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444A -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444A
KR20090002444A KR1020070065779A KR20070065779A KR20090002444A KR 20090002444 A KR20090002444 A KR 20090002444A KR 1020070065779 A KR1020070065779 A KR 1020070065779A KR 20070065779 A KR20070065779 A KR 20070065779A KR 20090002444 A KR20090002444 A KR 2009000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nta
composition
acid
weigh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동덕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덕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덕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444A/ko
Publication of KR2009000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4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생리활성 물질의 파괴를 줄이고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돼지 태반유래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정 조건에서 돼지 태반 분말에 단백분해효소를 처리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아미노산 함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돼지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돼지 태반, 분말, 단백분해효소, 아미노산

Description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그 제조방법 {Human placenta hydrolysate-replaceable composition of porcine placenta hydrolysate and prepa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돼지 태반 유래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태반(placenta)은 임신한 포유류의 자궁에 생기는 기관으로 탯줄을 통하여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생명을 지탱하게 한다. 태반은 출산시 자궁으로부터 배출되며, 태반이 나오는 것을 후출산이라고 한다.
태반에는 필수 아미노산, 멜라토닌, RNA, DNA 등의 핵산 성분, 항산화 효소인 SOD(Super oxide Dismwtas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항산화제, 면역보조인자(cytocine), 태반펩타이드, 인슐린유사성장촉진인자(insulin-like-grouth factor), 표피성장촉진인자(EGFS, Epidermal Grouth factors) 및 독특한 노쇠세포활성인자(SCAFS, Senescent cellAdivating factors) 등의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 류가 포함되어 있어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태반은 티로신으로부터 멜라닌 과립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멜라닌 색소를 포함하는 세포의 배출을 촉진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기미 예방과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결국 색소 침착을 예방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작용도 나타내게 된다(Mallick S et al., Pigment Cell Res. Feb 18(1), 25-33, 2005).
또한, 태반의 조직 대사 촉진작용이 피지의 분비선 기능을 높여 피지의 분비를 정상화한 결과 잔주름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태반에는 섬유아 세포의 증식인자(FGF)가 포함되어 있어 섬유아 세포의 증식, 재생을 촉진하며 이의 활성화를 통해 콜라겐, 엘라스틴, 히아루론산의 양을 증가시켜 피부의 신축성이나 탄력성을 회복하여 깊은 주름과 피부처짐을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돼지 태반은 포유류의 태반 중에서도 인태반의 분자 구조와 놀라울 정도로 흡사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돈태반은 프로테인과 각종 영양소 그리고 DNA와 RNA의 중요성분으로서 세포의 차별화와 태아의 발달을 관장하는 Bio-Active cytosin의 근원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태반의 추출 방법으로서는, 강산(보통 3N 염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태반을 가수분해하여 그 산물을 얻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으나, 이 방법에서는 장시간 고온 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태반이 가지고 있는 각종 아미노산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효소를 이용한 태반 추출방 법은 유효성분 추출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생리활성물질의 파괴를 줄일 수 있는, 태반 유래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 태반 분말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단백분해효소 0.5 내지 8 중량부 및 물 30 내지 60 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ii) 상기 가수분해 산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감압농축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인 태반은 사람, 양, 소, 개, 돼지 등 포유류의 태반이면 크게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돼지 태반을 사용한다. 돼지 태반은 회수가 용이하고 많은 양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포유류의 태반 중에서도 인태반의 분자 구조와 놀라울 정도로 흡사한 것으 로 밝혀졌다. 돼지 태반은 프로테인과 각종 영양소 그리고 DNA와 RNA의 중요 성분으로서 세포의 차별화와 태아의 발달을 관장하는 Bio-Active cytosin의 근원으로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수의사의 검증을 거친 돼지의 정상 태반을 냉동고 등에 입고하여 수거한다. 상기 냉동된 태반을 해빙기에 넣고 물을 넣어 해빙하고 핏물이 제거될 때까지 세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깨끗이 세척된 태반을 탈수하고, 아세톤과 정제수를 첨가하여 탈지반응시킨다. 탈지 반응에 의해 융모조직의 지방분을 제거하면, 단백분해반응이 훨씬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응에서는 태반 100kg에 아세톤 2.4kg 및 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3~5시간 동안 40℃에서 반응시킨다. 이 탈지반응 산물을 80℃에서 8시간 건조시켜 탈지된 태반 분말 25kg을 얻는다.
이어, 상기 탈지된 태반 분말을 단백분해효소로 가수분해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단백분해효소로는 여러 기원의 프로테아제, 펩티다아제 및 펩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체 반응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최초 태반 함량은 40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중량부가 되도록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태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는 수득되는 아미노산 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고, 6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는 효소량에 비 해 과량으로가수분해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백분해효소는 0.5 내지 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부가 되게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효율이 낮으며, 3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초과하는 양에 비해 가수분해 효율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비경제적이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 시간은 8 내지 23 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12 내지 18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8시간 미만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반응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23시간 초과하여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반응에 필요한 시간 이상으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반응 온도는 48 내지 58℃가 바람직하며, 50 내지 55℃가 보다 바람직하다. 48℃ 미만으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가수분해 반응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으며, 58℃를 초과한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효소의 불활성화 문제로 가수분해 반응이 완전히 일어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수분해 반응 후 반응 산물을 85 내지 100℃로 가열함으로써 반응을 종결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은 90℃에서 30분간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과정 후, 뷰렛반응 및 트리클로로 초산 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가수분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을 65℃에서 겔화될 때까지 감압농축하고, 질소 및 아미노산 정량을 수행하였다. 이어 수분 함량이 5% 미만이 되도록 동결건조하는데, 동결건조 공정은 -40℃에서 48시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태반 추출물을 150 메쉬로 분쇄하여 포장한다.
하기 표 1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질소 총량과,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기존의 산 가수분해법에 따른 태반추출물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수배 내지 수십 배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강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 반응에서는 장시간 고온 처리를 행하는 과정에서 각종 아미노산, 성장촉진인자, 사이토카인, 히아루론산, FGF(섬유아세포), 상피세포촉진인자(EGF)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비활성화 되거나 소멸되는 문제가 있는 바, 본 발명의 단백분해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법은 이러한 문제를 크게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효소를 이용한 태반 추출방법은 유효성분 추출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의 단백분해효소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은 그 처리시간을 크게 단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산 가수분해법에 따른 태반추출물보다 아미노산 함량이 수배 내지 수십 배 증가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산이나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장시간 고온 처리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각종 아미노산, 성장촉진인자, 사이토카인, 히아루론산, FGF(섬유아세포), 상피세포촉진인자(EGF)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활성 상태로 함유하므로, 피부 및 진피의 성장 촉진,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품 또는 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 유용한 용도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시할 수 있다.
태반은 생체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입증되었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노화하는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고 미백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원료로 유용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외피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액, 가용성 시스템, 에멀젼이나 분말, 오일, 젤, 연고, 에어로졸, 수-유 2상 시스템, 수-유-분말 3상 시스템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기초 화장품 조성물의 경우에는 세안 클린저, 화장수, 에멀젼, 크림, 젤, 엣센스, 팩, 마스크 및 기타 유형의 화장품으로서 상기한 다양한 형태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메이크업 화장품의 경우에는 광범위한 유형의 화장품, 예컨대 파운데이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한편, 목욕용품의 경우에는 전신용 비누, 세안용 비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형태는 상기한 유 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그 성분으로서, 물, 알코올류, 유분,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색소, 보습제, 증점제, 수용성 고분자, 산화방지제,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발포제, 비타민류, 아미노산 류, 각종 약제 및 첨가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유분으로는 피마자유, 올리브유, 카카오유, 동백유, 팜유, 목랍, 호호바유, 아보가드유 등의 식물유지류, 밍크유, 난황유 등의 동물유지류, 밀랍, 라놀린, 카르나바왁스, 칸데릴라왁스 등의 왁스류,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셀레신왁스, 파라핀왁스, 바세린 등의 탄화수소류, 카프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라놀린 지방산, 리놀산, 리놀렌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천연 및 합성지방산류, 세타놀, 스테아릴알콜, 헥실데칸올, 옥틸도데칸올, 라우릴알콜, 카프릴알콜, 미리스틸알콜, 세틸알콜,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등의 천연 및 합성 고급알콜류,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콜레스테롤올레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로는 모노라우르산소르비탄, 모노팔미트산소르비탄, 세스키올레인산소르비탄, 트리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세틸렌소르비탄,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이트, 폴리에 틸렌글리콜알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글리콜디에테르, 라우로일디에탄올아마이드, 지방산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 말티톨히드록시지방산에테르, 알킬화 다당, 알킬글루코시드, 슈가에스테르 등의 비이온성 활성제, 친유형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자기유화형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린알킬레이트,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화 스테롤, 폴리옥시에틸렌화 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화 밀랍,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세틸황산나트륨, 라우릴인산나트륨,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인산나트륨, N-아실글루타민산나트륨, 팔미트산나트륨,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알킬황산트리에탄올아민에테르, 로드유, 선형 도데실벤젠황산,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아실메틸타우린산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염화벤잘코늄, 라우릴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염화알킬아미노에틸글리신액, 레시틴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방부제로는, 안식향산염, 살리실산염, 소르브산염, 데하이드로아세트산염,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염화벤잘코늄, 히노키티올, 레소르신, 에탄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 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류,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등의 NMF성분,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겐,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 등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류, 유산균ㆍ비피더스균 등의 배양상청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증점제로는 알긴산나트륨, 키산탄검, 규산알루미늄, 모과종자 추출물, 아라비아검, 히드록시에틸구아검, 카르복실메틸구아검, 구아검, 덱스트란, 트라가칸스검(tragacanth gum), 전분, 키틴, 키토산, 카르복시메틸키틴, 한천(寒天) 등의 천연고분자 물질,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가용성 전분,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 고분자 물질,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알콜ㆍ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합성고분자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산화방지제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몰식자산프로필, 아스코르브산 등을, 킬레이트제로는 에데트산2나트륨,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염, 피롤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쿠엔산, 주석산, 글루콘산 등을, pH 조정제로는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쿠엔산, 쿠엔산나트륨, 붕산, 붕사, 인 산수소칼륨 등을 각각 예시할 수 있다.
비타민류로는 비타민A 및 그 유도체, 비타민B6 염산염, 비타민B6 트리팔미테이트, 비타민B6 디옥타노에이트, 비타민B2 및 그 유도체, 비타민B12, 비타민 B15 및 그 유도체 등의 비타민 B류,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황산에스테르 및 그 염, 아스코르브산인산에스테르 및 그 염, 아스코르브산디팔미테이트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아실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α-토코페놀, β-토코페놀, γ-토코페놀, 비타민E 아세테이트 등의 비타민E류, 비타민D류, 비타민H, 판토텐산, 판테틴, 비타민F, 비타민K, 비타민P, 비타민U, 카르니틴, 페룰산, γ-오리자놀, α-리포산, 오로트산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미노산류로는 글리신, 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티로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타우린, 트립토판,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스파라긴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라이신 및 그들의 유도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항균제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소르브산, 파라옥시안식향산알킬에스테르, 헥사클로로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의 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하기의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시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미노산 함량이 높으므로,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최종 제품의 상품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따라 다른 식품소재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O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 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데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나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Ol~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시예 1> 단백분해효소법에 의한 태반 추출물 제조
냉동된 돼지 태반을 해빙기에 넣고 물을 넣어 해빙하고 핏물이 제거될 때까지 세척한다. 세척 및 탈수한 태반 100kg에 아세톤 2.4kg 및 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3~5시간 동안 40℃에서 반응시켰다. 이것을 8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하여 탈지 분말 25kg을 얻었다.
이 태반 분말 500g에 단백분해효소(프로테아제 Multifect natural, GENCOR, GB, 1600 azo/g) 30g 및 물 470g을 첨가하여 55℃에서 15시간 반응시킨 뒤, 90℃에서 30 분간 가열하였다. 뷰렛 반응 및 트리클로로 초산 반응으로 완전한 단백질 가 수분해를 확인하였다. 이것을 65℃에서 겔화될 때까지 감압농축하고, 질소 총량을 측정 후,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시험예 1 참조). 이어 -40℃에서 48시간 동결건조하여 수분 함량을 5% 미만이 되게 하였다. 질소 총량은 한국식품의약품안정청(KFDA)에서 규정한 태반의 투입량을 말하는 것으로, 이 값이 유사하면 최초 태반의 투입량이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비교예 1> 산 가수분해법에 의한 태반 추출물 제조
냉동된 태반을 해빙기에 넣고 물을 넣어 해빙하고 핏물이 제거될 때까지 세척한다. 세척 및 탈수한 태반 100kg에 아세톤 2.4kg 및 정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3~5시간 동안 40℃에서 반응시켰다. 이것을 8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하여 탈지 분말 25kg을 얻었다. 상기 태반 분말 500g에 3N HCl 500ml을 첨가하여 110℃에서 17시간 추출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NaOH을 첨가하여 pH를 7로 조절하였다. 이것을 65℃에서 겔화될 때까지 감압농축하고, 질소 총량을 측정 후,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였다(시험예 1 참조).
<시험예 1> 성분 분석 및 정량시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아미노산 정량은 Waters사의 AccQ-Tag Chemistry Packag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펩타이드와 단백질 가수분해 아미노산을 분석하기 위한 precolumn 유도체화 방법이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의 단백분해효소법에 의한 태반 추 출물은 산가수분해법에 의해 얻어진 비교예의 태반 추출물보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이 수배 내지 수십 배까지 높은 것으로 정량되었다.
Figure 112007048024403-PAT00001
※ 시험방법: 1. 질소총량 - 킬달법, 2. 아미노산 - 대한약전 아미노산 분석법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유효성분의 함량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생리활성 성분의 파괴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의 제조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발명이다.
<시험예 2> 랫트에 대한 경구투여 급성독성실험
본 발명의 조성물이 급성 독성을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 6주령의 특정병원부재(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8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1g/㎏/10㎖의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 등을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장기의 이상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 증상은 없었고 폐사된 동물도 없었으며, 또한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검사, 부견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은 랫트에서 1g/㎏까지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적어도 1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제제예 1> 화장품의 제조
<1-1> 화장수(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수(스킨,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1.0(단위; 중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1.0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부
<1-2> 맛사지 크림의 제조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45(단위;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세틸알콜 2.0
피이지-30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0
피이지-80 글리세필코코에이트 1.0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4.0
본 말명의 조성물 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부
<1-3> 비누의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비누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야자유지방산 1.5(단위; 중량%)
이산화티탄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 0.15
본 발명의 조성물 0.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비누칩베이스 잔부
<제제예 2> 기능성 음료의 제조
꿀 522㎎
치옥토산아미드 5㎎
니코틴산아미드 10㎎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염산피리독신 2㎎
이노시톨 30㎎
오르트산 50㎎
본 발명의 조성물 10㎎
물 200㎖
이상 첨부된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단백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태반 분말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생리활성 물질의 파괴를 줄이고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8)

  1. i) 태반 분말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단백분해효소 0.5 내지 8 중량부 및 물 30 내지 60 중량부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ii) 상기 가수분해 산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iii) 상기 감압농축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은 돼지 태반인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반 분말은 태반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탈지반응 후 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인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가수분해 산물을 85 내지 100℃로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 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수분해 반응은 48 내지 58℃에서 8 내지 23시간 수행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태반 유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 조성물.
  7. 제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8. 제6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70065779A 2007-06-29 2007-06-29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KR20090002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79A KR20090002444A (ko) 2007-06-29 2007-06-29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779A KR20090002444A (ko) 2007-06-29 2007-06-29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44A true KR20090002444A (ko) 2009-01-09

Family

ID=4048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779A KR20090002444A (ko) 2007-06-29 2007-06-29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44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955B1 (ko) 2019-12-13 2021-05-1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20210084271A (ko) 2019-12-27 2021-07-0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효소 가수분해물과 산 분해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WO2021182913A1 (ko) * 2020-03-12 2021-09-16 (주)녹십자웰빙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3294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하거 모사 화장료 조성물
WO2023085456A1 (ko) * 2021-11-10 2023-05-19 (주)녹십자웰빙 태반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955B1 (ko) 2019-12-13 2021-05-1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 간 보호용 조성물
KR20210084271A (ko) 2019-12-27 2021-07-07 유바이오주식회사 돈태반 효소 가수분해물과 산 분해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WO2021182913A1 (ko) * 2020-03-12 2021-09-16 (주)녹십자웰빙 태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및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3294A (ko) 2021-06-02 2022-12-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하거 모사 화장료 조성물
WO2023085456A1 (ko) * 2021-11-10 2023-05-19 (주)녹십자웰빙 태반 가수분해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6156B2 (ja) 美肌用遺伝子発現促進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用組成物及び美肌用組成物
KR102239121B1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JP4388289B2 (ja) 皮膚老化防止・改善剤及び/又は肌荒れ防止・改善剤キット
KR20130083802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71702B1 (ko) 모링가 잎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20070043449A (ko) 나노에멀젼 피부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2444A (ko) 인태반 가수분해물을 대체할 수 있는 돈태반 가수분해물 및그 제조방법
KR10213965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05274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218898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JP2010037287A (ja) 還元型補酵素q及びn−アセチルグルコサミン含有組成物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7198B1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03342179A (ja) 老化防止剤
KR20080096219A (ko) 돼지 태반 유래의 화장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용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2067082A (ja) 経口組成物
KR20210002047A (ko) 삼치가수분해물의 항노화 효과 및 삼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92547B1 (ko) 생체 흡수성이 향상된 콜라겐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콜라겐 분말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1355705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3-O-(6-디옥시-6-설포-α-D-글루코피래노실)-2-O-팔미토일-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20170021607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355774B1 (ko) 부챗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1-O-올레오일-3-O-(β-D-글루코피래노실)-글리세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256246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