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667B1 -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667B1
KR102464667B1 KR1020180059298A KR20180059298A KR102464667B1 KR 102464667 B1 KR102464667 B1 KR 102464667B1 KR 1020180059298 A KR1020180059298 A KR 1020180059298A KR 20180059298 A KR20180059298 A KR 20180059298A KR 102464667 B1 KR102464667 B1 KR 10246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ir conditioner
server
space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101A (ko
Inventor
한동우
송태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667B1/ko
Priority to US17/058,420 priority patent/US11421906B2/en
Priority to EP19807767.9A priority patent/EP3805655A4/en
Priority to PCT/KR2019/005940 priority patent/WO2019225912A1/ko
Publication of KR2019013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24F2120/12Position of occup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SERVER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WITH AREA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영역을 인식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에 관한 기술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가 분리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최근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해서만 냉방 또는 난방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인식하는 기술이 제안되는데, 이는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위치 만으로는 공간에 적합한 운전 방식을 설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등록번호 10-1569414 출원의 경우, 인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따라 일회성으로 풍량과 풍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파악하는 기능은 없다. 단지 인체만을 감지한 결과에 기반하여 일회적으로 동작하므로, 인체 감지의 부정확성을 해결하는 방안이 부족하다.
특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특정한 공간에 고정되어 배치되어 동작하므로, 공간의 정보를 취득하여 이에 기반하여 동작할 경우 해당 공간에 보다 특화된 운전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쾌적함을 향유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 제어를 위한 실생활 영역을 인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에 대해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조화기가 재실 인원의 위치나 수 등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의 체감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공기조화기가 공간 내의 생활 영역을 인지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와 공기조화기가 각각 생활 영역을 인식하여 그 결과를 통해 정확한 영역 인식에 기반하여 공기조화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버에 다수의 공기조화기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통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송수신할 데이터의 크기나 전송 횟수를 접속한 공기조화기의 수에 따라 증감시켜 통신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다수의 공기조화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각각 인체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단위(a)에 따라 수신하여 이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공기조화기가 재실 인원의 위치나 수 등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의 체감 효율을 높여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공기조화기가 공간 내의 생활 영역을 인지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공간 내의 생활 영역을 서버와 공기조화기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다수의 공기조화기가 통신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통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송수신할 데이터의 크기나 전송 횟수를 접속한 공기조화기의 수에 따라 증감시켜 통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를 쉽게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기반 공간 학습 로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학습을 수행하는 로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영역의 인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구분에 필요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돌출맵과 2차원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서버가 연동하여 스마트케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조조화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로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분한다. 하나의 공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실외기와 하나 이상의 실내기로 구성된다.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관계는 1:1, 1:N, 또는 M:1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을 제어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방에 중점을 두고 설명한다. 난방에 적용될 경우에는 온도를 높이는 과정과 높인 온도를 유지하는 메커니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냉방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난방의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공기조화기 제어를 위한 실생활 영역 인식 서버연동에 대해 살펴본다. 공기조화기의 냉방 혹은 난방 효율 및 사용자 쾌적성을 증대를 위해 사용자가 거주하는 실생활 영역 인식을 제품내부와 더불어 서버와 연동하여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공기조화기 내부에서만 알고리즘을 구현할 경우 처리 가능한 데이터의 양에 한계가 있고, 알고리즘을 추가 학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서버로 인체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가 해당 정보를 수집 분류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영역을 판단하여 신뢰성을 개선하고, 추후 알고리즘의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가 판단한 공간과 서버가 판단한 공간을 비교하여 최종 공간 결과를 생성함으로써 공간 인식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기조화기(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인 비전모듈(110)는 공기조화기의 송풍부(15)가 바람을 보낼 수 있는 범위 내에 객체들과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비전모듈(110)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12)를 포함하며 카메라부(112)가 촬영한 이미지를 비전모듈(110)이 프로세싱하여 인체 감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인체 감지 데이터는 공간 내에 사람의 위치를 각도와 거리로 산출한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저장부(120)는 촬영한 이미지 또는 감지 데이터를 일정한 분량으로 저장한다.
제어부(150)는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공간 구분 데이터는 일 실시예로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공간 구분 데이터는 집중 송풍 영역의 각도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공간 구분 데이터는 비집중 송풍 영역의 각도 및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집중 송풍 영역은 스마트케어와 같이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쾌속 운전 후 쾌적 운전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쾌속 운전을 수행하는 영역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제어부(150)는 재실자의 위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집중 송풍 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실내 공간 내의 생활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감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활(상주/이동)영역과 미생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분된 생활 영역인 집중 송풍 영역에 대해 효율적으로 냉방 혹은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류를 제어함으로써, 냉방/난방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스마트 케어 과정에서 집중 송풍 영역으로 송풍부(15)가 바람을 보내도록 제어한다. 스마트 케어란 공기조화기가 처음 켜지거나 사용자가 스마트케어를 선택한 경우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의 희망 온도에 근접하도록 송풍의 양과 송풍 공기의 온도, 방향 등을 제어하는 쾌속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 감지를 통해 재실자의 위치를 향해 집중적으로 송풍한 후, 실내 온도가 희망 온도에 근접하거나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쾌적 운전을 수행한다.
이에, 제어부(150)는 인체 감지에 기반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이를 서버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80)는 외부의 서버 또는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80)는 카메라부(112)가 촬영한 이미지 또는 비전 모듈(110)이 산출한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공간을 구분하는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외부의 통신 장치(태블릿, 노트북, TV, 스마트폰 등)에게 카메라부(112)가 촬영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80)가 수신한 제2공간 구분 데이터와 제어부(150)가 생성한 제1고간 구분 데이터 중에서 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을 선택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을 생성하여 스마트 케어 과정에서 제어부(150)가 송풍부(15)의 풍량 및 바람의 각도(상하 또는 좌우)를 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현재 동작 상황을 표시하거나 외부로부터 온/오프를 할 수 있도록 버튼을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40)는 외부로부터(리모컨, 사람의 버튼 선택 등) 공기조화기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분 데이터와 서버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분 데이터의 삭제를 지시하는 초기화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원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 간의 정보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기반하거나 혹은 물리적 통신선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해 정보의 전송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기반 공간 학습 로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전모듈(110)는 인체 감지 데이터를 포함한 비전 정보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공간에 대한 정보 역시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공기조화기가 켜지면(S20) 통신부(180)를 제어하여 서버(200)로부터 공간의 재실자를 감지하여 송풍 영역을 구분하는 공간 구분(거리, 각도) 데이터를 요청한다(S21). 통신부(180)는 Wi-Fi 혹은 이동통신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전에 전송된 인체 감지 데이터 도는 이전에 생성한 공간 구분 데이터 또는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제공된 인체 감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간 구분(거리, 각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공기조화기(100)에게 전송한다(S22). 한편, S21~S22 과정에서 비전모듈(110)는 인체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여(S23) 이를 제어부(150)에게 전송한다(S24). 그리고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12)가 촬영하고 비전모듈(110)이 산출한 인체감지 데이터를 통신부(180)에게 전송한다(S25).
통신부(180)는 S23 내지 S25 과정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들은 계속 누적한다. 누적 과정에서 통신부(180)는 내장된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일정한 수의 데이터가 누적되면(S26) 통신부(180)는 누적된 데이터를 서버(200)에게 전송한다(S27). 또한, 서버(200)에게 누적 데이터 전송과 공간 감지를 수행한 결과를 요청한다(S27). 서버(200)는 전송된 데이터들에 기반하여 공간 감지를 수행한 데이터를 전송한다(S28). 제어부(150)는 이에 기반하여 스마트 케어를 위해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을 구분하여 송풍한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40)가 공간 구분을 초기화하는 명령을 수신하면(S29) 제어부(150)는 이에 기반하여 비전모듈(110) 및 서버(200)에게 데이터 초기화를 지시한다(S30, S31).
도 2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비전 모듈을 일 실시예로 하는 비전모듈(110)이 감지한 인체의 위치정보를 제어부(150)로 전송하고(S24), 제어부(150)는 해당 정보를 와이파이 모듈을 일 실시예로 하는 통신부(180)에 전송 및 저장한다(S25, S26).
통신부(180)는 인체위치정보가 일정 수량(a개) 쌓이면 서버로 전송한다(S26~S27). 여기서 a개는 통신부(180)가 서버(200)로 전송하는 인체 감지 데이터의 단위가 될 수 있다.
통신부(180)는 비전모듈(110)이 생성한 인체 감지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누적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데이터 송신 단위(a)에 도달한 경우 누적된 데이터를 서버(200)에게 전송하여 수많은 공기조화기와 통신하는 서버(200)의 접속 상태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데이터 송신 단위(a)는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서버(200)가 유동적으로 변경하여 공기조화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180)는 a 값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며, a 값은 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둘 이상의 공기조화기의 수에 반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현재 서버(200)에게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의 수가 많을 경우, 서버(200)는 인체 감지 데이터의 전송 단위인 a를 증가시켜서 간헐적으로 공기조화기(100)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통신 연결의 병목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 서버(200)에 접속하거나 현재 서버(200)에게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의 수가 많을 경우, 서버(200)는 빠른 시간 내에 통신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므로, 인체 감지 데이터의 전송 단위인 a를 감소시켜서 공기조화기(100)가 보다 빨리, 자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공간 구분 데이터의 실시간성을 높일 수 있다.
서버(200)는 통신부(180)에서 보내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일정 수량인 M(서버판단단위)이 되면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공간 구분 데이터(공간 감지 정보 또는 공간 구분 정보)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80)는 위치정보를 서버로 올릴 때마다 공간구분 데이터를 요청하지만(S27), 서버(200)에서는 M개의 데이터가 모여서 알고리즘을 돌리기 전까지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보내주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서버(200)에서 도출된 공간 정보는 통신부(180)를 통해서 제어부(150)에게 전달된다(S28). 공기조화기(100)는 인터페이스부(140) 상의 공간 구분 데이터 초기화 버튼이 눌려지거나 선택되어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S29), 해당 정보가 비전모듈(110) 및 서버(200)로 전달되어 동시에 데이터 초기화가 이뤄진다(S30, S31). 즉, 제어부(150)는 초기화 지시에 대응하여 공기조화기 내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삭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통신부(180)를 제어하여 서버(200)에게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위치 이동 등으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가 초기화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 역시 관리하는 개별 공기조화기별 데이터의 수가 서버판단단위인 M개를 넘어가면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a개 단위로 삭제하면서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통신부(180)가 서버(200)에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서버(200)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산출할 만큼 충분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제품 단에서 산출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숭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학습을 수행하는 로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공기조화기(100)에서 구분한 공간 구분 데이터(공간 정보)와 서버(200)에서 구분한 공간 구분 데이터의 유무에 따라 제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공기조화기(100)가 스마트케어(smart care) 상태로 진입하면(S41), 제어부(150)는 공간 구분 정보가 서버(200) 혹은 공기조화기(제품) 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2). 일 실시예로 통신부(180)가 서버가 가지고 있는 공간 구분 정보(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와 별도로 제어부(150)는 공기조화기가 보유하고 있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확인한다. 그리고 양쪽의 결과를 비교하여 신뢰성이 높은 결과를 기준으로 기류를 제어한다.
확인 결과 차이가 일정 기준 이하로 적을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적용하여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반면, 그 차이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공기조화기가 산출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비교 후 공기조화기의 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 경우, 서버가 가진 데이터(예를 들어 서버 판단 단위 M) 중에서 최근 기준으로 N개(자체판단단위) 데이터만 남기고 그전 데이터를 삭제하여 서버 측에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만 남도록 한다. 그리고 이후 서버(200)로부터 공간 구분 데이터를 다시 수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확인 결과(S43) 서버 기반 공간 구분 데이터가 없는 경우 조화기에 저장된, 조화기 기반 정보(공간 구분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S44). 그리고 조화기 기반 공간 구분 데이터 역시 없는 경우라면 공간 구분을 위한 최소의 데이터가 모이지 않은 상태로 전체 풀 스윙한다(S45).
한편 S44에서 서버 기반 정보(공간 구분 데이터)는 없으나, 조화기 기반 공간구분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에 맞춰 기류를 제어한다(S59). S43 및 S44의 판단의 실시예로는 통신부(180)가 서버(200)에게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조화기에서 생성된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한편 S43에서 서버기반 정보는 있으나, 조화기 기반 정보가 없는 경우는 조화기를 구성하는 제어부(150)의 메모리 혹은 저장부(12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로, 서버기반 공간구분 데이터에 따라 기류를 제어한다(S54).
한편 S43 및 S51에 기반하여 서버와 조화기 기반의 공간구분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는 생활영역 좌우 경계 각도 값의 차이를 비교한다(S52). 비교 결과 두 경계 모두 일정 크기, 예를 들어 10도 미만의 차이를 갖는다면 서버기반 공간 구분 데이터가 신뢰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 결과로 기류 제어한다(S56).
S53의 판단은 통신부(180)가 서버(200)에게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150)는 조화기에서 생성된 제1공간 구분 데이터 및 서버에서 생성된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정 기준 이하(각도, 거리 등)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에서 생성한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S52에서 비교 결과 두 경계 중 하나라도 10도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면 실내 공간 구분 데이터에 변화가 생긴 것(가구 위치이동 등)으로 판단하여 공기조화기 기반 공간 구분 데이터로 기류를 제어하고(S56), 서버에는 새로운 학습을 위해 최근 N개 외에 데이터는 삭제하고 알고리즘 구동을 위한 데이터를 다시 수집한다(S57).
도 3과 같은 구성을 적용할 경우, 기존의 공간학습은 제품 내에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제품 판매 후 알고리즘 성능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것에 대처하여 현재 제품이 설치된 공간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만약 도 3과 달리, 공기조화기 내에서 알고리즘 만으로 제어할 경우 알고리즘에 입력하는 데이터의 양에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로 공간을 구분할 경우 신뢰도가 낮을 우려가 있다. 반면, 서버에서만 많은 데이터로 공간을 구분할 경우 공간 내 특성 변화에 대응이 늦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도 3과 달리, 공간학습을 서버연동으로 구현할 때 인체감지 결과 정보를 감지될 때마다 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수많은 공기조화기들이 동시에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여 서버 쪽에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 부하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서버 및 공기조화기 내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할 경우, 처리 속도를 높이면서도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100) 내에 공간학습 알고리즘을 구현하면서도 이와 더불어 서버(200)도 공기조화기(100)로부터 인체감지 결과(위치정보)를 받아서 공간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조화기(100) 및 서버(200)는 알고리즘의 공간 구분 능력을 개선하여 서버 알고리즘을 교체하면 판매된 공기조화기도 개선된 알고리즘으로 작동할 수 있다.
서버(200)에 설치된 알고리즘은 공기조화기(100)와 비교할 때, 방대한 저장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에 저장 가능한 데이터 크기에 제약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버(200)는 더 많은 데이터로 공간을 분석하므로 알고리즘 결과의 높은 신뢰도가 확보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공기조화기(100)에 설치된 알고리즘과 서버(200)에 설치된 알고리즘이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간 구분을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일정 수준 이상 차이가 발생하면 공기조화기(100)가 설치된 환경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설치된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로 운전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기조화기(100)에만 공간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이 탑재된 경우와 동일한 대응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공기조화기(100)에 저장된 자체판단단위 N개(예를 들어 5000개)의 데이터로 판단한 공간 구분 결과와 서버(200)에 저장된 M개(N 보다 큰, 예를 들어 10000개)의 데이터로 판단한 공간 구분 결과를 비교하여 일정 각도 이상 차이가 날 경우와 아닌 경우에 대하여 두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실사용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두 결과의 중간값이나 평균값 등을 선택하여 실사용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화기 내에 누적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자체판단단위(N)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자체판단단위(N)는 데이터의 수가 될 수도 있고 데이터의 크기가 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감지된 인체 위치 정보를 통신부(180)에서 일정 수량을 수집한 뒤 이를 한번에 모아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여 서버(200)에 가해지는 통신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영역의 인식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비전 모듈(110)이 실내 공간 중 사용자가 주로 생활하는 영역을 집중 송풍 영역으로 인식 및 구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비전 모듈(110)은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재실자의 위치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인체감지 데이터를 입력받고(S61), 입력받은 인체감지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S62). 여기서 인체 감지 데이터는 실내기 기준 위치를 각도와 거리로 구성할 수 있다. 거리 정보는 세밀하게 미터 또는 센티미터로 구분할 수도 있고 근거리/중거리/원거리로 구분할 수도 있다.
비전 모듈(110)은 인체감지 데이터를 누적하며 카운팅(counting)하다가(S63), 일정수(K) 이상의 데이터가 누적되었다면, 2차원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S64). 2차원 히스토그램은 재실자를 감지한 결과 산출되는 각도와 거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2차원으로 구성된다. 히스토그램 생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후, 2차원 히스토그램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감지하기 위해 각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하고 특징을 추출한다(S65). 그리고 제어부(150)는 생성한 히스토그램을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머신러닝 기반으로 송풍 영역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한다(S66). 일 실시예로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더 세분화하여 제1집중 송풍 영역, 제2집중 송풍 영역, ..., 제1비집중 송풍 영역, 제2비집중 송풍 영역, ...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머신러닝은 SVM(Support Vector Machine), Adaboost와 같은 기법을 이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하게 결과가 누적되면(Q개 이상 누적되면)(S67), 머신 러닝 기반 송풍 영역을 최종적으로 분류한 결과를 도출한다(S68).
즉, 제어부(150)는, 머신러닝으로 기학습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포함하고, 재실자의 거리와 방향을 인식한 결과를 누적하여 복수의 영역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생성된 히스토그램을 인공신경망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는 별도의 머신러닝 없이 누적된 히스토그램에 기반하여 재실자가 많이 센싱된 영역을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송풍 영역을 구분한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S65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S67), 복수의 구분 결과를 취합하여 취합된 결과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실내 공간의 복수의 송풍 영역을 하나 이상의 집중 송풍 영역과 하나 이상의 비집중 송풍 영역으로 분류할 수 있다(S68).
즉, 공간 구분 결과가 일정 수 이상 누적되었을 때, 최종 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공간 내의 재실자 인식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인체감지 오류로 인해 발생한 미생활 영역의 일시적인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구분에 필요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S65에서 전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전 모듈(110)에서 동작 가능하다. 비전 모듈(110)이 인체를 감지한 결과(즉 감지된 위치의 각도와 거리)를 제어부(150)에 입력하면(S71), 제어부(150)는 돌출맵 (saliency map)을 구성할 수 있다(S72). 이는 비전 모듈(110)이 감지한 인체의 위치 정보 (각도/거리)를 양자화한 후 빈도수를 갱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영역을 잘 표현하게 하기 위해 상하, 좌우 영역도 함께 누적시킨다. 이 과정을 P개의 감지 결과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한다(S73).
충분히 감지 결과가 중복될 만큼 반복된 경우, 필터링 및 보간(Filtering and Interpolation)을 수행한다(S74). 이는 특정 각도/거리 영역에 편중된 감지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최대/최소 빈도값 필터링 및 보간(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연속적인 2차원의 히스토그램(2 Dimensional Histogram)으로 변환한다(S75).
비전 모듈(110)은 카메라부(112)가 획득하는 영상에서 재실자의 존재 여부 및 재실자의 거리와 방향을 인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재실자에 대해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생활 영역을 구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돌출맵과 2차원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의 77은 돌출맵 기반으로 거리와 각도에 대응하여 X-Y 축으로 돌출맵이 배치된 구성이다. 78은 돌출맵이 지속하여 누적된 결과 생성된 2차원의 히스토그램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서버의 구성은 저장부(220), 제어부(250) 및 통신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80)는 다수의 공기조화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각각 인체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단위(a)에 따라 수신한다. 제어부(250)는 수신한 인체 감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한다.
저장부(220)는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저장한다. 서버(200)가 다수의 공기조화기에게 공간 구분 데이터를 제공하므로, 저장부(220)는 각각의 공기조화기의 식별 정보와 함께 공간 구분 데이터 또는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80)는 전술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공기조화기(100)에게 전송한다. 공기조화기(100)는 수신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도 3과 같은 과정에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데이터 송신 단위(a)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의 수에 비례하여 a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의 수가 증가하면 a 값을 증가시켜 통신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공기조화기의 수가 감소하면 a값을 감소시켜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통신부(280)는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공기조화기의 수의 증감에 대응하여 a값을 공기조화기에게 전송한다.
또한, 서버(200)는 특정 공기조화기로부터 일정 수준의 크기(또는 개수)만큼 데이터가 누적된 후에 해당 공기조화기에게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80)가 공기조화기 별로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250)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초기화를 요청하는 메시지, 즉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통신부(280)가 공기조화기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어부(250)는 공기조화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부(220)에서 삭제한다.
그 외에도 제어부(250)는 저장부(220)에서 특정 공기조화기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삭제하여 최신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공간 구분 데이터가 송풍 영역을 집중 송풍 영역과 제1비집중 송풍 영역, 제2비집중 송풍 영역으로 구분한 실시예이다. 스마트 케어 동작이 선택되거나 공기조화기(100)가 턴온 되거나 혹은 집중 송풍이 선택된 경우 등의 상황에서 제어부(150) 또는 서버(200)에서 생성한 공간 구분 데이터 중에서 제어부(150)가 비교 및 선택한 공간 구분 데이터에서 정의된 집중 송풍 영역에 대해 공기조화기(100)는 집중 운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 집중 운전 모드로 동작한 후, 제1비집중 송풍 영역과 집중 송풍 영역에 대해 비집중 운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집중 운전 모드는 온도를 빨리 목표 온도에 도달 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비집중 운전 모드는 집중 운전 모드의 동작이 완료한 후 제어부(150)의 지시에 따라 공기조화기(100)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공기조화기(100)는 서버(100) 또는 공기조화기(100)가 생성한 공간 구분 데이터에 정의된 송풍 영역에서 집중 송풍 영역, 즉 생활영역을 상주/비상주영역으로 추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주로 거주하는 공간에 한정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벽면 등의 불필요한 영역으로 향하는 기류를 제한하고, 사용자 맞춤 운전이 가능하여, 냉방/난방 효율을 증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쾌적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집중 운전 모드와 비집중 운전 모드를 나눌 수 있어 사용자에게 빠른 시간 내에 주된 송풍 공간(집중 송풍 영역)의 온도를 목표 온도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을 적용할 경우, 설치 환경에 독립적인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변경된 생활영역 정보를 습득하여 적응할 수 있다. 송풍 영역을 구분하는 것 역시 공간 내를 지속적으로 촬영하여 재실자의 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92)는 외부로부터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딥러닝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딥러닝 모듈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200) 및 공기조화기(100)의 공간 구분 데이터가 일정 크기 이상 차이가 발생할 경우, 서버(200)의 신뢰도에 따라 제어부(150)가 달리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서버(200)에 업로드된 데이터의 수가 서버판단단위(M)에는 못미치지만, 자체판단단위(N) 보다 많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서버(200)의 산출 데이터의 신뢰도를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진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서버에서 산출된 제2공간 구분 데이터와 공기조화기에서 산출된 제1공간 구분 데이터의 평균값 혹은 중간값, 혹은 가중치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공간 구분 데이터를 믹스한 결과를 산출한다.
믹스한 결과는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 영역을 포함하는 제3 공간 구분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결과 비전 모듈이 인체 감지를 통해 공간을 감지한 결과(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서버에서 여러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단한 결과(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최종 결과를 판단하고 제어하므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서버가 연동하여 스마트케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기조화기(100)가 스마트케어 모드로 진입하면(S81), 공기조화기가 가지고 있는 공간 구분 데이터 및 서버로부터 수신한 공간 구분 데이터를 확인한다. 제어부(150)는 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조합한 최종 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을 설정한다(S82). 즉, 제어부(150)는 두 개의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 중에서 선택되거나 이들을 조합하여 산출된 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집중 송풍 영역을 향해 기류를 제어하여 쾌속 운전(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S83). 이후 공간 내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면(S84), 쾌적 운전(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S85). 쾌적 운전 모드에서 제어부(150)는 집중 영역과 비집중 영역 모두를 향해 기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공기조화기 110: 비전모듈
120: 저장부 140: 인터페이스부
150: 제어부 180: 통신부
200: 서버

Claims (11)

  1.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인체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모듈;
    상기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비전모듈이 생성한 인체 감지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며,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데이터 송신 단위(a)에 도달한 경우 상기 누적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a 값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a 값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둘 이상의 공기조화기의 수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에게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서버에게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하였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 및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정 기준 이하로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인체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모듈;
    상기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며,
    상기 누적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자체판단단위(N)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공기조화기.
  7.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인체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모듈;
    상기 비전모듈에서 생성된 인체 감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제1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체 감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공간 구분 데이터와 상기 제2공간 구분 데이터를 비교하여 집중 송풍 영역과 비집중 송풍영역으로 구분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상기 공간 구분 데이터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공간 구분 데이터의 삭제를 지시하는 초기화 지시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기화 지시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조화기 내에 저장된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상기 공간 구분 데이터를 삭제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에게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
  8. 다수의 공기조화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조화기로부터 각각 인체 감지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단위(a)에 따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인체 감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송풍 영역을 둘 이상으로 구분하는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체 감지 데이터 또는 상기 공간 구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기조화기에 전송하는,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체 감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공기조화기의 수에 비례하여 상기 a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신부는 일정한 시간 간격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수의 증감에 대응하여 상기 a값을 상기 공기조화기에게 전송하는, 서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공기조화기 별로 수신한 데이터의 크기 또는 개수가 서버판단단위(M)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상기 공간 구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삭제하는, 서버.

KR1020180059298A 2018-05-24 2018-05-24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KR10246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98A KR102464667B1 (ko) 2018-05-24 2018-05-24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US17/058,420 US11421906B2 (en) 2018-05-24 2019-05-17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by recognizing zone on ba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air conditioner
EP19807767.9A EP3805655A4 (en) 2018-05-24 2019-05-17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BY ZON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ER AND AIR CONDITIONER
PCT/KR2019/005940 WO2019225912A1 (ko) 2018-05-24 2019-05-17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방법, 서버 및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298A KR102464667B1 (ko) 2018-05-24 2018-05-24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101A KR20190134101A (ko) 2019-12-04
KR102464667B1 true KR102464667B1 (ko) 2022-11-07

Family

ID=6861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298A KR102464667B1 (ko) 2018-05-24 2018-05-24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21906B2 (ko)
EP (1) EP3805655A4 (ko)
KR (1) KR102464667B1 (ko)
WO (1) WO2019225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146A (ko) * 2021-07-22 202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240054806A (ko) * 2022-10-19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596848B1 (ko) * 2022-12-29 2023-11-0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 재실인원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추정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0895A1 (en) * 2013-03-14 2014-09-25 Pelco, Inc. Energy sav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5066B2 (en) 2001-11-19 2003-1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pace-conditioning control employing image-based detection of occupancy and use
JP5025322B2 (ja) 2007-05-09 2012-09-12 東光電気株式会社 空調制御システム
KR20090087365A (ko) 2008-02-12 2009-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068923A1 (en) 2008-09-02 2010-03-18 Edouard Tabet Side mounted patch panel
KR101569414B1 (ko) 2008-12-26 2015-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58504B1 (ko) * 2008-12-26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072399B1 (ko) 2009-05-25 2011-10-11 김명수 카메라 영상분석을 통한 오브젝트 인식기반의 지능형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방법
JP5528833B2 (ja) 2010-01-29 2014-06-25 三洋電機株式会社 換気制御装置
CN102679493B (zh) * 2012-04-28 2013-07-24 华南理工大学 基于日程表的教学楼中央空调末端设备管理方法及系统
US11651258B2 (en) * 2014-01-08 2023-05-16 Yechezkal Evan Spero Integrated docking system for intelligent devices
JP2017048930A (ja) * 2015-08-31 2017-03-09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およびプログラム
JP6807556B2 (ja) * 2015-10-01 2021-01-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調制御方法、空調制御装置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54708A (ko) 2015-11-10 2017-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멀티 코일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51729A (ko) 2016-11-08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1031A (ko) 2016-12-19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0895A1 (en) * 2013-03-14 2014-09-25 Pelco, Inc. Energy sav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5655A4 (en) 2022-03-16
US11421906B2 (en) 2022-08-23
EP3805655A1 (en) 2021-04-14
WO2019225912A1 (ko) 2019-11-28
KR20190134101A (ko) 2019-12-04
US20210215373A1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953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공기 조화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들의 동작 방법
EP3379163A2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64667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역을 인식하고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서버 및 공기조화기
WO20191202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air-conditioning system based on gait recognition
US20190309970A1 (en) Air-conditioner based on parameter learn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reof
KR102121785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지시된 위치로 풍향을 제어하는 에어컨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1835288B2 (en) Air conditioner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defrosting using camera and sensor data
KR102511522B1 (ko) 데이터 학습 서버, 이의 학습 모델 생성 및 이용 방법
KR10180088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JP5697583B2 (ja) 部屋形状認識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6335425B2 (ja) 空気調和機
US20200041156A1 (en) Air conditioner
CN105571066B (zh) 空调送风控制方法及装置
KR20190035007A (ko) 인공지능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1353228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managing heating and cooling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CN110195923A (zh) 一种空调送风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KR20140031081A (ko) 공기 조화기
CN109945438B (zh)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和空调器
JP2006317075A (ja) 空調制御システム
CN108195023B (zh) 空调器风感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可读存储介质
KR2018005172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108437A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CN110458051A (zh) 一种设备控制的方法、装置、服务器及可读存储介质
EP4242540A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699731A (zh) 基于人体行为识别的空调音乐智能播放方法及装置、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