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237B1 -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237B1
KR101383237B1 KR1020110115274A KR20110115274A KR101383237B1 KR 101383237 B1 KR101383237 B1 KR 101383237B1 KR 1020110115274 A KR1020110115274 A KR 1020110115274A KR 20110115274 A KR20110115274 A KR 20110115274A KR 101383237 B1 KR101383237 B1 KR 10138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edal
vehicle
gear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110A (ko
Inventor
이용만
Original Assignee
이용만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만, 칸워크홀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만
Priority to KR102011011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237B1/ko
Priority to PCT/KR2012/004729 priority patent/WO2013069862A1/ko
Publication of KR2013005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동작시켜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연결된 상태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켜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는 페달 조작부재(10); 및 상기 페달 조작부재(10)가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10)를 당기는 조작핸들(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페달 조작부재 및 조작핸들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적게 소요하면서 설치되므로, 운전자의 운전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서 몸이 불편한 운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여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공간을 최소로 소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전공간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페달에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가 간편하여 일반차량에 손쉽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ACCELERATOR CONTROL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동작시켜서 차량을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제어장치에는 차량을 가속시키는 엑셀레이터와, 주행 중의 차량을 감속시키는 브레이크가 구비된다. 악셀레이터와 브레이크는 페달들에 의해 제어되는데, 악셀레이터 페달은 브레이크 페달과 함께 운전자의 시트 전방 내측에 깊숙히 설치되어 있어 발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체가 부자연스러운 장애인들은 이러한 차량을 운행할 수 없었다.
한편 장애인용 차량 중에는 핸들축에 별도의 작동레버가 설치되어서 이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는 경우 악셀레이터가 작동되거나 브레이크가 작동되도록 개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장애인용 차량의 동력제어장치는, 핸들축에 설치된 작동레버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면서 한 손을 앞으로 뻗어야 하며, 이러한 동작은 신체가 불편하지 않은 비장애인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신체가 부자연스러운 지체 장애인들에게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연관되는 "장애인용 차량의 동력제어장치"가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번호:20-0421956호로 등록된바 있다.
종래의 장애인용 차량의 동력제어장치는 회동레버가 변속레버와 운전석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므로 지체 장애인이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회동레버를 간편하게 전진 및 후진시켜서 엑셀레이터 패달을 조작할 수 있으나, 회동레버가 지렛대 운동하도록 운전석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므로 회동레버의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어서 차량의 내부공간을 많이 차지함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공간이 협소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부재가 차량의 내부공간을 적게 소요하면서 설치되어 운전자의 운전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부재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여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공간을 최소로 소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연결된 상태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켜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는 페달 조작부재(10); 및 상기 페달 조작부재(10)가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10)를 당기는 조작핸들(30);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를 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되는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가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11)를 당겨서 상기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며, 엑셀레이터 페달(AP)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샤프트(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13); 및 상기 안내관(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안내관(13)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관(15);을 포함한다.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핸들(3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베이스관(15)에서 상기 안내관(13)이 원위치 되도록 안내관(13)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20)은 상기 안내관(13)의 외주면 일측에 안내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기어(21);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된 상태로 제2기어(2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제2기어(21)를 이동시키는 제1기어(23);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스위치(25); 상기 스위치(25)에서 발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기어(21)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제1기어(23)를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시키면서 교합신호를 발신하는 교합수단(27); 및 상기 교합수단(27)에서 발신되는 교합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기어(23)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9);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핸들(30)은 상기 페달 조작부재(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1); 상기 와이어(31)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정회전되어서 와이어(31)를 당기도록 고정축(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의 손잡이(33); 및 상기 고정축(32)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손잡이(33)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33)를 역회전시키도록 정회전되는 손잡이(33)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핸들(30)은 상기 손잡이(33)에 외압을 가하여 손잡이(33)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힘에 의한 손잡이(33)의 회전을 허락하는 손잡이 고정수단(3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수단(37)은 상기 고정축(32)에 축결합되되 다수의 산과 골을 갖는 피니언부재(37a); 상기 손잡이(33)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고정부재(37b);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피니언부재(37a)의 골에 삽입되어 피니언부재(37a)에 고정되는 스토퍼(37c); 및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37c)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37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페달 조작부재 및 조작핸들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적게 소요하면서 설치되므로, 운전자의 운전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서 몸이 불편한 운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여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공간을 최소로 소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전공간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페달에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가 간편하여 일반차량에 손쉽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엑셀레이터 페달에 용이하게 적용되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발이나 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엑셀레이터 페달이나 손잡이를 작동시켜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장애인이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하거나 장애인이 손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장애인이 엑셀레이터 페달을 사용하는 경우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샤프트와 안내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엑셀레이터 페달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작핸들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동작을 상세히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 조작부재(10); 및 조작핸들(30);을 포함한다.
페달 조작부재(10)는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연결된 상태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켜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샤프트(11); 안내관(13); 및 베이스관(15);을 포함한다.
샤프트(11)는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를 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샤프트(11)는 일단이 시소운동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의 발판과 반대되는 단부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샤프트(11)는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는 길이방향을 따라 장홀(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엑셀레이터 페달(AP)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H)에 의해 미도시된 차량에 시소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운전자가 발판을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시소운동 되어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증대시켜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안내관(13)은 상기 샤프트(11)가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11)를 당겨서 상기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며, 엑셀레이터 페달(AP)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샤프트(11)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안내관(13)은 상기 샤프트(11)의 장홀(11a)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에 고정되는 고정핀(13a)에 의해 내부에 삽입된 샤프트(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11)는 고정핀(13a)에 끼워진 장홀(11a)에 의해 안내관(13)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내관(13)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안내관(13)은 상기 샤프트(11)의 두께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내관(13)은 내주면이 샤프트(11)의 외측면과 약간의 유격이 형성됨에 따라 시소운동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약간씩 유동되면서 이동되는 샤프트(11)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안내관(13)은 타단에 후술되는 와이어(31)가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와이어홀(13c)이 형성된 캡부재(13b)가 용접이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관(15)은 상기 안내관(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안내관(13)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관(15)은 안내관(13)과 샤프트(11)가 내장된 상태이므로 본 발명이 차량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일직선형태의 설치공간이 소요됨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공간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관(15)은 안내관(13)과 샤프트(11)의 이동을 일직선으로 안내하므로 안내관(13)과 샤프트(11)의 이동공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서 외부와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상기 베이스관(15)에서 이동되는 상기 안내관(13)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안내관(13)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1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조절부재(17)는 상기 안내관(13)에 접촉되어서 안내관(13)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베이스관(15)에 나사결합되는 중공의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리조절부재(17)인 볼트는 내부가 중공에 와이어(31)가 관통된 상태로 베이스관(15)의 단부에 형성되면서 암나사산을 갖는 관통공이나 베이스관(15)의 단부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안내관(13)의 단부에 접촉되어 안내관(1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볼트는 베이스관(15)의 단부에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상태로 베이스관(15)에 고정되는 경우 조작핸들(30)에 의해 이동되는 안내관(13)의 이동거리를 제한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엔진출력을 제한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볼트는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출력이 최대 70km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안내관(13)의 이동거리를 짧게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는 조작핸들(30)의 후술되는 와이어(31)에 의해 당겨지는 안내관(13)의 이동거리를 짧게 제한하여 차량의 엔진출력이 최대 70km로 제한되는 경우 차량의 엔진출력이 70km 이하로만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트는 차량의 엔진출력을 제한하므로 운전자가 정해진 속도로만 차량을 운행할 수 있어서, 차량의 과속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조절부재(17)는 상기 이동되는 안내관(13)을 완충시켜서 정지시키는 완충수단(19);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수단(19)은 상기 거리조절부재(17)의 단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수단(19)은 조작핸들(30)에 의해 이동되는 안내관(13)이 거리조절부재(17)인 볼트의 단부에 접촉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시켜서 안내관(13)과 볼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도시된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핸들(3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베이스관(15)에서 상기 안내관(13)이 원위치 되도록 안내관(13)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이동수단(20)은 제2기어(21); 제1기어(23); 스위치(25); 교합수단(27); 및 구동부재(29);를 포함한다.
제2기어(21)는 상기 안내관(13)의 외주면 일측에 안내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2기어(21)는 베이스관(15)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방구(15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기어(23)는 베이스관(15)의 개방구를 통해 노출된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된 상태로 제2기어(2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제2기어(21)를 이동시킨다.
전술한, 제1기어(23)는 구동부재(29)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교합된 제2기어(21)를 이동(전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21)는 웜기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변형된 래크기어 또는 변형된 웜기어로 구성될 수 있고, 제1기어(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웜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변형된 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기어(23)는 베이스관(15)의 외부에 베이스관(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된 구동부재(29)의 축에 축결합된 상태로 제2기어(21)에 교합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관(15)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스위치(25)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발신한다. 이러한, 스위치(25)는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고 감지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광센서, 근접센서, 접촉센서 및 적외선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교합수단(27)은 상기 스위치(25)에서 발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기어(21)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제1기어(23)를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시키면서 교합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전자석(27a); 금속재(27b); 및 가이드(27c);를 포함한다.
전자석(27a)은 베이스관(15)의 외주면에 고정된 상태로 스위치(25)의 작동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한다.
금속재(27b)는 구동부재(29)에 고정된 상태로 전자석(27a)의 자력에 의해 전자석(27a)에 부착된다.
가이드(27c)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금속재(27b)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플랜지(27d)가 형성되고 전자석(27a)을 커버하는 상태로 베이스관(15)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구동부재(29)는 상기 교합수단(27)에서 발신되는 교합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기어(23)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수단(20)은 운전자가 미도시된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경우 베이스관(15)에서 안내관(13)을 원위치시키므로 엔진출력의 증대가 최소화되어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동수단(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관(15)에서 원위치되는 안내관(13)이 베이스관(15)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내관(13)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지수단(40)은 예컨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단자(41); 가압돌기(43); 및 고정단자(45);를 포함한다.
탄성단자(41)는 상기 베이스관(15)의 내측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중앙부분이 절곡된 상태로 타단이 자재된다.
가압돌기(43)는 상기 안내관(13)의 단부에 고정되어 안내관(13)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단자(41)의 절곡부분을 가압한다.
고정단자(45)는 상기 베이스관(15)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단자(41)의 타단이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돌기(43)가 탄성단자(41)를 가압하여 탄성단자(41)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교합수단(27)이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된 상기 제1기어(23)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교합수단(27)에 분리신호를 발신한다.
즉, 정지수단(40)은 안내관(13)과 함께 이동되면서 가압돌기(43)가 탄성단자(41)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단자(41)가 고정단자(45)에서 이격 됨에 따라 고정단자(45)에서 분리신호를 발신하므로 교합수단(27)이 제1기어(23)를 제2기어(21)에서 분리시킨다. 따라서, 안내관(13)은 이동수단(20)에 의해 베이스관(15)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조작핸들(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달 조작부재(10)가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재(10)를 당기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와이어(31); 중공의 손잡이(33); 및 탄성체(35);를 포함한다.
와이어(31)는 상기 페달 조작부재(10)의 안내관(13)에 일단이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31)는 전술한 안내관(13)의 단부에 고정된 캡부재(13b)의 와이어홀(13c)에 관통된 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볼이나 미도시된 걸쇠를 통해 캡부재(13b)에 걸려서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와이어(31)는 미도시된 롤러가 적용되는 경우 롤러를 축으로 절곡된 상태로 안내관(13)을 당길 수 있으므로, 안내관(13)을 당기는 방향을 전환시킨 상태에서도 안내관(13)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31)는 협소한 차량의 공간에서 길이의 제한을 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33)는 중공이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1)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정회전되어서 와이어(31)를 당기도록 미도시된 차량에 고정된 고정축(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손잡이(33)는 고정축(32)에 마련된 베어링(B)이나 미도시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운전자의 손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베어링(B)에 의해 고정축(32)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33)는 외주면에 와이어(31)가 수용되도록 와이어(31)의 타단이 일측에 고정되는 수용홈(33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용홈(33a)은 손잡이(33)가 정회전되는 경우 와이어(31)가 수용되면서 손잡이(33)에 감겨지게 되므로 와이어(31)가 외부에 간섭되지 않는다.
탄성체(35)는 상기 고정축(32)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손잡이(33)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33)를 역회전시키도록 정회전되는 손잡이(33)에 반발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체(35)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탄성체(35)는 사용자가 손잡이(33)를 회전시켜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증대시킨 후에 엔진출력을 줄이기 위해 손잡이(33)를 회전을 중지시키면서 손잡이(33)에서 손을 분리시키는 경우 손잡이(33)에 반반력을 제공하여 손잡이(33)를 역회전시켜서 손잡이(33)를 원위치시킨다.
상기 조작핸들(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3)에 외압을 가하여 손잡이(33)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힘에 의한 손잡이(33)의 회전을 허락하는 손잡이 고정수단(3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고정수단(37)은 예컨대 피니언부재(37a); 고정부재(37b); 스토퍼(37c); 및 탄성체(37d);를 포함한다.
피니언부재(37a)는 상기 고정축(32)에 축결합되되 다수의 산과 골을 갖는다.
고정부재(37b)는 상기 손잡이(33)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부재(37b)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관형태로 구성되면서 타단이 마감되는 캡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37c)는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피니언부재(37a)의 골에 삽입되어 피니언부재(37a)에 고정된다. 스토퍼(37c)는 단부가 구나 반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37d)는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37c)를 탄력지지 한다. 이러한, 탄성체(37d)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스토퍼(37c)를 피니언부재(37a)에 밀착시켜서 스토퍼(37c)를 피니언부재(37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37d)는 전술한 엑셀레이터 페달(AP)의 탄성력보다 큰 탄성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탄성체(37d)는 스토퍼(37c)를 피니언부재(37a)에 고정시키는 경우 엑셀레이터 페달(AP)이 시소운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탄성체(37d)는 스토퍼(37c)를 피니언부재(37a)에 고정시켜서 손잡이(33)가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어서 엔진출력이 고정됨에 따라 차량은 정해진 속도로 정속주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핸들(30)은 상기 고정부재(37b)를 상기 손잡이(33)에 분리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수단(38);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체결수단(38)은 상기 고정부재(37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산과 상기 손잡이(33)에 관통형성되며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부재(37b)는 체결수단(38)에 의해 손잡이(33)에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상태로 손잡이(33)에 고정되는 경우 탄성체(37d)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고정부재(37b)를 손잡이(33)에 조이는 경우 탄성체(37d)의 탄성력이 증가되므로 스토퍼(37c)가 피니언부재(37a)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셀레이터 페달(AP)의 발판을 발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경우 엑셀레이터 페달(AP)이 시소운동되면서 엔진출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샤프트(11)는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엑셀레이터 페달(AP)의 시소운동에 따라 안내관(13)의 외측의 1구간①에서 2구간②까지 최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발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 페달(AP)을 가압하는 경우 샤프트(11)가 안내관(1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안내관(13)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안내관(13)의 불필요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손잡이(33)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안내관(13)이 베이스관(15)의 2구간②에서 3구간③까지 최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손잡이(33)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발을 이용하지 않는 상태로 엔진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37)은 사용자가 손잡이(33)를 정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3)에서 손을 분리시켜도 도 2에 확대 도시된 탄성체(37d)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37c)가 피니언부재(37a)의 골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손잡이(33)의 회전을 중지시키므로 손잡이(33)는 역회전 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속도 예를 들면 100km로 주행하여야 하는 고속도로에서 손잡이(33)를 회전시키면서 엔진출력이 증대되어 차량의 주행속도가 100km인 것을 확인한 후에 손잡이(33)에서 손을 분리하여도, 고정수단(37)이 손잡이(33)의 회전을 중지시켜서 고정하므로 엔진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37)은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않아도 손잡이(33)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차량이 정해진 속도로 주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손잡이(33)를 강제로 역회전시키는 경우 탄성체(37d)에 탄력지지되는 스토퍼(37c)가 피니언부재(37a)에서 미끄러지면서 손잡이(33)의 역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33)를 강제로 역회전시켜서 차량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주행중에 미도시된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차량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20)에 의해 안내관(13)을 강제로 원위치시켜서 엔진출력을 줄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서 작동시키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5)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발신하면 교합수단(27)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21)에서 분리된 상태의 제1기어(23)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21)에 교합시키고, 구동부재(29)가 제1기어(23)를 회전시키므로 제1기어(23)의 회전에 의해 제2기어(21)가 직선이동되어 안내관(13)이 원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13)은 가압돌기(43)와 함께 이동되면서 가압돌기(43)가 탄성단자(41)를 가압함에 따라 탄성단자(41)가 고정단자(45)에서 이격되므로 고정단자(45)에서 분리신호가 교합수단(27)으로 발신된다. 이어서, 교합수단(27)은 제1기어(23)를 제2기어(21)에서 분리시키므로 안내관(13)이 정지수단(40)에 의해 베이스관(15)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 페달(AP)을 가압하여서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손을 이용하여 손잡이(33)를 회전시켜서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비장애인이나 장애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페달에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가 간편하여 일반차량에 손쉽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손을 이용하여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페달 조작부재 및 조작핸들이 차량의 내부공간을 적게 소요하면서 설치되므로, 운전자의 운전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어서 몸이 불편한 운전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는 조작핸들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엑셀레이터를 조작하여 차량의 내부공간에서 회전공간을 최소로 소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전공간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페달에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가 간편하여 일반차량에 손쉽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일반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차량의 엑셀레이터 페달에 용이하게 적용되어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발이나 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엑셀레이터 페달이나 손잡이를 작동시켜서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장애인이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하거나 장애인이 손만을 이용하여 차량을 운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비장애인이 엑셀레이터 페달을 사용하는 경우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샤프트와 안내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페달 조작부재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페달 조작부재
11 : 샤프트
13 : 안내관
15 : 베이스관
20 : 이동수단
30 : 조작핸들
AP : 엑셀레이터 페달

Claims (5)

  1. 차량의 엔진출력을 조절하는 엑셀레이터 페달(AP)에 연결된 상태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켜서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는 페달 조작부재(10); 및 상기 페달 조작부재(10)가 엑셀레이터 페달(AP)을 시소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10)를 당기는 조작핸들(30);을 포함하되,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를 동작시키도록 페달 조작부재(10)에 일단이 고정되는 샤프트(11); 상기 샤프트(11)가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샤프트(11)를 당겨서 상기 엑셀레이터 페달(AP)을 동작시키며, 엑셀레이터 페달(AP)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샤프트(1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관(13); 및 상기 안내관(1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조작핸들(30)의 조작에 의해 이동되는 안내관(13)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관(15);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핸들(30)은 상기 페달 조작부재(10)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1); 상기 와이어(31)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로 정회전되어서 와이어(31)를 당기도록 고정축(3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중공의 손잡이(33); 및 상기 고정축(32)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타단이 손잡이(33)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33)를 역회전시키도록 정회전되는 손잡이(33)에 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작부재(10)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따라 상기 조작핸들(3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베이스관(15)에서 상기 안내관(13)이 원위치 되도록 안내관(13)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20)은
    상기 안내관(13)의 외주면 일측에 안내관(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기어(21);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된 상태로 제2기어(2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제2기어(21)를 이동시키는 제1기어(23);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발신하는 스위치(25);
    상기 스위치(25)에서 발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기어(21)에서 분리된 상태의 상기 제1기어(23)를 상기 제2기어(21)에 교합시키면서 교합신호를 발신하는 교합수단(27); 및
    상기 교합수단(27)에서 발신되는 교합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기어(23)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9);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핸들(30)은
    상기 손잡이(33)에 외압을 가하여 손잡이(33)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힘에 의한 손잡이(33)의 회전을 허락하는 손잡이 고정수단(37);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고정수단(37)은
    상기 고정축(32)에 축결합되되 다수의 산과 골을 갖는 피니언부재(37a);
    상기 손잡이(33)에 고정되되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고정부재(37b);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서 상기 피니언부재(37a)의 골에 삽입되어 피니언부재(37a)에 고정되는 스토퍼(37c); 및
    상기 고정부재(37b)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37c)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체(37d);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KR1020110115274A 2011-11-07 2011-11-07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KR10138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274A KR101383237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PCT/KR2012/004729 WO2013069862A1 (ko) 2011-11-07 2012-06-18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274A KR101383237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10A KR20130050110A (ko) 2013-05-15
KR101383237B1 true KR101383237B1 (ko) 2014-04-11

Family

ID=4829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274A KR101383237B1 (ko) 2011-11-07 2011-11-07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3237B1 (ko)
WO (1) WO20130698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77B1 (ko) 2018-12-10 2020-05-15 주식회사 성무모터스 왼발 가속페달 조작기
KR20220145665A (ko) * 2021-04-22 2022-10-31 임석연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102641334B1 (ko) 2023-07-04 2024-02-27 주식회사 성무모터스 왼발가속페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757B (zh) * 2022-09-03 2023-03-10 秦皇岛零叁邀柒科技开发有限公司 具有自动切换及节油功能的电子油门加速器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066Y2 (ja) 1991-01-28 1997-10-2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操作ペダ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600A (ja) * 1995-07-31 1997-02-10 Matsuda Sangyo Kk 身体障害者用車両
JP2002120590A (ja) * 2000-10-13 2002-04-23 Honda Motor Co Ltd 身体障害者用車両
US8196697B2 (en) * 2004-11-10 2012-06-12 Yoram Fruehling Driving Systems, Ltd. Driving accessory for handicapped driv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1066Y2 (ja) 1991-01-28 1997-10-2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操作ペダル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977B1 (ko) 2018-12-10 2020-05-15 주식회사 성무모터스 왼발 가속페달 조작기
KR20220145665A (ko) * 2021-04-22 2022-10-31 임석연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102475224B1 (ko) 2021-04-22 2022-12-06 임석연 차량정비용 페달 조절 장치
KR102641334B1 (ko) 2023-07-04 2024-02-27 주식회사 성무모터스 왼발가속페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110A (ko) 2013-05-15
WO2013069862A1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237B1 (ko) 자동차용 엑셀레이터 보조장치
US7757823B2 (en) Electric parking brake
KR101301676B1 (ko)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
US7802659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a wheeled walker
WO2017044188A1 (en) Wheelchair drive boost
EP1792802A3 (en) Steering apparatus
US20150298764A1 (en) Vehicle with a driving device thats engages when the operator sits
KR101852149B1 (ko)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US9393867B2 (en) Hand control throttle system
KR20150026627A (ko) 상호 연결 가능한 자전거
KR102043079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의 주행방법
KR100743461B1 (ko) 출력변환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200464134Y1 (ko) 페달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KR102161352B1 (ko) 스위칭기능을 가진 역회전 방지 바퀴
JP2008007054A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421956Y1 (ko) 장애인용 차량의 동력제어장치
JP2009208491A (ja) 回転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KR101261318B1 (ko)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DE102014006600A1 (de) Fußbetriebene Vorrichtung zum mechanischen Antrieb von Fahrzeugen
CN114432651B (zh) 一种健身车飞轮调节机构
KR100996867B1 (ko) 자전거의 제동장치
WO2011069358A1 (zh) 后轴式力矩传感装置及电动自行车
EP3842330A1 (en) Self-traveling vehicle
JP2001225784A (ja) 人力走行車の駆動機構
KR101385120B1 (ko) 한 개의 막대에 브레이크와 가속기능이 결합된 자동차 운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