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373B1 -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373B1
KR102604373B1 KR1020200040793A KR20200040793A KR102604373B1 KR 102604373 B1 KR102604373 B1 KR 102604373B1 KR 1020200040793 A KR1020200040793 A KR 1020200040793A KR 20200040793 A KR20200040793 A KR 20200040793A KR 102604373 B1 KR102604373 B1 KR 10260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alvia
mmp
presen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3548A (ko
Inventor
강세찬
권정은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4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37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은 PGE2 유도로 증가된 멜라닌을 억제하며, 신생혈관 발생을 증가시키는 VEGF, MMP-2와 MMP-9을 억제하고, 함혈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 세포간 구성물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MMP-2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내 더 이상의 신생혈관 생성을 줄이고, 염증 세포 등의 침윤으로 인한 조직파괴를 방지함으로서,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Description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Improvement composition for Hot flash comprising the extract of Salvia miltiorrhiz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단삼 (Salvia miltiorrhiz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피부 속에서 염증, 면역반응이 일어나 피부의 신경 및 혈관 자극으로 인해 혈관확장이 발생하여 일어나는 안면홍조 (Hot flash)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고령화 등으로 질병치료 위주에서 질병예방으로 건강유지 방법의 인식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른 외모, 정신건강 예방/관리 등 항노화 관련 시장으로 산업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전세계적으로 항노화와 여성지위 향상에 따른 여성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현재 미국, 유럽 등에 전략지역이 치중되어있으며,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 신흥 성장가능성 시장에 대한 공략은 매우 낮다.
안면홍조는 반복적으로 얼굴, 목, 상체에 갑자기 열감이 느껴지면서 피부가 붉어지는 것을 말하며, 이때 발한이나 가슴 두근거림, 불쾌한 기분 등이 함께 나타날 수 있다. 피부는 표피, 진피 및 지방층으로 나뉘는데 안면홍조는 진피에 존재하는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 다시 수축하지 않고 계속 확장된 상태로 있는 것을 말하며, 피부 속에서 면역학적으로 염증, 면역반응이 일어나 피부의 신경 및 혈관이 자극되어 혈관 확장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외부의 유해물질이나 항원을 차단하는 피부 장벽기능의 손상에 의해 나타날 수도 있다.
한편, 여성 갱년기에는 난소의 기능저하로 인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수준이 감소하게 되느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안면홍조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증상 중 가장 빈번하며, 고질적인 증상으로, 갱년기 이후 여성 중 75% 이상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얼굴, 목, 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자기 붉게 변하면서 전신의 불쾌한 열감과 발한 등을 동반하여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안면홍조는 갱년기에 나타나는 대표적인 혈관운동 장애 증상으로 피부 표피 모세혈관의 충혈로 인해 피부가 붉게 변하는 홍반이 나타나고, 피부 혈류량이 증가하며, 피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피부 수분이 감소하게 된다. 안면홍조를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에스트로겐 결핍 등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기전에 대하여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한편, 단삼 (丹蔘; Salvia miltiorrhiza BUNGE; SM)은 한방에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된 약재로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중국이다. 단삼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뿌리를 약용으로 하며 11월 상순부터 다음해 3월 상순까지 채취하는데 11월 상순에 캐낸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삼의 뿌리에 함유된 성분으로는 크립토탄시논 (Cryptotanshinone), 단신수 (Danshensu), 이소탄시논 I (isotanshinone I), 이소탄시논 Ⅱ (isotanshinone Ⅱ), 탄시논 I (tanshinone I), 살비아놀산 B (Salvianolic acid B), 탄시논 ⅡA (tanshinone ⅡA), 탄시논ⅡB (tanshinone ⅡB), 디히드로탄시논 (dihydrotanshinone), 메틸탄시노네이트 (methyl tanshinonate), 메틸렌 탄시퀴논 (methylene tanshinquinone), 베타-시토스테롤 (betasitosterol), 히드록시탄시논(hydroxytanshinone), 네오탄시논 (neotanshinone) AㆍBㆍC, 살비올 (salviol), 이소크립토탄시논(isocryptotanshinone), 밀티론 (miltirone), 탄시놀 I (tanshinol I), 탄시놀 Ⅱ (tanshinol Ⅱ) 및 비타민 E (vitamin E)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단삼은 허혈손상 보호, 관상동맥 이완작용, 죽상경화증 억제, 항고혈압, 항고지혈증, 항당뇨, 항균, 항산화, 항암, 항돌연변이, 항혈전 등의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성을 이용한 단삼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나, 안면홍조 개선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삼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단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거듭하였고, 그 결과 단삼 추출물이 PGE2 유도로 증가된 멜라닌을 억제하며, 신생혈관 발생을 증가시키는 VEGF, MMP-2와 MMP-9을 억제하여, 혈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 세포간 구성물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MMP-2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내 더 이상의 신생혈관 생성을 줄이고, 염증 세포 등의 침윤으로 인한 조직파괴를 방지함으로서,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methanol), 에탄올 (ethanol), 프로판올 (propanol),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부탄올 (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acetone), 에테르 (ether), 벤젠 (benzen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헥산 (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60 내지 80 중량% 농도의 에탄올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80 내지 90℃ 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80 내지 90℃ 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2 내지 5회 반복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PGE2 유도로 증가된 멜라닌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VEGF, MMP-2 또는 MMP-9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은 PGE2 유도로 증가된 멜라닌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신생혈관 발생을 증가시키는 VEGF, MMP-2와 MMP-9을 억제하여, 함혈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 세포간 구성물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MMP-2와 MMP-9의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내 더 이상의 신생혈관 생성을 줄이고, 염증 세포 등의 침윤으로 인한 조직파괴를 방지함으로서,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PGE2 처리로 VEGF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고,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VEGF의 발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PGE2 처리로 MMP-2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고,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MMP-2의 발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PGE2 처리로 MMP-9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고,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MMP-9의 발현이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피부세포에 PGE2로 melanogenesis (멜라닌생성) 유도 후, 멜라닌 함량이 SME (단삼 추출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로부터 해석되는 균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w/w) %, 고체/액체는 (w/v) %, 그리고 액체/액체는 (v/v) %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서 단삼 추출물의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단삼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단삼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 (methanol), 에탄올 (ethanol), 프로판올 (propanol),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부탄올 (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 (acetone), 에테르 (ether), 벤젠 (benzen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 (methylene chloride), 헥산 (hexane) 및 시클로헥산 (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리된 화합물,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단삼 추출물은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지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삼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 에탄올에 가용한 단삼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단삼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수득된 단삼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삼 추출물은 건조한 단삼 중량의 약 1 내지 100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배 부피량 (w/v%)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1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시간 동안,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에서,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가열추출법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조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조추출물 중량의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배 부피의 물을 넣어 현탁 시켜 여과하여 수 불용성 잔사를 얻는 제 2단계; 상기 잔사에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서 알코올 20 ~ 9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95%, 더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을 가하여, 교반, 용해 및 여과과정을 통하여 여액을 얻는 제 3단계; 상기 여액의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추출하는 과정으로 얻어진 단삼 추출물은 농축, 건조 등의 과정을 더 거칠 수 있고, 건조의 과정에서 동결 건조의 방법으로 분말상의 건조물 형태로 단삼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의 과정에서 동결건조의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단삼 추출물 내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단삼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앙염증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의 단삼 (丹蔘; Salvia miltiorrhiza BUNGE; SM)은 한방에서 예로부터 널리 사용된 약재로 꿀풀과 (Labiat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의 여러해살이풀이므로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에 일반적인 합성 화합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크림, 로션, 스킨,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품류와 샴푸, 린스, 클렌징, 세안제, 비누, 트리트먼트, 팩, 미용액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추출물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 에틸,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 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 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 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 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및 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 (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 (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 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 및 POP (폴리옥시에틸렌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 및 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업, 알킬아미드 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 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 술포 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 및 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 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 계피산 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 및 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모발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밀크 로션, 아스트린젠트, 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헤어로션, 헤어토닉, 헤어에센스,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삼 추출물의 제조
1.1 단삼 열수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단삼에 단삼 중량의 25배 부피량 (w/v%)의 증류수를 넣고 1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고,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고 50℃에서 농축 건조하여 단삼 열수추출물을 얻었다.
1.2 단삼 주정추출물의 제조
건조 상태의 단삼에 단삼 중량의 10배 부피량 (w/v%)의 70% 주정을 넣고, 80℃에서 5시간, 1.5기압 이하에서 1차 추출을 진행한 후 여과를 진행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은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65℃ 이하에서 농축하여 단삼 주정추출물을 얻었다.
1.3 단삼 증류추출물의 제조 (증류추출법에 의한 에센셜 오일)
정유 추출장치의 증류조에 단삼을 투입하고, 증기 발생기의 보일러를 가동하여 수증기를 발생시켰다. 그 후 단삼이 들어있는 증류조에 상기 수증기를 통과시켰다. 이때 증류조 내의 온도는 110℃로 대기압 압력에서 실시하였다. 증류조를 통과하면서 정유 성분과 혼합된 수증기를 냉각 장치를 통해 응축시켜 유수 분리기를 이용하여 연한 황색의 단삼 증류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단삼 추출물의 안면홍조 개선효과
2.1 VEGF의 발현 억제효과
단삼 추출물의 모세혈관의 생성 및 이동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cell을 사용하였고, 세포배양배지는 FGM-2 Fibroblast growth medium-2 bullet kit (LONZA, cc-3132)를 사용하여 배양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NHDF cell 1 x 104cell/ml를 24well cell culture pate에 분주하였고, 세포 분주 후 72시간동안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을 진행하였다. 2) 72시간 후에 배지를 교체하고, 30nM PGE2를 처리하여 모세혈관 확장을 유도하였고, 이에 단삼 주정추출물 (SME)을 100μg/ml로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3) 72시간 후 세포를 harvest 하고 RNA 추출 및 cDNA합성 진행하였고, 4) qRT-PCR (PCR에 사용된 Forward 프라이머는 AGGAGGAGGGCAGAATCATCA이며, Reverse 프라이머는 CTCGATTGGATGGCAGTAGCT이다)로 VEGF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방법에 따라 단삼 추출물의 모세혈관의 생성 및 이동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세혈관을 확장하는 염증물질인 PGE2에 의하여 안면홍조, 혈관확장을 유도 시킨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에따라 모세혈관의 생성, 이동을 촉진시키는 VEGF의 발현이 과다 되면 신생 혈관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실험 결과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PGE2 처리로 VEGF의 발현 증가를 확인하였고, 단삼 주정추출물에 의하여 VEGF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MMP-2 및 MMP-9 발현 억제효과
기존 알려진 바에 따르면 MMP-2 및 MMP-9의 유전자 발현이 VEGF의 발현에 영향을 미친 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단삼 주정추출물에 의해 MMP-2 및 MMP-9 발현 억제에 따라 VEGF의 발현 또한 조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NHDF) cell을 사용하였고, 세포배양배지는 FGM-2 Fibroblast growth medium-2 bullet kit (LONZA, cc-3132)를 사용하여 배양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 NHDF cell 1 x 104cell/ml를 24well cell culture pate에 분주하였고, 세포 분주 후 72시간동안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을 진행하였다. 2) 72시간 후에 배지를 교체하고, 30nM PGE2를 처리하여 모세혈관 확장을 유도하였고, 이에 단삼 주정추출물 (SME)을 100μg/ml로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3) 72시간 후 세포를 harvest 하고 RNA 추출 및 cDNA합성 진행하였고, 4) qRT-PCR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하기 표 1과 같다)로 MMP-2 및 MMP-9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유전자 이름 Forward Reverse
MMP-2 AGATCTTCTTCTTCAAGGACCGGTT GGCTCCTCAGTGGCTTGGGGTA
MMP-9 TGAATCAGCTGGCTTTTGTG ACCTTCCAGTAGGGGCAACT
상기의 방법에 따라 단삼 추출물의 모세혈관의 생성 및 이동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모세혈관을 확장하는 염증물질인 PGE2 에 의하여 안면홍조, 혈관확장을 유도 시킨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에따라 모세혈관의 생성, 이동을 촉진시키는 VEGF의 발현이 과다 되면 신생 혈관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신생혈관 증가에 따라 신생혈관 및 혈관 투과성 증가에 따라 증가된 안면홍조를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위하여, 피부세포에서 PGE2유도와 단삼 주정추출물을 처리한 후에 MMP-2와 MMP-9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2 (MMP-2) 및 도 3 (MMP-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PGE2 처리로 MMP-2와 MMP-9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단삼 주정추출물에 의하여 MMP-2와 MMP-9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단삼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효과
추가적으로, 안면홍조는 만성화가 진행될수록 피부가 검붉은 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피부세포에서 PGE2유도에 의하여 Melanin 함량이 증가하는지 확인 및 단삼 추출물의 멜라닌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1) NHDF (normal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1 x 104cell/ml를 24well cell culture pate에 분주하였고, 이때 배지는 serum free growth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세포 분주 후 72시간동안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2) 72시간 후에 배지를 교체하고, 30nM PGE2을 처리하여 멜라닌생성을 유도하였고, 이에 단삼 주정추출물을 농도별 (25μg/ml, 50μg/ml, 100μg/ml)로 처리하고 72시간 배양하였다. 3) 72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1N NaOH를 처리하여 세포를 녹여준 후 ELISA L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melanin content를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를통해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PGE2 유도에 의하여 증가된 멜라닌 함량이 단삼 주정추출물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단삼 추출물은 PGE2 유도로 증가된 멜라닌을 억제하며, 신생혈관 발생을 증가시키는 VEGF, MMP-2 및 MMP-9을 억제하고, 함혈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피부 세포간 구성물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MMP-2 및 MMP-9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단삼 추출물에 의하여 피부 내 더 이상의 신생혈관 생성을 줄이고, 염증 세포 등의 침윤으로 인한 조직파괴를 방지함으로서,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는 단삼 추출물이 안면홍조를 예방 하고 개선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단삼 추출물은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단삼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VEGF 활성이 증가되며, MMP-2 활성이 증가되고, MMP-9 활성이 증가되어 발생한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80℃ 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단삼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VEGF 활성이 증가되며, MMP-2 활성이 증가되고, MMP-9 활성이 증가되어 발생한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80℃ 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단삼 70%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VEGF 활성이 증가되며, MMP-2 활성이 증가되고, MMP-9 활성이 증가되어 발생한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80℃ 에서 5 내지 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홍조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40793A 2020-04-03 2020-04-03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260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93A KR102604373B1 (ko) 2020-04-03 2020-04-03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793A KR102604373B1 (ko) 2020-04-03 2020-04-03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48A KR20210123548A (ko) 2021-10-14
KR102604373B1 true KR102604373B1 (ko) 2023-11-20

Family

ID=7815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793A KR102604373B1 (ko) 2020-04-03 2020-04-03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3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4080B (zh) * 2022-12-12 2023-07-07 安徽科技学院 一种含隐丹参酮的光动力治疗剂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9457A1 (en) * 2018-01-05 2019-07-11 Societe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Cosmetic use of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special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extrac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892B1 (ko) * 2013-01-11 2015-04-21 재단법인 한국한방산업진흥원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09457A1 (en) * 2018-01-05 2019-07-11 Societe Industrielle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Cosmetic use of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special extracts of salvia miltiorrhiza root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extract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Xu et al., Salvia miltiorrhiza bunge increases estrogen level without side effects on reproductive tissues in immature/ovariectomized mice. AGING. 2017, Vol. 9, No. 1, pp. 156-172 1부.*
강문일. Salvia miltiorrhiza shows anti-inflammatory effect via induction of heme oxygenage-1 expression in RAW264.7 cells.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약학석사 학위논문. 2012년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548A (ko)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6156B2 (ja) 美肌用遺伝子発現促進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保湿用組成物及び美肌用組成物
KR101001578B1 (ko) 산거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알파-비니페린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4373B1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20120122509A (ko) 함초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696294B1 (ko)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녹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888753B1 (ko)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84899B1 (ko) 황기 펩타이드 숙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011A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2295919B1 (ko) 리카니아 매크로카르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9699B1 (ko) 피노스트로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102408169B1 (ko) 오카닌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408170B1 (ko) 아이소프로컬큐메놀을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060031007A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천마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3052A (ko) 장마 추출물 또는 페난트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394459B1 (ko) 고들빼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백 조성물
KR20240054152A (ko) 왓소니아(Selaginella martens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25806A (ko) 병풀 및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80781A (ko) 말레이트 또는 디메틸말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