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0683A - 커피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0683A
KR20220150683A KR1020210057967A KR20210057967A KR20220150683A KR 20220150683 A KR20220150683 A KR 20220150683A KR 1020210057967 A KR1020210057967 A KR 1020210057967A KR 20210057967 A KR20210057967 A KR 20210057967A KR 20220150683 A KR20220150683 A KR 20220150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unit
stirring
input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더블유굿즈
Priority to KR102021005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50683A/ko
Publication of KR2022015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0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5/00Bowls for pipes
    • A24F5/04Bowls for pipes with holes for admitting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커피 로스팅 장치가 개시된다. 커피 로스팅 장치는, 상부에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된 원두의 로스팅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로스팅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로스팅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원두를 교반하는 블레이드부와 바디부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하한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팅 장치{COFFEE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원두의 로스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기차의 외관 및 작동과 유사하게 구현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한 커피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나무 열매(Cherry) 안의 두 개의 씨앗을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탄닌 등의 여러 가지 성분들을 조화롭게 표현하는 일련의 작업을 로스팅(Roasting)이라고 한다.
생두는 일반적으로 220~230℃의 온도에서 30분 정도 볶는 로스팅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향미를 낼 수 있는 성분을 가진 원두(Coffee Bean)가 된다.
로스팅의 방법에는 전통적인 가정식 방법인 팬 로스팅(Pan Roasting)과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드럼 로스팅(Drum Roasting), 주로 인스턴트 커피 제조용으로 쓰이는 열풍 로스팅(Hot AirRoasting)이 있다.
한편, 종래 원두의 로스팅 작업은, 로스팅 장치의 내부에 로스팅하고자 하는 원두를 투입하여 열을 가하여 로스팅되는 단순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로스팅 과정의 단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24303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입된 원두의 로스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로스팅 과정에서 기차의 작동 소음과 유사한 소음이 발생되고, 기차의 미려한 외관의 구현이 가능한 커피 로스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된 원두의 로스팅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로스팅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로스팅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원두를 교반하는 블레이드부와 바디부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교반부를 포하한다.
배출부는, 바디부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며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경사 돌부와, 경사 돌부의 배출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는,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블록과, 블레이드 블록의 외측에 방사상의 복수개로 돌출되며 표면에는 복수개의 교반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홀은 교반 블레이드에 다각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는, 바디부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홀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부가 형성된 투입 호퍼일 수 있다.
바디부의 측면에는 기차의 차륜 형상의 차륜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부를 통해 바디부의 내부에 투입된 원두가 교반부의 회전 작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로스트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교반부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교반 블레이드에 형성된 교반홀에 의해 기차의 작동 소음과 유사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는 증기 기관차의 연통과 유사하며, 바디부의 측면에는 기차의 차륜 형상의 차륜 표시부가 형성되고, 바디부는 기차의 외관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바, 원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친근함을 부여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로스팅 장치(100)는, 상부에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부(2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된 원두의 로스팅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로스팅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30)가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로스팅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1)과 회전축(4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원두를 교반하는 블레이드부(43)와, 바디부(10)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축(41)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부(45)를 포함하는 교반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저면에 편평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원두의 로스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기차 형상의 외관을 구현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증기 기관차의 증기 배출부 형상의 투입부(20)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기차에 설치된 차륜 형상을 구현하는 차륜 표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20)는 바디부(10)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홀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부가 형성된 투입 호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투입부와 투입 호퍼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투입 호퍼(20)는 바디부(10)에 형성된 투입홀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측으로 확관되어 복수개의 원두를 바디부(10)의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투입 호퍼(20)는 증기 기관차의 증기 배출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의 일측에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부(3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바닥면 방향으로 일측이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출부(3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며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홀(31a)이 형성된 경사 돌부(31)와, 경사 돌부(31)의 배출홀(31a)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돌부(31)는 바디부(10)의 일측에서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바디부(10)의 내부에서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안정적으로 배출 가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경사 돌부(31)는 돌출된 측면에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단부가 바디부(1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경사진 단부 위치에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홀(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돌부(31)의 배출홀(31a)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가이드 돌부(33)가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돌부(33)는 경사 돌부(31)의 배출홀(31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홀(31a)을 통해 배출되는 원두의 안정적인 배출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이드 돌부(33)에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부에는 삽입편(34)이 설치될 수 있다.
삽입편(34)은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출홀(31a)의 개구된 크기를 결정하도록 삽입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삽입편(34)이 배출홀(31a)의 일부분을 가리도록 삽입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바, 삽입편(34)의 규격 사양을 변경하여 배출홀(31a)의 개구된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원두의 혼합을 위한 교반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부(40)는, 바디부(10)의 로스팅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1)과, 회전축(41)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원두를 교반하는 블레이드부(43)와, 바디부(10)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회전축(41)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1)은 바디부(10)의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측면에는 원두의 교반을 위한 블레이드부(43)가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43)는, 회전축(41)의 외측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블록(43a)과, 블레이드 블록(43a)의 외측에 방사상의 복수개로 돌출되며, 표면에는 복수개의 교반홀(43c)이 형성된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43b)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블록(43a)은 회전축(41)의 외측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와 두께로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축(4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블록(43a)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43b)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 블레이드(43b)는 블레이드 블록(43a)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블록(43a)의 외측에 4개의 방사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교반 블레이드(43b)는 블레이드 블록(43a)의 외측에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된 가장자리는 바디부(10)의 로스팅 공간의 내벽면에 근접한 위치에 로스팅 공간의 내벽면에 대략 평행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 블레이드(43b)에는 교반홀(43c)이 형성될 수 있다.
교반홀(43c)은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43b)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교반 블레이드(43b)에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교반홀(43c)은 교반 블레이드(43b)에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교반 블레이드(43b)의 회전 작동시 일정 음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디부(10)의 로스팅 공간의 내부에서 교반 블레이드(43b)의 회전 작동되는 경우, 원두의 교반 작동과 함께 공기가 교반홀(43c)을 통과하면서 일정 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가 교반홀(43c)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음향은 기차의 작동 음향과 유사한 음향으로 설정 주기마다 발생되어,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한편, 투입부(20)는, 바디부(10)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홀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확관부가 형성된 투입 호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투입부와 투입 호퍼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투입 호퍼(20)는 바디부(10)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기차의 증기 배출부의 형상에 유사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입 호퍼(20)에서는 원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바, 증기 기관차의 작동 형상과 유사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여, 미려한 외관의 구현과 함께 사용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한편, 바디부(10)의 측면에는 기차의 차륜 형상의 차륜 표시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차륜 표시부(11)는 바디부(10)의 측면에서 기차의 차륜 형상을 표시하는 바, 기차의 측면 외관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여, 기차 형상의 구현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피 로스팅 장치(100)는, 투입부(20)를 통해 바디부(10)의 내부에 투입된 원두가 교반부(40)의 회전 작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로스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교반부(40)의 회전 작동 과정에서 교반 블레이드(43b)에 형성된 교반홀(43c)에 의해 기차의 작동 소음과 유사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30)는 증기 기관차의 연통과 유사하며, 바디부(10)의 측면에는 기차의 차륜 형상의 차륜 표시부(11)가 형성되고, 바디부(10)는 기차의 외관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바, 원두의 로스팅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친근함을 부여하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바디부 11...차륜 표시부
20...투입부, 투입 호퍼 30...배출부
31...경사 돌부 32...배출홀
33...가이드 돌부 34...삽입편
40...교반부 41...회전축
43...블레이드부 43a..블레이드 블록
43b..교반 블레이드 43c..교반홀

Claims (4)

  1. 상부에 원두를 투입하는 투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된 원두의 로스팅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로스팅된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기 로스팅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원두를 교반하는 블레이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교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경사지게 돌출되며 원두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경사 돌부와, 상기 경사 돌부의 상기 배출홀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부를 포함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블록; 및
    상기 블레이드 블록의 외측에 방사상의 복수개로 돌출되며, 표면에는 복수개의 교반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교반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홀은 상기 교반 블레이드에 다각형으로 관통 형성된, 커피 로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홀에 교체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측으로 확관부가 형성된 투입 호퍼인, 커피 로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는 기차의 차륜 형상의 차륜 표시부가 형성되는, 커피 로스팅 장치.
KR1020210057967A 2021-05-04 2021-05-04 커피 로스팅 장치 KR20220150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67A KR20220150683A (ko) 2021-05-04 2021-05-04 커피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7967A KR20220150683A (ko) 2021-05-04 2021-05-04 커피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683A true KR20220150683A (ko) 2022-11-11

Family

ID=8404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967A KR20220150683A (ko) 2021-05-04 2021-05-04 커피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06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34B1 (ko) 2019-03-18 2021-04-22 주식회사 엠바디텍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34B1 (ko) 2019-03-18 2021-04-22 주식회사 엠바디텍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988B2 (ja) 家庭用精米機
JP2008278924A (ja) 炊飯器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20220150683A (ko) 커피 로스팅 장치
CN105266649B (zh) 自动制面包机
JP3841731B2 (ja) 殺青装置
KR20140053512A (ko) 곡물 볶음용 냄비
KR20120118662A (ko)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JP7191315B2 (ja) 茶葉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KR20140005352U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20010088457A (ko) 곡물볶음장치
JP2009220073A (ja) 胚芽付き搗精米、搗精用部材、撹拌式精米機および胚芽付き搗精米の製造方法
KR20180013318A (ko) 생두낙하블레이드가 구비된 수동식 커피 로스터
JP3809109B2 (ja) 茶葉の蒸熱処理装置
CN107125670A (zh) 酱腌菜制作装置
CN106490636A (zh) 便于出料的竹笋脱壳装置
KR100620614B1 (ko) 견과류 구이방법
CN206978574U (zh) 一种面团揉搓机
KR20210054834A (ko) 커피원두 냉각 장치
KR102437820B1 (ko) 커피 로스팅기
KR20140147633A (ko) 커피 로스터의 생두, 원두 유출입 구조
CN208339421U (zh) 烹饪器具
KR20160003164U (ko) 커피 및 견과류 로스팅 및 교반용 내솥 및 이를 포함하는 로스팅 장치
KR102620975B1 (ko) 돼지족발 조리방법 및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