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6019A -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6019A
KR20210146019A KR1020200062991A KR20200062991A KR20210146019A KR 20210146019 A KR20210146019 A KR 20210146019A KR 1020200062991 A KR1020200062991 A KR 1020200062991A KR 20200062991 A KR20200062991 A KR 20200062991A KR 20210146019 A KR20210146019 A KR 2021014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ventilation device
air condition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민
권민호
강윤태
김태욱
금기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6019A/ko
Publication of KR2021014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에,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시켜, 운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Air-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와 환기장치가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운전하는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조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환기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의 신선도를 일정수준으로 유지시켜주는 장치이다.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키는 열회수 환기장치가 주로 사용하는 데, 이러한 열회수 환기장치에는 폐열회수를 위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와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열회수 환기장치는 전열교환 또는 외기 바이패스(By pass) 방식으로 환기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1664267호(등옥일자 2016년 10월 04일)는, 외기 도입시 또는 실내 공기 배출시 열교환 엘리먼트를 통과시키지 않고 도입 또는 배출시키는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664267호는, 실외의 온도 조건, 실내외 온도차이와 민감도 비교, 실외의 습도 조건에 따라 바이패스 모드 또는 전열교환 모드로 동작하는데. 실내의 공기질과 무관하게 환기 운전을 실시함에 따라 비효율적이고, 모드 결정 조건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 환기 장치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환기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상태, 현재 실내의 공기질과 무관하게 외기를 도입하는 환기 운전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환기 운전 후 실내 공조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많이 소비되고, 목표 온도 도달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와 환기장치가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운전하는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 연동 제어시, 환기장치가 공기질에 따라 환기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고, 냉/난방 운전 효율 및 환기 운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조절함으로써 운전 비용 및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과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을 최적화하여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하고 실내 쾌적도를 향상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가 같이 구동될 때,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연동 운전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에,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시켜, 운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환기 운전을 수행하는 환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가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정풍량 운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반하는 변풍량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상기 실내기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 능력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상기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는, 재실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유지하는 쾌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실 인원은, 상기 실내기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높을 경우에,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환기 운전을 수행하는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데이터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는,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가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와 환기장치가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 연동 제어시, 환기장치가 공기질에 따라 환기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고, 냉/난방 운전 효율 및 환기 운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운전을 조절함으로써 운전 비용 및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과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을 최적화하여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하고 실내 쾌적도를 향상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및 댐퍼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Air-conditioning system)은, 하나 이상의 공기조화기, 환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공기조화기, 환기장치 외에도 서버 등 다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며 연계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 및,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는, 공기조화기와 환기장치의 운전 시작 시간이 동일한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는, 어느 하나의 기기가 운전 중이거나 어느 하나의 기기를 운전시키는 명령이 수신된 상태에서 다른 기기가 운전을 시작하거나 다른 기기를 운전시키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는, 공기조화기가 운전 중일 때, 환기장치가 운전을 시작하거나 환기장치를 운전시키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서, 공기조화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는, 환기장치가 운전 중일 때, 공기조화기가 운전을 시작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운전시키는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 환기장치(70) 등 실내 공조 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50)는, 냉방 또는 난방 또는 냉난방을 수행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기로,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청정 기능, 산소발생 기능, 가습 기능, 제습 기능 등 부가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복수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30)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기와 연결된 리모컨(미도시), 공기조화기 내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50)는, 실내기들(31 내지 35), 실내기들(31 내지 35)에 연결되는 실외기들(21, 22), 실내기들(31 내지 35) 각각과 연결되는 리모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설명한다.
실외기(20)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0)는 구비되는 압축기 및 실외 열교환기를 동작시켜 설정에 따라 냉매를 압축하거나 열교환하여 실내기(30)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0)는 연결된 실내기의 요구 또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며,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20)는구동되는 실내기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 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실외기(20)가, 각각 연결된 실내기로 각각 냉매를 공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나, 실외기 및 실내기의 연결구조에 따라 복수의 실외기가 상호 연결되어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실내기(30)는 복수의 실외기(2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아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실내기(30)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실외기(20) 및 실내기(30)는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실외기 및 실내기는 중앙제어기와 별도의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중앙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실내기(3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한다.
이때, 실내기(30)는 각 공기 흡입구와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에는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이 설치되고, 베인은 공기 흡입구와 각 토출구를 여닫음을 뿐 아니라,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실내기는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은 실내기에 각각 연결되어, 실내기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실내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은 실내기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실내기에 하나의 리모컨이 연결되어 하나의 리모컨 입력을 통해 복수의 실내기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리모컨은 내부에 온도감지센서 등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 제어부(370), 센싱부(350), 카메라 모듈(355), 통신부(360), 메모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 구동부(383), 실외 팬 구동부(381), 실내 팬 구동부(382), 절환 밸브, 팽창 밸브 등 각종 밸브(311), 표시부(330), 및 입력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 등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목표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한다.
표시부(330)는,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30)는, 실내기(2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운전상태 및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센싱부(350)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여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와 관련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350)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사이클 운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50)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온도 감지부는, 압축기(102)에서의 냉매 토출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냉매 토출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외 온도 감지부는, 공기조화기(50)의 실외기(30) 주변의 온도인, 실외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외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실내 온도 감지부는,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20) 주변의 온도인, 실내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실내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감지된 냉매 토출 온도, 감지된 실외 온도, 감지된 실내 온도 중 적어도 하나, 및 입력된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50)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목표 과열도를 산출하여, 공기조화기(50)가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350)는 습도 센서, 압력 센서, 기타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상태와 관련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제어부(37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센싱부(350)에서 감지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압축기(102), 실내 팬(109a), 실외 팬(105a)의 동작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압축기 구동부(383), 실외 팬 구동부(381), 실내 팬 구동부(382), 밸브 제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압축기 구동부(383), 실외 팬 구동부(381), 또는 실내 팬 구동부(382)에, 목표 온도에 기초하여, 각각 해당하는 속도 지령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속도 지령치 신호에 기초하여, 압축기 모터(102b), 실외 팬 모터(105b), 실내 팬 모터(109b)는, 각각, 목표 회전 속도로 동작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70)는, 압축기 구동부(383), 실외 팬 구동부(381), 또는 실내 팬 구동부(382)에 대한 제어 이외에, 공기조화기(5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70)는, 밸브 제어부(310)를 통하여 냉/난방 절환밸브 또는 사방밸브(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70)는, 밸브 제어부(310)를 통하여 팽창기구 또는 팽창 밸브(10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50)는, 압축기(102), 실외 팬(105a), 실내 팬(109a), 제어부(370), 메모리(340) 등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50)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렌즈와, 광학렌즈를 통과한 광에 의해 상이 맺히는 다수개의 광다이오드(photodiode, 예를 들어, pixel)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미지센서(예를 들어, CMOS image sensor)와, 광다이오드들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영상을 구성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정지영상은 물론이고,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메라 모듈은, 실내기(30)가 배치된 실내 공간을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는 제어부(370) 및/또는 서버 등 다른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실 여부 재실중인 인원의 수, 밀도 등을 판별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공기조화기(50)의 동작,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40)는, 카메라 모듈(355)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센싱부(35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다른 기기와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통신부(360)를 통해 공기조화기(50)의 상태 정보를 서버(미도시) 등 다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355)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 센싱부(35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가 서버 등 다른 기기로 송신되도록 통신부(3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서버 등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50)는 환기장치(70)와 별도로 배치된다. 즉, 환기장치(70)는 상기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와는 별도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장치(70)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는 장치로, 많은 경우에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특히, 최근에는 폐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키는 에너지 회수 환기장치(Energy Recovery Ventilation, ERV)를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에너지 회수 환기장치에는 폐열회수를 위해 실내의 오염된 공기와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에너지 회수 환기장치에는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는 바이패스 유로가 형성되고, 댐퍼가 바이패스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열교환 운전 또는 바이패스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 및 댐퍼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환기장치(70)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 배출구(440)와 배기 흡입구(445)와 배기팬(미도시)를 구비하며, 실외 공기(외기, OA)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흡기 흡입구(450)와 흡기 배출구(455)와 흡기팬(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50) 내부에, 배기구(440, 445)와 흡기구(450, 455)가 교차하는 지점에, 흡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410)가 구비된다.
또한, 전열교환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댐퍼(420)를 더 구비한다. 이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도입 바이패스 운전의 경우에는 외기(OA)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 유로(OA-SA)와, 내기(RA)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유로(RA-EA)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댐퍼(4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 4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교환 운전의 경우에는 외기(OA)가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 유로(OA-SA)와, 내기(RA)가 실외로 배출되는 배기 유로(RA-EA)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댐퍼(420)가 배치될 수 있다.
환기 장치(70)의 동작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이 동작하여, 실내오염공기가 배기 흡입구(445)를 통해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410)를 지나 배기 배출구(44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급기팬이 동작하여,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 흡입구(450)를 통해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410)를 지나 급기 배출구(45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전열교환기(410)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상호 열교환되어 실내에 적합한 온도의 실외공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실내 온도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차를 줄여서 실내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댐퍼(420)는, 전열교환기(4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여, 환기 장치(70)가 상술한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동작하거나, 보통의 환기 운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 겨울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 또는 습도 차이가 많을 경우, 댐퍼(420)는, 전열교환기(410)의 높이가 가장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전열교환기(410)의 상하 높이가 그 단면적의 대각선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 사이에 전열 교환이 활발히 수행되게 된다.
다음, 봄, 가을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 습도 차이가 적을 경우, 댐퍼(420)는, 전열교환기(410)의 높이가 가장 낮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전열교환기(410)의 상하 높이가 가장 작아지도록 제어한다. 즉, 전열교환기(410)가 바이패스 모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흡기되는 공기와 배기되는 공기 사이에 전열 교환은 최소가 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환기장치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환기장치(70)는, 환기장치(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0), 팬모터(560), 팬모터(560)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520), 댐퍼(420), 댐퍼(420)를 구동하는 댐퍼 구동부(530), 및 통신부(540)를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540)는, 실내기(30) 또는 실외기(20) 또는 제어기(140)와의, 제어 명령 또는 동작 상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420) 가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동작하거나, 보통 환기 운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댐퍼 구동부(5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 구동부(530)는, 댐퍼(420)의 위치 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510)는, 팬 모터(560)를 동작시키는 모터 구동부(5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팬과 급기팬의 온/오프 또는 그 동작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 구동부(520)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 직류 전원을 평활하는 커패시터(미도시), 및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 및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구동부(520)는, 모터의 정확한 동작 제어를 위해, 팬 모터(560)에 흐르는 출력 전류, 출력 전압, 커패시터에 저장되는 직류 전원, 또는 입력 교류 전압 등을 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터(560)의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터 구동부(520)의 동작은, 제어부(51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실내, 실외에서 공기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적어도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공기질을 센싱하는 것으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CO2, 휘발성 유기화합물(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등 하나 이상의 공기질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센서는 먼지 입자 크기별로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PM 1.0, PM 2.5, 및 PM 10.0인 먼지의 농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다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센서 중 적어도 일부는 공조 시스템(10) 내 기기에 구비된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가 구비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50)가 구비하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기장치(70)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공조 시스템(10)은 각 기기에 구비된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조합하여 위치 별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센싱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실외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에 배치된 온도 센서, 먼지 센서가 해당될 수 있다.
또는, 공조 시스템(10)은, 외부 센서(미도시)가 센싱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10) 내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외부 센서로부터 직접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50), 환기장치(70) 등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 서버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이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유/무선 공유기(미도시)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기(140)를 이용하여,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기(14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40)는,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기이거나 특정 기기를 위한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40)는 실내 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서모스탯(thermostat)일 수 있고, 공기조화기(50)를 제어하는 서모스탯일 수 있다. 제어기(140)가 특정 기기를 위한 제어기인 경우에도 해당 특정 기기가 우선 순위가 높은 기기인 경우에 다른 기기들을 직접 또는 특정 기기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기(140)는, 공조 시스템(10)에 포함되는 기기들 중 어느 한 기기의 제어부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기(140)는, 공조 시스템(10)에서 마스터(master)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의 제어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미도시)를 통하여 공조 시스템(10)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공조 시스템(10)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고, 공조 시스템(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공조 시스템(10)과 관련된 정보는, 제어기(140), 이동 단말기, 개별 공조 기기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기(140), 이동 단말기, 개별 공조 기기는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센서의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기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제품 연동을 통해, 통합적인 공기질 관리를 제공하고, 실내외 공기질을 비교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스마트 공조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기 시 냉난방이 비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실내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CO2 레벨 등 다양한 관리 요소들을 공기조화기(50), 환기장치(70)를 통해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실내기(30) 및 실외기(20)를 구비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50), 및, 환기 운전을 수행하는 환기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 및, 환기장치(70)가 같이 구동될 때, 실내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연동 운전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 및, 환기장치(70)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에,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환기장치(70)의 운전을 정지시켜, 운전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여기서, 환기장치(70) 운전 정지는, 운전 중인 환기장치(70)를 정지시키거나 환기장치(70)의 운전 시작을 지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상기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 및/또는 리모컨(미도시)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3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로, 예를 들어, 실내기(30)가 배치된 실(roon)의 CO2, TVOC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실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 실내기(30), 리모컨 등 공기조화기(50) 내 유닛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질, 온도, 습도를 더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고, 환기장치(70)의 센서를 삭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가 설치된 실(room)에서 환기 및 냉/반방을 위해서,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를 동시 기동할 때, 환기장치(70)가 전열 교환 운전을 하더라도 실외 공기 유입으로 실내 냉/난방 부하가 증가한다. 따라서, 현재 실내 공기질이 나쁘지 않다면 환기장치(70)는 정지시키고 공기조화기(50)만 운전함으로써 빠르게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50), 및, 상기 환기장치(70)가 동시에 기동되면,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70)가 운전을 시작 또는 재개할 수 있다.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가 설치된 실(room)에 사람들이 들어온 후, 초기에는 실내 CO2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난후 활동량 증가등으로 실내 CO2 농도가 누적되어 높아진다.
따라서, 재실자 입실 초기에, 사용자가 환기장치(70)를 운전시키거나 예약된 시간에 운전을 시작하더라도, 환기장치(70)를 즉시 운전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지연 운전하면, 소비 전력과 실외 공기로 인한 실내 냉/난방 부하를 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를 재실자 입실 초기에 동시 기동할 경우, CO2와 TVOC 농도가 적정 기준 이하이면, 공기조화기(50)만 냉/난방 운전하고 실내 설정 온도 도달 시까지 최대한 환기장치(70) 운전을 지연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70)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가 소정 시간 운전되지 않았다면, 냉난방, 환기의 필요성이 낮거나 해당 공간이 미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소정 시간 이상 운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가 기동되면, 기동 초기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와 환기장치(70)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를 확인하고, 공기질이 나쁘지 않다면 공기조화기(50)는 운전을 시작하고 환기장치(70)는 운전 시작을 지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쾌적한 온도에 실내 온도를 도달시킨 후 환기함으로써, 최소한의 에너지로 실내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냉난방하고, 이후에는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환기를 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환기장치(70)의 운전이 정지되면, 공기조화기(50)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의 동시 운전을 원했음에도 효율을 위해 환기장치(70)의 운전을 지연시키는 것이므로, 최대한 신속하게 실내 온도를 목표 온도에 도달시키고 환기장치(70)도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실내 공기질이 악화될 것이므로 최대한 신속하게 실내 온도를 목표 온도에 도달시키고 환기장치(70)도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환기장치(70)가 정지하면, 공기조화기(50)가 설정 최대치로 동작하여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함으로써 목표 온도 도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 CO2 및 TVOC 농도를 센싱하며, 기준값 이하일 경우, 환기장치(70) 지연 운전(Off 운전)을 하고, 공기조화기(50)는 빠른 실내 설정 온도 도달을 위해 냉/난방 강풍으로 운전한다.(빠른 실내 부하 제거)
한편, 목표 온도 도달시, 환기장치(70)는, 정풍량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목표 온도 도달시, 환기장치(70)는, 이산화탄소(CO2) 농도에 기반하는 변풍량 운전을 수행함으로써, 공기질 및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치(70)는, 공기조화기(50)로부터 상기 실내기(30)와 상기 실외기(20)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치(70)는, 상기 실내기(30)와 상기 실외기(20)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환기장치(70)는, 공기조화기(50)의 센서가 획득한 센싱 데이터를 전달받아 실내외 엔탈피를 계산할 수 있다. 또는, 환기장치(70)는, 공기조화기(50)가 계산한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엔탈피를 구하는 수식을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한편, 환기장치(70)는,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70)는,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높을 경우에,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와 같은 경우에 설정에 따라서 환기장치(70)의 운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실내 거주 인원이 많거나 부하가 많은 현장(교실, 강의실,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 회의실, 발열 장비가 많은 실)의 경우, 일반 현장보다 냉방 부하가 더욱 많으며 냉방 운전으로 인한 소비전력이 증가한다.
저녁이나 새벽 혹은 간절기 (봄, 가을) 등의 기간에 실내 엔탈피보다 실외 엔탈피가 낮은 경우 환기장치(70)가 바이패스 운전으로 외기 냉방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공기조화기(50)의 실내/외기(30, 20) 및 유선 리모컨의 온습도 센서를 활용 실내외의 엔탈피를 센싱하고, 그 값을 비교하여 환기장치(70) 바이패스 운전의 외기 냉방으로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70)는, 장비 1대당 여러 실의 환기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러 실에는 각각 배기(Return Air: RA) 흡입구(445)가 있고, 배기 흡입구(445)를 통하여 유입된 여러 실의 공기가 혼합하여 환기장치(70) 내부로 유입된다.
환기장치(70)의 내부에서 실내 온/습도를 센싱하는 방식은, 여러 실내 혼합 공기의 온/습도를 센싱하므로 각 실의 대표 온/습도로 판단할 수 없으며,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 경우에, 실내 엔탈피가 낮은 실의 경우 외기 냉방 운전으로 부하가 증가할 수 있고, 외기 냉방 기능을 사용하려면 환기장치(70) 내부에 온/습도 센서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실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 실내기(30), 유선 리모컨 등 공기조화기(50) 내 유닛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기질, 온도, 습도를 더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고, 환기장치(70)의 센서를 삭제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 시, 공기조화기(50)는 운전 정지 혹은 냉방 능력 감소 등의 운전을 절환하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 시, 공기조화기(50)는 동시 운전으로 실내 설정 온도 도달 시간을 단축하여 실내 쾌적성을 증대하는 쾌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공기조화기(50)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 운전 능력에 따라, 공기조화기(50)는,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상기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50)는, 재실 인원에 기초하여,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유지하는 쾌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재실 인원은, 실내기(30)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3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가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가 획득하는 실내 공간의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공기조화기(50)는 재실 여부, 재실 인원, 실내 공간 대비 재실 인원의 비율인 재실 밀도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50)의 온/습도 센서를 활용 실내외 엔탈피를 센싱하고, 실외 엔탈피가 낮을 경우, 환기장치(70)는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외기 냉방 운전한다.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과 관련하여 에너지 절감 운전 모드와 쾌적 운전 모드 2가지 운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에너지 절감 운전은, 환기장치(70)는 외기 냉방 운전하고, 공기조화기(50)의 소정 실내기(30)는 정지 혹은 냉방 운전 감소(예, 최대 냉방→정격 냉방 등)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것이다.
쾌적 운전은, 환기장치(70)는 외기 냉방 운전하고, 공기조화기(50)의 소정 실내기(30)는 냉방 운전을 병행하여 실내 설정 온도 도달을 빠르게 하여 쾌적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에 구비되어 있는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실내 재실 밀도를 판단할 수 있고, 실내 재실 밀도에 따라 외기 냉방 운전 모드(에너지 절감 운전과 쾌적 운전 모드)를 상호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시스템(10)은, 이미지 센서에서 획득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재실 밀도를 판별할 수 있고, 실내 재실자가 적을 경우, 에너지 절감 운전하고, 실내 재실자가 많을 경우, 쾌적 냉방 운전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 및, 환기장치(70)가 동시에 기동될 수 있다(S610).
특히, 공기조화기(50), 및, 환기장치(70)는 재실자 입실 초기에 동시 기동되는 경우가 많다(S610). 또는, 공기조화기(50), 및, 환기장치(70)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될 수 있다.
공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공기질 기준치를 만족하는 지 판별할 수 있다(S620).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상기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 및/또는 리모컨(미도시)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30)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30)가 배치된 실(roon)의 리모컨, 및/또는 실내기(30)가 구비하는 센서가 실의 CO2, TVOC 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조 시스템(10)은 CO2, TVOC 수치가 기설정된 공기질 기준치 이하(예를 들어, CO2는 1000ppm, TVOC는 500ppm)로 소정 기준을 만족하면(S620), 상기 환기장치(70)의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S630).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70)가 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S650). 즉, 상기 환기장치(70)는 공기조화기(50)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에 의해서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때까지(S640), 운전이 지연될 수 있다(S650).
이에 따라, 환기 운전과 냉/난방이 동시에 수행됨으로써, 설정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에너지가 더 소비되고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실내의 온도를 쾌적한 온도에 실내 온도를 도달시킨 후 환기함으로써, 최소한의 에너지로 실내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냉난방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50), 및, 상기 환기장치(70)가 동시에 기동되면(S610),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S620),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S630, S650)
도 7은 공기조화기(50)의 운전 시작과 동시에 환기장치(70)가 운전을 시작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공기조화기(50)의 운전 시작이 비하여 환기장치(70)가 지연 운전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정 실(room)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30)와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70)가 동시에 운전 시작 시, 실내 CO2 농도가 적정 CO2 농도보다 낮은데도 환기장치(70)가 운전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실외 공기 유입으로 실내 냉/난방 부하가 증가한다.
사람이 실(room)에 입실하여도 대부분 초기 CO2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지 않고, 시간이 지난후 활동량 증가등으로 실내 CO2 농도가 누적되어 높아진다. 따라서, 환기장치(70)를 지연 운전 할 경우, 실외 공기 유입으로 인한 실내 냉/난방 부하 및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정 실(room)의 냉난방을 위한 실내기(30)와 환기를 위한 환기장치(70)를 초기 동시 기동할 경우, 적정 CO2 농도 기준 이하 시 실내기(30)만 냉/난방 운전(강풍 운전)하고 실내 설정 온도 도달 시까지 최대한 환기장치(70) 운전을 지연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치(70)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이거나 설정 온도에 근접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정지하여 운전이 지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환기장치(70) 운전 시작 시 실내 설정 온도이거나 설정 온도에 근접한 온도이므로 환기장치(70) 지연 운전이 아닌 경우보다 실내외 온도 및 엔탈피 차이가 커져 교환율이 증대되고 환기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소정 실(room)을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50)의 실내기(30), 환기하는 환기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에는 공기조화기(50) 및/또는 환기장치(70)를 제어하는 리모컨(9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실내기(30) 및/또는 리모컨(90)에 배치된 센서를 통하여, 실내 온도, 실내 습도, 실내 공기질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50) 등에 배치된 센서를 통하여 실외 온도, 실외 습도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실외 온도 33℃ / 상대 습도 75% 상태에서 외기 엔탈피는 다음과 같다.
IOA = 22.66 kcal/kg
도 7과 같이 공기조화기(50)와 환기장치(70)가 동시 기동된 경우에 초기 실내 온도 31℃ / 상대 습도 60%라면 환기 엔탈피는 다음과 같다.
IRA = 17.84 kcal/kg
도 8과 같이 공기조화기(50) 대비 환기장치(70) 지연 운전 후, 실내 온도 20 ℃ 상대 습도 50%라면, 환기 엔탈피는 다음과 같다.
IRA = 17.84 kcal/kg
그러면, 전열 교환 효율 70%(η=0.7), 냉방으로 가정하여, 다음의 수식을 활용하면, 급기 엔탈피(ISA)를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 지연 운전 없는 초기 급기 엔탈피
0.7=(22.66-ISA)/(22.66-17.84)*100
ISA = 19.29 kcal/kg
- 지연 운전 시 급기 엔탈피
0.7=(22.66-ISA)/(22.66-10.28)*100
ISA = 13.99 kcal/kg
이와 같이, 실/내외 온도 및 엔탈피 차이가 커져 교환율이 증대되고 환기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다. 또한, 냉방시에는 급기 엔탈피가 낮을수록 좋다. 본 명세서에서 환기 부하는, 실내공기의 청정화를 위해 도입하는 신선 외기(OA)를 실내 상태와 같게 하는데 필요한 열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조화기(50), 및, 상기 환기장치(70)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S610),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S620),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70)의 운전을 지연시킬 수 있다(S630, S650)
실시 예에 따라서, 환기장치(70)의 운전이 정지되면(S630), 공기조화기(50)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할 수 있다(S640). 공기조화기(50)가 설정 최대치로 동작하여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함으로써 목표 온도 도달 시간을 더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치(70) 지연 운전 구간에서 실내기(30)는 최대(MAX) 냉/난방 운전하여 실내 부하를 빠르게 제거하고 실내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목표 온도 도달시, 환기장치(70)는, 정풍량 운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반하는 변풍량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660).
정풍량 운전은, 풍량이 일정한 운전으로, 800CMH의 환기장치(70)라면 농도에 관계 없이 800CMH 또는 설정된 정격 풍량으로 기동한다.
변풍량 운전은, 풍량이 가변되는 운전으로, CO2 농도 기준으로 기준 이상 시 정풍량 운전하며, 기준 이하 일경우 농도가 낮을수록 팬 rpm을 감소시켜 풍량을 낮출 수 있다.
변풍량 운전은 아래 수학식과 같이 정풍량 대비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Figure pat00004
- P2 (변풍량 시, 소비 전력), N2 (변풍량 시 rpm)
- P1 (정풍량 시, 소비 전력), N1 (정풍량 시 rp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CO2 농도에 따른 최적 풍량 운전으로, 환기에 의한 냉난방 운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CO2 농도 기반 변풍량 운전을 예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9시경 재실인원 많고. CO2 농도가 높으면, 환기장치(70)는, 특강풍 운전할 수 있다. 특강풍/강풍/약풍은 환기장치(70)가 팬 회전속도(Fan rpm)를 조정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12시경 재실인원 적고, CO2 농도가 낮으면, 환기장치(70)는, 약풍 운전으로 환기 운전에 따른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환기에 의한 냉난방 에너지 손실도 줄일 수 있다.
도 11은 공기조화기(50)의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환기장치(70)는, 온/습도 센서가 OA(450)와 RA(445)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여러 실의 환기를 1대로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환기장치(70)의 온/습도 센서는, 덕트를 통해 이송된 공기의 온/습도를 센싱하여 실내 온/습도를 판단하게 된다.
환기장치(70)의 온/습도 센서에서 센싱된 값은, 여러 의 공기가 혼입된 값이므로 각 실의 온/습도값으로 대표할 수 없으며, 정확도가 떨어진다.
도 11을 참조하면, 냉/난방 운전을 위한 온/습도 센서(1110, 1120a, 1120b, 1130a, 1130b)가 실외기(21), 제1 실내기(31), 제2 실내기(32), 제1 실내기(31)를 제어하는 제1 유선 리모컨(91), 및 제2 실내기(32)를 제어하는 제2 유선 리모컨(92)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과 같이, 실내기(31, 32)와 유선 리모컨(91, 92)에서 실내 온/습도를 센싱하며, 실내 넓은 범위의 온/습도 센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실에 배치된 제1 실내기(31), 제1 유선 리모컨(91)의 센싱 데이터로 제1실의 온도, 습도를 정확히 센싱할 수 있고, 제2실에 배치된 제2실내기(32), 제2 유선 리모컨(92)의 센싱 데이터로 제2실의 온도, 습도를 정확히 센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공조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10)은, 공기조화기(50)가 구비하는 센서들이 획득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외 엔탈피를 연산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어, 도 11에서 예시한 실내외기(21, 31, 32) 및 유선 리모컨(91, 92)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를 활용하여 온도, 습도 데이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환기장치(70)는, 공기조화기(50)로부터 상기 실내기(30)와 상기 실외기(20)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환기장치(70)는, 상기 실내기(30)와 상기 실외기(20)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실외 엔탈피 정보와 실내 엔탈피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S1220). 실시 예에 따라서, 환기장치(70) 1대가 여러실의 환기를 담당할 경우, 평균값을 취하거나 혹은 각 실 중 가장 낮은 엔탈피값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지 않은 경우에(S1220), 환기장치(70)는,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S1260). 이 경우에, 공기조화기(50)는 냉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S1220), 환기장치(70)는,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할 수 있다(S1240, S1250).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은 경우에(S1220), 공조 시스템(10)은, 실내 재실 밀도를 판별할 수 있다(S1230).
실내 재실 밀도는 실내기(30)의 인체 감지 센서를 활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실내기(30)에는 인체 감지 센서(1300)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체 감지 센서(1300)는, 이미지 센서일 수 있고, 화각(1310) 내 재실자 위치 및 재실 밀도를 판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50)는, 인체 감지 센서(1300)를 이용하여 재실 여부를 판단하고, 실내 인원이 없는 경우 운전을 정지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50)는, 인체 감지 센서(1300)를 이용하여 사람의 위치를 판단하여, 사람의 위치에 기초하여 직접풍/간접풍 운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50)에 설치되어 있는 인체 감지 센서(1300)를 활용하여, 실내 재실 밀도를 판단한다.
환기장치(70)는,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할 때, 공기조화기(50)는, 재실 밀도가 낮으면 에너지 절감 운전하며(S1240), 재실 밀도가 높으면 쾌적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S1250).
에너지 절감 운전시(S1240), 공기조화기(50)는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율 감소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냉방 능력을 산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시스템(10)은, 실내외 엔탈피차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환기장치(70)의 냉방 능력을 산출할 수 있다.
- 예: 냉방 능력 (kcal/h) = 공기 밀도 (1.2kg/㎥) * 풍량 (㎥/h) * 실내외 엔탈피 차(kcal/ kg)
냉방 운전율 감소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50)는, 실내 필요 냉방 능력에서 산출된 환기장치(70)의 냉방 능력만큼 감소시켜 운전할 수 있다
만약, 환기장치(70)의 외기 냉방 능력이 실내 냉방 부하을 제거할 정도로 큰 경우, 공기조화기(50)는 운전을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공기조화기: 50
환기장치: 70
제어기: 90

Claims (20)

  1.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환기 운전을 수행하는 환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경우에,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가 운전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정풍량 운전 또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기반하는 변풍량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데이터는, 상기 실내기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하고,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 능력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상기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재실 인원에 기초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유지하는 쾌적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 인원은, 상기 실내기가 구비하는 센서 또는 상기 실내기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 엔탈피가 상기 실내 엔탈피보다 높을 경우에, 전열 교환 운전 모드로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4. 실내기 및 실외기를 구비하여,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 및, 환기 운전을 수행하는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하여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데이터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면,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는,
    재실자 입실 초기에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조화기, 및, 상기 환기장치가 소정 시간 운전하지 않다가 동시에 기동되면, 상기 실내의 공기질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최대로 냉방 또는 난방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환기장치가 운전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 또는 상기 실내기와 상기 실외기가 구비하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는 실내외 엔탈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실외 엔탈피가 실내 엔탈피보다 낮을 경우에, 바이패스 운전 모드로 외기 냉방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의 외기 냉방 운전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거나 냉방 운전 강도를 감소시키는 에너지 절감 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062991A 2020-05-26 2020-05-26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46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991A KR20210146019A (ko) 2020-05-26 2020-05-26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991A KR20210146019A (ko) 2020-05-26 2020-05-26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019A true KR20210146019A (ko) 2021-12-03

Family

ID=7886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991A KR20210146019A (ko) 2020-05-26 2020-05-26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460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997B1 (ko) * 2022-05-09 2023-06-15 대성에어텍 주식회사 지능형 공기 압축 시스템 및 방법
WO2023135695A1 (ja) * 2022-01-13 2023-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方法
WO2023243507A1 (ja) * 2022-06-14 2023-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新気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新気空調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5695A1 (ja) * 2022-01-13 2023-07-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気調和方法
KR102540997B1 (ko) * 2022-05-09 2023-06-15 대성에어텍 주식회사 지능형 공기 압축 시스템 및 방법
WO2023243507A1 (ja) * 2022-06-14 2023-1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新気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新気空調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6019A (ko) 공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7832465B2 (en) Affordable and easy to install multi-zone HVAC system
WO2014041896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EP1632737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thereof
JP6136388B2 (ja) 省エネルギー空調システム
EP1598606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01304645A (ja) 空気調和装置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533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810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9737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05518396A (zh) 空调系统
WO2015190001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AU2004230976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362275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019279A (ko) 칠러를 위한 디멘드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16759B2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CN114484660B (zh) 通风系统及其工作方法
JP2007071495A (ja) 空気調和機
KR101029988B1 (ko) 직접팽창방식 공조기의 냉매 흐름량 변화에 따른 송풍기 풍량 자동 제어 방법
JP3425295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装置
KR20180035291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57508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JP201114961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2100902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