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318B1 -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1318B1 KR101261318B1 KR1020120135937A KR20120135937A KR101261318B1 KR 101261318 B1 KR101261318 B1 KR 101261318B1 KR 1020120135937 A KR1020120135937 A KR 1020120135937A KR 20120135937 A KR20120135937 A KR 20120135937A KR 101261318 B1 KR101261318 B1 KR 101261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ring
- coupled
- hub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86—Anti-roll-back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구동바퀴를 돌린후에는 구동바퀴가 역회전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하여 언덕길을 올라갈때에 전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손쉽게 올라갈 수 있게 한 휠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휠체어 구동바퀴의 허브에 전진 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한쌍의 일방향 풀리가 결합되고, 각각의 일방향 풀리에는 구동레버와 스토퍼가 결합되며, 스토퍼에는 본체 프레임에서 연장된 걸림판이 아래쪽에서 받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레버 및 스토퍼의 일방향 구속을 일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는 풀림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 없이 혼자 언덕길을 올라갈 때에 별도로 조작하는 브레이크 없어도 전진한 후에 휠체어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언덕길을 내려갈 때에는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천천히 내려 갈 수 있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1인용 차량으로서 주로 사용분야는 신체 장애인이나 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 보조 기구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인력에 의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휠체어(10)를 구성하는 프레임(11)의 양측에 구동바퀴(14)를 설치하고 프레임(11)의 전방 양측에는 앞바퀴(15)를 설치하거나 후방 양측에 뒷바퀴를 설치하며, 프레임의 중앙에 좌대(12)가 마련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16은 발판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손으로 구동바퀴(14)에 달린 핸드림(14a)을 회전시켜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하게 되기도 하며, 보호자가 프레임(11)에서 연장된 손잡이(13)를 잡고 밀어 주기도 한다.
한편, 휠체어의 앞바퀴(15)는 방향전환이 주 목적으로 작게 만들어지는게 보통인데, 이러한 이유로 낮은 높이의 장애물을 만나도 앞바퀴(15)가 넘어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를 위해 프레임(11)의 뒤쪽에 보호자가 발로 밟아 휠체어(10)의 앞부분을 들어주는 누름판(1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휠체어(10)에는 별도의 브레이크가 마련되기도 하지만, 탑승자 혼자서 주행할때에는 손으로 핸드림을 잡아 제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 마찰에 의해 손이 뜨거워져 제동을 지속적으로 하지 못하거나 탑승자의 손에 상처를 내게 된다.
더구나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휠체어를 타고 오르막길을 올라갈 경우 핸드림을 잡고 앞으로 전진한 후에는 바로 휠체어가 뒤로 밀리기 때문에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즉, 브레이크가 있다고 하여도 핸드림을 이용해 앞으로 간 다음 바로 브레이크를 잡고 다시 브레이크를 놓은 후 다시 핸드림을 돌리는 힘들고 까다로운 운행인 것이다. 이러는 사이 노약자의 경우 손을 놓게 되면 휠체어는 거침없이 뒤로 밀려 사고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동바퀴를 돌린후에는 구동바퀴가 역회전하지 못하도록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하여 언덕길을 올라갈때에 전진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손쉽게 올라갈 수 있게 한 휠체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구동바퀴를 돌리는 주체가 핸드림이 아닌 길다란 일방향 레버를 사용하여 적은 힘으로도 구동시키고자 하며 이 레버에는 스토퍼 및 레버의 일방향 회전을 해제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 휠체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휠체어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된 구동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구동바퀴의 허브에 전진 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한쌍의 일방향 풀리가 결합되고, 각각의 일방향 풀리에는 구동레버와 스토퍼가 결합되며, 스토퍼에는 본체 프레임에서 연장된 걸림판이 아래쪽에서 받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걸림판은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서 구동바퀴측으로 연장된 누름판에 형성되어 구동바퀴의 뒤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판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은,
휠체어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프레임에 결합된 구동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구동바퀴의 허브에 전진 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한쌍의 일방향 풀리가 결합되고, 어느 일측의 일방향 풀리에는 스토퍼가 결합되고, 스토퍼에는 본체 프레임에서 연장된 걸림판이 아래쪽에서 받치도록 되며, 다른 일방향 풀리에는 스프로켓이 형성되고,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는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켓이 형성되며, 구동스프로켓에는 구동레버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에는 키이홈이 형성되고, 허브에 삽입되어 키이홈에 구속되도록 내부키이가 형성된 구속링이 더 구성되고, 구속링의 외부에 본체링이 키이 결합되며, 본체링의 외부에 일방향 풀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키이홈은 허브의 외주면상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부키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허브의 타측에 구속링에 밀착되도록 작동링이 삽입되고, 허브에 삽입되면서 작동링과 구속링을 묶어주도록 고정볼트 및 고정너트가 결합되며, 작동링은 탑승자가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와이어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에는 작동링이 당겨진 후에 리턴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속링과 작동링의 사이에는 와셔가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구동바퀴에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오르막길 주행시 휠체어가 전진한 후에는 다시 뒤로 밀리지 않는 잇점이 있다.
또한, 구동바퀴를 핸드림이 아닌 일방향 구동레버를 이용해 회전시킴으로써, 지레대의 원리로 힘이 적게 드는 잇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 및 구동레버의 일방향 회전을 해제할 수 있도록 풀림수단이 마련되어 필요시 휠체어를 후진시킬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휠체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동바퀴에 핸드림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휠체어가 경사면을 올라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레버 및 스토퍼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풀림수단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속링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A-A선 단면도이고, (b)는 구속링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을 결합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바퀴에 핸드림이 형성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휠체어가 경사면을 올라가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구동레버 및 스토퍼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풀림수단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구속링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들로서, (a)는 A-A선 단면도이고, (b)는 구속링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을 결합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이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도와 배면도를 나타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는 배경기술에서 설명하였듯이 휠체어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될 본체 프레임(11), 좌대(12), 구동바퀴(14), 앞바퀴(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구동바퀴(14)를 돌려주기 위한 구동레버(110) 및 구동바퀴(14)가 역회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120) 및 스토퍼(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레버(110)는 구동바퀴(14)의 허브(20)에 결합되되, 일방향(뒤쪽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타방향(앞쪽방향)으로는 구속되어 구동바퀴(14)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즉, 구동레버(110)는 허브(20)에 결합되는 일방향 풀리(115)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일방향 풀리(115)가 뒤쪽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되지만 앞쪽으로는 구속되는 것이다. 일방향 풀리(115)는 본 발명에서만 특별한 것이 아니며, 흔히 자전거의 뒷바퀴 체인스프로켓과 같은 것으로, 스프로켓의 이빨을 갈아내고 그곳에 구동레버(110)를 형성한 것으로 치환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1은 샤프트로서, 허브(20)에 삽입되면서 본체 프레임(11)에 고정되어 구동바퀴(14)가 이 샤프트(21)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30)는 위 구동레버(110)와 동일한 결합구조를 갖는 것으로, 허브(20)에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되는 풀리(135)에 일체로 형성되어 휠체어(100)의 뒤쪽으로 연장되는 바아이다.
이러한 구동레버(110) 및 스토퍼(130)는 어느 것이 먼저 구동바퀴(14)쪽에 위치하는지는 크게 관계 없지만, 구동레버(110)는 탑승자가 손으로 잡고 앞으로 제치는 운동을 해야 하므로 좌대쪽에서 멀리 떨어진 구동바퀴(14)쪽이 더욱 좋을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걸림판(120)은 스토퍼(130)의 끝단이 위에서 걸려 스토퍼(130)에 구속된 구동바퀴(14)가 뒤쪽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걸림판(120)은 휠체어의 본체 프레임(11)에서 연장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휠체어(100)의 앞쪽을 들어 올리기 위해 마련된 누름판(17)에 결합시키는 것이 더욱 좋다. 이때, 걸림판(120)은 뒤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다가 구동바퀴(14)을 감싸듯 굴절되어 이 굴절된 부분이 스토퍼(130)의 단부와 맞닿게 된다.
참고로, 걸림판(120)의 굴절부에는 구동바퀴(14)를 선택적으로 멈추게 할 수 있는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브레이크는 구동레버(110)의 손잡이(112) 부분에 그립(140)과 연결시켜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브레이크는 꼭 걸림판(120)의 굴절부에만 한정해서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바퀴(14)의 원주 어느 곳이든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는 휠체어 탑승자가 구동레버(110)의 손잡이(112)를 잡고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각도 돌려주면 구동레버(110)에 앞쪽 방향으로 구속된 구동바퀴(14)가 그 각도 만큼 앞쪽으로 회전하여 전진하게 된다. 이때, 휠체어를 계속해서 전진하기 위해서는 구동레버(110)를 앞뒤로 반복해서 움직여 주어야 하는데, 구동레버(110)가 구동바퀴(14)에 대해 앞쪽 방향으로만 구속되어 있으므로 구동레버(110)를 뒤로 돌리는 것은 자유롭게 된다.
이와 함께 스토퍼(130)는 구동바퀴(14)가 앞쪽으로 회전할때에는 뒤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걸림판(130)과 간섭되지 않게 작동하다가 구동바퀴(14)가 뒤로 밀리는 힘이 발생되면 구동바퀴(14)와 뒤쪽 방향으로 구속된 스토퍼(130)가 뒤로 돌아가면서 걸림판(120)에 걸려 후진을 못하게 억제시킨다. 이때, 스토퍼(130)는 철봉으로 제작되어 있고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그 자중에 의해 항상 걸림판(120)위에 걸쳐져 있게 되어 구동바퀴(14)가 잠깐이라도 뒤로 돌아가려고 하면 그 즉시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위 실시예의 구동은 구동레버(110)의 운동 각도만큼만 구동바퀴(14)가 운동하므로 손놀림이 잦아야 하며 속도도 낮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프레임(11)의 상부쪽에 구동스프로켓(117)을 장착하고, 이 구동스프로켓(117)에 구동레버(110)를 결합하며, 구동스프로켓(117)은 체인(118)을 연결하여 구동바퀴(14)의 허브(20)와 체인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바퀴(14)와 체인결합되는 것은 도 6에서 설명한 구동레버(110)의 일방향 풀리(115)이며, 이 풀리(115)는 스프로켓이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바퀴(14)쪽 보다는 구동스프로켓(117)쪽을 더 크게 형성하여 구동바퀴(14)가 스프로켓들의 잇수 차이에 따라 큰 회전량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레버(110)는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평지를 이동할때에는 구동레버(110)의 조작이 불편할 수도 있어 절첩식이나 신축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는 일방향 풀리(115, 135)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풀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방향 풀리(115, 135)에 결합된 구동레버(110) 및 스토퍼(130)가 구동바퀴(14)에 항상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스토퍼(130)가 걸림판(120)에 항상 걸려 있기 때문에 본 발명 휠체어(100)가 후진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일방향 풀리(115, 135)의 내부에 풀림수단을 장착하고, 이 풀림수단을 외부에서 줄로 당기거나 놓아 주는 작용으로 선택적 구속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풀림수단에 대한 분해 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풀림수단(200)은 구동바퀴(14)의 허브(20)에 키이홈(210)이 형성되고, 이러한 허브(20)에 순차적으로 고정너트(250), 구속링(220), 작동링(230) 및 고정볼트(240)가 결합된다.
키이홈(210)은 허브(20)의 외주면상에서 구동바퀴(14)쪽으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키이홈(210) 및 허브(20)에 구속링(22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구속링(220)은 허브쪽 일측의 내부에 키이홈(210)과 대응되는 내부키이(222)가 형성되고, 타측은 허브(20)가 관통된다. 이때, 키이홈(210)은 다수개가 형성되지만, 내부키이(222)는 도 10의 (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어느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만 형성되면 충분하다. 또한, 구속링(220)은 (b)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내부키이(222)와 외부키이(224)를 따로 형성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a)와 같은 타입은 구속링(220) 자체가 키이홈(210)에 삽입되어 내부키이(222)와 키이홈(210)이 맞물리는 것이고, (b)와 같은 타입은 구속링(220)이 키이홈(210)으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를 가질때에 일체로 된 키이(222, 224)가 키이홈(210)측으로 돌출되어 구속링(220) 없이 키이 단독으로만 맞물리는 것이다.
이러한 구속링(220)은 그 외부에 본체링(270)이 결합되고, 이 본체링(270)과 구속링(220)은 서로 키이 결합된다. 즉, 구속링(220)의 외부에는 돌출된 외부키이(224)가 형성되고, 본체링(270)의 내부에는 이 외부키이(224)가 항상 결합되는 키이홈(27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링(270)의 외부에는 일방향 풀리(115, 135)가 결합되고, 이 일방향 풀리에 구동레버(110) 및 스토퍼(130)가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레버(110) 및 스토퍼(130)가 일방향 풀리에 의해 역회전은 자유롭게 되면서 외부키이(224)와 본체링(270)의 키이홈(272) 물림에 의해 정회전시에만 구속된다. 외부키이(224)도 내부키이(222)와 마찬가지로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만 형성되면 충분하며, 본체링(270)의 키이홈(272)는 이 외부키이(224)와 항상 물려 있기 때문에 동일하게 대응됨이 좋을 것이다.
한편, 구속링(220)의 타측에는 작동링(232)이 배치되어 허브(20)에 끼워진다. 작동링(230)은 그 타측에 작동바아(232)가 형성되어 이 작동바아(232)를 끌어당기거나 밀어줌으로써, 구속링(220)을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동링(230)이 구속링(220)과 일체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작동링(230)의 타측에 허브(20)에 끼워지면서 작동링(230) 및 구속링(22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40)가 결합된다. 그리고 구속링(220)의 일측방향에는 고정볼트(240)의 선단과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250)가 결합된다.
즉, 구속링(220)과 작동링(230)은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질적으로 허브(20)에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고정볼트(240)에 끼워지며, 고정볼트(240)에 작동링(230) 및 구속링(220)을 묶어주기 위해 고정너트(250)로 마감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너트(250)측에서 고정너트(250)와 고정볼트(240)를 관통하도록 허브(20)가 삽입되며, 허브(20)의 외부에 형성된 키이홈(210)이 구속링(220)의 내부키이(222)와 일치된다.
또한, 구속링(220)과 작동링(230)은 서로 접촉되므로 마찰을 줄이기 위해 와셔(260)를 사이에 넣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수단(200)은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작동바아(232)의 타단에 와이어(290)를 연결하여 외부에서 끌어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며, 끌어당긴 후 놓으면 자동으로 원위치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80)을 삽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와이어(290)는 구동레버(110)의 손잡이(112)쪽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당겨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100)의 풀림수단(200)은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조작에 의해 와이어(290)를 당기면 와이어(290)가 고정되어 있는 작동바아(232) 및 작동링(230)이 당겨지면서 이 작동링(230)에 묶여져 있는 고정볼트(240), 구속링(220) 및 고정너트(250)가 함께 당겨진다. 따라서 구속링(220)의 내부키이(222)가 키이홈(21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구속링(220)이 허브와의 구속에서 자유롭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레버(110) 및 스토퍼(130)도 함께 자유롭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풀림수단(200)은 구동레버(110)로 사용될때 뿐만 아니라 구동스프로켓(117)과 체인(118)의 연결에 의한 구성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휠체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휠체어
14 : 구동바퀴 20 : 허브
110 : 구동레버 120 : 걸림판
130 : 스토퍼 115, 135 : 일방향 풀리
117 : 구동스프로켓 118 : 체인
200 : 풀림수단 210 : 키이홈
220 : 구속링 222 : 내부키이
224 : 외부키이 230 : 작동링
232 : 작동바아 240 : 고정볼트
250 : 고정너트 260 : 와셔
270 : 본체링 280 : 압축스프링
290 : 와이어
14 : 구동바퀴 20 : 허브
110 : 구동레버 120 : 걸림판
130 : 스토퍼 115, 135 : 일방향 풀리
117 : 구동스프로켓 118 : 체인
200 : 풀림수단 210 : 키이홈
220 : 구속링 222 : 내부키이
224 : 외부키이 230 : 작동링
232 : 작동바아 240 : 고정볼트
250 : 고정너트 260 : 와셔
270 : 본체링 280 : 압축스프링
290 : 와이어
Claims (9)
- 휠체어 본체 프레임(11)과, 이 본체프레임(11)에 결합된 구동바퀴(14)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4)의 허브(20)에 전진 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한쌍의 일방향 풀리(115, 135)가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일방향 풀리에는 구동레버(110)와 스토퍼(130)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1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1)에서 연장된 걸림판(120)이 아래쪽에서 받치도록 되며, 상기 걸림판(1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바퀴(14)측으로 연장된 누름판(17)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바퀴(14)의 뒤쪽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판(120)에는 브레이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휠체어 본체 프레임(11)과, 이 본체프레임(11)에 결합된 구동바퀴(14)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14)의 허브(20)에 전진 방향으로만 구속되는 한쌍의 일방향 풀리(115, 135)가 결합되고, 어느 일측의 일방향 풀리(135)에는 스토퍼(130)가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13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1)에서 연장된 걸림판(120)이 아래쪽에서 받치도록 되며, 다른 일방향 풀리(115)에는 스프로켓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측면에는 상기 스프로켓과 체인(118)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켓(117)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스프로켓(117)에는 구동레버(110)가 결합되며, 상기 걸림판(1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바퀴(14)측으로 연장된 누름판(17)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바퀴(14)의 뒤쪽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0)에는 키이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허브(20)에 삽입되어 상기 키이홈(210)에 구속되도록 내부키이(222)가 형성된 구속링(220)이 더 구성되고, 상기 구속링(220)의 외부에 본체링(270)이 키이결합되며, 상기 본체링(270)의 외부에 일방향 풀리(115, 135)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홈(210)은 상기 허브(20)의 외주면상에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키이(2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20)의 타측에 상기 구속링(220)에 밀착되도록 작동링(230)이 삽입되고, 상기 허브(20)에 삽입되면서 상기 작동링(230)과 구속링(220)을 묶어주도록 고정볼트(240) 및 고정너트(250)가 결합되며, 상기 작동링(230)은 탑승자가 당기거나 밀어주도록 와이어(290)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90)에는 작동링(230)이 당겨진 후에 리턴될 수 있도록 압축스프링(280)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링(220)과 작동링(230)의 사이에는 와셔(260)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937A KR101261318B1 (ko) | 2012-11-28 | 2012-11-28 |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5937A KR101261318B1 (ko) | 2012-11-28 | 2012-11-28 |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1318B1 true KR101261318B1 (ko) | 2013-05-10 |
Family
ID=4866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5937A KR101261318B1 (ko) | 2012-11-28 | 2012-11-28 |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13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923B1 (ko) * | 2017-06-07 | 2019-02-13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사로 주행이 용이한 휠체어 |
KR102026178B1 (ko) * | 2018-11-30 | 2019-09-27 | 정자화 | 휠체어용 수동식 구동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8859B1 (ko) | 1997-04-29 | 1999-06-15 | 노강래 | 휠체어의 추진 장치 |
JP2000333998A (ja) | 1999-05-31 | 2000-12-05 | Koichi Hayasaka | 車いすおよび手押し車の自動制動装置 |
JP2002219149A (ja) | 2001-01-25 | 2002-08-06 | Shinko Shoji Kk | 手動式車椅子 |
JP2004141586A (ja) | 2002-10-21 | 2004-05-20 | Toru Kunichika | ラチェット機構を利用した車椅子の後退防止装置 |
-
2012
- 2012-11-28 KR KR1020120135937A patent/KR1012613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8859B1 (ko) | 1997-04-29 | 1999-06-15 | 노강래 | 휠체어의 추진 장치 |
JP2000333998A (ja) | 1999-05-31 | 2000-12-05 | Koichi Hayasaka | 車いすおよび手押し車の自動制動装置 |
JP2002219149A (ja) | 2001-01-25 | 2002-08-06 | Shinko Shoji Kk | 手動式車椅子 |
JP2004141586A (ja) | 2002-10-21 | 2004-05-20 | Toru Kunichika | ラチェット機構を利用した車椅子の後退防止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923B1 (ko) * | 2017-06-07 | 2019-02-13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사로 주행이 용이한 휠체어 |
KR102026178B1 (ko) * | 2018-11-30 | 2019-09-27 | 정자화 | 휠체어용 수동식 구동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98247B1 (en) | Stretcher with mechanical power assist | |
KR200456241Y1 (ko) |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 |
JP4616865B2 (ja) | 駆動力自動解除式一方向回転駆動装置 | |
US11981393B2 (en) | Mobility and exercise vehicle | |
KR101261318B1 (ko) |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 |
JP6410121B1 (ja) | 手動用車輪付移動体 | |
KR101852149B1 (ko) |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 |
KR100977401B1 (ko) | 수동 킥보드 | |
KR20120081713A (ko) | 구동장치 | |
KR101744386B1 (ko) | 자전거용 증속 동력변환장치 | |
US9102380B2 (en) | Bicycle driven by hands | |
KR100743461B1 (ko) | 출력변환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 |
KR20110076724A (ko) | 사점 해소를 위한 페달의 회전 제어시스템 | |
JP2016067569A (ja) | 安全走行装置 | |
RU2373099C2 (ru) | Самопед | |
WO2006068449A1 (en) |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converting output and wheel chair having the same | |
JP2010246828A (ja) | 足踏み駆動式車椅子 | |
KR102151568B1 (ko) | 내리막길에서의 자전거 감속장치 | |
JP2001327543A (ja) | 車椅子用後退防止装置つきドラムブレーキ | |
KR101705291B1 (ko) | 휠체어용 경사로 주행 보조장치 | |
KR20120008945U (ko) | 레버를 이용한 휠체어의 이동 보조 장치 | |
TWI548409B (zh) | Rehabilitation and transportation of health vehicles | |
JP2010057605A (ja) | 歩行補助器の自動ブレーキ装置 | |
KR101169855B1 (ko) | 휠체어 | |
US20240115442A1 (en) | Pump-action wheelchair and conversion k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