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9686A -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9686A
KR20220149686A KR1020227031614A KR20227031614A KR20220149686A KR 20220149686 A KR20220149686 A KR 20220149686A KR 1020227031614 A KR1020227031614 A KR 1020227031614A KR 20227031614 A KR20227031614 A KR 20227031614A KR 20220149686 A KR20220149686 A KR 20220149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liver disease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1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효
한혜정
임민주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녹십자웰빙
가부시끼가이샤니혼세이부쯔세이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녹십자웰빙, 가부시끼가이샤니혼세이부쯔세이자이 filed Critical (주)녹십자웰빙
Publication of KR2022014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0Placenta; Placental stem cells; Amniotic fluid; Amnion; Amniotic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i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r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지방간과 관련된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고 혈청의 AST 및 ALT 활성을 감소시켜 지방간 질환, 예컨대 비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간 건강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과도한 알코올이나 지방간을 유발하는 약물의 복용이 없이도 간 세포에 중성지방인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축적되는 것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현대인의 고지방 및 고탄수화물 섭취와 관련된 영양 과다에 따라 계속 증가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지닌 성인의 80%가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및 심장질환 등 대사이상 질환으로 발전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nonalcoholic simple steatosis),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비알코올성 지방간연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는 간질환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간 질환을 의미한다. 병리학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인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과 염증을 동반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장기간 방치 시, 간염, 간섬유, 간경변 등의 심각한 간 질환으로 이행될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간 세포(hepatocyte)에서 지방의 축적(지방 침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서 지방 축적은 다양한 정도의 간의 염증 및 흉터와 관련되고, 많은 경우에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및 고혈압과 연관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발병은 투-히트 가설(2-hit hypothesis)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처음에는 간 조직 내에 지방 축적이 일어난 후 간 조직 내의 지방 축적이 심해지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지방의 과산화 반응 및 염증의 악화가 초래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것에 비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대한 탁월한 치료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비만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가 증가하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 시장은 막대한 시장규모로 발전하였고,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발생 원인 및 기작이 밝혀지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제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하고 장기 복용이 가능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제의 개발은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를 위해, 비만치료제, 인슐린저항치료제, 고지혈증치료제, 간세포 보호제, 항산화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약물들은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본질적인 치료제가 아닌 증상 개선제로 이용되는 약물이며 장기 복용시 부작용이 있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장기 복용이 가능하여 만성 질환인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에 적합한 새로운 치료용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는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한국에서는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율이 높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예방, 개선,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 개발 수준은 낮은 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천연물을 이용한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물을 원료로 하는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의 경우, 천연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 함량이 적은 관계로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사용이 필요하고, 이들 중 대부분은 천연물 소재라는 점을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을 뿐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의 실질적 효능에 대해서는 과학적 연구가 좀더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인간 태반 추출물(Human placenta extract, HPE)은 다양한 성장인자, 사이토카인 및 기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며, 피로의 경감, 항산화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Lee KK, et al.,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vol. 2012,(2012) p.130875). 그러나, 인간 태반 추출물에 대한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인간 태반 추출물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인간 태반 추출물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에 펩신 및 염산을 처리하여 수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위 3에 있어서, 상기 태반은 아세톤 처리로 탈지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위 3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상기 펩신 및 염산을 처리한 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1 회 이상 정제하여 수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위 5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수지의 작용기는 Q, QAE, TEAE 및 DEA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위 6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교차 결합 아가로스 칼럼 (cross-linked agarose column), 폴리메타그릴레이트 레진 칼럼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 하이드로겔 칼럼 (hydrogel column), 및 교차 결합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레진 칼럼 (cross-linked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칼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위 1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주사(IV), 피하주사(SC), 및 근육주사(IM)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투여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지방간과 관련된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고 혈청의 AST 및 ALT 레벨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방간 질환, 예컨대 비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간 건강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LipidGreen2 염색을 통해 tamoxifen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모델에 태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간조직 내 지방의 축적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한 Heat map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tamoxifen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모델에 태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 간조직 내 지방의 축적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한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고지방 식이 마우스 모델에 태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AST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고지방 식이 마우스 모델에 태반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ALT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용어 "태반 추출물(placenta extract)"은 인간 또는 동물의 태반에서 수득된 추출물이다. 상기 추출물은 인간 또는 동물의 태반에서 수득된 태반에 산 및/또는 효소를 처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때, 동물은 포유동물, 구체적으로 인간, 소, 말, 양, 또는 돼지 등의 유래일 수 있다.
용어 "태반"은 임신과 함께 생성되는 장기로서, 모체에서 태아로 영양물과 효소의 공급, 태아에서 생기는 노폐물과 탄산가스 등을 모체로 배출, 생체에 있어서 이물질인 병원균이나 약물의 태아로의 이행 저지 및 태아의 내분비 조절 등의 기능을 한다.
태반에는 아미노산류, 단백질류, 당류, 핵산류, 지질류, 무기물, 효소류, 호르몬류 등이 함유된다. 이때, 아미노산류는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루이신, 라이신, 글리신, 알라닌, 세린, 스레오닌, 페닐알라닌, 타이로신, 메치오닌, 히스티딘 등이 있다. 단백질 및 효소류는 알부민, 글로불린, 산성 및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하알로니다제 등을 포함한다. 당류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리보스 등을 포함한다. 핵산류는 우라실, 크산틴, 히포크산틴 등을 포함하며, 지질류는 라우린산, 팔미틸산, 리놀레인산 등을 포함한다. 무기물은 Na, K, Ca, P, Fe, Cl 등을 포함하며, 호르몬류는 고나도트롬빈, 락토겐,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에 효소 및/또는 산을 처리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에 펩신과 염산을 처리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에 펩신 및 염산을 처리한 후 크로마토그래피로 1 회 이상 정제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태반 추출물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다 불순물이 적은 태반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양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로마토그래피는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일 수 있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수지의 작용기는 Q, QAE, TEAE 및 DEA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교차 결합 아가로스 칼럼 (cross-linked agarose column), 폴리메타그릴레이트 레진 칼럼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 하이드로겔 칼럼 (hydrogel column), 및 교차 결합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레진 칼럼 (cross-linked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칼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태반은 탈지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효소 및/또는 산이 처리되는 상기 태반은 아세톤 처리에 의해 탈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태반은 갈린 형태일 수 있다. 갈린 형태의 태반은 인간 또는 동물로부터 수득된 태반을 통상의 기술자가 적용가능한 방법으로 잘게 썰거나 갈아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지방간 질환(fatty liver disease)은 지방이 간에 침착된 정도가 간 무게의 5% 이상이 된 질환으로,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지 않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또는 지방간의 원인이 알코올에 기인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일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유의한 알코올 섭취, 지방간을 초래하는 약물의 복용, 동반된 다른 원인에 의한 간질환 등이 없으면서 영상의학 검사나 조직검사에서 간 내 지방침착의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단순 지방간(nonalcoholic simple steatosis) 질환, 비알코올성 영양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기아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비만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당뇨병성 지방간 질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비알코올성 간경변, 비알코올성 간섬유화 및 비알코올성 간경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치료"는 지방간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용어 "예방"은 지방간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태반 추출물을 사용하여 간 질환 모델에서 간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태반 추출물을 지방간 동물모델에 처리하여 간 기능을 개선하는 작용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태반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0.01 내지 1 부피%(v/v)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태반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0.01 내지 1 부피%, 0.01 내지 0.9 부피%, 0.01 내지 0.8 부피%, 0.01 내지 0.7 부피%, 0.01 내지 0.6 부피%, 0.01 내지 0.5 부피%, 0.01 내지 0.4 부피%, 0.01 내지 0.3 부피%, 0.01 내지 0.2 부피% 또는 0.01 내지 0.1 부피%(v/v) 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에 태반 추출물이 과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나서 약학 조성물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태반 추출물이 소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약효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주사제, 또는 피부 외용제의 형태, 예를 들면 주사제, 마이크로니들, 롤러, 경구용 정제 및 캡슐, 과립제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명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 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 주사, 직장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당 1mL 내지 10mL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컨대, 1일당 1mL 내지 10mL, 1 mL 내지 8 mL, 1 mL 내지 6 mL, 1 mL 내지 4 mL 또는 1 mL 내지 2 mL의 양으로 체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또는 1일 4회 또는 그보다 빈번하게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건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태반 추출물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사료,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태반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0.01 내지 1 부피%(v/v)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태반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전체 부피 대비 0.01 내지 1 부피%, 0.01 내지 0.9 부피%, 0.01 내지 0.8 부피%, 0.01 내지 0.7 부피%, 0.01 내지 0.6 부피%, 0.01 내지 0.5 부피%, 0.01 내지 0.4 부피%, 0.01 내지 0.3 부피%, 0.01 내지 0.2 부피% 또는 0.01 내지 0.1 부피%(v/v) 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식품 조성물에 태반 추출물이 과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나서 식품 조성물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태반 추출물이 소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간 건강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태반 추출물의 제조
태반을 아세톤 처리하여 탈지한 후, 불완전 가수분해물이 생성되지 않도록 펩신 및 염산 처리로 충분히 가수분해하여 태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1 참조). 추가로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시켰다. 본 과정은 태반을 처리하여 태반 가수분해물을 얻는 방법 중 하나의 예시이며, 태반 가수분해물을 얻는 방법을 이 방법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비알코올성 지방간 제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한 태반 추출물의 지방간 크기 감소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태반 추출물의 간조직 내 지방 축적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amoxifen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 제브라피쉬 모델을 이용하여 효력을 확인하였다. 24-well plate에 수정 후 5일째의 제브라피쉬 발생배를 well 당 5~7 마리씩 분주하고, 5 μM Tamoxifen과 태반 추출물을 0.06% sea salt 용액에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병합 처리하였다. 본 발명의 태반 추출물을 1% 농도이상으로 제브라피쉬에 처리한 경우 제브라피쉬 개체가 생존하지 못하고 사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물질을 각각 0.05, 0.1, 0.5%의 농도 구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24 시간 처리 후 (수정 후 6일째), 5 μM LipidGreen2 solution으로 교체하여 차광 조건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제브라피쉬 발생배를 Tricaine으로 마취시킨 후, 3% methyl cellulose에 고정하고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간 부분의 염색 정도를 촬영하였다. 또한 형광으로 염색된 간의 면적과 형광 강도는 Gen5 (BioTe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을 하였으며, Heat map 이미지 변환은 ImageJ (NIH) 프로그램의 edit LUT 기능을 이용하였다.
2. 실험결과
도 2는 지방의 염색을 마치고 수정 후 6일 째 제브라피쉬의 간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위쪽 라인의 이미지(흑백 이미지)는 GFP 필터 (469, 525 nm)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로서, 흰색으로 갈수록 지방의 축적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이미지의 점선 부분은 제브라피쉬의 간 부분을 의미한다. 도 2의 위쪽 라인에 따르면 tamoxifen에 의해 지방간이 축적됨을 확인할 수 있다(도 2의 tamoxifen+태반 추출물 0%). 도 2의 아래쪽 라인의 이미지(청색에서 적색으로 표시한 이미지)는 위쪽 라인의 이미지에 대한 형광 정도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ImageJ 프로그램을 이용해 heat map 형태로 변환한 이미지이다. 간 부분에서 적색에 가까운 형태를 나타내는 부분이 지방간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2의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 **p ≤ 0.01, and ***p ≤ 0.001로 나타내었다.
정상 개체(DMSO 처리)와 지방간 개체(Tamoxifen 처리) 사이에서 간 크기의 차이는 없었지만, 지방 축적을 뜻하는 형광 강도는 지방간 개체(Tamoxifen 처리)가 정상 개체(DMSO 처리)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정량되었다(도 3 왼쪽 참고).
본 발명의 태반 추출물에 의한 제브라피쉬 지방간 모델에서 지방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 간 크기에서는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지방 축적을 나타내는 형광 강도는 본 발명의 태반 추출물 0.05 ~ 0.1% 농도가 처리된 경우(Tamoxifen + 태반 추출물 0.05% 또는 0.1%처리) 지방간 모델 (Tamoxifen 처리) 대비 약 60% 수준으로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범위의 농도의 태반 추출물이 지방간 모델의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지방 식이 마우스 모델을 이용한 ALT, AST 감소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본 실험에서는 6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를 정상지방 식이요법과 고지방 식이요법을 이용하여 사육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그룹당 6마리씩 무작위 군분리를 한 뒤에 고지방 식이군은 saline, 태반추출물 (Laennec, 1.8 ml/kg), Metformin (3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었다. Saline과 태반 추출물 투여군은 정맥주사방법 (I.V.)으로, Metformin 투여군은 경구투여방법 (P.O)을 이용하여 21일간 투여하였다. 이 때 사용한 Metformin은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간조직 내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실험기간이 종료된 마우스는 16시간 동안 절식 시킨 후 CO2 가스로 마취시키고 복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3000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다. 채취된 혈청은 분석 전까지 -70℃에서 보관하였으며 자동생화학분석기를 사용하여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을 분석하였다. 이 때 측정한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와 alanine aminotransferase (ALT)는 간 손상 및 간 독성의 유용한 생물학적 지표로, 본 발명의 태반 추출물의 간 손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ST와 ALT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를 제공받은 마우스에서는 AST와 ALT 효소의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고지방 식이를 제공받은 마우스에 본 발명의 태반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AST와 ALT 효소의 수준이 유의하게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양성대조군인 Metformin을 투여한 경우, 혈중 AST 수치는 고지방 식이군 (saline 투여)과의 차이가 없었으며, ALT 수치만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및 5 참조). 따라서, 혈액생화학적평가를 이용하여 지방간 모델에서의 태반 추출물의 효능을 관찰한 결과, 지방간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양성대조군인 Metformin 투여군보다 더 높은 수준의 효력을 확인하였다.

Claims (9)

  1.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인간의 태반에서 수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태반에 펩신 및 염산을 처리하여 수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반은 아세톤 처리로 탈지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반 추출물은 상기 펩신 및 염산을 처리한 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1 회 이상 정제하여 수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수지의 작용기는 Q, QAE, TEAE 및 DEAE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는 교차 결합 아가로스 칼럼 (cross-linked agarose column), 폴리메타그릴레이트 레진 칼럼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 하이드로겔 칼럼 (hydrogel column), 및 교차 결합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레진 칼럼 (cross-linked polymethacrylate resin colu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칼럼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주사(IV), 피하주사(SC), 및 근육주사(IM)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투여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방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인,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27031614A 2020-03-12 2021-03-12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49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8501P 2020-03-12 2020-03-12
US62/988,501 2020-03-12
PCT/KR2021/003096 WO2021182913A1 (ko) 2020-03-12 2021-03-12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686A true KR20220149686A (ko) 2022-11-08

Family

ID=7767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1614A KR20220149686A (ko) 2020-03-12 2021-03-12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17629A (ko)
KR (1) KR20220149686A (ko)
CN (1) CN115361962A (ko)
WO (1) WO2021182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455A (ko) * 2021-11-10 2023-05-24 (주)녹십자웰빙 태반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29A (ko) * 2000-07-28 2002-02-02 윤정석 간암 치료 및 예방용 의약 조성물
KR100515152B1 (ko) * 2003-01-02 2005-09-15 박명애 자하거를 이용한 화장품 원료용 조성물
KR20090002444A (ko) * 2007-06-29 2009-01-09 동덕제약주식회사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JP6596282B2 (ja) * 2015-09-16 2019-10-23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非アルコール性脂肪性肝疾患予防用又は治療用組成物の製造方法
CN108323750A (zh) * 2017-01-20 2018-07-27 内蒙古草原鑫河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肝脏保护作用的活性成分及其提取方法和应用
KR101919081B1 (ko) * 2017-05-11 2018-11-16 (주)녹십자웰빙 인간 태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위축증 또는 근육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근육 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7629A (ja) 2023-04-26
CN115361962A (zh) 2022-11-18
WO2021182913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455B2 (ja) 乾癬の治療薬
WO2021143912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脂肪肝及其并发症的治疗作用
KR20110107287A (ko)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008088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on-alcoholic liver disease or insulin resistance comprising ginsenoside f2
JP2022528087A (ja) 線維症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のためのchp(シクロ-ヒスプロ)の用途
CN111542335A (zh) 炎症性肠病的治疗药
JP6573293B2 (ja) 炎症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ペプチド及びこの用途
KR20200031436A (ko) 벤즈히드릴티오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9686A (ko)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20175817A1 (ko) 섬유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1821B1 (ko)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9143886A (ja) 成長ホルモン分泌促進剤
KR20130058434A (ko) 번데기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2402428B (zh) 瑞马唑仑在制备治疗阿片类药物诱发的术后痛觉过敏的药物中的应用
CN111346102A (zh) 黄芩苷在治疗和预防非酒精性脂肪肝中的应用
RU2343906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животных
JP6437183B2 (ja) 肝機能改善剤
KR20150138973A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계 자가면역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23844B1 (ko)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지방간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9178129A (ja) 血液脳関門保護剤
KR102432016B1 (ko) 신경염증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197701B2 (ja) 脂肪形成抑制と抗酸化活性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5007995B2 (ja) 海苔を用いた糖尿病治療剤
WO2017084631A9 (zh) 预防或治疗脂肪胰、改善脂肪胰引起的胰病变、糖尿病或其他相关病症之组合物及方法
KR20080094466A (ko) 대사증후군 치료용 약제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