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665A -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665A
KR20220145665A KR1020210052519A KR20210052519A KR20220145665A KR 20220145665 A KR20220145665 A KR 20220145665A KR 1020210052519 A KR1020210052519 A KR 1020210052519A KR 20210052519 A KR20210052519 A KR 20210052519A KR 20220145665 A KR20220145665 A KR 2022014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ehicle
pedal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5224B1 (ko
Inventor
임석연
Original Assignee
임석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연 filed Critical 임석연
Priority to KR1020210052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2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는, 일단에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차량의 페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개구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가압부와, 일단이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 1 가압부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차량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상기 차량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페달에 힘을 전달하는 페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PEDAL CONTROLLER FOR MAINTENAN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동력으로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하부에는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페달, 즉 엔진의 가속에 의해 속도를 증속시키는 가속페달 및 운행중인 차량의 감속이나 제동을 행하는 브레이크 페달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동식 차량의 경우 기어변속에 의해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클러치 페달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의 정비시에는 엔진이나 연료라인의 압력 점검, 엔진 회전수에 따른 배기가스 상태 등을 점검하고자 할 경우에는 차량 본닛을 열고 외부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보조 작업자가 운전석에 앉아 가속페달을 밟으면서 엔진룸 내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작업자 혼자서는 차량 내부에서 가속페달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본닛 측의 상태를 점검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2인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므로 페달 조절 작업이 효율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 외부 작업자 간의 의사소통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없어 작업능률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179호에서는 차량 정비시에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외부에서 조절하면서 엔진룸 내의 차량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차량 정비시 가속 및 속도 고정을 위한 가속페달 작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사람의 인력을 이용하여 엑셀의 누름을 조절한다는 점에서 가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4-000117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는, 일단에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일단이 차량의 페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개구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가압부와, 일단이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 1 가압부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차량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상기 차량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페달에 힘을 전달하는 페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가압부는 타단에 양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가압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패드는, 상기 제 2 가압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양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가압패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동력을 전달받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가압부는 일단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홈에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공의 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 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과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달 고정부는 상기 페달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페달 고정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 1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조임 나사와, 상기 차량의 핸들에 삽입되는 차량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차량 고정 플레이트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에 구비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정비 시 차량의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의 일부 구성을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에 구비된 제 2 가압부 및 회전구동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장치에 구비된 페달 고정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가 페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장치에 구비된 하우징 고정부가 차량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의 전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의 일부 구성을 투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때, 상기 도 2에서 후술되는 하우징 고정부(700)의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는, 하우징(100)과, 제 1 가압부(200)와, 제 2 가압부(300)와, 회전구동부(400), 동력 전달부(500), 페달 고정부(600) 및 하우징 고정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단에 제 1 개구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 2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차량(미도시)에 설치되는 경우, 제 1 개구부(110)는 차량의 페달(예시적으로 차량의 가속 페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 2 개구부(120)는 페달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개구부(120)는 상기 제 2 개구부(120) 보다 개구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가압부(200)는 일단이 차량의 페달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개구부(110)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1 개구부(1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개구부(110)와의 개구 면적과 제 1 가압부(200)의 단면적과 일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1 가압부(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축 상에서 일정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 1 가압부(200)에 의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페달 상에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가압부(200)는 전술한 동력 전달부(500)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제 2 가압부(300)는, 일단이 상기 제 2 개구부(120)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제 2 개구부(120)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제 1 가압부(200)와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압부(300)는 전술한 동력 전달부(500)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가압부(200)는 타단에 제 1 가압패드(210)가 형성되며, 제 1 가압패드(210)는 제 2 가압부(300)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가압패드(310)에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동력 전달부(500)로부터의 동력 전달에 따라 제 2 가압패드(310)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에 따라 이와 맞닿는 제 1 가압패드(210)를 밀어주면서 제 1 가압패드(210)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압패드(210) 및 제 2 가압패드(310)는 양 측면이 하우징(100)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에서는, 제 1 가압패드(210)와 제 2 가압패드(310)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 제 1 가압패드(210)와 제 2 가압패드(310)가 직접적으로 결합된 것이 아니므로, 제 2 가압패드(31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축을 벗어나서 불균일하게 전달되더라도 제 2 가압패드(310)가 제 1 가압패드(210)와 맞닿는 순간 제 2 가압패드(310)가 제 1 가압패드(210)에 밀착됨으로써 제 1 가압패드(210)와 페달에 가압력이 일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가압패드(210)와 제 2 가압패드(310)의 분리된 구성에 의하여, 제 2 가압부(300)가 외력의 방향에 따라 이동축이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 상에서 벗어날 수 있으나, 제 1 개구부(110)에 의해 이동축이 고정되는 제 1 가압부(200)는 일정한 중심축 상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에서는 작업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페달에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제 1 가압부(200) 및 제 2 가압부(30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에 구비된 제 2 가압부(300) 및 회전구동부(40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의 일부를 상측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회전구동부(400)는, 제 2 가압부(3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 2 가압부(300)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동력 전달부(500)는 차량(예시적으로, 차량의 시가잭에 연결될 수 있음)에 연결되며, 회전구동부(400)에 차량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구동부(400)는 모터부(410)와, 회전부(420) 및 고정부(4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부(410)는 동력 전달부(500)와 연결되어 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410)의 최적 회전수는 20rpm일 수 있다. 일례로서, 모터부(410)의 최적 회전수가 20rpm인 경우에는 3초에 한 번씩 페달(액셀 페달)을 가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회전부(420)는 모터부(41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모터부(410)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회전부(42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30)는 모터부(41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42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00)이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00)을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은 상기 고정부(430)에 용접 결합 방식 등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2 가압부(300)는 일단에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공(320)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공(320)의 홈에는 회전부(420)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422)가 삽입되며, 돌출부(422)는 회전부(4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공(320)의 홈을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정리하면, 회전부(420)의 회전 구동에 따라서 돌출부(422)가 제 2 가압부(30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공(320)의 홈을 따라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상기 돌출부(422)의 가이드공(320) 내에서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 2 가압부(300)의 일단에 형성된 가이드공(320)이 회전되면서 회전부(420)의 회전 운동이 제 2 가압부(300)의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운동(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 2 가압부(300)와 맞닿는 제 1 가압부(200) 또한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에 구비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가속페달의 누름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정비 시 차량의 상태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동력 전달부(500)는 일단이 모터부(410)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510) 및 연결 라인(5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차량과 연결되는 커넥터부(5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부(520)는 차량의 시가잭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시가잭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예시적으로, 12V)에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의 동력이 커넥터부(520), 연결 라인(510)을 통해 모터부(41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장치(10)에 구비된 페달 고정부(600)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페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페달 고정부(600)는 제 1 가압부(2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 1 가압부(200)의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페달에 힘(제 1 가압부(200)의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페달 고정부(600)는 페달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612)를 구비하는 페달 고정 플레이트(610) 및 일단이 제 1 가압부(20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페달 고정 플레이트(610)에 결합되며, 제 1 가압부(200)의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610)를 회동시키는 힌지부(620)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610)는 "ㄱ"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ㄱ"자 형상의 일단에 걸림부(612)가 형성될 수 있고, "ㄱ"자 형상의 타단에 힌지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610)가 상기 페달을 누르는 최적 깊이는 12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힌지부(620)는 상기 제 1 가압부(20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가압부(200)의 직선왕복운동을 페달로 부드럽게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장치(10)에 구비된 하우징 고정부(700)가 차량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정비용 페달 장치(10)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차량의 핸들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고정부(700)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과, 조임 나사(702)와,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 및 차량 고정 플레이트 회전 부재(7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은 하우징(10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조임 나사(720)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을 하우징(100)의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임 나사(720)는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이 하우징(100)의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차량의 핸들에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는 차량의 핸들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나사(720)에 의해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이 하우징(100)의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의 핸들에 삽입되어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차량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서,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핸들에 삽입되는 경우 전술한 회전구동부(400)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차량 고정 플레이트 회전 부재(740)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와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을 연결하여 하우징 고정 브라켓(710)에 대하여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핸들에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 회전 부재(740)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10)가 차량에 적절하게 고정된 후에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730)의 회전 작동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술한 본 기술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100 : 하우징
200 : 제 1 가압부
300 : 제 2 가압부
400 : 회전구동부
500 : 동력 전달부
600 : 페달 고정부
700 : 하우징 고정부

Claims (8)

  1. 일단에 제 1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일단이 차량의 페달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개구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1 가압부;
    일단이 상기 제 2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 1 가압부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 2 가압부;
    상기 제 2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차량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상기 차량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 1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페달에 힘을 전달하는 페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타단에 양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가압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가압패드는, 상기 제 2 가압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양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가압패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동력을 전달받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회전부 및
    상기 모터부의 일측면에 상기 회전부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해서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부는 일단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의 홈에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공의 홈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모터부와 연결되는 연결 라인 및
    상기 연결 라인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차량과 연결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고정부는,
    상기 페달의 상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페달 고정 플레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 1 가압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가압부의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페달 고정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차량의 핸들에 고정되는 하우징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가 조절되어 결합되는 하우징 고정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조임 나사와,
    상기 차량의 핸들에 삽입되는 차량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고정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차량 고정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차량 고정 플레이트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1020210052519A 2021-04-22 2021-04-22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102475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19A KR102475224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19A KR102475224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665A true KR20220145665A (ko) 2022-10-31
KR102475224B1 KR102475224B1 (ko) 2022-12-06

Family

ID=8380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19A KR102475224B1 (ko) 2021-04-22 2021-04-22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22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002A1 (en) * 2002-05-08 2005-07-28 Zhide Feng Auxiliary brake control system
KR20140001179U (ko) 2012-08-17 2014-02-26 장현철 차량 정비시 가속 및 속도 고정을 위한 가속페달 작동장치
KR101383237B1 (ko) * 2011-11-07 2014-04-11 이용만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KR101401425B1 (ko) * 2014-01-02 2014-05-30 주식회사 인트라밴 차량 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KR101616832B1 (ko) * 2014-12-18 2016-05-02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KR101680099B1 (ko) * 2015-05-19 2016-11-28 손병권 차량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KR101773836B1 (ko) * 2016-03-15 2017-09-01 양정길 차량용 가속페달 조작장치
KR101841360B1 (ko) * 2016-09-26 2018-03-22 백승헌 1인 자동차 정비를 위한 엑슬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점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62002A1 (en) * 2002-05-08 2005-07-28 Zhide Feng Auxiliary brake control system
KR101383237B1 (ko) * 2011-11-07 2014-04-11 이용만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KR20140001179U (ko) 2012-08-17 2014-02-26 장현철 차량 정비시 가속 및 속도 고정을 위한 가속페달 작동장치
KR101401425B1 (ko) * 2014-01-02 2014-05-30 주식회사 인트라밴 차량 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KR101616832B1 (ko) * 2014-12-18 2016-05-02 주식회사이지무브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KR101680099B1 (ko) * 2015-05-19 2016-11-28 손병권 차량정비용 액셀러레이터 조작장치
KR101773836B1 (ko) * 2016-03-15 2017-09-01 양정길 차량용 가속페달 조작장치
KR101841360B1 (ko) * 2016-09-26 2018-03-22 백승헌 1인 자동차 정비를 위한 엑슬러레이터 및 브레이크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224B1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55829A (ja) タイロッド調整用オープンエンドレンチ
DE602004003107D1 (de) Servogesteuerte Drosselklappe mit einer Blattfeder und einer Spiralfeder zum Einstellen der Notfahrposition
JPH05248275A (ja) 制御弁制御装置
KR101383719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장치
KR101682900B1 (ko)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장치
KR20220145665A (ko)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20140141058A (ko) 페달용 내구 시험장치
US20060260897A1 (en) Apparatus for the adjustment capability of two frictional shifting components
US5101784A (en) Throttle valve
KR100677942B1 (ko)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KR102290805B1 (ko)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JPH10196412A (ja) 往復動機構の位置戻し或いは保持装置
CN109611221B (zh) 一种油门操纵系统
KR101688181B1 (ko)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JPH02286839A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開閉装置
KR101773836B1 (ko) 차량용 가속페달 조작장치
KR101326949B1 (ko) 차량용 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JP4263284B2 (ja) 作業車両のエンジン回転と車速の制御装置
CN210290717U (zh) 换挡伺服系统
JP4509037B2 (ja) スロットル装置および二輪車
JPH0612310Y2 (ja) 変速機操作用倍力装置
JP2644114B2 (ja) 自動車の滑り屋根のための回転駆動装置のシャフトの回転数を限定するための装置
KR101815013B1 (ko) 차량용 페달 누름 장치
JPH11190232A (ja) 電動式スロットル装置
CN209687164U (zh) 可旋转接头的汽车尾门自动支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