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259B1 -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259B1
KR101417259B1 KR1020120036524A KR20120036524A KR101417259B1 KR 101417259 B1 KR101417259 B1 KR 101417259B1 KR 1020120036524 A KR1020120036524 A KR 1020120036524A KR 20120036524 A KR20120036524 A KR 20120036524A KR 101417259 B1 KR101417259 B1 KR 10141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command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odule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306A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2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가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명령입력단계; 상기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키가 특정 무선통신모듈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에 상기 스마트키가 탐지되면 스마트키는 특정 무선통신모듈과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되면 특정명령을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측에 대응되는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거리에 상관없이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이 가능하고 스마트키가 차량의 개방부에 접근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개방부가 자동 개폐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자동차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하고 새로운 기술의 전자 통신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전자기술 중 운전자가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조작 없이 차량의 외부에서 도어개폐, 차량시동, 도난방지의 다양한 기능이 가능한 스마트키가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차량 개방부 자동개폐 제어방법은 차량의 하단부에 센서가 마련되어 하단부로 진입되는 발을 센서가 감지하면서 개방부가 개폐되었다. 이러한, 개방부 자동개폐 시스템은 차량의 하단부에 마련된 센서에 운전자의 발을 일정한 속도로 정확히 집어넣어야 작동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센서 브라켓이 마운팅됨에 따라 디자인에 제약이 있었고, 먼지나 온도에 의한 주변환경이 성능에 제약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범퍼의 디자인별로 별도의 튜닝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범퍼 하단부에 센서가 삽입됨에 따라 범퍼가 튜닝되어 재료비가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범퍼당 튜닝비, 센서 금형비 및 범퍼 금형비가 더해짐에 따라 재료비가 과다해지고 재료비 상승에 대한 부담은 결국 차량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주변 환경과 사용자 조건에 성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별도의 불필요한 튜닝을 하지 않으며, 구매하려는 고객에게 가격부담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종래의 또 다른 기술로써, 스마트키가 차량과의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도어언락 명령을 입력하고, 스마트키 ECU가 스마트키의 명령입력을 기억하면 차량 전체의 LF안테나가 동작하여 LF안테나가 접근된 스마트키를 감지 시 도어의 언락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일정거리 내에서 스마트키의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설정과 무관하게 항상 동작하며, LF안테나가 스마트키의 단순 위치를 파악하여 도어를 언락하였다. 또한, 스마트키가 도어언락 명령을 입력하면 스마트키 ECU에 명령이 저장되고 스마트키가 차량에 접근되면 도어언락을 실시하였다.
특히, 스마트키는 설정명령을 입력할 때 차량이 보이는 일정거리 내에서 명령을 입력해야 했기에 차량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 도어언락이 불가능하며, 운전자가 원하는 도어를 언락하는 것이 아닌 단순히 인증에 의한 도어언락이 되었다.
또 다른 기술로써, 블루투스를 이용한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은 기존 LF 통신이 아닌 블루투스로 인증 실시되는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블루투스가 인증을 완료한 상태에서 일정범위 내에 스마트키가 감지됨에 따라 자동으로 도어가 락/언락되고, 기타 기능은 스마트키의 별도 버튼으로 동작되는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일정거리 내에 들어가야 기능이 동작하는 거리제한이 있고, 블루투스의 항시 동작으로 인해 암전류 증대가 발생하며, 도어언락에 대한 별도의 명령 구분이 없어서 원하지 않는 도어언락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차량이 보이지 않는 원거리에서도 도어언락이 가능하고, 운전자가 원하는 도어를 자동으로 언락하는 기술로써, 운전자의 편의성과 상품성이 증대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이 가능하며, 스마트키가 차량의 개방부에 접근하면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개방부가 자동 개폐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은,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가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명령입력단계; 상기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키가 특정 무선통신모듈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탐지단계;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에 상기 스마트키가 탐지되면 스마트키는 특정 무선통신모듈과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단계; 및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되면 특정명령을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측에 대응되는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량 내부에 마련된 인터페이스가 온 설정된 때부터, 무선통신모듈과 차량의 제어부가 스마트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특정명령이 저장된 상태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명령해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차량이 상기 스마트키와 시동인증되는 경우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을 취소하고 초기화되는 취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저장된 개폐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송신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개폐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초기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입력단계는 상기 스마트키가 특정명령을 저장하면, 스마트키에서 알림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은,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스마트키; 차량의 각 개방부에 마련되며 활성화된 경우 상기 스마트키가 감지범위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키의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이 스마트키를 탐지할 경우 스마트키는 특정 무선통신모듈과 인증을 실시하고 제어부에 개폐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제어부가 특정 무선통신모듈에 대응되는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제어부와 스마트키 간의 통신을 온/오프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은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시 거리제한이 있고 통신모듈이 항상 동작하기 때문에 암전류가 증대되며 원하지 않는 도어까지 언락 되었다.
하지만, 본 기술은 스마트키가 주체적으로 입력되는 명령을 저장하고 송신하며 인증을 실시하기 때문에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을 할 수 있고,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한 도어만 자동 개폐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며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상태에서 개방부 자동개폐를 원하지 않을 시 자동개폐 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어 작동되고, 특히 원하는 지점의 무선통신모듈만을 활성화하기 때문에 암전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차량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은,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의 순서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가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명령입력단계(S200); 상기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키가 특정 무선통신모듈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탐지단계(600);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에 상기 스마트키가 탐지되면 스마트키는 특정 무선통신모듈과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단계(S700); 및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되면 특정명령을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측에 대응되는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8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인터페이스가 온 설정되고 무선통신모듈과 차량의 제어부가 스마트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 설정단계(S1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오프 설정되면 무선통신모듈과 차량의 제어부가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상기 스마트키의 저장된 특정명령이 전송되어도 개방부가 개폐되지 않는다. 이는 운전자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직접 설정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개방부 자동개폐에 대한 설정의지를 반영하고 오조작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어 작동되기 때문에 암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특정명령이 저장된 상태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명령해지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이로 인해, 차량의 개방부가 자동개폐되는 설정을 쉽게 취소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운전자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스마트키에 특정명령이 저장되어 전송되는 중 운전자의 실수로 추가적인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마트키의 명령입력버튼을 고정할 수 있는 홀드모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차량이 상기 스마트키와 시동인증되는 경우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을 취소하고 초기화되는 취소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시동인증이란 차량 내부로 진입된 스마트키가 차량과 인증을 실시함으로써 인증이 완료된 차량이 시동대기 상태가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차량과 스마트키가 시동인증되어 스마트키의 특정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됨으로써, 차량이 시동되어 움직이는 경우에 개방부가 개폐되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명령해지단계(S300)와 취소단계(S400)는 스마트키에 명령이 입력되고 저장되는 명령입력단계(S200)부터 스마트키가 개폐명령을 전송하여 특정 개방부가 개폐되는 제어단계(S800) 전까지 적용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원하는 상황에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을 취소가능토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원하지 않은 때에 개방부가 불필요하게 개폐되는 것을 방지하며 다른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명령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특정명령이 저장된 스마트키에 추가명령이 입력되거나 스마트키와 차량의 시동인증이 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을 취소하고 초기화되어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저장된 개폐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송신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초기화단계(S900);를 더 포함한다.
이로 인해, 스마트키는 다른 명령이 입력되도록 초기화되어 대기상태가 되고, 운전자가 특정 개방부에 재접근시 특정 개방부가 불필요하게 재개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명령입력단계에서 상기 스마트키는 특정명령이 저장되면 알림신호가 발생(S500)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알림신호는 스마트키의 진동이나 소리발생 또는 LED점멸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스마트키가 무선통신모듈에 접근한 경우 소리의 변화나 진동의 크기, LED점멸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개방부가 자동개폐되도록 설정한 것에 대해서 인식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 구성도로서,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스마트키(100); 차량의 각 개방부(500)에 마련되며 활성화된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가 감지범위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무선통신모듈(200); 및 상기 스마트키(100)의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을 활성화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먼저, 차량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200) 및 제어부(300)와 스마트키(100)간의 통신을 온/오프하는 인터페이스(400);가 온 설정되어 제어부(300)와 무선통신모듈(200)을 활성화하고 스마트키(100)와 통신이 되도록 한다.
차량의 개방부(500) 자동개폐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차량의 개방부(500)는 좌우 도어(504,506)나 트렁크(502)를 말하며 이에 대응되도록 좌측도어(504)와 우측도어(506)에 각각 특정 무선통신모듈(204,206)이 마련되고 트렁크(502)에도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202)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무선통신모듈을 활성화하는 통신제어모듈(302)과 특정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제어모듈(304)로 구성되어 차량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은, 인터페이스가 설정 온 되면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 개방부(500)에 마련된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이 제어부(300)에 의해 활성화되고 특정명령을 저장한 스마트키(100)를 탐지하며, 탐지된 스마트키(100)는 특정 무선통신모듈(200)과 인증을 실시한다. 이어서, 스마트키(100)가 인증을 완료하면 저장된 특정명령을 제어부(30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300)가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에 대응되는 특정 개방부(500)를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시스템은, 스마트키(100)가 주체적으로 입력되는 명령을 저장하고 송신하며 인증을 실시하기 때문에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개방부(500) 자동개폐 설정이 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원하는 특정한 개방부(500)만 자동 개폐되도록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0 : 설정단계 S200 : 명령입력단계
S300 : 명령해지단계 S400 : 취소단계
S500 : 알림신호 발생단계 S600 : 탐지단계
S700 : 인증단계 S800 : 제어단계
S900 : 초기화 단계 100 : 스마트키
200 : 무선통신모듈 300 : 제어부
400 : 인터페이스 500 : 개방부

Claims (8)

  1. 차량 내부에 마련된 인터페이스가 온 설정된 때부터, 무선통신모듈과 차량의 제어부가 스마트키와 통신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되는 설정단계(S100);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가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에 송신하는 명령입력단계(S200);
    상기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이 활성화되고 스마트키가 특정 무선통신모듈의 감지범위 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탐지단계(600);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에 상기 스마트키가 탐지되면 스마트키는 특정 무선통신모듈과 인증을 실시하는 인증단계(S700); 및
    상기 스마트키의 인증이 완료되면 특정명령을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측에 대응되는 개방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단계(S800);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특정명령이 저장된 상태에서 또 다른 추가적인 명령이 입력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명령해지단계(S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 개폐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차량이 상기 스마트키와 시동인증되는 경우 스마트키는 저장된 특정명령을 취소하고 초기화되는 취소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 개폐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스마트키에 저장된 개폐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송신되면, 스마트키는 저장된 개폐명령이 취소되고 초기화되는 초기화단계(S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 개폐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단계는 상기 스마트키가 특정명령을 저장하면, 스마트키에서 알림신호가 발생(S50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 개폐방법.
  7. 특정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저장하고 차량의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스마트키(100);
    차량의 각 개방부(500)에 마련되며 활성화된 경우 상기 스마트키(100)가 감지범위내로 들어오는지를 탐지하는 무선통신모듈(200);
    상기 스마트키(100)의 특정명령에 대응되는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을 활성화하는 제어부(300); 및
    차량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200) 및 제어부(300)와 스마트키(100)간의 통신을 온/오프하는 인터페이스(400);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이 스마트키(100)를 탐지할 경우 스마트키(100)는 특정 무선통신모듈(200)과 인증을 실시하고 제어부(300)에 개폐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제어부(300)가 특정 무선통신모듈(200)에 대응되는 개방부(50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 시스템.
  8. 삭제
KR1020120036524A 2012-04-09 2012-04-09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KR10141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24A KR101417259B1 (ko) 2012-04-09 2012-04-09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524A KR101417259B1 (ko) 2012-04-09 2012-04-09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06A KR20130114306A (ko) 2013-10-17
KR101417259B1 true KR101417259B1 (ko) 2014-07-09

Family

ID=49634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524A KR101417259B1 (ko) 2012-04-09 2012-04-09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22B1 (ko) 2015-07-01 201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키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5811A1 (fr) * 2018-09-10 2020-03-13 Psa Automobiles Sa Systeme automatique d’acces et de demarrage pour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gestion de l’acces a un vehic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84B1 (ko) * 2007-11-13 2009-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테일게이트 제어방법
KR101001103B1 (ko) * 2009-04-08 2010-12-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거 입력부가 구비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84B1 (ko) * 2007-11-13 2009-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테일게이트 제어방법
KR101001103B1 (ko) * 2009-04-08 2010-12-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리거 입력부가 구비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722B1 (ko) 2015-07-01 2016-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마트키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306A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5259B2 (ja) 車両機能制御装置
KR100810279B1 (ko) 자동차 잠금 장치
JP5846024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EP1975361A2 (en) Control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body for vehicle
JP4488050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7053216B2 (ja) 車両操作装置および車両システム
JP5350719B2 (ja) 車両のドアロック装置
EP1127757A2 (en) Keyless entry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150314756A1 (en) Passive access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4148842A (ja) 車両扉開閉装置
KR20200017024A (ko) 원격 제어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98856A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20090206990A1 (en) Aftermarket convenience entry and start system
JP6954801B2 (ja) キーユニット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20140079186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차량 보안 강화 및 편의 장치 제어시스템
KR101417259B1 (ko) 차량의 개방부 자동개폐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5011A (ko) 커넥티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51128B2 (ja) 車両の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4706594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5098545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JP4501710B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
JP4839701B2 (ja) 車両用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CN113002480B (zh) 用于对机动车的访问进行控制的方法和访问控制系统
KR101983665B1 (ko) 스마트키 연동 터치 패널의 자동 인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288701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