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882A -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882A
KR20230002882A KR1020227040463A KR20227040463A KR20230002882A KR 20230002882 A KR20230002882 A KR 20230002882A KR 1020227040463 A KR1020227040463 A KR 1020227040463A KR 20227040463 A KR20227040463 A KR 20227040463A KR 20230002882 A KR20230002882 A KR 2023000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vable part
signal source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게르 쉬퍼
안드레아스 지간키
톨슨 벤델
외머 이난
마뉴엘 로이쉬
스테판 에버손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00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8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66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 E05B81/68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bolt position, i.e. the latching status by sensing the position of the det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0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wing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0), 특히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제어 유닛(20)이 이동 가능한 부분(110)에 대한 차량 잠금부(11)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를 포함하는 제1 폐쇄 기준으로서 제1 신호 소스로부터 제1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 유닛(20)이 수신된 제1 위치 신호에 조건부 테스트 명령을 추가하는 단계로서, 조건부 테스트 명령은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한 후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신호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폐쇄 기준도 만족되는 단계; 제어 유닛(20)이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제2 신호 소스로부터 제2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2 신호 소스는 제1 신호 소스와 다르고 제2 위치 신호는 이동 가능한 부분에 할당될 수 있는 단계; 제어 유닛(20)은 두 폐쇄 기준이 만족될 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차량 잠금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으로, 독립 방법 청구항에 따른 차량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 다른 독립 청구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독립 시스템 청구항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잠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을 안전하게 잠그고 그에 따라 잠금 해제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들은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작동해야 하는 차량 보안 시스템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이 적절하게 잠겨 있는지 및/또는 폐쇄되어 있는지 여부가 도어 접촉 스위치를 통해 확인된다. 도어 접촉 스위치의 신호는 예를 들어, 시각 및/또는 청각 정보로 변환되어, 개방된 및/또는 잠금 해제된 도어가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접촉 스위치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위치가 이동 가능한 부분의 해당 차량 잠금부에 통합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은 잠금 메커니즘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도어 접촉 스위치와 유사한 신호를 전달한다.
DE 10 2010 052 582 A1은 도어의 개방 위치가 도어 접촉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는 방법을 개시한다. 탑승자가 개방 요청을 통해 전동 차량 잠금부를 활성화하면, 도어 접촉 스위치가 확인되어,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가 감지된다.
DE 10 2016 202 975 A1은 차량의 도어가 잠겨 있지 않은 경우 시각적 경고를 출력하는 폐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는데, B-필러 또는 도어 힌지의 도어 접촉 스위치가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종래기술의 단점은 알려진 시스템이 가장 간단한 수단을 사용하여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이 잠겨 있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에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도어 접촉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 잠금부의 잠금 메커니즘은 도어가 잠금 홀더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도 외부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는 전혀 잠겨 있지 않은, 잠긴 문이 차량에 대해 시뮬레이션된다.
이 문제는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의 경우, 특히 운전자 없이 작동되는 차량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폐쇄된 도어의 신뢰성 있는 감지를 허용함으로써, 조작에 대한 개선된 보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방법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방법, 해당 독립 청구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독립 시스템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종속항 및 상세한 설명에 명시되어 있다. 청구항에 열거된 특징은 기술적으로 합리적인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및 세부 사항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관련하여 적용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개별적인 양상의 개시가 대안적으로 언급되거나 항상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특히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는데, 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제어 유닛이 이동 가능한 부분에 대한 차량 잠금부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를 포함하는 제1 폐쇄 기준으로서 제1 신호 소스로부터 제1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제어 유닛이 수신된 제1 위치 신호에 조건부 테스트 명령을 추가하되, 조건부 테스트 명령은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한 후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신호에 대해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폐쇄 기준도 충족되는 단계;
- 제어 유닛이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제2 신호 소스로부터 제2 위치 신호를 수신하되, 제2 신호 소스는 제1 신호 소스와 다르고 제2 위치 신호는 이동 가능한 부분에 할당될 수 있는 단계;
- 양 폐쇄 기준이 모두 충족되면 제어 유닛이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설명된 방법 단계, 프로세스 및 작업은 수행되어야 하는 순서로 표시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제시된 특정 순서로 반드시 수행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방법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차례로 실행될 수 있으며, 방법 단계의 순서는 번호 매기기에 의해 정의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개별 단계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또는 대체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 소스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로, 서로 다른 위치 신호의 다중 요소, 특히 2요소 쿼리(query)를 사용한다.
제1 단계에서, 제어 유닛은 이동 가능한 부분에 대한 차량 잠금부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를 포함하는 제1 폐쇄 기준으로서 제1 신호 소스로부터 제1 위치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가능한 부분의 또는 그에 대한 차량 잠금부의 잠금 위치는 위치 신호 형태의 제1 신호 소스에 의해 감지되고 이동 가능한 부분에 대한 제1 폐쇄 기준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차량의 (상위) 제어 유닛, 잠금부 제어 유닛,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제어 유닛은 제1 신호 소스에 신호 연결(무선 및/또는 유선)된다.
추가 단계에서, 제어 유닛은 수신된 제1 위치 신호에 조건부 테스트 명령을 추가하는데, 조건부 테스트 명령은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한 후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신호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폐쇄 기준도 만족되어 있다. 따라서 조건부 테스트 명령은 제1 폐쇄 기준이 충족될 때, 즉, 차량 잠금부의 잠금 위치가 감지된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추가 폐쇄 기준을 요구하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제1 폐쇄 기준은 여전히 충족되어 있다. 따라서 두 신호의 OR 연산이 아니라 AND 연산이다. 그러나, 제1 폐쇄 기준은 제2 폐쇄 기준이 확인/체크될 때 여전히 충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신호 소스의 대안적인 쿼리가 방지되어, 예를 들어, 단일 위치 신호만으로는 확인 신호가 출력될 수 없다. 따라서, 잠금부가 이동 가능한 부분을 잠그는 잠금 위치의 감지는 항상 확인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제1 필수 조건이다.
추가 단계에서, 제어 유닛은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제2 신호 소스로부터 제2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데, 제2 신호 소스는 제1 신호 소스와 다르고 제2 위치 신호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 특히 폐쇄 위치와 연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신호 소스는 제1 신호 소스와 다른 소스이다. 이는 적어도 신호를 조작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제1 신호 소스가 잠금부의 잠금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신호를 제공하더라도, 제2 신호 소스가 제1 폐쇄 기준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데, 다른 신호 소스로부터의 추가 신호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신호는 차량 잠금부의 잠금 위치와 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위치 신호가 특히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에 대해 이동 가능한 부분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가 추론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 특히 폐쇄 위치에 대한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차체에 대한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이 제2 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제2 폐쇄 기준이 만족된 경우에만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출력되는 확인 신호이며, 이에 의해 조건부 테스트 명령이 만족되었음이 확인된다. 따라서 두 폐쇄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확인 신호의 출력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확인 신호는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다는 신호를 보낸다. 확인 신호는 출력 신호, 특히 음향, 시각, 및/또는 촉각 신호(진동)일 수 있다. 출력 신호는 다른 차량 기능을 방지하거나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시동, 출발 또는 가속은 영향을 받거나 차량의 운전을 방지하거나 감속하는 다른 제한을 발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상태가 신뢰성 있게 감지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신호 소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패 또는 오류가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한 부분은 사이드 도어, 슬라이딩 도어, 윙 도어, 플랩, 탱크 플랩, 충전 플러그 플랩, 테일게이트, 및/또는 후드일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유닛,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유닛, 신호 소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신호 소스로부터 위치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 유닛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유닛,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에 내장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컴퓨팅 유닛은 예를 들어,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일 수 있는데, 메모리 유닛은 플래시 메모리, EEPROM, 또는 자기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무선 및/또는 유선으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유선으로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해당 데이터 전송 라인에서 전자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해당 데이터 전송 라인으로 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 유닛 및/또는 컴퓨팅 유닛이 차량의 외부에 배열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기반의 컴퓨터 시스템의 형태로 IT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러한 방안은 특히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차량의 경우, 원격 유지 보수 또는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차량의 조작의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진단 루틴을 실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신호 소스(들)가 작동 상태인지 또는 오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한다. 진단 루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시스템을 재보정하거나, 시스템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거나,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에러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정해진 위치, 바람직하게는 메인 래칫 위치의 관련 측정값이 저장되고 서로 비교되어, 편차가 감지될 수 있고 결론이 가능한 오작동에 대해 도출될 수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품 수명 주기 동안, 특히 마모 및 찢어짐 또는 외부 환경 영향으로 인한 변경 사항이 감지되고 위치 결정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위치 감지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제1 및/또는 제2 폐쇄 기준이 위반되면 제어 유닛이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신호 소스가 위치 신호를 보내지 않거나 제어 유닛이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에러 신호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가 존재하지 않음, 즉, 확인/보장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음이 적극적으로 결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음이 적극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에러 신호는 기존 에러 소스, 즉, 어떤 신호 소스가 위치 신호를 공급하고 있지 않은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가능한 조작이 결정되거나, 의도하지 않은 방해 영향이 감지되어,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어 유닛은 제1 시간 기준으로서 제1 위치 신호와 제2 위치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측정하고,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에 저장된 고정된 제2 시간 기준과 비교할 수 있으며, 만약 제2 시간 기준이 제1 시간 기준을 위반하면(벗어나면), 제어 유닛은 해당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신뢰성도 결과적으로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시간 체크는 조건부 테스트 명령의 일부일 수 있다. 이는 시간 기준이 조건부 테스트 명령 내에서 만족에 대해 체크됨을 의미한다. 두 위치 신호 사이의 다른, 특히 너무 긴 시간 간격은 조작 또는 에러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신호 소스는 차량 잠금부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 특히 폴 센서인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잠금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감지되고, 폴은 잠금 위치에서 차량 잠금부의 캐치를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메커니즘 센서는 예를 들어, 유도성, 용량성,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작동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위치 또는 홀 센서가 특히 잠금 메커니즘의 위치, 특히 잠금 위치를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잠금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잠금 메커니즘의 프리 래칫 및/또는 메인 래칫 위치일 수 있다. 잠금 위치, 특히 프리 래칫 및/또는 메인 래칫 위치를 가정하면 이동 가능한 부분의 잠금 홀더가 차량 잠금부의 잠금 메커니즘에 결합되어 제1 폐쇄 기준이 프리 래칫 또는 메인 래칫 위치에 의해 나타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 소스가 접촉 스위치, 특히 이동 가능한 부분의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접촉 스위치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접촉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도어 접촉 스위치인데, 도어 접촉 스위치는 도어의 폐쇄 위치를 감지한다. 이 유형의 접촉 스위치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마운팅 또는 서스펜션의 영역 또는 차량 잠금부가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측인 마운팅에 반대되는 측에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는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여, 그러한 조작이 적어도 더 어려워지거나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스위치는 예를 들어, 도어 마운팅/도어 서스펜션의 영역에 배열될 수 있고 차체의 일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접촉 스위치가 이동 가능한 부분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어서, 부정확한 작동 또는 의도적인 조작 작동이 적어도 더 어려워진다.
제1 또는 제2 신호 소스가 차량 잠금부 및/또는 이동 가능한 부분에 대한 구동부를 위한 폐쇄 보조부인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 보조부는 차량 잠금부의 잠금 메커니즘이 프리 래칫에서 메인 래칫 위치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폐쇄 보조부는 특히 캐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그와 상호 작용하여, 메인 래칫의 방향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부분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는 예를 들어, 배타적이지 않게는, 도어 및/또는 테일게이트 구동부로 설계될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가동 부품, 바람직하게는 도어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부분을 위한 구동부는 이동 가능한 부분을 위한 포지셔너로도 이해될 수 있는데, 포지셔너는 적어도 폐쇄 위치에서 부분 개방 위치로 및/또는 그 반대로 가동 부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른 포지셔너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센서를 규칙적으로 갖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2 신호 소스는 잠금 홀더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홀더 센서는 이동 가능한 부분이 폐쇄 위치, 특히 잠금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제2 위치 신호를 형성한다. 잠금 홀더 센서가 이동 가능한 부분 또는 차량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사람이나 방해되는 환경 영향이 접근할 수 없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그 결과, 의도적이거나 비의도적인 조작이 더욱 줄어들 수 있고, 그 결과 신뢰성 및 보안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실링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힘 센서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힘 센서는 특히 도어 실 압력의 형태로 실에 대한 압력을 감지하는데, 그 압력은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상태에 의해 생성된다. 실은 이동 가능한 부분 또는 차량에 배열될 수 있다. 힘 센서는 실 위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안에 배열된다. 힘 센서는 선택적으로만 또는 실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힘 센서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감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위치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힘 센서가 파괴적인 환경 영향으로부터 본질적으로 보호되는 이 경우에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 신뢰성이 증가될 수 있고 고장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신호 소스는 차량의 이미지 획득 유닛이고, 이미지 획득 유닛은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유닛은 차량, 예를 들어, 테일게이트 또는 리어뷰 미러에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획득 유닛은 리어뷰 미러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유닛은 예를 들어, 카메라로 설계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분을 캡처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이미지 획득 유닛을 조작함으로써 폐쇄 위치가 가능하지 않은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에 따라 신뢰성 있는 제2 신호 소스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제2 신호 소스가 이동 가능한 부분에 대한 변위 센서이고, 변위 센서가 이동 가능한 부분과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변위 센서는 예를 들어, 이동 가능한 부분의 힌지 또는 이동 가능한 부분 자체에 배열될 수 있다. 센서는 이동 가능한 부분과 차량 사이의 거리, 특히 이동 가능한 부분이 이동한 후 커버되는 위치 또는 거리를 측정한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 특히 폐쇄 위치가 결정될 수 있어, 신뢰할 수 있는 제2 폐쇄 기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엔드 투 엔드 암호화를 갖는 보안 전송 채널이 제어 유닛과 적어도 제1 신호 소스 및/또는 제2 신호 소스 사이에 설정/존재할 수 있다. 엔드 투 엔드 암호화를 통한 보안 전송 채널은 조작을 줄여,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청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데, 프로그램 코드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 메모리, 또는 광학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를 수행, 구현 및/또는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히 컴퓨터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제어 유닛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청구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가 청구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잠금 시스템을 청구하는데, 이는 차량에 이동 가능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차량 잠금부를 포함하며, 차량 잠금부는 이동 가능한 부분 또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고, 차량 잠금부는 특히 잠금 메커니즘의 잠금 위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신호 소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를 갖고;
제1 신호 소스와 다르고 이동 가능한 부분과 연관될 수 있는 제2 위치 신호를 감지하는 제2 신호 소스를 포함하며;
특히 제어 유닛의 형태인 데이터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갖고,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적어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설계된다.
제2 신호 소스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종속항 중 적어도 하나에 청구되고/거나 이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된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추가 조치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구조적 세부 사항, 공간 배열, 및 방법 단계를 포함하여 청구범위, 설명 또는 도면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특징 및/또는 이점은 그 자체로 그리고 다양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본질적일 수 있다. 도면은 단지 설명적인 성격을 갖고 어떤 식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갖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의 가능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차량(100)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을 갖는 차량을 도시한다. 차량(100)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은 테일게이트(110), 후드(110), 및 사이드 도어(110)로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10)은 이들 이동 가능한 부분(110) 각각과 연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가능한 부분(110)은 차량(100)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잠그는 데 사용되는 차량 잠금부(1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차량 잠금부(11)는 사이드 도어 잠금부, 테일게이트 잠금부, 및/또는 후드 잠금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사이드 도어는 차량 잠금부(11)를 갖는데, 차량 잠금부(11)는 제어 유닛(20) 및 폐쇄 보조부(30)에 신호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보조부(30)는 특히 프리 래칫 위치로부터 메인 래칫 위치로 차량 잠금부(11)의 잠금 메커니즘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폐쇄 보조부(30)는 제2 신호 소스로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제2 위치 신호는 폐쇄 보조부(3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는데, 폐쇄 보조부(30)는 메인 래칫 위치에 도달하면 제2 위치 신호를 생성하며, 이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 이 경우 사이드 도어의 잠금 및 폐쇄 위치를 반영한다. 차량 잠금부(11)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에 추가하여, 폐쇄 보조부(30)에 의해 공급되는 제2 위치 신호는 차량 잠금부(11)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의 제1 위치 신호와 함께 사용되어 이동 가능한 부분, 즉, 이 경우 사이드 도어(110)의 폐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20)은 이 경우 사이드 도어(110)에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 유닛(20)은 차량의 임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잠금부(11)의 제어 유닛 또는 차량에 상위의 제어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도 1은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한 구동부(40)를 도시한다. 이러한 유형의 도어 구동부(40)는 종래기술로부터 이미 충분히 알려져 있다. 구동부(40)는 적어도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 가능한 부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동시에, 이동 가능한 부분의 위치는 구동부(40)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40) 내에 위치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개폐 및/또는 폐쇄하기 위한 구동부(40)도 제어 유닛(20)과 신호 연결된다.
차량(100)의 2개의 사이드 도어(110)의 접촉 스위치(50)가 또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 스위치(50)는 제2 위치 신호 소스로 사용될 수 있는데, 접촉 스위치(50)는 폐쇄 위치에서 이동 가능한 부분(110)에 의해 접촉되어, 이동 가능한 부분(110), 이 경우 사이드 도어의 폐쇄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50)는 외부로부터의 조작이 적어도 더 어렵도록 차량(100)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 또는 차체에 유리하게 배열된다. 이를 위해, 접촉 스위치(5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접근 영역의 외부에 배열된다. 동시에, 접촉 스위치(50)는 구동이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에서만 발동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차량 도어(110)가 폐쇄될 때 접촉 스위치(50)에 의해서만 제2 위치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스위치(50)는 또한 제어 유닛(20)에 신호 연결되는데, 이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 신호가 감지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유닛(80)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미지 획득 유닛(80)은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획득 유닛(80)은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적어도 하나의 폐쇄 위치가 이미지 획득 유닛(8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폐쇄 위치는 이미지 획득 유닛(80)에 의해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폐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제2 위치 신호로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획득 유닛(80)은 또한 제2 위치 신호가 이미지 획득 유닛(80)으로부터 제어 유닛(20)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 유닛(20)에 신호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시스템(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차량 잠금 시스템은 차량 잠금부(11)로 구성되는데, 차량 잠금부(11)는 잠금 메커니즘(13)을 갖고, 잠금 메커니즘(13)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 및 적어도 하나의 폴로 구성된다. 잠금 메커니즘 센서(12)는 잠금 메커니즘(13)과 연관되는데, 특히, 잠금 메커니즘(13)의 잠금 위치는 잠금 메커니즘 센서(1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13)은 차량/차체에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 특히 사이드 도어, 테일게이트 도어, 또는 후드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잠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잠금 상태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에 해당하는데, 잠금 메커니즘은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추가로 고정한다. 이를 위해, 잠금 메커니즘, 특히 잠금 메커니즘의 캐치는 잠금 홀더와 맞물림을 유지하는데, 잠금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차체에 배열된다. 그러나, 차량 잠금부(11)가 차량 또는 차체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잠금 홀더가 이동 가능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후드 잠금부로 실현된다.
차량 잠금부(11)는 제어 유닛(20)에 신호 연결되는데, 데이터 연결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잠금 홀더 센서는 도 2에서 차량 잠금부(11)와 연관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홀더 센서는 차량 잠금부(11)의 잠금 홀더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도록 차량 잠금부(11)에 배열된다. 특히, 잠금 홀더 센서(60)는 잠금 홀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는 잠금 메커니즘(13)을 갖는 잠금 홀더의 잠금 위치에 대응된다. 따라서, 잠금 홀더 센서(60) 및 잠금 메커니즘 센서(12)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보내는 두 위치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도 2는 차량 잠금부(11), 특히 잠금 메커니즘(13)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폐쇄 보조부(30)를 도시한다. 따라서 폐쇄 보조부(30)는 프리 래칫 위치로부터 메인 래칫 위치로 잠금 메커니즘을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폐쇄 보조부(30)가 제3 위치 신호를 사용하여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 유닛(20)에 의해 적어도 3개의 위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10: 차량 잠금 시스템(vehicle locking system)
11: 차량 잠금부(vehicle lock)
12: 잠금 메커니즘 센서(locking mechanism sensor)
13: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20: 제어 유닛/데이터 처리 장치(control unit/data processing device)
30: 폐쇄 보조부(closing aid)
40: 구동부(drive)
50: 접촉 스위치(contact switch)
60: 잠금 홀더 센서(lock holder sensor)
70: 힘 센서(force sensor)
80: 이미지 획득 유닛(image acquisition unit)
90: 변위 센서(displacement sensor)
100: 차량(vehicle)
110: 이동 가능한 부분(movable part)

Claims (21)

  1. 차량(100), 특히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어 유닛(20)이 이동 가능한 부분(110)에 대한 차량 잠금부(11)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를 포함하는 제1 폐쇄 기준으로서 제1 신호 소스로부터 제1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제어 유닛(20)이 수신된 제1 위치 신호에 조건부 테스트 명령을 추가하는 단계로서, 조건부 테스트 명령은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한 후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위치 신호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제1 폐쇄 기준도 만족되는 단계;
    - 제어 유닛(20)이 제2 폐쇄 기준으로서 제2 신호 소스로부터 제2 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제2 신호 소스는 제1 신호 소스와 다르고 제2 위치 신호는 이동 가능한 부분에 할당될 수 있는 단계;
    - 제어 유닛(20)은 두 폐쇄 기준이 만족될 때 확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0)은 제1 및/또는 제2 폐쇄 기준이 위반되면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20)은 제1 시간 기준으로서 제1 위치 신호와 제2 위치 신호 사이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제어 유닛(20)의 고정된 제2 시간 기준과 비교하며, 제1 시간 기준의 제2 시간 기준이 위반되면, 제어 유닛(20)은 에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소스는 차량 잠금부(11)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12), 특히 폴 센서이고, 잠금 위치가 바람직하게는 감지되며 폴은 잠금 위치에서 차량 잠금부(11)의 캐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접촉 스위치(50), 특히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외부로부터 접근 불가능한 접촉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신호 소스는 차량 잠금부(11)의 폐쇄 보조부(30) 및/또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위한 구동부(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잠금 홀더 센서(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실링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힘 센서(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차량(100)의 이미지 획득 유닛(80)이고, 이미지 획득 유닛(80)은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변위 센서(90)이고, 변위 센서(90)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과 차량(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드 투 엔드 암호화를 갖는 보안 전송 채널이 제어 유닛(20)과 적어도 제1 신호 소스 또는 제2 신호 소스 사이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데이터 처리 장치, 특히 제어 유닛(20)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3. 차량(100)의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폐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 잠금 시스템(10)으로서, 차량(100)에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잠그기 위한 차량 잠금부(11)를 포함하고, 차량 잠금부(11)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 또는 차량(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 잠금부(11)는 특히 잠금 메커니즘(13)의 잠금 위치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위치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신호 소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 센서(12)를 갖고;
    제1 신호 소스와 다른 제2 신호 소스가 이동 가능한 부분(110)과 연관될 수 있는 제2 위치 신호를 감지하며; 데이터 처리 장치, 특히 제어 유닛(20)을 더 포함하고,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제12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며, 데이터 처리 장치, 특히 제어 유닛(20)은 적어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설계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4. 제13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 센서(12)는 폴 센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차량 잠금부(11) 안 또는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차량 잠금부(11)의 폐쇄 보조부(30) 및/또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을 위한 구동부(40)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의 접촉 스위치(50)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잠금 홀더 센서(60)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실링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힘 센서(70)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차량(100)의 이미지 획득 유닛(80)으로서 설계되고,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는 이미지 획득 유닛(8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21.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신호 소스는 이동 가능한 부분(110)의 변위 센서(90)로서 설계되고, 이동 가능한 부분(110)과 차량(100) 사이의 거리는 변위 센서(9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시스템(10).
KR1020227040463A 2020-04-21 2021-04-01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KR202300028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0769.2 2020-04-21
DE102020110769.2A DE102020110769A1 (de) 2020-04-21 2020-04-21 Verfahren zur sicheren Erkennung einer Schließposition eines beweglichen Teils von einem Fahrzeug
PCT/DE2021/100319 WO2021213584A1 (de) 2020-04-21 2021-04-01 VERFAHREN ZUR SICHEREN ERKENNUNG EINER SCHLIEßPOSITION EINES BEWEGLICHEN TEILS VO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882A true KR20230002882A (ko) 2023-01-05

Family

ID=7590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463A KR20230002882A (ko) 2020-04-21 2021-04-01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28131A1 (ko)
EP (1) EP4139548B1 (ko)
JP (1) JP2023522239A (ko)
KR (1) KR20230002882A (ko)
CN (1) CN115427651A (ko)
DE (1) DE102020110769A1 (ko)
WO (1) WO2021213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7552A1 (de) 2021-10-22 2023-04-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ortbewegungsmitt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Fehlfunktion eines Türsensors eines Fortbewegungsmitte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3043B4 (de) 1999-06-26 2010-10-07 Witte-Velbert Gmbh & Co. Kg Verschluß für Türen oder Klappen an einem Kraftfahrzeug
GB0207526D0 (en) 2002-04-02 2002-05-08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oor latch
DE102007000899B3 (de) * 2007-11-14 2009-05-14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schluss für ein Staufach eines Kraftfahrzeugs
FR2931185A1 (fr) 2008-05-13 2009-11-20 Renault Sas Systeme et procede de fermeture motorise pour ouvrant de vehicule avec joint compressible
DE102010052582B4 (de) 2010-11-25 2022-02-03 Audi Ag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geöffneten Tür eines Fahrzeugs und zugehöriges Fahrzeug
DE102012106725A1 (de) * 2012-07-24 2014-01-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Überprüfung einer Schließposition eines Fahrzeugschließelements und elektronische Auswerteeinheit
FR2995622B1 (fr) * 2012-09-17 2015-03-20 Inteva Products France Sas Came de transformation du mouvement d'un pene
DE102016202975B3 (de) 2016-02-25 2017-07-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zur optischen Warnmeldung einer nicht geschlossenen Fahrzeugtür
US20190390485A1 (en) 2018-06-25 2019-1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door lock system
DE102019003618A1 (de) * 2019-05-23 2019-12-12 Daimler Ag Tür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10769A1 (de) 2021-10-21
JP2023522239A (ja) 2023-05-29
EP4139548A1 (de) 2023-03-01
WO2021213584A1 (de) 2021-10-28
US20230228131A1 (en) 2023-07-20
CN115427651A (zh) 2022-12-02
EP4139548B1 (de)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1946B2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used in security system for cargo trailers
US7772962B2 (en) Multiple lock security system for cargo trailers
US8237544B2 (e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808372A (en) Ignition key-vehicle communication device which is protected against incorrect operation
US5699685A (en) Central lock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with satellite processors at respective locks
US10655368B2 (en) Electrical door latch with motor reset
US5583383A (en) Vehicle security system
JP2007503538A (ja) 自動車用のドア閉鎖システム
CN107419992B (zh) 用于操控机动车的马达驱动的闭锁元件组件的方法
JP5419981B2 (ja) 車両用リモートスタート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リモートスタート機能の保護方法
CN106437304B (zh) 安全系统
US9656632B2 (en) Method of operating a telematics system, and telematics system
KR20230002882A (ko) 차량의 이동 가능한 부분의 폐쇄 위치를 확실하게 감지하기 위한 방법
US20080211642A1 (en) Antitheft device for vehicle
US20160304055A1 (en) Smart key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alerting a vehicle security concern
CN105715141A (zh) 用于车辆开闭体的控制装置和控制系统
CN114320070A (zh) 汽车和汽车滑门控制系统
US20170039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Authenticating a Device Having a Sensor
US20140170880A1 (en) Lock system
JP6437888B2 (ja) Obdポートのロック装置
JP4599534B2 (ja) 車両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ES2241726T3 (es) Procedimiento seguro de acceso y/o arranque manos libres de un vehiculo automovil.
KR20220140841A (ko) 자동차 폐쇄 장치
KR101417259B1 (ko)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GB2242477A (en) Superlocking monitor, locking system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 of superlocklng a 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