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198B1 -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198B1
KR101617198B1 KR1020140092009A KR20140092009A KR101617198B1 KR 101617198 B1 KR101617198 B1 KR 101617198B1 KR 1020140092009 A KR1020140092009 A KR 1020140092009A KR 20140092009 A KR20140092009 A KR 20140092009A KR 101617198 B1 KR101617198 B1 KR 10161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ratin peptide
kda
keratin
molecular weight
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299A (ko
Inventor
이동우
강남주
이용직
이은주
백은지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타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미백 효능을 가지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containing keratin peptide}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더욱 건강하고 아름답게 살고자하는 욕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건강 관련 기능성 제품뿐만 아니라 피부 미백, 주름 개선 등과 관련된 뷰티 기능성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되고 있으며, 기능성 화장품 시장 규모 역시 2005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소득수준의 향상과 함께 높아진 건강에 대한 관심은 합성원료 대신 안전하고 자연친화적인 원료를 사용한 천연 화장품(natural cosmetics)의 소비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 화장품 산업은 보다 전문적이고, 자연주의적인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흥하여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첨단 산업으로 점차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원료 개발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동서양,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깨끗하고 하얀 피부는 오래 전부터 미의 기준의 하나로 생각되어져 왔으며, 피부 미용에 있어 미백은 주름개선만큼이나 많은 여성들이 신경 쓰는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피부색은 우리가 사람의 인상 및 그 나이를 판단할 때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이므로 깨끗하고 고운 피부는 모든 여성의 선망의 대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인체의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멜라닌, 산화-환원 헤모글로빈, 카로틴, 멜라노이드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멜라닌이다. 멜라닌은 표피의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melanocyte) 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만들어지는데,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인 티로신(tyrosine)이 산화되어 도파(DOPA, 3,4-dihydro xyphenylalanine)가 생성된다. 이것이 다시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되고, 도파퀴논은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피부색소 침착 현상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을 형성한다. 멜라닌은 외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성되면 피부 노화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하며 미관상 이롭지 않을뿐더러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미용욕구의 충족뿐만 아니라 피부 건강 유지 및 피부 질환 치료를 위해서 과도한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적절한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화장료를 사용하여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방지 또는 감소시키거나, 멜라닌 합성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의 세포발현을 저해시키는 방법,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현재 티로시나아제 억제제로 개발되어 있는 알부틴(arbutin), 코직산(5-hydroxy-2-hydormethyl-v-pyrone),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등의 물질들은 낮은 효능, 물질 자체의 불안정성, 피부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독성이 없고 안정하며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가 높은 새로운 천연 물질의 발굴이 필요한 실정이다.
미용 산업에 있어서 화장품, 미용식품 등의 분야는 기타 바이오산업과 마찬가지로 소재 및 원재료의 특성에 절대적으로 좌우되기 때문에, 우수한 소재 발굴 및 원재료 확보는 미용 산업 전체의 성공과도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장품 분야에서 제품의 생산 공정은 세계 수준에 비슷하게 다가가고 있는 실정이나, 미용 기능성 소재 부분의 기술력과 경쟁력은 상당히 뒤떨어져 있으며 대부분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자원을 활용하여 미용개선의 효능을 입증하고 이를 알린다면,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미용 산업 시장에서 각광받는 소재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소재의 원천기술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한편, 펩타이드는 최근 화장품, 식료품 및 의약품 등 여러 연구영역에서 주목 받고 있는 소재이다. 펩타이드는 20개의 필수 아미노산 약 2~50개가 아미드 결합(amide bond)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중합체로서 단백질 보다 그 크기와 구조는 단순하나 생체 내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이 매우 커 생체 내 대사과정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항암, 함염증, 항비만 등의 여러 분야에서 이미 펩타이드 소재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여러 의약제재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펩타이드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다. 최근에는 동식물의 단백질을 각종 효소 혹은 산(acid)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가수분해물들이 가진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러 연구를 통해 각종 단백질 가수분해물들이 항산화, 항균, 항혈청(혈소판응집억제), 면역조절, 항암 및 항비만 효능을 가지고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 단백질 가수분해물들은 각종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12904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타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미백 효능을 가지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은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이 좋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저해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며,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하여 피부미백용 화장료, 약학, 식품 조성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에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 레인 2는 α-MSH 처리군, 레인 3은 알부틴 400μM 처리군, 레인 4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 레인 5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200μg/mL 처리군, 레인 6는 케라틴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400μg/mL 처리군, 레인 7는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 레인 8는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200μg/mL 처리군, 레인 9는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400μg/mL 처리군, 레인 10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 레인 11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200μg/mL 처리군, 레인 12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400μg/mL 처리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에서 레인 1은 양성 대조군, 레인 2는 알부틴 400μM 처리한 음성 대조군, 레인 3은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25μg/mL 처리군, 레인 4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50μg/mL 처리군, 레인 5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 레인 6은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25μg/mL 처리군, 레인 7은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50μg/mL 처리군, 레인 8는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 레인 9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25μg/mL 처리군, 레인 10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50μg/mL 처리군, 레인 11는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100μg/mL 처리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하여 피부 미용 개선 효능을 검증한 결과, 케라틴 펩타이드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저해하여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냄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KFCC 11115)은 극한성 미생물로, 40~80℃의 고온에서 생육되는 고도호열성 균이며, 닭깃털, 모발 등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하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은 질소원으로 닭털을 포함하는 생육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
닭털은 닭의 총중량의 5~7%를 차지하는 절연체로서, 90% 이상이 자연계에 가장 풍부한 불용성 단백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라틴은 시스테인 함량에 따라 연성 케라틴(soft keratin)과 경성 케라틴(hard keratin)으로 구분되며, 연성 케라틴은 시스테인이 약 10~14%로 이황화물(disulfide) 결합이 많은 머리카락, 손톱, 양털, 닭깃털 등이다. 케라틴은 α-헬릭스(α-케라틴)나 β-쉬트(β-케라틴)의 구조가 서로 엉켜있어 단백질 사슬이 매우 단단하게 쌓여있으며, 폴리펩타이드 체인 사이에 수많은 이황화물 결합과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이 존재하여 매우 안정하며,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닭털로부터 케라틴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질소원으로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질소원인 닭털은 배지에 5~15g/L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g/L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전술한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혐기배양을 통한 케라틴 펩타이드 생산이 1~2일 이내에 가능하게 되며, 적절한 크기의 기능성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데 있어 더욱 좋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생육배지에 질소원으로 닭털 5~15g/L, 바람직하게는 8g/L를 첨가하고 70℃에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을 혐기발효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상등액을 여과한다. 이어서 상기 여과한 배양상등액을 10,000×g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침전시켜 회수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여 분자량이 서로 다른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침전 또는 여과를 반복실시할 수도 있다.
배지성분 첨가량(g/L)
NaCl 2.0
CaCl2ㅇ2H2O 0.5
MgSO4ㅇ7H2O 0.5
MgCl2ㅇ6H2O 0.5
KH2PO4 0.5
K2HPO4 0.1
(NH4)2SO4 0.5
KCl 0.1
KBr 0.1
H3BO3 0.03
SrCl2ㅇ6H2O 0.03
Na2WO4 0.033㎎
Na2SeO3 0.026㎎
효모 추출물 1.0
닭털 8.0
Na2S(25%, w/v) 3㎖/L
상기와 같은 케라틴 펩타이드 제조과정을 통해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으며, 분자량이 1kDa 미만인 것부터 10KDa를 초과하는 것까지 다양한 분자량을 가지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이거나, 분자량이 1~10kDa이거나,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분자량 범위의 케라틴 펩타이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멜라민 생성 저해와 티로시나아제 발현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 쥐의 멜라노마 세포와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의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멜라민 생성을 저해하고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피부미백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미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마스크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피부외용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함량은, 치료제의 사용방법, 복용자의 상태, 질환의 종류 및 중증 정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케라틴 펩타이드는 0.0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개선 작용이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구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약학 조성물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 즉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인 치료상 유효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1~10,000㎎/㎏/day, 바람직하게는 1~200㎎/㎏/day 내지 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에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라틴 펩타이드가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는 등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인 케라틴 펩타이드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피부 미백 개선 작용이 미미할 수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케라틴 펩타이드는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여 장기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케라틴 펩타이드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음료로 제조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0.1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비율은 크게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0.1중량% 범위내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케라틴 펩타이드 제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라틴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를 위해 닭털 분해 균주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질소원으로 닭털(8 g/L)을 첨가된 생육배지에 70℃에서 혐기배양하여 배양상등액(1.7 L)을 얻었다. 상기 배양상등액을 여과지(5㎛, No.20, Hyundai Micro, Korea)를 사용하여 분해된 닭털 찌거기를 일차적으로 걸러 낸 후, 4℃에서 20분간 10,000×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을 실린지 필터(0.45㎛, 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최종적으로 단백질 농축기(Amicon stirred cell unit, Millipore, USA)와 10kDa, 1kDa M/W CO 필터를 사용하여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었다. 또한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와,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기 위하여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여 분자량이 1~10KDa이거나,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었다. 상기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는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인간 피부 각질 세포에서의 세포독성 검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들의 세포독성을 검사하기 위해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 KCLB, KOREA)와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murine Melan-a melanocyte, St. George's Hospital Medical School, London, USA)를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을 수행하였다.
먼저 B-16 멜라노마 세포와 멜라닌 생성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seeding)하고 B-16 멜라노마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가 포함된 DMEM(Dulbeml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또한 멜라닌 생성 세포는 10% FBS와 TPA가 들어간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 10% CO2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B-16 멜라노마 세포와 멜라닌 생성 세포에 각각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를 1, 10, 100, 500㎍/mL의 농도별로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말 200㎎을 PBS 40mL에 녹인 후 여과하여 준비한 5㎎/mL 농도의 MTT 용액을 20μL씩 첨가하여 상기 배양 시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배지와 MTT 용액을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 200μL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혼합하였다. 반응을 정지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Sunrise-Basic Tecan, Austria)를 이용하여 570㎚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 처리군의 세포 생존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상기 방법으로 총 4일간 배양하여 1일, 3일 동안 케라틴 펩타이드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68395156-pat00001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에 무관하게 모든 농도에서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와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함량 분석(Melanin content assay)을 수행하였다.
먼저, B-16 멜라노마 세포를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 분주하고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이 1kDa 미만, 1~10kDa,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각 100, 200, 400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알부틴은 400μM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1시간 후 α-MSH(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Sigma, USA)를 최종 농도가 100nM이 되도록 하여 세포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3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시료와 α-MSH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를 무처리 대조군, α-MSH만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 α-MSH와 알부틴을 처리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가 웰의 바닥에 약 80% 이상 찰 때까지 배양한 후, 세포가 합성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배지를 제거하고 차가운 PBS로 2번 세척하였다. 트립신(GIBCO, USA)을 처리하여 흡착된 세포들을 분리시킨 후 세포를 회수하였고, 회수한 세포를 에펜드로프 튜브(effendrof tube)로 옮겨, 1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넣어 60℃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약 15~30분간 세포 펠렛(cell pellet)을 녹이고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해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에 무관하게 모두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α-MSH로부터 유도된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400μg/mL의 농도에서는 알부틴과 유사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위하여, 멜라닌 생성 세포를 60파이 세포 배양접시(60π cell culture dish)에 분주하고 10% FBS와 TPA가 들어간 RPMI 1640배지를 사용하여 37℃, 10% CO2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이 1kDa 미만, 1~10kDa,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최종농도가 25, 50, 100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알부틴은 400μM 농도가 되도록 하여 세포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3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시료와 TPA만 처리한 세포를 양성 대조군, TPA와 알부틴을 처리한 세포를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세포가 웰의 디시에 약 80% 이상 찰 때까지 배양한 후, 세포가 합성한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배지를 제거하고 차가운 PBS로 2번 세척하였다. 트립신(GIBCO, USA)을 처리하여 흡착된 세포들을 분리시킨 후 세포를 회수하였고, 회수한 세포를 에펜드로프 튜브(effendrof tube)로 옮겨, 14,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N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을 넣어 60℃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약 15~30분간 세포 펠렛(cell pellet)을 녹이고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해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 중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의 경우 100μg/mL 처리 시 멜라닌 합성을 40% 까지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티로시나아제 발현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럿 분석(Western blot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먼저, B-16 멜라노마 세포를 60파이 세포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이 1kDa 미만, 1~10kDa,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각각 100, 200, 400μg/mL 농도로 처리하고 한 시간 뒤 α-MSH를 최종농도가 100nM이 되도록 하여 세포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그 후, 동일한 조건 하에서 다시 3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마우스 유래 멜라닌 생성 세포의 웨스턴 블럿 분석 시에는, 세포를 60파이 세포 배양접시에 분주하고 10% FBS와 TPA가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37℃, 10% CO2의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분자량이 1kDa 미만, 1~10kDa,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각각 최종농도가 각각 25, 50, 100μg/mL 농도가 되도록 세포 배양배지에 첨가하였다. 그 후, 다시 37℃, 10% CO2의 조건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두 종류의 세포가 모두 디시 바닥에 80~90% 정도 찼을 때 세포 내 단백질을 얻기 위해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2번 세척하였다. 그 다음 세포 분쇄 버퍼(cell lysis buffer)를 첨가해 세포를 긁어내어 물리적으로 세포벽을 터트린 다음, 이렇게 얻은 세포 내 단백질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럿 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B-16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에 무관하게 모두 α-MSH로부터 유도된 티로시나아제의 발현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은 멜라닌 생성 세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 세포에서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 모두 100μg/mL 처리군에서 티로시나아제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화장료 제제의 제조
유연화장수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0.1중량%, 1,3-부틸렌글리콜 5.2중량%, 올레일알코올 1.5중량%, 에탄올 3.2중량%, 폴리솔베이트 20 3.2중량%, 벤조페논-9 2.0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글리세린 3.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밀크로션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0.1중량%, 글리세린 5.1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2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중량%, 유동파라핀 4.6중량%, 트리에탄올아민 1.0중량%, 스쿠알란 3.1중량%,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중량%, 폴리솔베이트 60 1.6중량%,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중량%, 프로필파라벤 0.6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밀크로션을 제조하였다.
영양크림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2.1중량%, 유동파라핀 5.3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6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5.4중량%, 폴리솔베이트 60 3.2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3.1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마사지크림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0.5중량%, 글리세린 4.0중량%, 바셀린 3.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유동파라핀 24.0중량%, 스쿠알란 3.0중량%, 밀납 2.1중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중량%, 폴리솔베이트 60 2.4중량%,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중량%, 미량의 향, 미량의 방부제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마사지크림을 제조하였다.
세정용 바디클렌저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g, 음이온계면활성제 18g, 비이온계면활성제 5g, 글리세린 7g, 소듐클로라이드 3g, 천연올리브액상비누 1.5g, 향료 1g 및 물 100g을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세정용 바디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약학 제제의 제조
산제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20㎎, 유당 100㎎ 및 탈트 10㎎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정제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캡슐제 제조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주사제 제조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mL)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0㎎, 만니톨 180㎎,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및 Na2HPO4· 2H2O 26㎎으로 제조하였다.
액제 제조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20㎎, 이성화당 10g 및 만니톨 5g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정제수를 더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식품 제제의 제조
건강식품 제조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g,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g, 비타민 C 10㎎, 비오틴 10g,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g,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및 염화마그네슘 24.8㎎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건강음료 제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100㎎, 비타민 C 15g, 비타민 E(분말) 100g, 젖산철 19.75g, 산화아연 3.5g, 니코틴산아미드 3.5g, 비타민 A 0.2g, 비타민 B1 0.25g, 비타민 B2 0.3g 및 정량의 물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9)

  1.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은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및 분자량이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092009A 2014-07-21 2014-07-2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61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09A KR101617198B1 (ko) 2014-07-21 2014-07-2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09A KR101617198B1 (ko) 2014-07-21 2014-07-2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99A KR20160011299A (ko) 2016-02-01
KR101617198B1 true KR101617198B1 (ko) 2016-05-03

Family

ID=5535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09A KR101617198B1 (ko) 2014-07-21 2014-07-2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7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97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또는 항진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13B1 (ko) 2021-05-07 2022-01-18 (주)미래씨티 신경줄기세포 추출물 유래 미백 활성을 갖는 DKK-1 (dickkopf WNT signaling pathway inhibitor 1)에서 유래된 펩타이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2904A (ko) 2010-08-03 2012-02-13 (주)아토즈바이오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97A (ko)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또는 항진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99A (ko) 201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7250A (zh) 黄酮类化合物的新用途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JP2004115438A (ja) 抗老化用組成物
EP3097913B1 (en) Cosmetic use of a hydroxy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KR101617197B1 (ko)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7198B1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JP6823889B2 (ja) ピペロニル酸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老化又は皮膚再生用組成物
KR20170016408A (ko) 성숙한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11B1 (ko) 파이퍼 캄보디아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1305B1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97567B1 (ko)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1570123B1 (ko) 잣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2735B1 (ko) 흰가시광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US20230321003A1 (en) Composition for anti-aging 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okanin
KR102215794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18643B1 (ko) 효소처리 및 초고압 균질 공정을 통해 얻은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1032176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
KR101774860B1 (ko) 잣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0384A (ko)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