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705B1 -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705B1
KR102168705B1 KR1020180055566A KR20180055566A KR102168705B1 KR 102168705 B1 KR102168705 B1 KR 102168705B1 KR 1020180055566 A KR1020180055566 A KR 1020180055566A KR 20180055566 A KR20180055566 A KR 20180055566A KR 102168705 B1 KR102168705 B1 KR 10216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air conditioner
vane group
rotation angl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877A (ko
Inventor
이주연
강수진
김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705B1/ko
Priority to US16/391,847 priority patent/US11221159B2/en
Priority to EP19172377.4A priority patent/EP3569939B1/en
Priority to PCT/KR2019/005335 priority patent/WO2019221430A1/en
Publication of KR20190130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705B1/ko
Priority to US17/518,379 priority patent/US2022012046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천장면에 위치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네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1 베인군 및 마주보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베인군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의 회동각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 도달시키는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서 사용자의 쾌적감을 판단하기 위한 쾌적기류지수(Y) 산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쾌적기류지수는, 실내온도,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 풍량, 바닥면과 거리 및 기류 위치를 변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 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 형 공기 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 조화기에는, 천장의 내부에 매립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며 흡입구 및 토출구를 형성하는 패널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공개일) : 특2003-0008242 (2003년 01월 25일)
2. 발명의 명칭 : 천정형 에어컨의 베인 제어방법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복수 개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하여 마주보는 베인의 개폐 동작을 엇갈리게 구동시킴으로써 취출기류의 속도를 강화시키는 내용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베인에 의해 토출되는 기류가 실내온도를 목표한 설정온도에 도달시키기 위한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문제가 있다.
둘째, 상기 선행문헌은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에서 동일한 제어 방식으로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문제가 있다. 상세히,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냉방운전과 동일한 제어가 수행된다면,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내 공기에 의해 천장에서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토출되어도 온도 차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따라 따뜻한 공기가 재실자(사용자) 보다 높은 지점으로 유동하여 쾌적감이 떨어지며, 실내온도의 상승시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 공기조화기는 재실자(사용자)의 쾌적감을 판단하기 위해 PMV(Predicted Mean Vote)제어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상기 PMV 제어는, 온도, 복사온도, 상대습도, 기류속도, 활동량, 착의량을 검출하여 PMV 지수로 산출함으로써 온열감을 평가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PMV 제어는 온열 환경 중심의 지수로서 사용자에게 도달되는 직접적인 기류의 영향으로 사용자의 쾌적감을 판단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상세히, 기류 속도가 0.5 m/s 이상에서의 PMV 지수는,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쾌적감과 괴리가 커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넷째, 드래프트(Draft)에 따른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드래프트는 환기(통풍)가 발생되는 실내에서 실내 바닥이 적정 온도를 유지할지라도 실내 열 환경 변화, 즉, 수직 또는 수평의 온도 차에 의하여 국부적인 대류가 야기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상기 드래프트에 의하여 사용자 위치의 온도 및 기류속도가 달라져 사용자는 국부적인 불만족을 느낄 수 있다. 결국, 사용자가 느끼는 실제 쾌적감과 종래 공기조화기가 판단한 사용자의 쾌적감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쾌적감을 빠르게 만족시킬 수 있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운전에서 목표한 설정온도 도달 시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되는 실내 환경을 반영하여 설정온도에 실내온도를 빠르게 도달시키기 위하여,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만족하는 쾌적감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PMV 제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류불쾌감지수를 이용하여 상술한 드래프트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결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천장면에 위치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네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1 베인군 및 마주보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베인군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의 회동각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 도달시키는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서 사용자의 쾌적감을 판단하기 위한 쾌적기류지수(Y) 산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쾌적기류지수는, 실내온도,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 풍량, 바닥면과 거리 및 기류 위치를 변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을 만족하는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을 새롭게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새롭게 산출된 회동각으로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상기 제 2 베인군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과,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바닥면과 거리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바닥면과 거리에 따라 상기 기류 위치가 매핑되어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실내의 수직 또는 수평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드래프트(Draft)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류불쾌감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출된 기류불쾌감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풍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군은 상기 제 2 베인군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는, 상기 제 1 베인군이 제 1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수평기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과 다른 제 2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수직기류를 생성하는 제 1 혼합운전 단계; 및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과 상기 제 2 회동각(a’)의 사이 각도로 회동하며 운전하는 스윙운전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기류는 토출공기가 천장면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류는 토출공기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유동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군이 상기 제 2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상기 수직기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상기 수평기류를 생성하는 제 2 혼합운전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윙운전 단계는 상기 제 1 회동각과 상기 제 2 회동각이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는 고정운전 단계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운전 단계는,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회동각(a)은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회동각(a’)은 6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실내 공간에 다이나믹기류를 생성하여 냉방 또는 난방운전시 목표한 설정온도에 실내온도가 도달하는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냉방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구분된 다이나믹기류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서로 다른 실내 환경이 반영되어 사용자의 쾌적감을 빠르게 만족시킬 수 있다. 즉, 운전 모드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종래 PMV 제어방식보다 기류의 영향에 대한 사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쾌적기류지수를 이용하므로 사용자의 쾌적감 판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드래프트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판단하여 적정 수준의 쾌적감이 유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시간 쾌적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류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사용자 위치의 수평 또는 수직 온도 차를 최소화하여 드래프트(Draft) 현상에 따른 사용자의 국부적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도 6은 도 5의 냉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토출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
도 7은 도 5의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토출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
도 8은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에서 설정온도 도달 시간을 비교한 실험 결과
도 9는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에서 설정온도 도달 시간을 비교한 실험 결과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0, 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에는, 케이싱(50) 및 패널(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50)은 천장의 내부공간에 매립되며, 상기 패널(2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70)가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70)는, 상기 케이싱(50)의 내면을 따라 다수 회 절곡되도록 배치되며, 송풍팬(6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구동하는 송풍팬(60) 및 상기 송풍팬(60)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6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송풍팬(60)에는 팬 모터(65)의 모터 축(66)이 결합되며, 상기 팬 모터(65)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송풍팬(60)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68)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팬(60)측으로 안내한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60)에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단에 장착되며,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20)은 상기 케이싱(5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천장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이싱(50)의 하단보다 더 외측은, 실내 바닥면 또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패널(20)에는, 패널 본체(21) 및 상기 케이싱(50)의 내부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2)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 본체(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패널 본체(21)의 4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패널(20)의 각 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토출구(22)를 개폐하는 토출베인(80) 및 상기 토출베인(80)을 회동시키기 위한 토출모터(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베인(80)은 상기 패널(2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80)은 상기 토출구(22)의 개구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베인(80)은 상기 패널(20)의 네 변에 대응되어 형성된 토출구(2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80)에는 상기 패널(20)의 네 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토출구(22)를 개폐하는, 제 1 토출베인(81), 제 2 토출베인(82), 제 3 토출베인(83) 및 제 4 토출베인(84)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베인(81) 및 상기 제 3 토출베인(8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베인(82) 및 상기 제 4 토출베인(84)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베인(81) 및 제 3 토출베인(83)은, 상기 제 2 토출베인(82) 및 상기 제 4 토출베인(84)과 수직 하게 위치되며, 길이의 연장 방향도 수직을 이룬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베인(81)은 상기 제 3 토출베인(83)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 2 토출베인(82)은 상기 제 4 토출베인(83)과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베인(81) 및 제 3 토출베인(82)은 상기 수직 방향에 형성된 토출구(22)를 개폐하도록 구비 되며, 상기 제 2 토출베인(82) 및 제 4 토출베인(84)은 상기 수평 방향에 형성된 토출구(22)를 개쳬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1 토출베인(81) 및 상기 제 3 토출베인(83)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며, 상기 제 2 토출베인(82) 및 상기 제 4 토출베인(84)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토출베인(81) 및 상기 제 3 토출베인(83)은, 제 1 베인군으로 정의하며, 상기 제 2 토출베인(82) 및 상기 제 4 토출베인(84)은 제 2 베인군으로 정의한다.
즉, 상기 제 1 베인군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 위치한 토출구(22)를 개폐하는 제 1 토출베인(81) 및 제 3 토출베인(83)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베인군은 상기 제 1 베인군에 수직하게 위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위치한 토출구(22)를 개폐하는 제 2 토출베인(82) 및 제 4 토출베인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면 또는 상기 패널(20)이 장착되는 천장면과 평행하며, 상기 제 1 토출베인(81)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3 토출베인(83)의 회동 중삼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을 수평기준선(h)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베인(80)의 폭 방향, 즉, 상기 토출베인(80)의 종단면을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직선을 연장선(81a,83a)이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토출베인(8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평기준선(h)과 상기 제 1 토출베인의 연장선(81a)이 이루는 각도(a)는, 상기 제 3 토출베인(8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평기준선(h)과 상기 제 3 토출베인의 연장선(83a)이 이루는 각도(a)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평기준선(h)과 상기 연장선(81a,83a)이 이루는 각도(a)를 제 1 회동각(a)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상기 제 1 베인군(81,83)에 수직하도록 배치될 뿐 그 구성은 동일하다.
즉, 상술한 제 1 베인군(81,83)의 수평기준선(h) 및 연장선에 대한 설명은 방향만 수직하게 배치된 제 2 베인군(82,84)에 원용할 수 있다.
상세히,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면 또는 상기 패널(20)이 장착되는 천장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2 토출베인(82)으로부터 상기 제 4 토출베인(84)을 향하는 수평선을 수직기준선이라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토출베인(8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직기준선과 상기 제 2 토출베인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 4 토출베인(8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직기준선과 상기 제 4 토출베인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인군(82,84)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직기준선과 상기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를 제 2 회동각(a’)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동각(a)과 상기 제 2 회동각(a’)은, 서로 다른 각도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토출모터(90)는 상기 토출베인(80)에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모터(90)는 상기 토출베인(80)을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토출베인(80)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22)는 개폐된다. 일례로, 상기 토출모터(90)는 다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토출베인(81,82,83,84)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터(90)는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20)의 중앙부에는 흡입 그릴(3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30)은 상기 공기조화기(1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4각형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0)에는, 격자형을 이루며 흡입구(34)를 가지는 그릴 본체(3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 본체(32)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재(36)가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36)는 대략 4각 프레임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 그릴(30)의 외측 4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22)는 상기 흡입구(34)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34) 및 토출구(22)의 배치에 의하여,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패널(20)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50)의 내부로 흡입되어 조화되고, 상기 조화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상기 패널(20)의 외측 4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21)의 네 모서리에는 커버 장착부(27)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장착부(27)는, 상기 패널 본체(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장착부(27)는 상기 패널(20)의 배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들의 서비스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10)의 동작 확인을 위한 것으로 커버부재(4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서의 공기 유동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팬모터(65)가 구동하여 상기 송풍팬(60)에 회전력이 발생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필터부재(36)에서 필터링 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68)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유동하며, 상기 송풍팬(60)을 거치면서 유동방향이 변화된다.
상기 흡입구(34)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유입되며, 상기 송풍팬(60)을 거치면서 외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되며, 상기 열교환 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2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는 패널(20)의 중앙부에 위치한 흡입 그릴(30)을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케이싱(5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그릴(30)의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며, 상기 토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상기 팬 모터(65), 상기 토출모터(9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풍량 또는 풍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팬 모터(65)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팬 모터(65)에 연결된 상기 송풍팬(6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토출모터(9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토출모터(90)의 회전 각도,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토출베인(80)의 회동 각도 또는 회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토출모터(9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 1 베인군(81,83)의 제 1 회동각(a) 및 상기 제 2 베인군(82,84)의 제 2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천장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110),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20) 및 실내 사용자(재실자)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1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높이 감지부(110)는 설치공간의 바닥면과 천장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높이 감지부(110)는 상기 패널(20)의 전면에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부(10)는 후술할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하기 위한 거리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25)는 온도 감지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25)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 감지부(125)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가 설정 또는 목표한 설정 온도 도달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부(125)는 후술할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하기 위한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체 감지부(130)는 사용자(재실자)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 센서와 사용자의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거리 감지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 감지부(130)는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부(130)는 후술할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하기 위한 기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50)와 송수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부(150)에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50)에는, 상기 높이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천장의 높이(거리) 대비 기류 위치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150)에는 천장의 높이가 3(m)인 경우, 기류 위치는 실내 바닥면으로부터 0.6~1.7(m)로 결정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류 위치는 기류 도달 위치로서 사용자의 예상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는, 인체 감지부(130)에 의한 감지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후술할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부(150)로부터 저장된 상기 기류 위치를 로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이 제공되어야 하는 실내 환경에서 다이나믹 기류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S100)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는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설치된 공간의 실내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로 빠르게 도달시키기 위한 운전모드로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 패널 등의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여름철 실내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키기 위해 냉방 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운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조작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공기조화기(10)가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로 돌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 의해 상기 실내온도가 사용자(재실자)가 설정한(또는 목표한) 설정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쾌적감을 만족 또는 유지시키기 위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200,S300)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 의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상기 쾌적기류지수(Y)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값보다 큰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값은 80으로 정의한다.(S200)
상기 쾌적기류지수(Y)는, 앞서 서술한 종래 PMV(Predicted Mean Vote) 제어 방식의 기류 요소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사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지수(index)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쾌적기류지수(Y)는 실내 온도(t, 단위 ℃), 토출베인(80)의 각도(a, 단위 degree), 풍량(c, 단위 CMM), 바닥면과 거리(d, 단위 m), 기류 위치(e, 단위 m)를 변수로 산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베인(80)의 각도(a)는 제 1 회동각(a)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쾌적기류지수(Y)는 상술한 변수와 사용자 쾌적감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일례로, 냉방 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 의해 실내온도(t)가 설정온도 보다 낮게 형성된 경우, 상술한 토출베인(80)의 각도, 풍량, 거리 및 기류 위치는 사용자의 쾌적감에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된다. 또한, 토출베인(80)의 각도(a)는 작은 값을 가질수록 상기 풍량과 관계에서 사용자 쾌적감에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된다. 또한, 거리(d)는 멀수록 상기 토출베인의 각도(a)와 관계에서 사용자 쾌적감에 큰 영향을 주는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된다. 또한, 상기 풍량(c)은 작은 값을 가질수록 기류 위치와 관계에서 사용자 쾌적감에 큰 영향을 주는 변수가 된다.
이하의 수학식 1은 상술한 변수와 사용자 쾌적감의 관계가 반영된 쾌적기류지수(Y) 산출식이다.
(수학식 1)
쾌적기류지수(Y)= -887 + 40.65*t + 15.04*a - 0.6899*c + 406.3*d + 74.7*e - 0.6321*t*a + 0.01583*t*c - 16.47*t*d - 1.78*t*e + 0.004623*a*c - 4.928*a*d - 0.524*a*e + 0.0870*c*d - 81.6*d*e + 0.2069*t*a*d + 2.690*t*d*e - 0.001516*a*c*d + 0.1773*a*d*e
그리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쾌적기류지수(Y)가 80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의 쾌적감이 유지 또는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쾌적기류지수(Y)가 80 보다 큰 경우 사용자는 쾌적감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높이 감지부(110), 온도 감지부(120) 및 인체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정보와, 토출모터(90)의 회전 각도에 따른 토출베인(80)의 회동각(a) 정보 및 팬 모터(65)의 회전 수에 다른 풍량 정보를 기초로 쾌적기류지수(Y)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80 이상의 값을 갖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80 미만의 값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쾌적기류지수가 80 이상의 값을 만족하도록 토출베인(80)의 회동각(a)을 변경시킬 수 있다.(S250)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는 토출베인(80)의 회동각(a)를 미지수로 하여 쾌적지류지수가 80 이상을 만족하는 토출베인(80)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산출된 토출베인(80)의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해 토출모터(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토출베인(80)의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회동각(a)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기존 제 1 회동각과 변경된 제 1 회동각의 차이만큼 제 2 회동각(a’)을 가감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쾌적기류지수가 80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감을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쾌적기류지수(Y)가 80 이상의 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10)는 기류불쾌감지수(D)를 산출하여 기준 값 보다 작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의 기준 값은 20으로 설정될 수 있다.(S300)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는 앞서 설명한 수직 또는 수평의 온도 차에 의하여 발생되는 국부적인 대류로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드래프트(Draft) 현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는, 실내 온도(Ta, 단위 ℃), 평균 기류속도(v, 단위 m/s), 난류강도(Tu, 단위 %)를 변수로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난류강도(Tu)는 구간 표쥰편차(interval standard deviation)를 평균 기류속도(v)로 나눈 값이다.
이하의 수학식 2는 기류불쾌감지수(D) 산출 식이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47803218-pat00001
그리고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가 20 보다 큰 경우, 사용자는 드래프트 현상에 의한 불쾌함을 야기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가 20 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기류불쾌감지수(D)가 20 이하의 값을 갖도록 풍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팬 모터(65)를 제어하여 풍량을 변경할 수 있다.
풍량(단위 CMM)은 토출 단면적(m^2)과 유속(m/min)의 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어부(100)가 풍량을 변경하면, 평균 기류속도(v)가 변경되어 기류불쾌감지수(D)를 낮출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는 풍량을 현재의 풍량보다 낮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평균 기류속도(v)를 낮출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국부적인 대류를 야기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드래프트 현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상세히, 도 5는 도 4에서 다이나믹 기류모드에 대한 상세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냉방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설치된 실내 환경은 냉방운전과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별로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차가운 실내 공기에 의해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는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보온 및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위치에서는 온도 상승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0)는, 다이나믹 기류모드(S100)에 진입하면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10)가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S110)하여, 각각의 운전에 따라 실내 환경조건이 반영된 최적의 다이나믹 기류를 생성하도록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실내 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다이나믹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에 실내온도가 빠르게 도달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냉방운전인 경우를 기준으로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공기조화기(10)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즉, 냉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 1 혼합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20)
상기 제 1 혼합운전(S120)은, 상기 제 1 베인군(81,83)이 수평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군(82,84)이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운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제 1 회동각(a)은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회동각(a)은 3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은 설정된 제 1 회동각(30°)으로 위치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양 측방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수평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제 2 회동각(a’)은 6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상기 제 2 회동각(a’)은 7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설정된 제 2 회동각(70°)으로 위치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수직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을 설정된 각도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출모터(9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기류는 상기 토출베인(80)으로부터 공기가 실내 공간의 양측 방향에 위치한 측벽을 향하여 토출되어 형성하는 기류로 정의하며, 실내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천장면에 가까운 높은 지점을 따라 측방으로 유동하는 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수직기류는 공기가 상기 토출베인(80)으로부터 실내 바닥면을 향하여 토출되어 형성하는 기류로 정의하며, 실내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바닥면에 가까운 낮은 지점을 향하여 하방으로 유동하는 기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혼합운전의 수행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5)
일례로, 상기 제 1 설정시간은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운전은 제 1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1 베인군(81,83)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천장면을 따라 실내 공간의 측벽을 향하여 수평기류를 형성(도6 참고)하며, 상기 제 2 베인군(82,8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를 형성(도 6 참고)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 운전인 경우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는, 실내 양 측벽을 타고 내려오는 수평기류와, 바닥면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퍼져가는 수직기류가 혼합되면서 실내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스윙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
상기 스윙운전은,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상기 제 2 베인군(82,84)이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설정된 제 1 회동각(a)과 제 2 회동각(a’)의 사이 각도를 연속적으로 왕복하도록 회동하는 운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윙운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제 1 혼합운전에서 설정된 제 1 회동각(a)인 30°(최고각)와 제 2 회동각인(a’)인 70°(최저각) 사이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회동하며 위치할 수 있도록 제 1 베인군(81,83)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100)는 제 1 혼합운전에서 설정된 제 2 회동각(a’)인 70°와 제 1 회동각(a)인 30°사이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회동하며 위치할 수 있도록 제 2 베인군(82,84)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수평기류 또는 수직기류가 도달하지 않거나, 상기 수평기류 또는 수직기류의 도달 시점이 늦는 실내 지연공간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강할 것이다.
상기 스윙운전에 의하면, 상기 수직기류와 상기 수평기류의 혼합 범위가 넓어지므로, 상기 실내 지연공간을 최소화하여 실내온도를 보다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윙운전의 수행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5)
일례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혼합운전에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은 양측 방향으로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상하 방향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므로 상기 양측 방향에 수직한 실내 공간의 전후 방향에는 스윙운전에도 불구하고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지대의 온도는 다른 실내공간의 부분 보다 온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하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혼합운전 및 상기 스윙운전이 커버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온도를 빠르게 설정온도로 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제 2 혼합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40)
상세히, 상기 제 2 혼합운전에서, 제 1 회동각(a)은 60°보다 크고 80°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회동각(a)은 7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은 설정된 제 1 회동각(70°)으로 위치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수직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혼합운전에서, 제 2 회동각(a’)은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혼합운전에서 상기 제 2 회동각(a’)은 3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설정된 제 2 회동각(30°)으로 위치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전, 후방으로 가이드함으로써 수평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운전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을 새롭게 설정된 각각의 회동각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출모터(9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혼합운전(S140)은,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이 상기 제 1 혼합운전의 회동각을 서로 맞바꾸어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운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혼합운전을 통해 상기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으로 커버하지 못한 사각지대의 실내 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2 혼합운전의 수행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3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45)
일례로, 상기 제 3 설정시간은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운전은 제 3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1 베인군(81,83)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를 형성(도6 참고)하며, 상기 제 2 베인군(82,8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천장면을 따라 실내 공간의 전후 방향에 위치한 벽을 향하여 수평기류를 형성(도 6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전후 방향은 제 1 혼합운전의 측벽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냉방 운전인 경우 상기 제 2 혼합운전에서는, 실내 전후방 벽을 타고 내려오는 수평기류와 실내 바닥면의 중심부에서 측방으로 퍼져가는 수직기류가 혼합되면서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에서의 사각지대를 해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 실내 공간의 실내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혼합운전(S120) 및 상기 제 2 혼합운전(S140)은, 제 1 베인군(81,83)과 제 2 베인군(82,84)이 서로 다른 회동각으로 위치되어 각각 수평기류 또는 수직기류를 발생시키는 운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회귀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50)
상기 회귀운전은, 역순으로 상기 스윙운전과 상기 제 1 혼합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스윙운전이 제 2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은 다시 30°와 70°사이를 연속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제 2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 1 혼합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은 30°로,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70°로 회동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 1 설정시간 동안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회귀운전을 통하여, 상기 제 2 혼합운전 진행 중 외기 또는 통풍의 영향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부분을 다시 하강시킴으로써 실내 전체 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시 상기 제 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 1 혼합운전, 스윙운전, 제 2 혼합운전, 스윙운전 및 제 1 혼합운전의 순서로 운전됨으로써 다이나믹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0)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온도를 사각지대 없이 하강시킬 수 있으므로 설정온도의 도달시간이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냉방운전 여부 판단단계(S110)에서 냉방운전이 아닌 난방운전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이나믹 기류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냉방운전 여부 판단단계(S110)에서 난방운전으로 판단된 경우에도,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 1 혼합운전(S120), 제 2 혼합운전(S140) 및 회귀운전(S150)을 냉방운전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냉방운전에서 제 1 혼합운전(S120), 제 2 혼합운전(S140) 및 회귀운전(S150)의 설명은,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에서 그대로 원용한다.
한편, 냉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에서 스윙운전은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에 난방이 필요한 경우는 냉방이 필요한 경우와 환경 조건을 달리한다. 상세히, 난방이 필요한 실내에 상기 스윙운전이 수행되면,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는 상승하게 되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즉, 사용자 활동 영역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제어방법에서는, 후술할 고정운전으로 상술한 스윙운전을 대체할 수 있다.
즉,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 생성을 위한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 1 혼합운전(S120)이 수행되고 제 1 설정시간(S125)이 경과한 경우, 고정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60)
상기 고정운전(S160)은,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이 동일한 회동각을 가지도록 위치되어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운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운전에서 제 1 회동각(a) 및 제 2 회동각(a’)은, 6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운전에서 상기 제 1 회동각(a) 및 제 2 회동각(a’)은 7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은, 설정된 회동각(70°)으로 회동하여 토출구(2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하방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고정운전의 수행시간이 미리 설정된 제 2 설정시간을 경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35)
일례로, 상기 제 2 설정시간은 5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난방이 필요한 경우, 고정운전을 통하여 실내 지면 방향으로 따뜻한 공기를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위치한 실내 공간의 하부로 집중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위치한 부분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전의 제 1 혼합운전 및 이후의 제 2 혼합운전을 통하여 실내 전체 공간에 토출된 따뜻한 공기를 빠르게 대류 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설정온도까지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잇다.
즉, 전체 실내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부적인 공간에서의 온도도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난방 효과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5의 냉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토출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며, 도 7은 도 5의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토출되는 기류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고, 도 8은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에서 설정온도 도달 시간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며, 도 9는 종래 천장형 공기조화기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에서 설정온도 도달 시간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냉방운전 중 제 1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제 1 혼합운전에서는, 제 1 베인군(81,83)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천장면을 따라 실내 공간의 양측 방향에 위치한 벽을 향하는 수평기류를 형성하며, 제 2 베인군(82,8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 중심부를 향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혼합운전에서는, 실내 양 측벽을 타고 내려오는 수평기류와 실내 바닥면의 중심부로 하강하여 반경 방향으로 퍼지는 수직기류가 혼합될 수 있다.
제 1 혼합운전 이후 제 2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스윙운전에서는,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이 제 1 혼합운전에서 설정된 제 1 회동각(a)과 제 2 회동각(a’)의 사이 각도를 왕복하도록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스윙운전에서는, 제 1 혼합운전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향하는 수직기류와 양측 방향으로 향하는 수평기류의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수평기류 및 상기 수직기류의 혼합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스윙운전의 온도 분포가 나타나는 실험그래프(도6)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0)가 설치된 천장면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그어지는 수직선을 중심 축이라 정의하면, 혼합 범위가 상기 중심 축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시간대에 실내 공간의 중심부로 기류가 집중될 수 있어 실내 공간에서의 기류 혼합을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스윙운전 이후 제 3 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제 2 혼합운전에서는,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이 제 1 혼합운전에서 설정된 제 1 회동각(a)과 제 2 회동각(a’)을 서로 맞바꾸어 새롭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인군(81,83)은, 제 1 혼합운전의 제 2 회동각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 2 베인군(81,83)은 제 1 혼합운전의 제 1 회동각으로 위치된다.
제 2 혼합운전의 온도 분포가 나타나는 실험그래프(도6)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베인군(81,83)과 상기 제 2 베인군(82,84)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한 토출베인이기 때문에, 제 2 혼합운전의 수평기류 및 수직기류는 제 1 혼합운전의 수평기류 및 수직기류와 수직한 방향에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베인군(81,83)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실내 공간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강하는 수직기류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베인군(82,84)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천장면을 따라 실내 공간의 전후 방향에 위치한 벽을 향하여 수평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에도 불구하고, 상기 중심 축과 상기 실내공간의 전후방향에 위치한 벽 사이에는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각지대는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에 의해 혼합된 기류의 도달 시점이 늦거나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혼합운전의 온도 분포가 나타나는 실험그래프(도6)를 참고하면, 상기 제 2 혼합운전에 의하여 상기 사각지대가 해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제 1 혼합운전, 스윙운전 및 제 2 혼합운전에 의하여 실내공간에서 상기 수평기류 및 상기 수직기류의 혼합이 더욱 용이하게 하고, 혼합범위도 더욱 넓어지게 함으로써 실내온도를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10)는 실내온도를 목표한 설정온도로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다이나믹 기류에 의한 실내공간의 냉방 효과와,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에서 공기조화기의 회전 동작에 따른 냉방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상세히, 외부온도 35℃, 실내 초기 내부온도 33℃, 동일한 풍량(강풍)일 때 공기조화기의 설정온도 26℃로 설정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내온도를 1℃ 하강시키는데 13분 11초가 소요되며,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는데 17분 37초가 소요된다. 반면에, 종래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조건에서 실내온도를 1℃ 하강시키는데 14분 18초가 소요되며,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는데 35분 45초가 소요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다이나믹 기류모드에 의하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져 사용자에게 빠르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모드는 제 1 혼합운전 및 제 2 혼합운전에서 토출되는 수평기류와 수직기류의 유동 모습이 앞서 설명한 냉방운전(도 6)과 유사하다. 다만, 냉방운전과 달리 난방운전에서는 토출베인(8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초기 실내온도 보다 높게 제공됨이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실내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난방운전에서는, 스윙운전 대신 고정운전(S160)이 수행된다.
상기 고정운전에서는 제 1 베인군(81,83) 및 제 2 베인군(82,84)이 동일한 회동각을 가지도록 위치한다. 일례로, 상기 고정운전에서 상기 제 1 회동각(a) 및 제 2 회동각(a’)은 70°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베인(80)의 가이드에 따라 하방으로 토출되는 따뜻한 공기가 제 2 설정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토출되면서, 실내공간의 하측 중심부로부터 실내온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이후, 제 2 혼합운전이 수행되면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기류의 혼합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 예를 들어, 실내 바닥면에서 높이 1.7(m) 사이의 실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된다. 이에 의하면, 실내온도의 설정온도 도달시간이 단축되는 동시에 난방운전에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다이나믹 기류에 의한 실내공간의 난방 효과와,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에서 공기조화기의 회전 동작에 따른 난방효과를 비교할 수 있다.
상세히, 외부온도 7℃, 실내 초기 내부온도 12℃, 동일한 풍량(강풍)일 때 공기조화기의 설정온도 26℃로 설정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내온도를 1℃ 상승시키는데 06분 50초가 소요되며,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는데 12분 36초가 소요된다. 반면에, 종래 공기조화기는 동일한 조건에서 실내온도를 1℃ 상승시키는데 15분 15초가 소요되며,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하는데 36분 31초가 소요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의 다이나믹 기류모드에 의하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빨라져 사용자에게 빠르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난방운전 중 다이나믹 기류모드에서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 보다 실내공간의 수직 온도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바닥면에서부터 천장면까지의 온도 차가 최소화되어 상술한 드래프트(Draft)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천장형 공기조화기 20: 패널
30: 흡입그릴 80: 토출베인

Claims (17)

  1. 천장면에 위치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네개의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토출구, 마주보는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1 베인군 및 마주보는 나머지 두 개의 변에 위치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제 2 베인군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의 회동각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 도달시키는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서 사용자의 쾌적감을 판단하기 위한 쾌적기류지수(Y) 산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는,
    상기 제 1 베인군이 제 1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수평기류를 생성하며,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과 다른 제 2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수직기류를 생성하는 제 1 혼합운전 단계; 및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과 상기 제 2 회동각(a’)의 사이 각도로 회동하며 운전하는 스윙운전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쾌적기류지수는,
    실내온도,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 풍량, 바닥면과 거리 및 기류 위치를 변수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쾌적기류지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을 만족하는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을 새롭게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롭게 산출된 회동각으로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상기 제 2 베인군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1 베인군 또는 제 2 베인군의 회동각과,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바닥면과 거리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 및
    상기 감지된 바닥면과 거리에 따라 상기 기류 위치가 매핑되어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의 수직 또는 수평 온도 차에 의해 발생되는 드래프트(Draft)의 정도를 나타내는 기류불쾌감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기류불쾌감지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풍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군은 상기 제 2 베인군의 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기류는 토출공기가 천장면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직기류는 토출공기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유동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군이 상기 제 2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상기 수직기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제 1 회동각(a)으로 위치되어 상기 수평기류를 생성하는 제 2 혼합운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운전 및 스윙운전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 기류모드 단계는,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스윙운전 단계는 상기 제 1 회동각과 상기 제 2 회동각이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는 고정운전 단계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운전 단계는,
    상기 제 1 베인군 및 상기 제 2 베인군이 상기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동각(a)은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동각(a’)은 60°보다 크고 8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80055566A 2018-05-15 2018-05-15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16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66A KR102168705B1 (ko) 2018-05-15 2018-05-15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16/391,847 US11221159B2 (en) 2018-05-15 2019-04-23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EP19172377.4A EP3569939B1 (en) 2018-05-15 2019-05-02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CT/KR2019/005335 WO2019221430A1 (en) 2018-05-15 2019-05-03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17/518,379 US20220120465A1 (en) 2018-05-15 2021-11-03 Method for controlling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566A KR102168705B1 (ko) 2018-05-15 2018-05-15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77A KR20190130877A (ko) 2019-11-25
KR102168705B1 true KR102168705B1 (ko) 2020-10-22

Family

ID=6637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566A KR102168705B1 (ko) 2018-05-15 2018-05-15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221159B2 (ko)
EP (1) EP3569939B1 (ko)
KR (1) KR102168705B1 (ko)
WO (1) WO2019221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285B (zh) * 2019-12-05 2021-10-15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向导风功能的空调及其控制方法
CN111023519A (zh) * 2019-12-31 2020-04-17 广州华凌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23415B (zh) * 2020-04-29 2022-02-2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
CN111623414B (zh) * 2020-04-29 2021-09-2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双出风口的空调器
CN111780323A (zh) * 2020-06-12 2020-10-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室内空调器的送风控制方法及室内空调器
EP4212787A4 (en) * 2020-09-08 2023-11-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CN112503740A (zh) * 2020-11-30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方法、设备及装置、存储介质和空调
CN113154652B (zh) * 2021-04-02 2022-09-0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及其上下出风的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531651A (zh) * 2021-06-08 2021-10-2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导风板的控制方法
CN114251818B (zh) * 2021-12-16 2023-06-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智能送风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6750A (ja) 1982-02-22 1983-09-01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100408065B1 (ko) 2001-07-16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의 베인 제어방법
KR100408066B1 (ko) * 2001-07-30 2003-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에어컨의 베인 제어방법
KR100452350B1 (ko) 2001-12-13 2004-10-1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0502A (ko) *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71060B1 (ko) * 2005-12-21 2013-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9297547B2 (en) 2009-09-28 2016-03-29 Daikin Industries, Ltd. Control device for varying the angle of air conditioning discharge flaps
CN102725589B (zh) * 2010-01-26 2015-03-04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顶置式室内单元
KR20120018519A (ko) * 2010-08-23 2012-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JP5250011B2 (ja) 2010-10-26 2013-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936635B1 (ko) 2012-02-14 201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6213539B2 (ja) * 2015-09-29 2017-10-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101823208B1 (ko) 2015-12-04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92610A1 (en) * 2016-05-02 2017-11-09 Lutron Electronics Co., Inc. Fan speed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1159B2 (en) 2022-01-11
US20220120465A1 (en) 2022-04-21
EP3569939A1 (en) 2019-11-20
EP3569939B1 (en) 2022-07-06
WO2019221430A1 (en) 2019-11-21
US20190353386A1 (en) 2019-11-21
KR20190130877A (ko) 201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70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16870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222211B2 (ja) 空気調和装置
US10488071B2 (en)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unit with vent door position detection
US20120171948A1 (en) Air flow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device
EP3358265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1280516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918929B1 (en) Air-conditioning indoor unit
KR1023177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JP7321283B2 (ja) 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4031907A (ja) 空気調和機
KR102364624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791926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4169861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CN114198890B (zh) 空调的控制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7415023B2 (ja) 空調システム
CN115654707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H11337153A (ja) 空気調和機
CN115077046A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WO2017056365A1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38106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00240953A (ja) 温風暖房機
KR20090067538A (ko) 공조장치 및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