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56B1 -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56B1
KR102105856B1 KR1020120120544A KR20120120544A KR102105856B1 KR 102105856 B1 KR102105856 B1 KR 102105856B1 KR 1020120120544 A KR1020120120544 A KR 1020120120544A KR 20120120544 A KR20120120544 A KR 20120120544A KR 102105856 B1 KR102105856 B1 KR 10210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air
user
air conditioner
condition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4718A (ko
Inventor
김태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5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조공간에 대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되,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입력받은 공조패턴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은 사용자가 공조항목을 설정하여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저장된 공조패턴에 의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이 공기조화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따른 맞춤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인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화시켜 액상의 냉매가 증발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기상의 냉매가 응축할 때 주위에 열을 방출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 모드를 수행하게 되며,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모드는 그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통상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등의 공조 항목을 직접 입력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공기조화기의 입력패널과 원격제어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공조항목을 입력하여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별도로 공기조화기의 제조사는 사용자의 공통적인 요구에 맞추어 공조항목을 설정한 후 공조패턴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공기조화기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공조패턴은 개개의 사용자의 모든 요구에 맞추어 공조항목이 설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공조항목을 설정하기 위하여는 매번 공기조화기의 입력패널 또는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공조항목을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개시된 발명과 관련 있는 선행기술로는 2007.12.20 에 공개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27708호, 2012.06.26에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7607호 및 2007.07.19에 공개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83035호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공조항목을 설정하여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저장된 공조패턴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공조공간에 대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공조패턴에 따른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받은 공조패턴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입력받은 공조패턴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의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공조공간에 공급하는 냉각팬,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공조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공조패턴에 따라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압축기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상기 공기조화기로 상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공조패턴을 상기 공기조화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은 공조공간에 대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공조패턴에 따른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공조패턴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가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공조항목을 설정하여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저장된 공조패턴에 의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이 공기조화를 수행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에 포함된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에 포함된 공기조화기(1), 원격제어기(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은 공기조화기(1), 원격제어기(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공조공간 내부에 마련되어 공조공간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실내기(10), 공조공간 외부에 마련되어 공조공간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외기(20), 실내기(10)와 실외기(20) 사이에 마련되어 제어신호 및 냉매를 전달하는 유로(30)를 포함한다.
실내기(10)는 실내기(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본체(11), 실내기 본체(11)의 전면에 마련되어 실내기(1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토출하는 토출구(13), 실내기 본체(11)의 전면에 마련되어 토출구(13)를 개폐하는 전면패널(15)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0)의 후면에는 공조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기 흡입구(미도시)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10)는 그 전면에 토출구(13)를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기(10) 측면, 상면 또는 저면에 토출구(13)를 마련할 수 있다.
전면패널(15)의 일측에는 운전 모드, 희망 온도, 바람의 세기, 또는 바람의 방향 등의 공기조화기(1)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7)와 운전 모드, 희망 온도, 공조 공간의 현재 온도, 바람의 세기, 또는 바람의 방향 등의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9)가 마련된다.
여기서, 입력부(17)는 버튼형 스위치, 터치 패널 또는 멤브레인 스위치 등을 채용할 수 있으며, 표시부(19)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10)는 입력부(17)와 표시부(19)를 별도로 마련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채용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실외기(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기 본체(21), 실외기 본체(21)의 전면에 마련되어 실외기(2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시스템에 포함되는 원격제어기(1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열교환장치(40)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는 공기조화기(1)가 냉방모드로 동작할 때의 냉매 흐름을 도시하며, 점선 화살표는 공기조화기(1)가 난방모드로 동작할 때의 냉매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공기조화기(1)가 냉방모드로 동작할 때를 기준으로 열교환장치(4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열교환장치(40)는 압축기(41), 4방 밸브(43), 실외 열교환기(45), 실외팬(45a), 팽창밸브(47), 실내 열교환기(49), 및 실내팬(49a)를 포함한다.
압축기(41)는 실외기(20)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압축기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압으로 압축하며 실외 열교환기(45)로 압송한다. 압축기(41)에서 발생한 압력에 의하여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45), 팽창밸브(47), 실내 열교환기(49)를 순환할 수 있다.
4방 밸브(43)는 압축기(31)와 실외 열교환기(45) 및 실내 열교환기(49) 사이에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냉방 또는 난방 모드에 따라 냉매의 흐름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1)가 냉방 모드일 때 4방 밸브(43)는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45)로 유입되어 팽창밸브(47) 및 실내 열교환기(49) 순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1)가 난방 모드일 때 4방 밸브(4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9)로 유입되도록 한다.
실외 열교환기(45)는 실외기(20)에 설치되어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기상 냉매를 응축하며 응축된 액상 냉매를 팽창밸브(47)에 제공한다. 또한, 기상 냉매가 응축되면서 발생하는 잠열을 배출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45)에는 실외팬(45a)가 마련된다.
팽창밸브(47)는 실외 열교환기(45)에서 응축된 액상 냉매를 감압시켜, 실내 열교환기(49)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팽창밸브(47)는 교축작용을 통하여 액상 냉매가 증발될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한다.
뿐만 아니라, 팽창밸브(47)는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9)에서 충분한 열을 흡수하며 증발할 수 있도록 적정한 냉매의 양을 조절한다.
실내 열교환기(49)는 실내기(10)에 마련되어 팽창밸브(47)에 의하여 감압된 액상 냉매를 증발시킨다.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실내 열교환기(49)로부터 열을 흡수하므로 실내 열교환기(49)와 그 주위 공기는 냉각된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49) 주위에는 냉각된 실내 열교환기(49) 주위의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토출하기 위한 실내팬(49a)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냉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10)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49)에서 액상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공조공간을 냉각시킨다.
또한, 난방 모드에서는 압축기(41)는 압축한 기상 냉매를 4방 밸브(43)를 통하여 실내 열교환기(49)로 제공하면 실내 열교환기(49)는 압축된 기상 냉매를 응축시키고, 팽창밸브(47)는 응축된 액상 냉매를 감압하고, 실외 열교환기(45)는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이와 같이 난방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실내기(10)에 마련된 실내 열교환기(49)에서 기상 냉매를 응축시킴으로써 공조공간을 가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1)는 입력부(17), 표시부(19), 온도감지부(91), 제어부(93), 구동부(95), 압축기(41), 실내팬(49a), 실외팬(45a), 4방 밸브(43), 저장부(97), 및 통신부(99)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입력부(17), 표시부(19), 압축기(41), 실내팬(49a), 실외팬(45a), 및 4방 밸브(43)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온도감지부(91)는 실내기(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공조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93)로 제공하며,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값이 변화하는 써미스터(thermistor)를 채용할 수 있다.
제어부(93)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부(91)의 감지결과 및 입력부(17)로부터 입력된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등의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구동부(95)를 제어하여 압축기(41), 실내팬(49a), 및 실외팬(45a)를 가동하고, 표시부(93)에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통신부(99)을 통하여 원격제어기(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3)는 저장부(95)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구동 데이터를 불러오고, 저장부(95)로부터 불러온 구동 데이터에 따라 구동부(95)를 제어하여 압축기(41), 실내팬(49a), 및 실외팬(45a)의 구동시키며, 4방 밸브(43)를 제어하여 냉매의 흐름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 운전모드와 희망 온도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93)는 온도감지부(91)에 의하여 감지된 공조공간 내부의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구동부(95)를 제어하여 압축기(41)를 가동시키고 압축기(41)에서 토출되는 고압의 기생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45)로 유입되도록 4방 밸브(43)를 제어하여 고압의 기상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45)에서 응축되고, 팽창밸브(47)에 의하여 감압된 액상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49)에서 증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93)는 풍량, 풍향 등의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라 실내팬(49a)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3)는 저장부(97)에 저장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조패턴은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 공조공간의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등의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조화기(1)의 설계시 설계자가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공조패턴을 사전에 설정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자가 공기조화기(1)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절전 운전모드, 26℃의 희망온도, 약풍, 중앙바람, 및 1시간의 운전시간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공조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기조화기(1)의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며 쾌적한 공기조화를 위하여 절전 운전모드, 24℃의 희망온도, 약품, 중앙바람, 및 2시간의 운전시간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새로운 공조패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공조패턴을 후술할 원격제어기(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공조패턴 그룹은 상술한 공조패턴이 복수개 포함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쾌적한 수면을 위하여 정음 운전모드, 22℃의 희망온도, 중풍, 중앙바람, 및 1시간의 운전시간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첫번째 공조패턴과 정음 운전모드, 25℃의 희망온도, 약풍, 중앙바람, 및 2시간의 운전시간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두번째 공조패턴을 포함하는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조패턴 그룹에 의하면 공기조화기(1)는 공조공간의 온도가 22℃가 되도록 중풍으로 1시간 동안 동작한 후 공조공간의 온도가 25℃가 되도록 약풍으로 2시간 동안 동작한다.
구동부(95)는 압축기(41)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회로(미도시), 실내팬(49a)을 구동하는 실내팬 구동회로(미도시), 실외팬(43a)을 구동하는 실외팬 구동회로(미도시)를 포함하며, 구동부(95)는 제어부(93)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41), 실내팬(49a), 및 실외팬(45a)를 구동한다.
저장부(97)는 온도감지부(91)의 감지결과 및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운전 모드에 따른 압축기(41)의 구동, 사용자가 입력한 풍량에 따른 실내팬(49a)의 구동, 또는 운전 모드에 따른 4방 밸브(43)의 제어 등의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97)는 통신부(99)를 통하여 원격제어기(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공조패턴을 저장한다.
통신부(99)는 원격제어기(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수신하고 원격제어기(100)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99)는 알에프(Radio Frequency: RF) 통신방식, 지그비(ZigBee) 통신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1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100)는 원격제어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본체(110)의 전면에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0), 및 본체(110)의 전면에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는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동작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타이틀 표시영역(121), 자동 운전, 청정 운전, 정음 운전, 절전 운전, 스피드 운전, 또는 패턴 운전 중 공기조화기(1)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운전모드 표시영역(123),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 온도를 표시하는 희망온도 표시영역(125), 공기조화기(1)의 운전시간을 표시하는 운전시간 표시영역(126), 공기조화기(1)의 바람의 세기를 표시하는 풍량 표시영역(127), 및 바람의 방향을 표시하는 풍향 표시영역(129)를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턴온/턴오프하는 전원버튼(130a),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패턴 선택버튼(130b), 공기조화기(1)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모드 선택버튼(133), 공조공간의 희망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희망온도 선택버튼(135), 공기조화기(1)의 운전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운전시간 선택버튼(136),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선택하기 위한 풍량 선택버튼(137), 공기조화기(1)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풍향 선택버튼(139), 및 공기조화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공조패턴 설정버튼(131)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100)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원격제어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부(130), 표시부(12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입력부(130)와 표시부(120)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40)는 원격제어기(1)의 동작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통신부(160)을 통하여 공기조화기(1)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송신하고, 통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된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저장부(15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른 원격제어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한다.
통신부(160)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이동통신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1) 또는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송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160)는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통신부(99)와 마찬가지로 알에프(Radio Frequency: RF) 통신방식, 지그비(ZigBee) 통신방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방식,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원격제어기(100)를 통하여 사용자가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설정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71). 공기조화기(1)의 운전 중에 사용자는 원격제어기(100)의 공조패턴 설정버튼(131)을 길게 눌러 공조패턴 설정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조패턴 설정명령을 입력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0)의 타이틀 표시영역(121)은 "패턴 설정"이라는 타이틀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새로운 공조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조패턴에 포함된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175). 예를 들어, 새롭게 생성된 공조패턴의 운전모드는 자동운전을 기본값으로, 희망온도는 25℃를 기본값으로, 풍량은 중풍을 기본값으로, 풍향을 중앙바람을, 운전시간은 계속 운전을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이를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공조패턴에 포함된 각각의 공조항목은 사용자로부터 설정값이 입력된 공조항목은 사용자가 입력한 값으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설정값을 입력하지 않은 공조항목은 기본값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7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자동 운전, 청정 운전, 정음 운전, 절전 운전, 스피드 운전, 및 패턴 운전으로 구성된 6종류의 운전모드를 포함하며,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통하여 상술한 6종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가 입력되면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된 운전모드를 표시부(120)의 운전모드 표시영역(123)에 표시한다(178).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원하는 운전모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운전모드 표시영역(123)은 사용자가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른 운전모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최초 즉 사용자가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누르기 전에는 운전모드가 자동 운전으로 설정되며 표시부(120)의 운전모드 표시영역(123)에 자동 운전모드를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30)의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다시 한번 누르면 운전모드는 청정 운전으로 설정되며 표시부(120)의 운전모드 표시영역(123)은 청정 운전모드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모드 선택버튼(133)을 누를 때마다 운전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운전모드 표시영역(133)는 운전모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희망온도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79).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희망온도 선택버튼(135)를 통하여 희망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희망온도가 입력되면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된 희망온도를 표시부(120)의 희망온도 표시영역(125)에 표시한다(180).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풍량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8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터보풍, 강풍, 중풍, 약풍으로 구성된 4종류의 풍량을 포함하며,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풍량 선택버튼(137)을 통하여 상술한 4종류의 풍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풍량이 입력되면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된 풍량을 표시부(120)의 풍량 표시영역(127)에 표시한다(182).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풍량 선택버튼(137)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원하는 풍량을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풍량 표시영역(127)은 사용자가 풍량 선택버튼(137)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른 풍량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풍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8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중앙바람, 좌바람, 우바람으로 구성된 3종류의 풍향을 포함하며,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입력부(130)의 풍향 선택버튼(138)을 통하여 상술한 3종류의 풍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풍향이 입력되면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된 풍향을 표시부(120)의 풍향 표시영역(138)에 표시한다(184).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풍향 선택버튼(138)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원하는 풍량을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풍향 표시영역(128)은 사용자가 풍량 선택버튼(138)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른 풍량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시간이 입력되었는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85).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 중에 입력부(130)의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통하여 운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운전시간이 입력되면 원격제어기(100)는 입력된 운전시간을 표시부(120)의 운전시간 표시영역(126)에 표시한다(186).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원하는 운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으며, 표시부(120)의 운전시간 표시영역(126)은 사용자가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다른 운전시간을 표시한다. 예들 들어, 최초 즉 사용자가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운전시간의 제한없이 운전하도록 하는 계속 운전이 선택되며, 운전시간 표시영역(126)은 계속 운전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한번 누르면 운전시간이 30분으로 설정되며 운전시간 표시영역(126)은 30분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다시 한번 누르면 운전시간이 1시간으로 설정되면 운전시간 표시영역(126)은 1시간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시간 선택버튼(136)을 누를 때마다 30분씩 운전시간이 30분씩 증가한다.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저장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87).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 중에 공조패턴 설정버튼(131)을 짧게 눌러 공조패턴 저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조패턴 저장명령을 입력하면 원격제어기(100)는 공조패턴을 저장부(150)에 저장하고, 새로운 공조패턴을 생성한 후 저장된 공조패턴과 새롭게 생성된 공조패턴을 연결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한다(188).
다음으로, 원격제어기(1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189).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버튼(131)을 길게 눌러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을 입력하면 원격제어기(10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을 통신부(160)을 통하여 공기조화기(1)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송신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공조패턴을 입력한 후에는 원격제어기(100)에 마련된 공조패턴 선택버튼(130b) 중 패턴운전 선택버튼을 통하여 저장된 복수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20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의 공조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판매 및 사용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인터넷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CD, DVD 등의 휴대용 저장매체)를 통하여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상술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 등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기능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10), 공기조화기(1)의 동작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패널(211),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되는 화면을 초기화면으로 전환하는 홈 버튼(213), 현재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메뉴를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 버튼(215), 및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전에 표시된 화면으로 전환하는 취소 버튼(217)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패널(211)은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을 표시하는 타이틀 표시영역(221), 공기조화기(1)의 전원을 턴온/턴오프하는 전원영역(230a),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패턴 선택영역(230b),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를 표시하는 운전모드 표시영역(223),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1)의 운전모드를 입력받는 운전모드 선택영역(233), 공기조화기(1)의 희망온도를 표시하는 희망온도 표시영역(225), 사용자로부터 희망온도를 입력받는 희망온도 선택영역(235a, 235b), 공기조화기(1)의 운전시간을 표시하는 운전시간 표시영역(226), 사용자로부터 운전시간을 입력받는 운전시간 선택영역(236a, 236b), 공기조화기(1)의 풍량을 표시하는 풍량 표시영역(227), 사용자로부터 풍량을 입력받는 풍량 선택영역(237a, 237b), 공기조화기(1)의 풍향을 표시하는 풍향 표시영역(229), 사용자로부터 풍향을 입력받는 풍향 선택영역(239a, 239b), 및 공조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공조패턴 설정영역(231)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는 터치스크린패널(211), 제어부(240), 저장부(250), 및 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터치스크린패널(211)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240)는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패널(211)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통신부(26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 및 원격제어기(100)에 송신하고, 통신부(260)를 통하여 수신된 공기조화기(1)의 동작 정보를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표시한다.
저장부(250)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50)는 후술할 복수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한다.
통신부(260)는 공기조화기(1)로부터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원격제어기(100)로부터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수신할 수 있으며, 공기조화기(1) 또는 원격제어기(100)로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송신한다. 이와 같은 통신부(260)는 공기조화기(1)에 포함된 통신부(99)와 마찬가지로 알에프 통신방식, 지그비 통신방식, 블루투스 통신방식, 또는 와이파이 통신방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공기조화기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20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의 공조 패턴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설정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71). 공기조화기(1)의 운전 중에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영역(231)을 터치하여 공조패턴 설정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조패턴 설정명령을 입력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211)에 포함된 타이틀 표시영역(221)은 "패턴 설정"이라는 타이틀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새로운 공조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공조패턴에 포함된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을 기본값으로 설정한다(275).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77).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패널(211)의 운전모드 설정영역(233a, 233b)을 터치함으로써 자동 운동, 청정 운전, 정음 운전, 절전 운전, 스피드 운전, 및 패턴 운전 등 6종류의 운전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된 운전모드를 터치스크린패널(211)의 운전모드 표시영역(223)에 표시한다(278).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희망온도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79).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희망온도 선택영역(235a, 235b)를 터치함으로써 희망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희망온도가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된 희망온도를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희망온도 표시영역(225)에 표시한다(280).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풍량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81).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풍량 선택영역(237a, 237b)을 터치함으로써 터보풍, 강풍, 중풍, 및 약풍 등 4종류의 풍량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풍량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된 풍량을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풍량 표시영역(227)에 표시한다(282).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풍향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83). 공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풍향 선택영역(239a, 239b)을 터치함으로써 중앙바람, 좌바람, 및 우바람 등 3종류의 풍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풍향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된 풍향을 터치스크린패널(211)의 풍향 표시영역(229)에 표시한다(284).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시간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85).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 중에 터치스크린패널(211)의 운전시간 선택영역(236a, 236b)을 터치함으로써 운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부터 운전시간이 입력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입력된 운전시간을 터치스크린패널(211)의 운전시간 표시영역(226)에 표시한다(286).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저장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87).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 중에 공조패턴 설정영역을 짧게 터치함으로써 공조패턴 저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조패턴 저장명령을 입력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공조패턴을 저장부(250)에 저장하고, 새로운 공조패턴을 생성한 후 저장된 공조패턴과 새롭게 생성된 공조패턴을 연결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한다(288).
다음으로,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89). 공기패턴 설정 중에 사용자는 공조패턴 설정버튼(231)을 길게 터치함으로써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조패턴 설정종료명령을 입력하면 이동통신단말기(200)는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을 통신부(260)을 통하여 공기조화기(1) 및 원격제어기(100)에 송신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공조패턴을 입력한 후에는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마련된 공조패턴 선택영역(230b) 중 패턴운전 선택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저장된 복수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공기조화기(1)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 실내기
20: 실외기 40: 열교환장치
100: 원격제어기 200: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15)

  1. 공조공간에 대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에 기초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른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2. 제1항에 대하여,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3. 제2항에 대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하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4. 제3항에 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5. 제3항에 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6. 제1항에 대하여,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7. 제6항에 대하여,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입력받은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에 기초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상기 원격제어기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른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8. 제7항에 대하여,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공기조화시스템.
  9. 공조공간의 공기와 냉매 사이에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의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공조공간에 공급하는 냉각팬;
    상기 냉매를 압축하여 순환시키는 압축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에 기초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 또는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압축기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공기조화기.
  11. 사용자로부터 공기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상기 공기조화기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받은 복수 개의 공조패턴에 기초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입력받은 복수 개의 공조패턴 또는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을 상기 공기조화기로 전송하는 것인 이동통신단말기.
  12. 공조공간에 대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상기 공기조화기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공조항목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공조패턴을 입력받고,
    상기 복수 개의 공조패턴에 기초하여 공조패턴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복수 개의 공조패턴 및 상기 생성된 공조패턴 그룹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복수 개의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른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조패턴 또는 공조패턴 그룹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가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대하여,
    상기 공조항목은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풍량, 풍향, 및 운전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인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120544A 2012-10-29 2012-10-29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0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44A KR102105856B1 (ko) 2012-10-29 2012-10-29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544A KR102105856B1 (ko) 2012-10-29 2012-10-29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18A KR20140054718A (ko) 2014-05-09
KR102105856B1 true KR102105856B1 (ko) 2020-05-04

Family

ID=5088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544A KR102105856B1 (ko) 2012-10-29 2012-10-29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9336B2 (en) 2018-03-29 2020-01-21 Rcs Technology, Llc Server-based thermostat control
USD929179S1 (en) 2019-06-21 2021-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wav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688A (ja) 1998-06-24 2000-01-1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7183035A (ja) * 2006-01-06 2007-07-19 Hitachi Ltd 空調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7327708A (ja) * 2006-06-09 2007-12-2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08070093A (ja) 2006-09-15 2008-03-27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システム
JP2008116064A (ja) 2006-10-31 2008-05-22 Daikin Ind Ltd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JP2010190549A (ja) 2009-02-20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制御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空調制御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887B1 (ko) * 2010-12-16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8688A (ja) 1998-06-24 2000-01-1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7183035A (ja) * 2006-01-06 2007-07-19 Hitachi Ltd 空調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7327708A (ja) * 2006-06-09 2007-12-20 Hitachi Appliances Inc 空気調和機
JP2008070093A (ja) 2006-09-15 2008-03-27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システム
JP2008116064A (ja) 2006-10-31 2008-05-22 Daikin Ind Ltd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JP2010190549A (ja) 2009-02-20 2010-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制御監視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空調制御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718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9901B1 (en) Controller for a chi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KR10199926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519155B1 (ko) 에어컨 절전 운전 제어 방법
KR102105856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8074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1252655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2013242061A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JP2000171072A (ja) 空気調和機
KR10212342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254394B1 (ko) 공기조화기
JP5761121B2 (ja) ワイヤレスリモコン
KR20090041604A (ko) 공기조화기
KR20140112681A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7101014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機及び遠隔操作機
JP2004085042A (ja) 空気調和装置及び当該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5780172B2 (ja) 空気調和装置のリモコン
KR20010047639A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20090005691U (ko) 공기조화기
KR102010389B1 (ko) 제어장치
KR20130038075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00078870A (ko) 에어컨 운전 제어 방법
JP2000161758A (ja) 温度調節装置
KR20150100664A (ko) 건설기계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및 그의 액츄에이터 제어 방법
JP3169628U (ja) パターンリモコン装置
KR10054332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