내공간(80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영역(801)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은, 공기조화기(100)의 제1 출구(124a) 대응할 수 있고, 제3 영역(80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은, 공기조화기(100)의 제3출구(124c 대응할 수 있다.
제어부(670)는, 풍향제어장치(6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실내공간(800)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70)는, 풍향제어장치(630)의 베인모터를 제어하여, 제1 영역(801)으로 향하는 기류를 지면에 수직하는 수직풍으로, 제2 영역(802)으로 향하는 기류를 지면에 수평하는 수평풍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토출구(124a)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과, 제2 토출구(124b)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S910 동작에서, 카메라(190)를 통해, 소정의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카메라(190)에 포함된 이미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920 동작에서, 카메라(190)를 통해 획득한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색 보정, 색 향상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SVM(support vector machine)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930 동작에서,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를 획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개수는,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객체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한 이미지의 최소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획득한 이미지의 개수가 소정 개수 미만인 경우, 카메라(190)를 통해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주기 동안 카메라(190)를 통해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반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소정 주기 동안 획득한 이미지를 처리하여 메모리(66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S940 동작에서,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의 11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는, 공기조화기(100)의 제어부(670)에 의해 처리된 후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도 11의 112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에 포함된 객체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를 연산할 수 있고,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의 113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이미지에서 검출된 객체들(1131 내지 1134)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제1 객체(1131)를 구성하는 픽셀들에 대한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제1 객체(1131)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제1 객체(1131)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실자가 제자리에서 움직이더라도, 객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의 크기는 재실자의 움직임에 따라 누적되므로, 공기조화기(100)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활동량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중 특정 영역 내에서 재실자가 머무는 경우, 공기조화기(100)가 결정한 재실자의 활동량과 재실자가 머무는 특정 영역이 서로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재실자가 실내공간에서 이동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의 위치가, 이미지마다 변경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실내공간(800)에서 재실자(1200)가 제4 영역(804)에서 제6 영역(806)으로 이동하는 동안, 재실자(1200)의 위치는 제4 영역(804)및 제6 영역(806)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들 중, 최초 획득한 이미지에서는 재실자(1200)가 제4 영역(804)에서 검출될 수 있고, 마지막에 획득한 이미지에서는 재실자(1200)가 제6 영역(806)에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재실자(1200)가 제4 영역(804)에서 제6 영역(806)으로 이동하는 소정 주기(T)동안, 제4 영역(804)에서 연산되는 모션 벡터의 크기(1210)와, 제6 영역(804)에서 연산된 모션 벡터의 크기(1215)는, t1 시점을 기준으로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들 중 마지막에 획득한 이미지에서 객체가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객체의 활동량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재실자(1200)가 제4 영역(804)에서 제6 영역(806)으로 이동하는 동안 연산된 모션 벡터의 크기(1210, 1215)의 총 합을, 소정 이미지에서 재실자(1200)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결정된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마지막에 획득한 이미지에서 재실자(1200)가 검출된 제6 영역(806)에 대응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개수 이상의 이미지들에서 객체가 검출된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객체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고, 특정 영역에 대하여 결정된 재실자의 활동량과 특정 영역을 서로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제4 영역(804)에서 연산되는 모션 벡터의 크기(1210)의 총 합을, 소정 이미지에서 재실자(1200)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제4 영역(804)에서의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제4 영역(804)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제6 영역(806)에서 연산되는 모션 벡터의 크기(1215)의 총 합을, 소정 이미지에서 재실자(1200)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에 따라, 제6 영역(806)에서의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재실자(1200)의 활동량을 제6 영역(806)에 대응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총 활동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에서 복수의 객체가 검출되는 경우, 복수의 객체를 구성하는 모든 픽셀들에 대한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복수의 객체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의 총 합으로 나눈 값에 따라, 총 활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가 결정한 활동량은, 신진대사 해당치(metabolic equivalent task, MET)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연산식을 이용하여, 활동량에 대응하는 신진대사 해당치(MET)를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신진대사 해당치(MET)에 따라 활동량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조화기(100)는, 아래의 표 1과 유사한 신진대사 해당치(MET)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활동량의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활동량의 레벨을, 신진대사 해당치(MET)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1, 신진대사 해당치(MET)가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는 2, 신진대사 해당치(MET)가 2.0 이상, 3.0 미만인 경우에는 3, 신진대사 해당치(MET)가 3.0 이상, 4.0 미만인 경우에는 4, 신진대사 해당치(MET)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5로 판단할 수 있다.
Intensity Type MET
Low sleep 0.9
reading, watching television 1.0
desk work (writing, typing, etc) 1.4
Mid playing instrument 2.0
walking (2 km/h) 2.5
walking (3 km/h) 2.9
High cleaning 3.5
bicycling 4.0
jump rope 5.0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S950 동작에서,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에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영역(801 내지 803)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1 또는 2이고, 제4 영역(804)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4인 경우, 제1 내지 제3 영역(801 내지 803)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간접풍, 제4 영역(804)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직접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1 내지 제3 토출구(124a 내지 124c)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간접풍에 대응하고, 제4 토출구(124d)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직접풍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5 영역(805)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3인 경우, 제5 영역(805)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경사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2 토출구(124b)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경사풍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6 영역(806)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4 이상인 경우, 제6 영역(806)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경사풍 및 수직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4 토출구(124d)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경사풍과 수직풍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7 영역(807)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3인 경우, 제7 영역(807)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경사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1 내지 제4 토출구(124a 내지 124b)에 각각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모두 경사풍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영역(801)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1 또는 2이고, 제3 영역(803)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4인 경우, 제1 영역(801)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직접풍, 제3 영역(803)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간접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1 토출구(124a)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직접풍에 대응하고, 제3 토출구(124c)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간접풍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기 설정된 기류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방 운전 시 선호하는 기류를 간접풍으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 제1 영역(801)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4 이상이고, 제2 내지 제4 영역(802 내지 804)에 대응하는 활동량이 1 또는 2인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제1 영역(801)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류인 간접풍으로 결정하고, 제2 내지 제4 영역(802 내지 804)으로 향하는 기류의 방향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류와 상이한 직접풍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제1 토출구(124a)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간접풍에 대응하고, 제2 내지 제4 토출구(124b 내지 124d)에 배치된 베인(140, 150)이 형성하는 경사각이 직접풍에 대응하도록 풍향조절장치(63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960 동작에서,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총 활동량의 레벨에 따라,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S1010 동작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공기조화기(100)가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목표온도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주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기 설정된 5분 마다, 실내공간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산출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현재 설정된 목표온도에 따라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20 동작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30 동작에서,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5분 동안 복수의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3 미만인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으로 유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40 동작에서,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재실자의 활동량이 충분히 낮은 것으로 판단하여, 냉방운전 시 목표온도를 높임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기존 목표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가 18℃인 경우에 있어서, 냉방성능이 1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23℃, 냉방성능이 2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21℃, 냉방성능이 3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18℃로 결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기존 목표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설정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새 목표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2 미만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제1 온도(예: 2℃)만큼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2 이상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제2 온도(예: 1℃)만큼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새 목표온도가 냉방운전 시 최고 목표온도(예: 28℃) 이상인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새 목표온도를 최고 목표온도(예: 28℃)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새 목표온도가 냉방운전 시 최고 목표온도(예: 28℃) 이상인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새 목표온도를 기존 목표온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50 동작에서, 새 목표온도에 기초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현재 실내온도가 새 목표온도보다 기준(예: 1℃) 이상 낮은 경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현재 실내온도가 새 목표온도보다 기준(예: 1℃) 이상 높은 경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S1060 동작에서,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5분 동안 복수의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3 이상인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70 동작에서,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재실자의 활동량이 충분히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난방운전 시 목표온도를 낮춤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기존 목표온도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가 21℃인 경우에 있어서, 난방성능이 1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21℃, 냉방성능이 2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24℃, 냉방성능이 3단계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를 26℃로 결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기존 목표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설정하는 경우,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새 목표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4 미만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제1 온도(예: 1℃)만큼 낮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고,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4 이상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보다 제2 온도(예: 2℃)만큼 낮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새 목표온도가 난방운전 시 최저 목표온도(예: 18℃) 미만인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새 목표온도를 최저 목표온도(예: 18℃)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는, 소정 시간 동안 결정된 총 활동량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된 새 목표온도가 난방운전 시 최저 목표온도(예: 18℃) 미만인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새 목표온도를 기존 목표온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S1080 동작에서, 새 목표온도에 기초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현재 실내온도가 새 목표온도보다 기준(예: 1℃) 이상 높은 경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현재 실내온도가 새 목표온도보다 기준(예: 1℃) 이상 낮은 경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S1090 동작에서,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 시간 동안 총 활동량이 기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에 기초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총 활동량과 관련하여, 냉방 운전 시 판단 기준인 기 설정된 레벨과, 난방 운전시 판단 기준인 기 설정된 레벨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온도(1300), 가변 설정되는 목표온도(1310), 및 기존 목표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동작온도(1320, 1325)에 따라,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에 따라 기존 목표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온도가 21℃인 경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100)는, 기존 목표온도를 24℃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동작온도(1320, 1325)는, 결정된 기존 목표온도와 각각 소정 온도(예: 1℃)만큼 차이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온도(1300)가 기존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개시한 후 초기 구간에서, 실내온도(1300)가 기존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하도록, 냉방 능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냉방 운전을 개시한 후 초기 구간에서,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기 설정된 최고 주파수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온도(1300)가 제1 동작온도(1320)에 도달하는 경우, 냉방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온도(1300)가 제1 동작온도(1320)에 도달하는 제1 시점(t1)부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온도(1300)가 제2 동작온도(1325)에 도달하는 경우, 압축기(102)의 운전주파수를 기 설정된 최저 주파수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실내온도(1300)가 제1 동작온도(1320)에 도달하는 제1 시점(t1)부터 기 설정된 시간(T1)동안, 기류 및/또는 온도가 일정 수준에서 유지되는 안정화 단계가 충족된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재실자의 총 활동량에 기초한 절전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절전 모드가 활성화된 t2 시점부터 재실자의 총 활동량에 기초하여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절전 모드가 활성화된 t2 시점부터, 카메라(190)를 통해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00)는, 기 설정된 주기(T2)마다,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산출한 재실자의 총 활동량에 따라, 목표온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2 시점부터 t3 시점까지 산출된 재실자의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2 미만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1310)보다 제1 온도(예: 2℃)만큼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새 목표온도에 기초하여 실내온도(1300)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4 시점부터 t5 시점까지 산출된 재실자의 총 활동량의 레벨의 평균이 2 이상인 경우, 기존 목표온도(1310)보다 제2 온도(예: 1℃)만큼 높은 온도를 새 목표온도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새 목표온도에 기초하여 실내온도(1300)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와 풍향조절장치(230)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2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200)의 풍향조절장치(230)는, 각각의 토출구(224)에 배치되는 하나의 베인(240)과, 베인(240)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240)은, 베인모터의 작동으로 배치가 달라진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토출구(224)에 배치되는 베인(240)의 경사각을 달리하여, 토출구(2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베인(240)은 토출구(224)를 폐쇄하거나, 토출구(2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5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지면과 평행한 가상의 수평선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240)이 가상의 수평선(HL)에 30도 이내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각(θ)은, 베인(240)과 가상의 수평선(HL)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베인(240)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지면과 평행한 수평선에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가상의 수평선(HL)에 60도 이상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230)는 베인(240)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사이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가상의 수평선(HL)에 30도 이상60도 이하의 경사각(θ)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2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230)의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라, 토출구(2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와 풍향조절장치의 구성 및 작동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토출구의 형태와 베인의 배치가 차이가 있다. 따라서, 토출구의 형태, 및 풍향조절장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는, 흡입구(322)의 외둘레로 복수의 토출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구(332)는 사각형의 형상이고, 흡입구(332)를 형성하는 각각의 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토출구(3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구(332)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토출구(324)는, 원형의 흡입구(332)의 외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300)에 형성되는 토출구(324)는, 외측단(324b)이 내측단(324a)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324)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토출유로(335)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로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350)는, 패널(320)에 배치되고,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되는 베인(340)과, 패널(320)에 배치되고 베인(340)을 구동시키는 베인모터(미도시)와, 베인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베인(340)과 맞물려 베인(340)의 배치를 이동시키는 베인기어(3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340)은 베인기어(350)와 맞물리는 일단이 랙기어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인(340)은, 토출구(324)의 내측단(324a)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340)은, 토출구(324)의 내측단(324a)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340)은, 베인모터의 작동으로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가 달라진다.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토출구(324)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는 길이를 달리하여, 토출구(3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최대로 돌출되는 제1위치(P1)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340)이 돌출될 수 있는 범위의 최대치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유로(335)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베인(340)의 배치가 토출구(324)의 외측단(324b)보다 낮게 배치되므로, 토출구(324)로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340)을 따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베인(340)이 토출구(324)로 돌출되지 않는 제2위치(P2)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324)로 노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유로(335)를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구(324)를 통해 지면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토출유로(335)의 형상에 따라 토출구(3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지면에 일부 경사지게 유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330)는,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된 상태의 베인(340)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돌출되는 제3위치(P3)로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베인(340)은, 제2위치(P2)에서 베인(340)이 토출구(324)를 향해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의 베인(340)이 토출구(324)를 향해 돌출된 길이의 1/3 내지 2/3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2위치(P2)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3위치(P3)로 배치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330)의 제1위치(P1), 제2위치(P2), 및 제3위치(P3)에 따라, 토출구(3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내지 도 19c를 참조하여,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4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0)와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422)가 원형의 형상을 가지고, 토출구(424)가 흡입구(422) 둘레로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430)는, 토출구(424)의 일측에 배치되는 풍향조절팬(440)을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00)을 회전시키는 모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가 형성되는 영역에서 흡입구(422)가 배치되는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어,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의 일측에 배치되어,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가 형성되는 환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는, 토출구(424)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토출구(424)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은 토출구(424)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을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정지시킴으로써,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될 때, 토출구(424)로 유동하는 공기는 토출유로(425)의 형태와 토출구(424)의 개구방향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될 때에는, 토출구(4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풍향조절팬(440)이 작동될 때,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풍향조절팬(440)의 영향을 받으므로,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가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기울어져 유동할 수 있다. 이때, 풍향조절팬(4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량에 따라 토출구(424)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가 빨라질 때, 풍향조절팬(44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량이 증가되어,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작동이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토출구(4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최대치로 회전하는 제1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1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9b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최소치로 회전하거나 정지하는 제2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설정속도는 ‘0’을 포함하는 속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풍향조절장치(430)의 제2설정속도는, 풍향조절팬(440)이 정지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2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9c를 참조하면, 풍향조절장치(430)는 풍향조절팬(440)의 회전속도를 제1설정속도와 제2설정속도의 사이의 범위로 회전하는 제3설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제3설정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430)가 최대속도인 제1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보내는 간접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최소속도로 회전하거나 정지되는 제2회전속도로 회전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보내는 수직풍을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330)가 제1회전속도와 제2회전속도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3회전속도로 회전할 때,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간접풍과 수직풍의 사이로 보내는 경사풍을 형성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도, 도 5a 내지 도 5b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330)의 제1회전속도, 제2회전속도, 및 제3회전속도에 따라, 토출구(32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방향(D1), 제2방향(D2), 제3방향(D3)으로 보낼 수 있다.
상기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도, 도 9 및 도 10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둘레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가 형성된 패널;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하는 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공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크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냉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고,
    난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3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제3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의 총 합과 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를 설정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실내공간의 현재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재실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연산된 상기 복수의 픽셀에 대한 상기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상기 복수의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을,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의 배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둘레로 배치되는 복수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실내공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활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 대응하여 결정된 상기 공기의 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기 설정된 레벨보다 크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의 레벨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과,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하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르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1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1 동작은,
    냉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2 동작; 및
    난방 운전 시,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3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3 영역에 대응하는 활동량이 상기 기 설정된 레벨과 관련된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제3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상기 제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공기조화기 사이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재실자의 활동량의 총 합과 기 설정된 기준을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온도를 설정하는 동작; 및
    실내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실내공간의 현재 온도와, 상기 목표온도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고밀도 광학 흐름(dense optical flow)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재실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픽셀에 대한 모션 벡터(motion vector)를 연산하는 동작; 및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모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을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이미지에 대하여 연산된 상기 복수의 픽셀에 대한 상기 모션 벡터의 크기의 총 합을, 상기 복수의 픽셀의 개수로 나눈 값을, 상기 재실자의 활동량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베인 각각의 배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풍향조절팬을 포함하고,
    상기 풍향조절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복수의 풍향조절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 각각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동작방법.
KR1020210096539A 2021-07-22 2021-07-22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15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39A KR20230015146A (ko) 2021-07-22 2021-07-22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22115689A JP7438278B2 (ja) 2021-07-22 2022-07-20 空気調和機及びその動作方法
US17/869,971 US20230035576A1 (en) 2021-07-22 2022-07-21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ir conditioner
CN202210867047.2A CN115682128A (zh) 2021-07-22 2022-07-22 空调机及其运转方法
EP22186432.5A EP4123229A1 (en) 2021-07-22 2022-07-22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539A KR20230015146A (ko) 2021-07-22 2021-07-22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146A true KR20230015146A (ko) 2023-01-31

Family

ID=8270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539A KR20230015146A (ko) 2021-07-22 2021-07-22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35576A1 (ko)
EP (1) EP4123229A1 (ko)
JP (1) JP7438278B2 (ko)
KR (1) KR20230015146A (ko)
CN (1) CN1156821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55A (ko) 2010-09-06 2012-03-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101333661B1 (ko) 2012-06-05 2013-11-2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378B2 (ja) * 1993-05-18 1999-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H08178390A (ja) * 1994-12-22 1996-07-12 Sharp Corp 人体活動量算出装置、人体活動量着衣量算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人体異常通報機
JPWO2009020173A1 (ja) * 2007-08-09 2010-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5216519B2 (ja) * 2008-10-06 2013-06-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121797A (ja) * 2008-11-17 2010-06-03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11185591A (ja) * 2010-02-15 2011-09-22 Daikin Industries Ltd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852159B2 (ja) * 2010-02-24 2012-01-11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空調制御装置
JP5697583B2 (ja) 2011-11-21 2015-04-08 三菱電機株式会社 部屋形状認識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15137836A (ja) * 2014-01-24 2015-07-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室内ユニット
JP6542566B2 (ja) * 2015-04-08 2019-07-1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707618B1 (ko) * 2015-05-07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7116120A (ja) * 2015-12-21 2017-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並びに制御方法
JP6952266B2 (ja) * 2016-08-09 2021-10-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399629B2 (ja) * 2016-09-05 2018-10-03 ウミトロン ピーティーイー エルティーディー 給餌システム及び給餌方法
JP7327039B2 (ja) * 2019-09-25 2023-08-16 富士通株式会社 活動量管理プログラム、活動量管理システム、及び活動量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5955A (ko) 2010-09-06 2012-03-16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KR101333661B1 (ko) 2012-06-05 2013-11-27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8278B2 (ja) 2024-02-26
CN115682128A (zh) 2023-02-03
EP4123229A1 (en) 2023-01-25
US20230035576A1 (en) 2023-02-02
JP2023016749A (ja)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05035B (zh) 空调机
WO2018198396A1 (ja) 空気調和機
CN101553697B (zh) 空调以及控制其气流的方法
US20110190945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CA3089968C (en) Peak demand response operation of hvac systems
RU2704922C1 (ru)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внутри помещения блок агрегат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JP6386945B2 (ja) 空気調和機
US1033775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123239B (zh) 空调控制方法
JPH0520659B2 (ko)
CN109708262B (zh) 一种多媒体教室空调控制方法
US11480353B2 (en) Peak demand response operation of HVAC system with face-split evaporator
JP2016156507A (ja) 空気調和機
CN106052012B (zh) 基于距离实现变频空调制冷控制的方法及装置
KR2009008736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5137836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室内ユニット
JP6097183B2 (ja) 空気調和機
KR20210146019A (ko)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1514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20024071A (ja) 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装置
KR2009001731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66080B (zh) 一种基于距离实现变频空调制冷控制的方法及装置
CN113454403B (zh) 空调装置
KR102429294B1 (ko) 인버터 제습기의 제어 방법
KR2018001169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