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887B1 -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887B1
KR101800887B1 KR1020100129108A KR20100129108A KR101800887B1 KR 101800887 B1 KR101800887 B1 KR 101800887B1 KR 1020100129108 A KR1020100129108 A KR 1020100129108A KR 20100129108 A KR20100129108 A KR 20100129108A KR 101800887 B1 KR101800887 B1 KR 10180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607A (ko
Inventor
조성욱
이후철
문무현
황동범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887B1/ko
Priority to US13/298,634 priority patent/US9143344B2/en
Publication of KR2012006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9Remote control for preset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결정되는 운전 모드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시스템{Network system}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매 사이클의 작동에 의하여 실내 공간으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과 같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문서 또는 게임 프로그램 및 문서 파일 등을 자유로이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시킬 수 있고, 전화 통화도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가 대량으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에 설치된 가전 기기를 포함하는 전기 용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신축 아파트 또는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기기를 직접 조작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폰 또는 공기 조화기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결정되는 운전 모드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 및 운전 조건을 저장함으로써, 실내기가 설치된 장소에 사용자가 접근하면 설정된 운전 조건으로 실내기가 자동으로 동작하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는 실내기의 운전 조건을 리모컨이나 특별한 입력 장치 없이 지정된 운전 조건으로 실내기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리모컨 분실로 인하여 실내기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가 실내기 운전 조건을 입력할 때마다, 그 운전 조건이 누적 저장되어, 사용자별로 선호 운전 모드 또는 운전 조건이 자동으로 선정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를 작동하는 사용자에 가장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실내기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구동을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구동을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판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 조건 선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운전 모드 수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및 시스템 운용 방법, 즉 공기 조화기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 및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실내에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와, 상기 실내기(1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 및 상기 실내기(10)와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무선 공유기(1) 및/또는 무선 공유기(2)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무선 공유기(1)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실내기(10)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와,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기(11)가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도 카메라와 녹음기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상기 실내기(10)와 일대일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실내기(10)에 장착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하거나,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운전 조건을 입력할 경우, 입력된 운전 조건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실내기(10)로 운전 조건이 전송되고, 전송된 운전 조건에 따라 실내팬의 속도 또는 풍향 조절 장치(13)의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중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실내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휴대용 단말기(20)는 최근에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제어부(200)와, 상기 제어부(200)로 특정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21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상태 또는 상기 실내기(10)의 운전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230)와, 녹음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부(또는 촬영 장치)(25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260) 및 가속도 센서(270)와, 상기 실내기(10)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80)과,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위치를 확인하는 GPS 모듈(29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95)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키 입력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입력 버튼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25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2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녹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출력부(23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장착된 스피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속도 센서(26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기울어짐 또는 회전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속도 센서(27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특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속도 또는 가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280)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되는 액정 패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실내기(10)는, 제어부(100)와, 키입력부(110)와, 음성 입력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와, 촬영부(15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 모듈(180) 및 메모리(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에 장착되는 팬(161), 압축기(162) 및 풍향 조절 장치(163)를 구동하는 구동부(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60)는 상기 팬(161)과, 압축기(162) 및 풍향 조절 장치(163)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로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150)와, 음성 입력부(130) 및 음성 출력부(140), 디스플레이 모듈(120)과, 통신 모듈(18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상기 실내기(10)는 각각에 내장된 통신 모듈(280,180)을 통하여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독립적으로 수신하거나, 상호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통신 모듈(280)를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 또는 실내기의 제품 정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도 상기 통신 모듈(180)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 또는 실내기의 제품 정보 등을 다운로드 받아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상기 유무선 공유기(1) 또는 무선 공유기(2)-를 매개체로 하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실내기(1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소위 인프라 스트럭처 네트워킹(Infra Structure Networking)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는 상기 통신 모듈들(180,280)을 이용하여, 일대일(Peer-to-Peer) 통신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통신 모듈들(180,1280)이 와이파이 모듈인 경우,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기술 또는 애드혹(Ad-Hoc) 모드(또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공유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상세히, 와이파이 다이렉트란, 무선랜 접속 장치(AP: Access Point)의 설치에 관계없이 802.11a,b,g,n 등의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무선랜 접속 장치(Access Point)(상기에서 설명한 유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공유기)를 통하지 않고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술은, 인터넷 망이 없이도 무선으로 실내기(10)와 휴대용 단말기(20)끼리 와이파이로 연결하게 해주는 통신 기술로서 최근에 와서 각광을 받고 있다.
애드혹 모드(또는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이루어져 통신되는 망으로서,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과 기지국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빠른 망 구성이 가능하고 비용이 저렵하다. 즉, 상기 무선랜 접속 장치(AP)가 없더라도 단말기간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애드혹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랜 접속 장치가 없더라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와 실내기(10)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블루투스 통신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실내기(10)에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 간 페어링(pairing) 과정을 거치면 특정 범위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10)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실내기를 구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의 제어 방법은 크게, 상기 실내기(10)의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 단계(S10)와, 상기 실내기(10) 근처에 사용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사용자 존재 확인 단계(S20)와, 상기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별하는 사용자 판별 단계(S30)와, 판별된 사용자에 따른 운전 조건이 선택되는 단계(S40)와, 선택된 운전 조건이 상기 실내기(10)로 전송되는 단계(S50) 및 전송된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실내기(10) 운전이 개시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상세히, 실내기(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실내기(10)의 컨트롤 패널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통하여 사용자 등록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실내기(10) 사용자로서 등록하는 과정을 거친다. 상기 사용자 등록 과정은,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실내기(10)가 설치된 장소로 접근할 경우,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입력된 운전 조건으로 운전되는 지정 운전 모드와, 등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전 조건으로 운전되는 선호 운전 모드 및 등록된 사용자가 음성으로 직접 입력하는 운전 조건으로 운전되는 개별 운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운전 조건에 따라 상기 실내기(10)가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자동 운전을 위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10)가 설치된 장소에 사용자가 들어왔는지를 판단하고, 그 사용자가 누구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실내기(10)가 설치된 장소에 들어온 사람이 등록된 사용자들 중 누구인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이후에,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100)에서는 판별된 사용자를 위한 운전 조건을 선택하게 되며, 선택할 수 있는 운전 조건은 등록 과정에서 입력된 지정 운전 모드, 선호 운전 모드 및 음성 명령으로 직접 입력된 개별 운전 모드가 있으며, 이들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운전 조건이 실내기로 전송되고, 전송된 운전 조건에 따라 실내기가 구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등록 방법, 사용자 존재 확인 방법, 사용자 판별 방법 및 운전 조건 선택 방법에 대해서 플로차트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운전 조건이 실내기(10)로 전송되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구동을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실내기(10)의 전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이 가능하다. 상기 컨트롤 패널이라 함은,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을 통하여 사용자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S110). 그리고, 사용자 등록 메뉴가 활성화되면 사용자 식별 기호를 입력한다(S111). 사용자 식별 기호는 아라비아 숫자 번호, 사용자의 영문이나 한글 이름 또는 문자일 수 있고, 그 외의 다양한 방법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식별 기호 입력이 끝나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 장착된 카메라가 온되고(S112), 이와 동시에 촬영 준비 상태(Standby)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을 눌러서 촬영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다(S113). 촬영된 사진은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100)에 연결된 메모리(170)에 저장된다(S114).
또한, 사진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 구비된 녹음기가 온되어(S115), 음성 녹음 준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성 녹음을 수행하고(S116), 녹음이 완료되면 중지 버튼을 눌러 녹음된 음성 정보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도록 한다(S117). 여기서, 사용자 음성 녹음은 사용자 식별을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이름이나 특정의 단어를 소리내어 읽는 방식으로 녹음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녹음된 단어를 추후에 실내기(10) 앞에서 말하면, 상기 실내기(10)에서 이를 인식하여 실내기 작동을 위한 사용자 식별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한편, 사용자 식별을 위한 음성 녹음이 완료되면, 지정 운전 조건 입력 단계(S118)가 수행된다. 지정 운전 조건 입력 단계는,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단계로서, 실내 온도, 습도 및 팬 풍량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단계이다. 팬 풍량은 강풍, 중풍, 약풍 등과 같이 단계적으로 설정된 풍량을 음성으로 입력하면 된다. 실내 온도와 습도는 예컨대, 20도, 50%를 소리내어 말하는 것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실내기(10)에서 이를 녹음하여 음성 해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해석된 음성에 대응하는 운전 조건을 매칭하고, 매칭된 운전 조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키입력부(110)를 통한 지정 운전 조건 입력도 가능하다.
상세히, 지정 운전 조건이 입력되면 입력된 운전 조건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다(S119). 상기 운전 조건 정보는 음성 명령 그대로 저장할 수도 있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 구동을 위한 사용자 등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등록 과정이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이루어지고, 사용자 등록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가 상기 실내기(10)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사용자 등록을 위하여, 사용자는 먼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20)에 다운로드한 실내기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20). 그러면, 사용자 등록 메뉴가 뜨고, 이를 터치 또는 버튼 입력을 통하여 상기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S121).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 식별 기호 입력 과정부터 지정 운전 조건 입력과 운전 조건 저장을 위한 과정(S122 ~ S130)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상에서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또는 버튼 입력부를 포함하는 키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식별 기호 입력,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250)를 통한 사용자 안면 촬영, 녹음기를 포함하는 음성 입력부(230)를 통한 음성 녹음, 음성 또는 키입력부를 통한 지정 운전 조건 입력 과정이 단계적으로 수행된다.
사용자 식별 기호 입력 단계(S122)부터 운전 조건 저장 단계(S130)에 대한 더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도 4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단지 휴대용 단말기(20)의 화면을 통하여 수행되는 것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공통된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운전 조건 저장(S130)이 완료되면, 상기 과정을 거쳐서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가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100)로 전송된다(S131). 송신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무선 송신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100)로 전송된 사용자 등록 정보는 실내기(10)의 메모리(170)에 저장된다(S132).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사용자 정보 등록 과정이 끝나면 상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0) 운전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고 할 수 있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실내기(10) 근처로 이동하면 이를 인식하고,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 장착된 촬영부 즉 카메라가 온되고(S210), 상기 카메라는 일정 시간 간격을 두어 지속적으로 사진을 촬영한다(S211). 그리고, 이전 촬영 사진(frame 1)과 현재 촬영 사진(frame 2)을 영상차 비교법을 통한 실루엣을 추출하여 촬상물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212).
상세히, 상기 영상차 비교법은 피사체의 영상물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물의 차이를 산출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이전 촬영 사진과 현재 촬영 사진의 차를 산출하여 공통 영역(영상 변화가 없는 픽셀)이 제외된 영상차 프레임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영상차 프레임을 분석하여 피사체의 이동 또는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영상차 비교법은 출원 번호 제2004-0017714호, 출원 번호 제2005-0078822호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요지는, 카메라에서 연속적으로 촬영한 다수의 촬영 정보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을 판단하여, 실내기 근처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한편, 영상차 비교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움직임이 있다고 판단되면(S213), 그 사용자가 정확히 누구인지를 판별하는 사용자 판별 단계(30)로 넘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 판별 단계에서 다시 한 번 활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감지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는 사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며, 그 외의 다양한 센서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감지 센서는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고(S220),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221),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에 장착된 카메라가 온된다(S222). 그리고,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적어도 사용자의 안면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다(S223).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실내기를 작동하기 위한 의도로 실내기 근처에 접근하는 경우 눈이 실내기 쪽을 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만일, 사용자의 안면이 카메라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단순히 실내기 앞을 지나가는 상황이어서 안면이 카메라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판별 단계가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단순히 실내기 앞을 지나갈 목적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는 경우에만 실내기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차단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실내기 구동의 의지가 있는 경우에는 전제 조건으로서 카메라 앞에서 안면을 노출시키는 수고를 하도록 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 정보는 상기 실내기(10)의 메모리(170)에 저장되도록 한 다음 사용자 판별 단계(S30)로 넘어가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판별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존재 또는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그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이어서 수행된다.
먼저, 상기 도 6 및 도 7에 설명된 사용자 확인 단계에서 얻어진 사용자 촬영 정보와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확보된 사용자 촬영 정보들을 업로드한다(S301). 그리고, 사용자 확인 단계에서 확보돤 촬영 정보와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확보된 사용자 촬영 정보들을 비교 분석하여 유사도를 판단한다(S302).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등록된 사용자들의 사진과 사용자 확인 단계에서 얻어진 사진의 유사도가 수치로 산출된다.
그리고, 사진의 유사도 판단이 완료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음성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303). 상기 음성 명령으로는, 실내기 운전 조건에 관한 음성 명령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실내기의 작동 준비를 위한 음성 명령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음성 명령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에서는 사진의 유사도 만으로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정한다(S308). 즉, 상기 유사도 판단 과정에서 얻어진 유사도 값들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등록 사용자가 선정되고, 선정된 등록 사용자가 상기 실내기(10) 근처에 접근한 사람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등록 사용자에 적합한 운전 조건 선택 단계가 수행된다(S40).
반면, 사용자에 의한 음성 명령 입력이 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획득된 사용자들의 음성을 모두 업로드한다(S304). 그리고, 입력된 음성과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획득된 사용자들의 음성을 각각 비교하여 음성 유사도를 판단한다(S305). 그리고, 사진 정보 유사도와 상기 음성 정보 유사도의 값들을 비교하여(S306) 유사도가 높은 정보의 사용자를 선정한다(S307). 그리고 선정된 사용자에 적합한 운전 조건 선택 단계(S40)가 수행되도록 한다.
상세히, 음성 정보 유사도 값들 중 가장 큰 값과 사진 정보 유사도 값들 중 가장 큰 값을 각각 산출하고, 이들의 유사도 값을 비교하여 더 큰 유사도 값을 가지는 등록 사용자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 유사도는 등록 사용자들 중 "갑"이라는 사람이 가장 높았고, 사진 정보 유사도는 등록 사용자들 중 "을"이라는 사람이 가장 높았으며, 음성 정보 유사도가 사진 정보 유사도보다 높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실내기(10) 근처에 접근한 사람은 갑이라고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부에서 최종적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 조건 선택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상세히, 상기 도 8의 과정을 통하여 실제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이 되었으면, 상기 식별된 사용자에 적합한 운전 조건을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실내 온도, 실내 습도 및 풍량에 따른 운전 조건으로 운전할지, 별도의 운전 모드 입력이 없어서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저장된 지정 운전 모드로 운전할지 또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 운전 모드로 운전할지 선택하여야 한다.
사용자 확인 및 판별 과정이 끝나면, 상기 선택된 사용자에 의하여 실내기 운전 조건이 음성으로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한다(S41). 운전 조건 입력을 위한 음성 명령 입력이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등록 과정에서 입력된 지정 운전 모드로 실내기가 작동하도록 한다(S47).
반면, 사용자에 의한 음성 명령 입력이 감지되면 음성 해석 장치(SAPI:Speech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작동하여(S42), 입력된 음성 명령을 해석한다(S43). 그리고, 해석된 음성 명령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된다(S44).
즉, 해석 결과가, 사용자에 의하여 직접 입력된 실내기(10)의 운전 조건(풍향,풍속,온도,습도 등)인지 또는 선호 운전 모드 실행을 위한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4). 만일, 음성 해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실내 온도, 습도 및 풍량에 대한 수치를 직접 입력하였다고 판단되면, 해석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운전 조건이 선정되고(S48), 선정된 운전 조건(풍량, 온도,습도 등)에 따라 상기 실내기가 작동하도록 한다(S49).
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호 운전 수행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해석되었다면, 그동안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운전 조건들 중 가중치가 높은 운전 항목이 추출되고(S45), 추출된 운전 모드로 실내기가 작동하도록 한다(S46). 상기 선호 운전 모드의 수립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 운전 모드 수립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선호 운전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운전 조건을 누적 저장하여 빈도수가 가장 많은 운전 조건을 선호 운전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사용자에 의하여 운전 조건이 입력된다(441). 운전 조건은 실내 온도, 실내 습도 및 풍량을 포함하며, 운전 조건의 입력은 컨트롤 패널을 통한 기계적 입력, 휴대용 단말기(20)를 이용한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한다.
입력된 운전 조건은 메모리(170)에 누적 저장된다(442). 그리고, 입력된 운전 조건으로 실내기(10)의 운전이 개시되는 순간부터 타이머가 작동(443)한다. 이는 최초 입력된 운전 조건으로부터 운전 조건 변경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최초 운전 조건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운전 조건을 변경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선호 운전 조건 중 하나의 판단 인자로 인식하기 위함이다.
타이머가 작동하여 시간이 계수되는 과정에서 실내기(10)의 제어부(1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운전 조건 변경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444). 운전 조건 변경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초 입력된 운전 조건으로 계속 운전됨과 동시에 타이머에 의하여 시간이 계속하여 계수된다.
한편, 운전 조건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운전 조건 변경까지 소요된 시간과 변경된 운전 조건이 누적 저장된다. 동시에, 상기 타이머 작동이 중단되고 초기화된다(445). 그리고,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446), 타이머에 의한 시간 계수가 다시 시작되고, 운전 조건 변경 명령이 재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운전 정지 명령이 입력되면 실내기(10)의 운전이 종료된다.
또한, 지금까지 누적된 운전 조건들 중 선택 빈도수가 가장 높은 운전 조건에 대해서 가중치가 부여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호 운전 모드가 선택되면 가중치가 가장 높은 운전 조건이 선호 운전 모드로 선정되고, 선정된 운전 모드로 실내기(10)가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Claims (7)

  1.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 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
    상기 사용자 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결정되는 운전 모드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결정된 운전 모드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따라 결정되는 운전 모드에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전 조건으로 운전되는 선호 운전 모드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최초 운전 조건이 입력되면, 입력된 운전 조건을 누적 저장하고, 타이머를 작동시켜 최초 입력된 운전 조건으로부터 운전 조건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운전 조건 변경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운전 조건 변경까지 소요된 시간과, 변경된 운전 조건을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운전 조건들 중 선택 빈도수가 가장 높은 운전 조건에 대해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선호 운전 모드로 작동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부여된 가중치가 가장 높은 운전 조건이 선호 운전 모드로 선정되어, 선정된 선호 운전 모드로 상기 공기 조화기를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와,
    상기 공기 조화기와 통신 또는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는,
    사용자 식별 기호 또는 운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와,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는 음성 입력부 및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등록부는,
    상기 키 입력부와, 음성 입력부 및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취득된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촬영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부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및 지그비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00129108A 2010-12-16 2010-12-16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00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08A KR101800887B1 (ko) 2010-12-16 2010-12-16 네트워크 시스템
US13/298,634 US9143344B2 (en) 2010-12-16 2011-11-17 Network system includ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08A KR101800887B1 (ko) 2010-12-16 2010-12-16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07A KR20120067607A (ko) 2012-06-26
KR101800887B1 true KR101800887B1 (ko) 2017-11-23

Family

ID=4623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08A KR101800887B1 (ko) 2010-12-16 2010-12-16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3344B2 (ko)
KR (1) KR101800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9041A (zh) * 2011-10-12 2013-04-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平板电脑游戏手柄及平板电脑组件
JP5858850B2 (ja) * 2012-04-02 2016-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4020670A (ja) * 2012-07-18 2014-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FR2996035B1 (fr) * 2012-09-21 2015-08-14 Thermor Pacific Procede de detection de presence et systeme domotique
KR102105856B1 (ko) * 2012-10-29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778B1 (ko) * 2012-11-27 2019-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5980703B2 (ja) * 2013-03-12 2016-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JP6000217B2 (ja) * 2013-10-04 2016-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804018B2 (ja) * 2013-10-10 2015-11-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6058795A1 (de) 2014-10-13 2016-04-21 Güntner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ärmeaustauschsystems und wärmeaustauschsystem
JP6380981B2 (ja) * 2014-10-17 2018-08-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室内機の制御装置、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室内機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US10571145B2 (en) * 2015-04-07 2020-02-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intenance support system for air conditioners
WO2017028176A1 (zh) * 2015-08-17 2017-02-23 罗旭宜 空调状态匹配面部特征时的信息提示方法和空调
WO2017028253A1 (zh) * 2015-08-18 2017-02-23 罗旭宜 根据面部特征记录空调状态的方法和空调
JPWO2018158894A1 (ja) * 2017-03-01 2019-1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72149B2 (ja) * 2017-09-28 2021-11-24 京セラ株式会社 音声命令システム及び音声命令方法
US10760803B2 (en) 2017-11-21 2020-09-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Humidifi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421901B2 (en) 2018-04-20 2022-08-23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ordinated control of standalone and building indoor air quality devices and systems
US11486593B2 (en) 2018-04-20 2022-11-0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mitigation thresholds
EP3781879A4 (en) 2018-04-20 2022-01-19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WITH VARIABLE ATTENUATION THRESHOLDS
US11226128B2 (en) 2018-04-20 2022-01-1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door air quality and occupan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WO2019204789A1 (en) 2018-04-20 2019-10-24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Indoor air quality sensor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371726B2 (en) 2018-04-20 2022-06-2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Particulate-matter-size-based fan control system
EP3730850A1 (en) * 2019-03-06 2020-10-28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US11567562B2 (en) * 2019-06-28 2023-01-31 Ncr Corporation Self-checkout terminal sleep and wake operations
US20230391158A1 (en) * 2022-06-03 2023-12-07 Paris Smith Dynamically Controlled Cool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616A (ja) * 2005-11-11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765165B1 (ko) * 2006-07-18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801940A (en) * 1995-01-19 1998-09-01 Gas Research Institute Fault-tolerant HVAC system
IL119948A (en) * 1996-12-31 2004-09-27 News Datacom Ltd Voice activ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guide
US6773344B1 (en) * 2000-03-16 2004-08-10 Creator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interactive toys with interactive television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US7487112B2 (en) * 2000-06-29 2009-02-03 Barnes Jr Melvin L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6640142B1 (en) * 2000-08-02 2003-10-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orkspace environment
US20020026419A1 (en) * 2000-08-24 2002-02-28 Sony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pulating a portable smart device
KR100701110B1 (ko) * 2002-03-28 2007-03-30 로버트쇼 컨트롤즈 캄파니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611919B2 (en) * 2002-05-23 2013-12-17 Wounder Gmbh., Ll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and mobile e-commerce
US7415725B2 (en) * 2002-08-29 2008-08-19 Power Measurement Ltd. Multi-functio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secure access
US7146253B2 (en) * 2003-03-24 2006-12-05 Smartway Solutions, Inc. Device and method for interactive programming of a thermostat
KR100626443B1 (ko) * 2003-11-24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E602005026178D1 (de) * 2004-11-09 2011-03-10 Truveon Corp Gebäudeklimatisierungssteuerungsverfahren und -system
JP4567637B2 (ja) * 2006-07-10 2010-10-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
JP4151727B2 (ja) * 2006-12-22 2008-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管理装置
US8091796B2 (en) * 2007-11-30 2012-01-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that selectively replaces operating information on a display with system status information
WO2009132690A1 (de) * 2008-04-28 2009-11-05 Inventio Ag Verfahren zum benutzen eines aufzugssystems, aufzugssystem für ein solches verfahren und verfahren zur nachrüstung eines solchen aufzugssystems
US7848853B2 (en) * 2008-05-13 2010-12-07 Solarlogic,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onic systems having multiple sources and multiple loads
CA2678713C (en) * 2008-09-15 2016-12-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irflow adjustment user interfaces
JP4667496B2 (ja) * 2008-11-17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1753991A (zh) * 2008-12-17 2010-06-23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一种远程无线监控系统、监控装置及监控方法
US8731724B2 (en) * 2009-06-22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JP5492522B2 (ja) * 2009-10-21 2014-05-14 アズビル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8503984B2 (en) * 2009-12-23 2013-08-06 Amos Winbush, III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r content synchronization with central web-based records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2616A (ja) * 2005-11-11 2007-05-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765165B1 (ko) * 2006-07-18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58189A1 (en) 2012-06-21
KR20120067607A (ko) 2012-06-26
US9143344B2 (en)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87B1 (ko) 네트워크 시스템
JP6315855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電子機器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1146085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robot relocalization
CN111279044B (zh) 车库门控制器和监视器以及模式
KR101563487B1 (ko)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CN105138126B (zh) 无人机的拍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20120079245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188090B1 (ko) 스마트 가전제품, 그 작동방법 및 스마트 가전제품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
KR101287497B1 (ko)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US7283057B2 (en) Fire alarm spreading system and method
CN105278380B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和装置
CN105388453B (zh) 定位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KR20110119118A (ko) 로봇 청소기,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US10380854B1 (en) Automated smart doorbell device and method
JP2010025359A (ja) 空気調和機
WO2022227775A1 (zh) 用于空调控制的方法、装置和空调
CN108061359B (zh) 空调控制方法及装置
CN101674435A (zh) 图像显示设备和检测方法
CN110186167B (zh) 空调器的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WO2013037265A1 (zh) 可学习型遥控器实现方法及装置
CN106983991A (zh) 跑步机的控制方法、装置及跑步机
CN113339965A (zh) 用于空调控制的方法、装置和空调
KR101722262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N110908340A (zh) 智能家居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700366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