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519A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8519A KR20120018519A KR1020100081405A KR20100081405A KR20120018519A KR 20120018519 A KR20120018519 A KR 20120018519A KR 1020100081405 A KR1020100081405 A KR 1020100081405A KR 20100081405 A KR20100081405 A KR 20100081405A KR 20120018519 A KR20120018519 A KR 201200185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unit
- distance
- unit
- height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24F1/003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in combination with simultaneous exhaustion of in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개방 부재;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되도록 하는 거리 감지부; 및 상기 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 부재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개방 부재;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되도록 하는 거리 감지부; 및 상기 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 부재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천장 매립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한 후 실내로 토출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다수의 실내기가 서로 다른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멀티 타입 공기 조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에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 및 실내기에는 열교환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내기는 천장에 매립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기는 천장 매립형 실내기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천장 매립형 실내기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천장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천장의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도록 제어된다. 즉, 천장의 높이가 높을수록 공기의 토출량이 많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매립형 실내기가 설치되는 천장의 높이는 건물의 구조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천장 매립형 실내기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설치 공간의 크기, 즉 천장의 높이등을 별도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천장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을 누락하거나, 잘못 설정하는 경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이 부적절하게 제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실내기의 작동은, 천장의 실제 높이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폭으로 구분된 높이 구간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즉, 서로 다른 천장의 높이가 동일한 높이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동일량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높이 구간에 포함되는 천장의 높이 중,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실내 공간에 생활하는 사람은 추위를 느끼게 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의 실내 공간에 생활하는 사람은 더위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설치 높이에 따라 최적의 공기량이 토출되는 것이 제한되므로,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내기가 실내 공간의 어느 일측에 편중되어 설치되는 경우, 즉 실내기가 일 벽면보다 타 벽면에 가깝게 설치되는 경우, 실내 공간 전체에 대하여 공기 토출량이 불균형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내기가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공기 토출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내기와 벽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공기 토출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개방 부재;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되도록 하는 거리 감지부; 및 상기 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 부재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 방법에는,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며,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하여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 베인이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실내기까지의 거리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에 기초하여, 공기의 토출량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실내기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베인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가 기동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하여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높이에 따라 공기 토출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측정된 실제 높이에 따라서 공기 토출량이 선형적으로 변동 제어되므로, 실내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리 감지 센서에 의하여 실내기와 벽면 사이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벽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공기 토출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천장 매립형 실내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 높이를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므로 설치가 쉬워질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후 잘못된 높이 설정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의 높이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의 높이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에는, 천장에 매립되며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제공되며 천장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20) 및 상기 흡입부(12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 된 후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구(155)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155)는 상기 흡입부(120)의 주변에 다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흡입부(120)와 토출구(155)의 형성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토출구(15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방 부재"로서의 토출 베인(164)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 베인(164)은 상기 토출구(155)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베인(164)의 움직임, 일례로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토출구(15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토출 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 및 흡입력을 제공하는 송풍 팬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실내기(100) 또는 전면 패널(150)의 설치 높이, 즉 상기 실내기(100) 또는 전면 패널(150)과 설치공간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높이 감지부(170)가 제공된다.
상기 높이 감지부(17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전면에 제공되며,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부(170)에는, 거리측정 센서(sensor)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에는, 실내기(100)가 설치되는 천장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170) 및 실내 공간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하는 온도 감지부(175)가 포함된다. 상기 온도 감지부(175)에는, 온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상기 높이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높이에 따라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 어셈블리(180)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182) 및 상기 팬 모터(18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송풍 팬(184)이 포함된다. 상기 팬 모터(182)의 회전수는 천장의 높이에 비례하여 증감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90)가 더 포함된다. 특히, 상기 메모리부(190)에는, 상기 높이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높이와 팬 모터(182)의 회전수에 관한 테이블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상기 토출구(15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토출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조절부(1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 조절부(160)에는, 상기 토출구(155)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토출 베인(164) 및 상기 토출 베인(16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토출 모터(162)가 포함된다. 상기 토출 베인(164)은 회전 가능하게 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베인(164)은 상기 토출구(155)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감지부(170,175)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으며, 구동 모터(162,182)를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더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 때, 실내기의 전원은 리모컨등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S11).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부(170)에 의하여 실내기의 설치 높이, 즉 천장의 높이가 감지될 수 있다(S12).
특정 높이가 감지되면, 감지된 높이에 대응하는 회전수로 팬 모터(182)가 제어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송풍 팬(184)이 회전될 수 있다(S13).
상기 온도 감지부(175)로부터 감지되는 실내 온도와 설정(목표)온도의 차이를 보상하는 제어가 수행된다. 이러한 보상 제어는, 천장의 높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천장 부근에 위치하는 온도 감지부(175)의 주변온도와, 거주자들이 체감하는 위치(바닥면으로부터 대략 1-1.5m) 사이의 온도 사이에는 소정의 오차 값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제어는, 이러한 오차 값을 적정한 수준으로 보정하는 제어 방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실내 온도가 30℃이고, 설정 온도가 25℃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실내 공간의 천장 높이가 3.2m인 경우에는, 실제 온도 차이값(실내온도-설정온도의 값)을 5℃ 그대로 인식한다.
반면에, 천장 높이가 2.7m인 경우에는 상기 5℃에서 보정 상수(α)만큼 뺀 값을 실제 온도 차이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천장 높이가 3.7m인 경우에는 상기 5℃에서 보정 상수(α)만큼 더한 값을 실제 온도 차이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천장의 높이가 높을수록 실제 온도 차이값이 감지된 값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온도 보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높이에 따른 보정 상수의 적용 및 온도 보상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메모리부(19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S14).
그리고, 상기 토출 모터(162)를 제어하여 토출 베인(164)의 개방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토출구(15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또는 그 양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S15).
상기한 바와 같은 설정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실내기(100)는 기동될 수 있다(S16).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의 높이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천장의 높이에 따라 상기 실내기(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양은 선형적으로 변화한다.
상세히, 상기 높이 감지부(170)에 의하여 감지된 천장 높이가 Ho인 경우, 상기 팬 어셈블리(180)에서 토출되는 풍량은 Wo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이에 대응하는 풍량값은 상기 메모리부(19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천장의 높이가 증가됨(Ho->H1->H2)에 따라 토출되는 풍량은 선형적으로 증가된다(Wo->W1->W2). 즉, 천장의 실제 높이에 대응하여, 토출되는 풍량이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내 공간에 설치되었던 실내기(100)가 천장 높이가 다른 타 실내 공간으로 이동되어 설치되더라도, 별도의 높이 설정을 할 필요없이, 높이 감지부(170)의 감지 정보에 따라 자동적으로 풍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는 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실내기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른 토출 공기의 풍량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에는, 실내기(100) 또는 전면 패널(150)로부터 실내 공간의 벽면까지의 거리가 감지되도록 하는 벽면 감지부(172)가 포함된다. 상기 벽면 감지부(172)에는 거리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벽면 감지부(172) 및 높이 감지부(170)를 통칭하여, "거리 감지부"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벽면 감지부(172)는 전면 패널(150)에 제공되며, 벽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벽면 감지부(172)는 다수의 벽면을 각각 향하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는 달리, 상기 벽면 감지부(172)는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벽면 감지부(172)는 일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일 벽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한 후 회전되고, 타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서 타 벽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내기(100)에는, 복수의 토출 베인을 포함하는 토출 조절부(26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토출 베인에는, 제 1 토출베인(261), 제 2 토출베인(262), 제 3 토출베인(263) 및 제 4 토출베인(264)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토출베인(261,262,264,264)는 개폐여부 또는 개방 정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내기(100)에는 상기 복수의 토출베인(261,262,263,264)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토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높이 감지부(170)를 통하여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감지될 수 있다(S21,S22). 그리고, 상기 벽면 감지부(172)를 통하여 실내기(100)로부터 다수의 벽면까지의 거리가 각각 감지될 수 있다(S23).
감지된 높이에 대응하여 적정 풍량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팬 모터(182)의 출력(회전수)가 제어되며, 높이에 따른 실내온도와 설정온도 값의 차이에 대한 보상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S25).
그리고, 감지된 벽면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토출 모터가 제어되며, 이에 따라 토출 베인(261,262,263,264)의 개방 각도가 조정되어 공기의 토출 방향 및 토출 풍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S26).
그리고, 실내기(100)가 기동되기 시작한다(S27).
여기서, 상기 토출 베인(261,262,263,264)들은 그 개방되는 정도가 각각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상세히, 도 7에는 실내기(100)가 위치를 달리하여 실내공간(300)에 배치되는 3가지의 경우가 도시된다. 상기 실내공간(300)은 대략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패널(150)이 실내공간(3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면(A 위치), 즉 실내기(100)로부터 4방향의 벽면(310)까지의 거리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면, 상기 제 1 내지 4 토출베인(261,262,263,264)의 개방 정도는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기(100)로부터 토출되는 풍량은 4방향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50)이 일 벽면(310)에 근접하여 위치되면(B 위치), 즉 실내기(100)로부터 일 벽면(310)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제 2 토출베인(262)에서 토출되는 풍량이 가장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 3 토출베인(263)에서 토출되는 풍량이 가장 많으며, 제 1 토출베인(262) 및 제 4 토출베인(264)에서 토출되는 풍량은 제 2 토출베인(262)에서의 풍량보다는 많고 제 3 토출베인(263)에서의 풍량보다는 적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150)이 타 벽면(310, 여기서는 2개의 벽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면(C 위치), 즉 실내기(100)로부터 타 벽면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제 1 토출베인(261) 및 제 3 토출베인(263)에서 토출되는 풍량이 가장 적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 2 토출베인(262) 및 제 4 토출베인(264)에서 토출되는 풍량은 상기 제 1 토출베인(261) 및 제 3 토출베인(263)에서 토출되는 풍량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토출베인은 다수의 벽면을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며, 토출베인의 개방 정도는 각 토출베인과 벽면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기와 다수의 벽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 벽면에 대응하는 토출 베인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실내 공간의 전체에 대하여 고르게 냉방 또는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 또는 전면 패널(150)에는, 실내공간의 높이 또는 벽면까지의 거리가 감지되도록 하는 하나의 거리 감지부(270)가 포함된다.
상기 거리 감지부(27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로부터 실내공간의 바닥면 또는 일 벽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272) 및 상기 감지 센서(272)의 배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 모터(274)가 포함된다.
상기 감지 센서(272)는 일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실내기의 설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 센서(272)는 상기 방향 전환 모터(274)에 의하여 타 방향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다수의 벽면 중 일 벽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감지 센서(272)는 방향이 전환되어, 다수의 벽면까지의 거리들을 각각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감지 센서(272)가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실내기의 설치 높이 및 벽면까지의 거리는 차례로 감지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기의 설치 높이 및 벽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실내기의 구성이 컴팩트해지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0 : 실내기 110 : 본체
120 : 흡입부 150 : 전면 패널
155 : 토출구 164 : 토출 베인
170 : 높이 감지부 172 : 벽면 감지부
175 : 온도 감지부
120 : 흡입부 150 : 전면 패널
155 : 토출구 164 : 토출 베인
170 : 높이 감지부 172 : 벽면 감지부
175 : 온도 감지부
Claims (12)
-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흡입부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개방 부재;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바닥면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되도록 하는 거리 감지부; 및
상기 거리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개방 부재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부에는,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감지되도록 하는 높이 감지센서; 및
상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기로부터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가 감지되도록 하는 벽면 감지센서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센서는 상기 벽면 감지센서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감지부에는,
상기 높이 감지센서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모터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높이에 대응하여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 어셈블리; 및
상기 높이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높이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송풍량이 매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복수의 개방 부재는 개방여부 또는 개방 정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방 부재는 각각 대응하는 벽면까지의 거리에 비례하여 그 개방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가 감지되도록 하는 온도 감지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온도와 상기 실내 공간의 온도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바닥면과, 천장 및 다수의 벽면이 규정되는 실내 공간에 대하여, 상기 천장에 매립되며,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하여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토출 베인이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실내기까지의 거리가 감지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에 기초하여, 공기의 토출량이 결정되는 단계;
상기 벽면으로부터 상기 실내기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베인의 개방 정도가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실내기가 기동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량은,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에 대응하여 선형적으로 변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베인은 상기 다수의 벽면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의 토출 베인은 다수의 벽면에 대하여 이격된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는 하나의 거리감지 센서가 포함되며,
상기 실내기의 설치 높이와, 상기 벽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거리감지 센서가 방향 전환되는 과정에서 차례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1405A KR20120018519A (ko) | 2010-08-23 | 2010-08-23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US13/196,146 US20120042662A1 (en) | 2010-08-23 | 2011-08-02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S11176864.4T ES2621221T3 (es) | 2010-08-23 | 2011-08-08 | Unidad interi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y método de control de la misma |
EP11176864.4A EP2423608B1 (en) | 2010-08-23 | 2011-08-08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110244443.1A CN102374590B (zh) | 2010-08-23 | 2011-08-22 | 用于空调的室内单元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1405A KR20120018519A (ko) | 2010-08-23 | 2010-08-23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8519A true KR20120018519A (ko) | 2012-03-05 |
Family
ID=4467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1405A KR20120018519A (ko) | 2010-08-23 | 2010-08-23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42662A1 (ko) |
EP (1) | EP2423608B1 (ko) |
KR (1) | KR20120018519A (ko) |
CN (1) | CN102374590B (ko) |
ES (1) | ES2621221T3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6112A (ko) * | 2018-02-08 | 2019-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US10436456B2 (en) | 2015-12-04 | 2019-10-08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8034B1 (ko) * | 2012-11-19 | 2019-06-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2157072B1 (ko) | 2013-12-03 | 2020-09-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조장치 또는 공조시스템의 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
CN103727638B (zh) * | 2013-12-19 | 2016-01-06 | 宁波瑞易电器科技发展有限公司 | 空调智能调节系统 |
CN105318501B (zh) * | 2015-10-16 | 2018-08-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天井机回风框的控制方法和装置 |
JP6719975B2 (ja) * | 2016-05-19 | 2020-07-08 |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
JP7020891B2 (ja) * | 2017-12-11 | 2022-02-16 | 株式会社東芝 |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102168705B1 (ko) * | 2018-05-15 | 2020-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CN110686387A (zh) * | 2019-09-23 | 2020-01-1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天井机控制方法、装置及天井机空调 |
WO2022054126A1 (ja) * | 2020-09-08 | 2022-03-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調システム |
CN115406000B (zh) * | 2022-08-11 | 2024-06-1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天井机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天井机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218757A (ja) * | 1986-03-20 | 1987-09-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装置 |
JPS63271052A (ja) * | 1987-04-30 | 1988-11-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の送風制御装置 |
US4782999A (en) * | 1987-08-21 | 1988-11-08 | Kabushiki Kaisha Toshiba |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grille control method thereof |
JP3102906B2 (ja) * | 1991-01-30 | 2000-10-23 |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US5326028A (en) * | 1992-08-24 | 1994-07-05 | Sanyo Electric Co., Ltd. | System for detecting indoor conditions and air conditioner incorporating same |
KR0161063B1 (ko) * | 1993-06-14 | 1999-01-15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
ID16934A (id) * | 1996-05-22 | 1997-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lat kontrol arah dan kecepatan alir udara yang dikeluarkan oleh mesin penyejuk udara dan metoda kerjanya |
WO2001055649A1 (en) * | 2000-01-28 | 2001-08-02 | Toshiba Carrier Corporation |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for mounting in the ceiling |
KR100957698B1 (ko) * | 2007-12-21 | 2010-05-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실내기 |
KR101253239B1 (ko) * | 2008-03-11 | 2013-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2010
- 2010-08-23 KR KR1020100081405A patent/KR20120018519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1
- 2011-08-02 US US13/196,146 patent/US2012004266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8-08 ES ES11176864.4T patent/ES2621221T3/es active Active
- 2011-08-08 EP EP11176864.4A patent/EP242360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1-08-22 CN CN201110244443.1A patent/CN10237459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36456B2 (en) | 2015-12-04 | 2019-10-08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
KR20190096112A (ko) * | 2018-02-08 | 2019-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천장형 공기조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23608A2 (en) | 2012-02-29 |
US20120042662A1 (en) | 2012-02-23 |
CN102374590B (zh) | 2016-05-04 |
EP2423608A3 (en) | 2013-04-17 |
EP2423608B1 (en) | 2017-01-18 |
ES2621221T3 (es) | 2017-07-03 |
CN102374590A (zh) | 2012-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18519A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 |
JP5404777B2 (ja) | 空気調和装置 | |
US10337756B2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4478082B2 (ja) |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 |
JP6734624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 |
JP5507231B2 (ja) | 空気調和機 | |
JP2014163563A (ja) | 室内機及び空気調和装置 | |
KR20150125343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90116299A (ko) |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 |
US12111067B2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KR20110030961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170090837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EP3208550B1 (en) | Air conditioning apparatus | |
JP6562139B2 (ja) | 冷凍装置 | |
KR101679576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791926B1 (ko)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
JP2021076263A (ja) | 空調室内機及び空調室内機を備えた空調機 | |
KR20060031149A (ko)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온도제어방법 | |
KR20240075083A (ko) | 공기조화기 | |
KR100637665B1 (ko) |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 |
JP2020063863A (ja) | 空気調和装置 | |
KR20070019184A (ko) | 유니터리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 표시장치 및 방법 | |
JP2000230741A (ja) | 空気調和機 | |
KR20080065177A (ko) | 공간 공조 능력을 향상시킨 공기조화기 | |
KR20060025625A (ko) | 멀티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38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07 Effective date: 2017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