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94B1 -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94B1
KR102215794B1 KR1020190060060A KR20190060060A KR102215794B1 KR 102215794 B1 KR102215794 B1 KR 102215794B1 KR 1020190060060 A KR1020190060060 A KR 1020190060060A KR 20190060060 A KR20190060060 A KR 20190060060A KR 102215794 B1 KR102215794 B1 KR 102215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ance
hair
composition
composition containing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518A (ko
Inventor
김준호
김다정
유가은
장지혜
이정선
장송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06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94B1/ko
Priority to PCT/KR2019/014378 priority patent/WO2020235759A1/ko
Priority to US16/619,935 priority patent/US20220347256A1/en
Publication of KR2020013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46Tachykinins, e.g. eledoisins, substance P;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질 P(substance P, S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물질 P를 포함하는 모낭 세포의 활성 증가, 모낭 성장기 유지 및 퇴행기 진행 억제를 통한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양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화장품 등에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preventing and treating hair loss comprising substance P}
본 발명은 물질 P(substance P, SP)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물질 P를 포함하는 모낭 세포의 활성 증가, 모낭 성장기 유지 및 퇴행기 진행 억제를 통한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양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탈모 억제에 대한 관심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의 탈모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녹시딜(Minoxidil)은 양모 효과를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미녹시딜의 경우 양모를 유도하는 원리가 혈관확장(vasodilatation)에 있기에 동맥의 확장을 유도하지만 정맥은 유지되어 전체적으로 혈압 차를 유도하고, 고혈압 약제와 병용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소 부위가 아닌 넓은 부위의 양모를 유도해 여성 환자의 경우 뜻하지 않는 다모증을 유도하는 현상이 발견되는 것이 주요 부작용이다. 그렇기에 탈모 환자들의 절반이 넘는 비율이 현재 의약품의 부작용을 피해 탈모 완화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현재 관련 부작용이 적고, 여성 및 혈압 약을 함께 복용중인 환자들도 사용하기에 위험이 적은 탈모 완화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비오틴, 니코틴산 아마이드, 피리미딘 아연액 계열, 혹은 식물성 복합물 등의 모발 구성성분의 공급으로 탈모 완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현재까지 영양 성분 공급 위주의 약재는 그 효능이 미녹시딜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다.
물질 P(Substance P)는 11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서 신경조직에 산재 되어있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오래 전부터 신경 세포, 혈액 세포, 상피 세포 등 체내 여러 세포의 활성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왔고 최근에 들어서는 항염, 혈관 생성 등에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을 만큼 적용 범위가 넓다. 특히 혈관/상피/섬유아세포의 활성을 높이는 결과들은 모낭의 성장기 유도와 많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골 분화로 유도하는 연구에서는 물질 P가 윈트/베타 카테닌 신호(Wnt/β-catenin signaling)를 핵으로 전달하는 매개체인 TCF family를 활성화하는 기작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Wnt/β-catenin 신호의 매개체를 활성화하는 것은 남성형 탈모의 억제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남성형 탈모에서 안드로겐은 모유두 세포에서 DKK-1을 발현시키고 β-catenin의 분해를 유도하여 성장기 인자의 억제 및 퇴행기 인자를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모발 세포를 퇴화시킨다. 만약 모발에서 물질 P가 모유두 세포의 성장을 돕고 TCF-family를 활성화하는데 작용하도록 특성을 유지한다면 탈모 환경에서도 모발의 성장기를 유지하는데 작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와 같은 관점으로 몇몇 논문에서는 물질 P와 모낭의 성장기 유도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고 특정 연구에서는 모발의 증식을 도와주는 결과를 체외 모낭에서 확인하였다. 하지만 체내 쉽게 분해되는 물질 P의 특성상 탈모 환경 내에서 모발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가 불 분명하게 규명되고, 특히 물질 P의 용매 및 농도의 차이가 논문들 간에 상이하여 결론에 도달하기 어렵다.
물질 P는 합성 이후 쉽게 분해되는 펩타이드이기에 생체 주입과 같이 거친 환경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물질 P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제형을 개발한 연구를 바탕으로 물질 P의 분해를 막아 효능을 높인 조성물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체외 합성된 물질 P의 안정성 도모 및 이를 체내 주입하여 모낭의 성장기 유도 및 퇴행기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물질 P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물질 P 자체에 비해 더욱 우수한 모낭 세포의 활성 증가, 모낭 성장기 유지 및 퇴행기 진행 억제를 통한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또는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물질 P(substance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물질 P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의 미미한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신규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물질 P를 적용했을 때 최적의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질 P, 티오황산 나트륨(sodium thiosulfate),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80)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ydoxy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물질 P(substance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모유두 세포 및 모모 세포의 증식, 모낭 세포의 성장 촉진 및 모발의 성장기 조절을 통해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조성물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물질 P는 서열번호 1의 "Arg- Pro-Lys-Pro-Gln-Gln-Phe-Phe-Gly-Leu-Met-NH2"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신경펩티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물질 P의 농도는 6 내지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농도가 6 내지 10 ㎍/㎖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증명하였다(도 4).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상기 물질 P의 농도가 6 내지 10 ㎍/㎖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이 우수한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도보다 저농도일 경우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미미 혹은 없을 수 있으며, 고농도일 경우에도 양모에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한 활성성분의 산화과정에서 생기는 유리기나 과산화물에 작용하여 산화의 연쇄반응을 중단하고, 산화의 진행을 방지하며, 활성성분의 변질을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물질 P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항산화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베타-머캅토에탄올(β-mercaptoethanol, β-ME), 클루타치온(Glutathione, GSH),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라이코펜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셀레늄, 크롬, 마그네슘, 타우린(taurine), 하이포타우린(hypotaurine) 또는 트레할로스(trehalose)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산화제는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의 함량은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의 기능을 변질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총 중량에 있어서 0.01 내지 1%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친유성의 오일 성분을 사용하여 균일한 액 조성을 유지하게 하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 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계면 활성제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 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일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0.1 중량 %인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06 내지 0.1 중량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점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점증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양모 촉진”이란,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전체 모발에서 성장기 모발의 비중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탈모 개선”, “탈모 예방” 및 “탈모 치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탈모 완화”란, 모낭의 퇴행기를 약화시키고 성장기를 유도하여 탈모를 방지하는 작용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성장기 모발의 비중이 감소함으로써 유발되는 탈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탈모 개선”, “탈모 예방” 및 “탈모 치료”와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의약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고 본 발명 조성물의 피부과색소 침착성 질환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말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되는 약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익상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은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물질 P”, “항산화제”, “계면 활성제”, 및 “점증제” 는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제형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상기 가용화 제형으로는 유연화장수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앰플,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저자극성 화장료 피부 보호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세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크림, 에센스, 스트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발명은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식품 100 중량부 당 0.00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 방법에 있어,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투여는 피부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유효용량의 수준은 목적하는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 효과가 나타나는 정도로 당업자가 통상적인 상식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질 P, 항산화제, 계면활성제 및 점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화장품 등에 적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진피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증식된 모유두 세포가 성장기의 특성을 유지한 결과를 나타낸 PCR 결과이다.
도 3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모모 세포(Germinal matrix cell) 증식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C3H마우스에서 양모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C3H마우스 등에 양모가 유도되는 효과를 피부 면적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C3H마우스 등에 양모가 유도되는 효과를 털의 길이를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C3H마우스 등에 양모가 유도되는 효과를 피부 조직의 H&E 염색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C3H마우스 등에 양모가 유도되는 효과를 피부 조직의 두께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에 의해 C3H마우스 등에 양모가 유도되는 효과를 피부 조직 내 모낭의 개수로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 별 성장기 피부의 유지 정도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1은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 별 전체 피부 면적 대비 성장기를 유지한 피부의 면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들 별 피부 조직 내 개별 모낭의 모양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13은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 별 피부 조직 내 진피/피하/전체 층의 두께를 조사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 별 피부 조직 내 함유된 개별 모낭의 단면 모양 및 깊이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5는 덱사메타손을 통해 퇴행기가 유도된 C3H 마우스에서 처리 물질 별 피부 조직내 진피/피하/전체 모낭의 개수를 분석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
물질 P에 항산화제로서 티오황산나트륨,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80, 및 점증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추가한 신규한 제형을 제조하였다. 물질 P는 펩타이드 합성 기술인 프목-케미스트리(Fmoc-chemistry)를 이용한 솔리드/솔루션 단계(Solid/Solution phase)를 통해 합성하였고,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를 통해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순도 85% 이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조성물의 구성 함량
물질 P 20 ㎍/㎖
티오황산나트륨 0.4%
폴리소르베이트 80 0.024%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1.5%
실시예 2: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진피 모유두 세포 (Dermal papilla cell) 증식 효과 확인
물질 P의 진피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증식 효과를 MTT 어세이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된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의 함량은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로 조율하여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2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12-well plate)에 0.5 X 105 CFU/㎖의 진피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 현탁액 1,000 ㎕를 넣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 10% FBS)를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 5% FBS) 900 ㎕를 각 웰에 분주한 뒤, 인산 완충 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희석한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 별(30% 및 50%)로 100 ㎕씩 접종하였다(30% 및 50% 농도의 조성물에는 각각 물질 P가 6 ㎎/㎖ 및 10 ㎎/㎖ 농도로 포함되어 있다). 또한,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동일한 농도의 물질 P(30% 및 50%)를 인산 완충 용액에 혼합하여 각각 처리하였다.
한편, 음성 대조군으로 100 ㎕의 인산 완충 용액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각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 완충 용액으로 3회 반복하여 세척하였다. 900 ㎕의 배지에 100 ㎕의 MTT 용액(0.5 ㎎/㎖)을 혼합한 뒤, 각 웰에 처리하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최종적으로 인산 완충 용액으로 세척한 뒤, 500 ㎕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용액에서 3시간 교반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듯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은 30% 및 50%의 농도 군에서 진피 모유두 세포 증식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30, 50%의 농도 군에서 세포 증식률이 120%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물질 P만 처리한 경우의 세포 증가율은 107%로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이 물질 P만 처리한 경우보다 약 3배 이상의 진피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처리에 의한 모유두 세포의 Alp(Alkaline phosphatase) 변화
모유두 세포에서 물질 P에 의한 Alp(Alkaline phosphatase)의 변화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통해 관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55㎠ 면적의 평판접시(100Φ dish)에 0.27 X 105 CFU/㎖의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뒤 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 10% FBS)를 제거한 후,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이 없는 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9,000㎕를 넣고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 별(30% 및 50%)로 1,000 ㎕ 처리하였다. 이와 함께 인산 완충 용액만 처리한 군도 접종하였다.
48시간 후 모유두 세포(Dermal papilla cell)를 인산 완충 용액으로 세척하고 1X 트립신-이디티에이(0.05% trypsin, 0.53 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Trypsin-EDTA, welgene, Korea) 용액으로 세포를 디쉬에서 분리하였다. 그 후 알엔에이 추출 키트(TAKARA MiniBEST universal RNA extraction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세포 내 알엔에이(RNA)를 분리하였으며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세포 용해 버퍼(cell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한 후, 스핀 컬럼(spin column)으로 알엔에이를 분리한다. 세척 후 알엔에이를 용리하고 분광광도계(Ultrospec 6300pro, Amersham biosciences, USA)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농도를 바탕으로 같은 농도의 알엔에이를 넣고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하기 위하여 cDNA 합성 키트(PrimeScript 1st strand cDNA synthesis kit, TAKARA, Japan)를 이용하였다. 이어서 합성한 cDNA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Alp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듯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30% 및 50%)에 의해 증식된 진피 모유두 세포는 성장기의 진피 모유두 세포의 표시인자인 ALP(Alkaline phosphatase)의 발현이 낮춰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은 모유두 세포의 분화나 특성을 개조하지 않고 성장기의 특성을 유지한 채 재생시킴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모모 세포(Germinal matrix cell) 증식 효과 확인
물질 P의 모모 세포 증식 효과를 MTT 어세이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의 함량은 세포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로 조율하여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12개의 구멍이 있는 평판 배양접시(12-well plate)에 0.5 X 105 CFU/㎖의 모모 세포 현탁액 1,000 ㎕를 넣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 10% FBS + 10 ng/㎖ bFGF)를 제거한 후, 새로운 배지 (alpha-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MEM + 5% FBS + 5 ng/㎖ bFGF) 900 ㎕를 각 웰에 분주한 뒤, 인산 완충 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희석한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농도 별(30% 및 50%)로 100 ㎕씩 접종하였다. 또한,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과 동일한 농도의 물질 P(30% 및 50%)를 인산 완충 용액에 혼합하여 각각 처리하였다. 또한, 음성 대조군으로 100 ㎕의 인산 완충 용액을 사용하였다. 접종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 후 각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 완충 용액으로 3회 반복하여 세척하였다. 900 ㎕의 배지에 100 ㎕의 MTT 용액(0.5 mg/㎖)을 혼합한 뒤, 각 웰에 처리하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최종적으로 인산 완충 용액으로 세척한 뒤, 500 ㎕의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용액에서 3시간 교반하여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물질 P만 처리한 군에서는 세포 증가율이 최고 105%인 반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30%, 50%의 농도 군에서는 세포 증식률이 110%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이 물질 P만 처리한 경우보다 약 2배 이상의 모모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마우스 양모 유도 효과 확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모 유도 효과를 마우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타민(ketamine, 유한양행, Korea)과 럼푼(rompun, 바이엘코리아, Korea)을 최종 농도가 각각 24.2 ㎎/㎖과 1.8 ㎎/㎖이 되도록 혼합한 후, 상기 마취액 80 ㎕로 6주령의 암컷 C3H/HeN 마우스(Orient Bio, Korea)를 마취시켰다. 마취 후 등 부위 털을 클리퍼(clipper)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제모 크림으로 남은 털을 완벽히 없앤 후 제모 부위의 상처나 남은 털이 없이 피부가 깨끗한 마우스 8마리를 선별하였다. 각 군당 같은 마리의 주기가 비슷한 마우스가 들어가도록 군별 4마리의 마우스를 배치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모 2일 후부터 10일 동안 3-4일 간격으로 인산 완충 용액 또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를 마우스의 등에 각 50 ㎕씩 4 부위, 총 200 ㎕를 인슐린 주사기(BD medical-diabetes care, USA)로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하였다. 인산 완충 용액과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를 처리한 C3H마우스의 차이는 Welch’s t-tests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룹 간의 통계적의 명확성은 *** = P < 0.001, * = p < 0.05로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본 통계는 Prism software version. 5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듯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는 인산 완충 용액이 처리된 그룹과 비교해 C3H마우스에서 양모가 발생한 면적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인산 완충 용액에서 C3H마우스의 등 중앙 부위에 휴지기가 있는 반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은 50%는 등 양 옆에서 털의 성장이 빨라지며, 중앙 부위까지 모낭 성장기의 빠른 전환이 이루어졌다.
또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일한 비율로 찍힌 사진에서 양모가 유도된 피부의 면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듯이, 인산 완충 용액의 경우 평균 3.5 cm2의 면적에서 양모가 유도된 반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의 경우 평균 7.8 cm2로 약 두 배 이상의 양모 면적을 가짐이 확인되었다(P < 0.05).
또한, 물질 P의 양모 유도는 털이 자란 면적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털의 길이도 증가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해 털의 길이를 무작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6에서 보듯이, 총 30개의 털을 표본 조사한 결과, 인산 완충 용액은 평균적으로 2.3 mm의 털의 길이를 가지는 반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는 약 3.1 mm의 평균 길이임이 확인되었다. 무작위로 표본 조사된 위와 같은 결과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가 인산 완충 액 대비 135%의 양모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P < 0.001).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가 발모 면적 및 털 길이의 동시 증가를 통해 양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시예 6: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마우스 피부 모낭의 성장 촉진 효과 확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모낭의 성장 촉진 효과를 마우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의 과정 후 마우스의 피부 조직(skin tissue)을 모낭의 방향 그리고 수직의 방향으로 각각 채취하고 고정액(4% formaldehyde, sigma, USA)에 24시간 고정하였다. 그 후 고정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6시간의 수세(washing) 과정을 거친 후 탈수(dehydration) 과정을 거쳐 침투제(paraffin, Leica, USA and canada)와 섞이지 않는 수분을 조직 내에서 제거하였고, 투명(clearing) 과정으로 침투제와 잘 섞이는 자일렌(xylene, Daejung, Korea)을 조직 내의 공간에 채워주었다(탈수 과정 : 70% 에탄올(Ethanol, merck, Germany) -> 80% 에탄올 -> 90% 에탄올 -> 90% 에탄올 -> 95% 에탄올 -> 95% 에탄올 -> 100% 에탄올 -> 100% 에탄올 각 1시간씩, 투명 과정 : 자일렌 1시간씩 두 번). 그 후 침투(infiltration) 과정을 통해 조직 내 침투제가 들어가도록 한 후, 포매(embedding)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만들었다. 헤마톡실린(hematoxylin, sigma, USA)과 에오신(eosin, sigma, USA) 염색을 위하여 상기의 파라핀 블록을 8 ㎛로 박절하여 코딩(2% 3-aminosilane)된 슬라이드(microscope slides, marienfeld, Germany)에 부착 후 37℃ 슬라이드 워머(slide warmer)에서 12시간 건조했다. 그 후 탈파라핀(deparaffinization) 과정으로 자일렌에 7분씩 담지를 총 네 번 진행하였고, 이어서 염색을 위하여 함수(Hydration) 과정을 진행 후 물에 수세하였다. 세포핵 염색을 위하여 헤마톡실린에 1분 염색 후 수세 과정을 거쳤고 세포질 염색을 위하여 에오신에 10초 염색 후 수세 과정을 진행했다. 후에 조직의 수축 방지와 유지를 위하여 탈수 과정을 거친 후 마운팅 용액(Mounting solution, Richard allan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cover glass)로 조직을 보호하였다. 조직 관찰은 현미경(BX41, Olympus, Japan)을 통해 400배 배율로 관찰을 하고 동일 배율로 촬영하였다. 인산 완충 용액과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50%를 처리한 피부 조직의 차이는 Welch’s t-tests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룹 간의 통계적의 명확성은 *** = P < 0.001로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본 통계는 Prism software version. 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보듯이, 제모 후 12일 동안 인산 완충 용액을 처리한 경우, 지방층의 두께가 얇은 특징을 보이는 성장기 초기 단계의 모습이 확인되었다. 또한 모낭의 개수도 적고 크기도 작은 특징을 보였다. 하지만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의 경우, 지방층의 두께가 두껍고 모낭의 개수가 많은 성숙한 성장기의 피부 조직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 그룹의 25개 조직 사진 내에 피부의 두께를 Image J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8에서 보듯이, 인산 완충 용액은 전체 피부의 두께가 평균 491 um로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 처리한 그룹에 비해 얇은 피부가 관찰되었다.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의 경우, 671um의 피부 두께로 인산 완충 용액 대비 137%의 유의미한 피부 두께 증가되었다(P < 0.001).
또한, 같은 과정으로 Image J로 피부 조직 내 모낭 개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9에서 보듯이, 인산 완충 용액은 1 mm의 길이의 피부 내에 평균 64개의 모낭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의 경우 모낭 131개를 확인되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이 인산 완충 용액 보다 2배 이상의 모낭 증식을 유도함이 확인되었다(P < 0.001).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는 피부의 두께, 모낭의 개수의 증가를 유도하여 양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시예 7: 모발 퇴행기 시에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장기 피부 유지 확인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장기 피부 유지 효과를 마우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타민(ketamine, 유한양행, Korea)과 럼푼(rompun, 바이엘코리아, Korea)을 최종 농도가 각각 24.2 ㎎/㎖과 1.8 ㎎/㎖이 되도록 혼합한 후, 상기 마취액 80 ㎕로 6주령의 암컷 C3H/HeN 마우스(Orient Bio, Korea)를 마취시켰다. 마취 후 등 부위 털을 클리퍼(clipper)를 사용하여 제거하고 제모 크림으로 남은 털을 완벽히 없앤 후 제모 부위의 상처나 남은 털이 없이 피부가 깨끗한 마우스 12마리를 선별하였다. 각 군당 같은 마리의 주기가 비슷한 마우스가 들어가도록 군별 3마리의 마우스를 배치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모 6일 후부터 7일 동안 3-4일 간격으로 인산 완충 용액 또는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를 마우스의 등에 각 50 ㎕씩 4 부위, 총 200 ㎕를 인슐린 주사기(BD medical-diabetes care, USA)로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하였다. 한편 양성대조군으로는 미녹시딜(minoxidil)을 사용하였으며, 미녹시딜 2% (Minoxidil, 판시딜액, 동국제약, Korea)은 피내 주사 시 염증 반응 현상으로 상기 실험과 같은 시일에 200 ㎕를 마우스 등에 도포 후 잘 흡수되도록 하였다. 제모 10일 후부터 5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마우스의 등에 퇴행기를 유도하는 덱사메타손(0.1% dexamethasone 21-acetate, sigma, USA)을 1 ㎖씩 도포하여 잘 흡수되도록 하였다. 제모 17일 후 마우스의 발모 정도와 제모 후 성장기 유지 면적을 사진으로 촬영하였다. 전체 그룹내의 차이가 존재함을 one-way ANOV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으며, 개별적인 평균들 간의 차이는 Tukey’s test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룹 간의 통계적의 명확성은 *** = p < 0.001, ** = p < 0.01, * = p < 0.05로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본 통계는 Prism software version. 5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도 10에서 보듯이,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과 인산 완충 용액을 처리한 그룹은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에 비해 성장기의 특성을 보이는 검은 등이 넓은 범위 줄어들었다. 하지만,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를 함께 처리한 그룹은 덱사메타손의 퇴행기 유도를 억제하여 검은 등이 넓게 보였다.
또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군 별 제모 된 전체 피부 대비 검은 피부의 면적을 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서 보듯이, 덱사메타손을 처리하지 않은 그룹은 전체 피부대비 약 71%의 피부에 검은 등을 보였지만, 덱사메타손과 인산 완충 용액을 함께 처리한 그룹은 30% 비율의 검은 등이 유지 되어 퇴행기가 진행됨이 확인되어, 덱사메타손 비처리군과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Tukey’s test, p < 0.001).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와 미녹시딜 2%를 처리한 경우는 각각 53% 그리고 47%의 검은 피부를 유지하였다. 이는 덱사메타손의 퇴행기 유도를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와 미녹시딜 2%가 각각 56%와 46%씩 억제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One-way ANOVA, F (3, 8) = 17.03, p <0.001). 또한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가 미녹시딜 2%와 비교해 성장기 피부의 면적이 유사하거나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피부의 퇴행기 유도를 억제시키고, 성장기 피부를 유지시켜 양모 효과를 갖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실시예 8: 모발 퇴행기 시에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성장기 피부 두께와 형태 유지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성장기 피부의 두께와 형태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마우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7의 과정 후 마우스의 피부 조직(skin tissue)을 털의 방향으로 채취하고 고정액(4% formaldehyde, sigma, USA)에 24시간 고정하였다. 그 후 고정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6시간의 수세(washing) 과정을 거친 후 탈수(dehydration) 과정을 거쳐 침투제(paraffin, Leica, USA and canada)와 섞이지 않는 수분을 조직 내에서 제거하였고, 투명(clearing) 과정으로 침투제와 잘 섞이는 자일렌(xylene, Daejung, Korea)을 조직 내의 공간에 채워주었다(탈수 과정 : 70% 에탄올(Ethanol, merck, Germany) -> 80% 에탄올 -> 90% 에탄올 -> 90% 에탄올 -> 95% 에탄올 -> 95% 에탄올 -> 100% 에탄올 -> 100% 에탄올 각 1시간씩, 투명 과정 : 자일렌 1시간씩 두 번). 그 후 침투(infiltration) 과정을 통해 조직 내 침투제가 들어가도록 한 후, 포매(embedding)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paraffin block)을 만들었다. 헤마톡실린(hematoxylin, sigma, USA)과 에오신(eosin, sigma, USA) 염색을 위하여 상기의 파라핀 블록을 8 ㎛로 박절하여 코딩(2% 3-aminosilane)된 슬라이드(microscope slides, marienfeld, Germany)에 부착 후 37℃ 슬라이드 워머(slide warmer)에서 12시간 건조했다. 그 후 탈파라핀(deparaffinization) 과정으로 자일렌에 7분씩 담지를 총 네 번 진행하였고, 이어서 염색을 위하여 함수(Hydration) 과정을 진행 후 물에 수세하였다. 세포핵 염색을 위하여 헤마톡실린에 1분 염색 후 수세 과정을 거쳤고 세포질 염색을 위하여 에오신에 10초 염색 후 수세 과정을 진행했다. 후에 조직의 수축 방지와 유지를 위하여 탈수 과정을 거친 후 마운팅 용액(Mounting solution, Richard allan scientific, USA)을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cover glass)로 조직을 보호하였다. 조직 관찰은 현미경(BX41, Olympus, Japan)을 통해 400배 배율로 관찰을 하고 동일 배율로 촬영하였다. 전체 그룹내의 명확한 차이가 존재함을 one-way ANOV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으며, 개별적인 평균들 간의 차이는 Tukey’s test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룹 간의 통계적의 명확성은 *** = p < 0.001, ** = p < 0.01, * = p < 0.05로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본 통계는 Prism software version.5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도 12에서 보듯이, 덱사메타손과 인산 완충 용액을 처리한 그룹은 진피의 두께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퇴행기가 진행되면서 피하의 두께가 급격히 얇아지고 전체적으로 피부의 두께가 크게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모근의 위치도 진피에 머물면서 퇴행기의 특성이 고스란히 존재하였다. 반대로 물질 P를 함유 조성물 50%를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는 지방층이 유지되고 많은 수의 모근이 피하에 위치하였다. 일부분에 있어서 지방층에 모유두 세포가 모발로부터 멀어지는 퇴행기의 특성(TypeⅥ)을 일부 보이기도 하였지만, 대부분은 모낭의 성장기 모습을 유지하면서 모근이 지방층의 가장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특성은 미녹시딜 2%를 처리한 그룹과 비교하여도 큰 차이가 없었다. 미녹시딜 2%의 경우에는 퇴행기의 특성 중 하나인 탈락한 모유두 세포 다발이 말려 올라가는(TypeⅧ) 특징들 또한 관찰되었다.
또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피의 두께 및 지방층의 두께를 확인하였다. 피부 두께는 D(Dermal layer), SC(Subcutaneous layer), W(Whole layer)로 부분을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군 당 30군데를 측정한 후 그래프로 나타냈다(도 13).
그 결과, 도 13에서 보듯이, 인산 완충 용액의 경우 지방층(SC)의 두께가 평균 79 ㎛로 얇아진 반면, 물질 P 함유한 조성물 50%의 경우 평균 202 ㎛로 지방층(SC) 유지에서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인산 완충 용액에 비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은 지방층(SC)의 퇴행기를 약 255% 억제 시킨 결과로 사료되었다 (Tukey’s test, p < 0.001). 또한, 미녹시딜의 경우 233% 지방층(SC)의 퇴행기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와 미녹시딜 2%는 모두 인산 완충 용액에 보다 130% 이상 피부의 두께를 유지한 측면을 확인하였다(One-way ANOVA; F (2, 87) = 30.65, p < 0.001).
실시예 9: 모발 퇴행기 시에 물질 P를 포함한 조성물이 성장기의 모낭 개수 유지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성장기의 모낭 개수에 미치는 영향을 마우스를 통해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7의 과정 후 마우스의 피부 조직을 모낭의 수직 방향으로 채취한 후 고정액(4% formaldehyde)에 24시간 고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8과 동일한 과정을 진행하여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실시하였다. 조직 관찰은 현미경(BX41, Olympus, Japan)을 통해 400배 배율로 관찰한 결과이다.
그 결과, 도 14에서 보듯이, 덱사메타손과 함께 인산 완충 용액이 처리된 그룹의 경우 퇴행기의 장기화로 진피 쪽부터 모낭의 개수가 적어지고, 피하에서는 모낭을 찾기 어려웠다. 반면 물질 P를 함유한 조성물 50%를 처리한 그룹과 미녹시딜 2%를 처리한 그룹은 진피에도 많은 모낭이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모낭이 피하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전체 그룹내의 명확한 차이가 존재함을 one-way ANOVA를 수행하여 확인하였으며, 개별적인 평균들 간의 차이는 Tukey’s test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룹 간의 통계적의 명확성은 *** = p < 0.001, ** = p < 0.01, * = p < 0.05로 그래프에 표시하였다. 본 통계는 Prism software version.5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또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군 별 1 mm당 피부 내 모낭의 개수를 측정하였다. 모낭의 개수는 D, SC, W로 부분을 나누어 그룹당 10개의 조직 내에서 모낭의 개수를 측정한 후 그래프로 나타냈다(도 15).
그 결과, 도 15에서 보듯이, 덱사메타손과 인산 완충 용액을 처리한 진피 내 1 mm 피부 내에서는 평균 11개, 전체 피부 내에 평균 약 12개의 모낭을 가지고 있었으나,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50%의 경우 각각 평균 18개 및 48개의 모낭을 확인하여,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50%가 인산 완충 용액에 비해 진피에 약 1.5배, 전체 피부에 약 4배 이상 많은 모낭의 수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녹시딜 2%는 인산 완충 용액 대비 진피에서는 약 1.4배, 피하에서는 약 56배, 전체 피부에서는 약 3.7배 유지되어,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미녹시딜 보다 전체 피부에 존재하는 모낭을 약 7% 더 유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물질 P를 포함하는 조성물 50%를 처리하였을 때, 미녹시딜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더 많은 모낭을 유지시켜 양모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Biosolution Co.,Ltd <120>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preventing and treating hair loss comprising substance P <130> KPA190214-KR <140> 10-2019-0060060 <141> 2019-05-2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ubstance P <400> 1 Arg Pro Lys Pro Gln Gln Phe Phe Gly Leu Met 1 5 10

Claims (6)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물질 P,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 P의 농도는 6 내지 10 ㎍/㎖인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물질 P,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ydroxyethylcellulose)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및 탈모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60060A 2019-05-22 2019-05-22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15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60A KR102215794B1 (ko) 2019-05-22 2019-05-22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PCT/KR2019/014378 WO2020235759A1 (ko) 2019-05-22 2019-10-29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US16/619,935 US20220347256A1 (en) 2019-05-22 2019-10-29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alleviating and treating hair loss including substance 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060A KR102215794B1 (ko) 2019-05-22 2019-05-22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18A KR20200134518A (ko) 2020-12-02
KR102215794B1 true KR102215794B1 (ko) 2021-02-16

Family

ID=7345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060A KR102215794B1 (ko) 2019-05-22 2019-05-22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47256A1 (ko)
KR (1) KR102215794B1 (ko)
WO (1) WO202023575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1596A1 (en) * 2002-10-25 2005-12-08 Foamix Ltd. Vasoactive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20060153789A1 (en) * 2002-12-18 2006-07-13 Witten Mark L Stimulation of hair regrowth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09A (ja) * 1984-06-20 1986-01-13 Meiji Seika Kaisha Ltd 育毛剤組成物
KR101292451B1 (ko) * 2009-08-17 2013-07-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5041B1 (ko) * 2016-04-07 2018-02-02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상처치유용 약학 조성물
KR101945349B1 (ko) * 2017-06-14 2019-02-07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 물질 p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1596A1 (en) * 2002-10-25 2005-12-08 Foamix Ltd. Vasoactive kit an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US20060153789A1 (en) * 2002-12-18 2006-07-13 Witten Mark L Stimulation of hair regrow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47256A1 (en) 2022-11-03
WO2020235759A1 (ko) 2020-11-26
KR20200134518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836B2 (ja) 植物搾汁物由来の細胞外小胞体を含む皮膚改善および脱毛防止用組成物
KR102242840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KR102535575B1 (ko)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9 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JP2008143784A (ja) 細胞増殖促進剤
EP3097913B1 (en) Cosmetic use of a hydroxypyranone derivative compound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KR20180019968A (ko)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2215794B1 (ko) 물질 p를 포함하는 양모 촉진, 탈모 완화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91604B1 (ko) 코나루스 세미데칸드러스 잭.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56990A (ko) 바이칼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27823B1 (ko) 우유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흉터 생성 억제용 조성물
KR20200048141A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101617198B1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TWI706792B (zh) 臭菘提取物或其餾分的用途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KR2023008704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47604B1 (ko) 소듐 서팩틴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84847A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397918B1 (ko)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30543A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03007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182735B1 (ko) 흰가시광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6692B1 (ko) 콩발아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28237B1 (ko) 천연 발효물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20180108251A (ko) ligustroflavone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