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165A -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 Google Patents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165A
KR20220144165A KR1020210050501A KR20210050501A KR20220144165A KR 20220144165 A KR20220144165 A KR 20220144165A KR 1020210050501 A KR1020210050501 A KR 1020210050501A KR 20210050501 A KR20210050501 A KR 20210050501A KR 20220144165 A KR20220144165 A KR 2022014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tirring
paints
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866B1 (ko
Inventor
김동수
강오형
Original Assignee
김동수
강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강오형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21005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6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6Means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on to freshly applied markings or into the marking material after discharge thereof, e.g. reflective beads, grip-improving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교반부 내에 수용된 각각의 도료에 포함된 성분이 고르게 교반되도록 제1교반장치로 도료를 교반하고, 제1교반부에서 교반된 도료를 제2교반부에서 서로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 배출하여 도료도색장치로 낙하 공급하며, 이때, 도료도색장치가 노면으로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비드분사장치가 비드저장탱크로 부터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아,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서로 고르게 혼합하여, 노면에 도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제1교반부 내에 분리 수용되어, 제1교반부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어 경화작용이 일어날 우려가 없고, 제1교반부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에 포함된 물질이 제1교반장치에 의해 각각의 도료와 고르게 혼합되며, 제1교반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각각의 도료가 제2교반부에서 서로 혼합되어 경화작용을 일으키되, 이때, 2교반장치가 도료를 고르게 교반 배출하여 도료의 경화시간이 지연되고, 특히, 제2교반부에서 고르게 혼합 교반된 도료가 도색도료장치로 낙하 공급되되, 도색도료장치를 통해 노면으로 도포된 후 경화가 이루어져 도료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도색도료장치에서 도료를 노면으로 낙하 도포하여, 도료가 공중으로 흩날릴 우려가 없다.

Description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Room temperature curing type double stirring type painting equipment}
본 발명은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수용한 제1교반부를 공압으로 개폐하여 제2교반부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동시에 공급하고, 제2교반부로 부터 혼합 교반된 도료를 공급받은 도료도색장치부를 공압으로 개폐하여, 노면에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비드분사장치로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비드를 분사하여,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혼합 도포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교통에 대한 경계나 안내를 목적으로 노면에 각종 표시선 및 구획선 등이 표출되도록 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차량이나 사람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차선의 경우, 도로의 중앙에 표시되어 주행방향을 분리하기 위한 중앙선이나 주행하는 차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행선, 이 외에 갓길이나 횡단보도 선, 주차 선 등이 표시되며, 차선의 도색작업은 수동식 표시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도로상에 차선을 도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진행의 신속성 결여로 인한 공사기간의 장기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도색할 수 있는 장비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각종 표시 선은 보통 페인트에 의해 도로에 도포되는데, 수용성 상온형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가열방식을 이용한 용융형 페인트 등이 사용된다. 물론, 필요할 경우에는 유리알이나 모래알과 같은 미립자가 포함되거나 야간 발광을 위한 형광 물질이 함유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차선 도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하부에 이동바퀴를 형성한 본체와, 본체 일측된 설치된 브라켓과,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경화제를 수용한 경화제수용용기와, 경화제수용용기와 반대되는 본체 상면에 설치되어 주제를 수용하는 주제저장용기와, 본체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는 제1글라스비드저장용기와, 제1글라스비드저장용기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글라스비드를 수용하는 제2글라스비드저장용기와, 브라켓 일단에 설치되되 주제저장용기와 연결되어 노면에 주제를 도포하는 주제도포부와, 주제도포부에 대향되도록 브라켓 타단에 설치되되 경화제저장용기와 연결되어 주제도포부에서 도포되는 주제와 공중에서 혼합되도록 경화제를 도포하는 경화제도포부와, 제1글라스비드저장용기와 연결되되, 주제저장용기에서 도포되는 주제와 동일라인 상에 위치되도록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제1비드도포부와, 제1비드도포브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는 제2비드도포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주제도포부를 통해 주제를 노면 방향으로 도포하되, 이때, 경화제도포부에서 공중으로 분사되는 주제 방향으로 도포되는 경화제가 주제와 혼합되어 노면으로 도포된다.
그러면, 공중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혼합되면서, 주제의 경화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노면에 도포되는 주제가 경화되는 것이다.
이때, 주제도포부와 경화제도포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공중으로 분사되면서 서로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제가 노면에 도포된 후 제1비드도포부 및 제2비드도포구가 도포된 주제를 순차적으로 지나치면서, 주제 상에 글라스 비드를 도포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마주보는 경사진 방향으로 분사되면서, 분사압력에 의한 서로 충돌이 발생되어, 공중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사방으로 흩날리고, 이 주제와 경화제의 흩날림으로 인해 노면의 주제 도포량이 저하됨과 동시에 주제가 옅은 색상으로 도포되어 선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때, 경화제 및 주제도포부를 통해 분사되는 경화제 및 주제의 분사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량이 노면으로 도포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소비량이 급격하게 향상되고, 또한, 주제가 노면에 도포되기 직전에 경화제와 혼합되어,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 성능이 저하되며, 이때, 노면에 도포된 주제의 경화시간 지연과 동시에 주제가 노면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아 노면에서 주제가 손쉽게 탈락되고, 또한, 주제가 경화되는 시간에 비례하도록 노면의 통행이 불가능하여, 장시간 통행에 불편이 발생되며,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133936 A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상면에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분리 수용하여, 제1교반장치로 각각의 도료를 교반하는 제1교반부를 설치하고, 제1교반부 일측에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공급받아 고르게 혼합하는 제2교반장치를 형성한 제2교반부를 형성하며, 제2교반부 하부에 노면에 도료를 도색하는 도색장치부를 형성하고, 프레임 상면에 비드저장탱크를 형성하며, 도색장치부 후방에 비드저장탱크와 연결된 비드분사장치를 형성하고, 프레임 상면에 에어컴프레셔 및 그 일측에 비드저장탱크와 연결된 레귤레이터를 형성하고, 제1교반부, 레귤레이터 및 도색장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를 형성하며, 에어컴프레셔와 제1, 제2교반장치 사이에 구동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제1교반부 내에 수용된 각각의 도료에 포함된 성분이 고르게 교반되도록 제1교반장치로 도료를 교반하고, 제1교반부에서 교반된 도료를 제2교반부에서 서로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 배출하여 도료도색장치로 낙하 공급하며, 이때, 도료도색장치가 노면으로 도료를 도포함과 동시에 비드분사장치가 비드저장탱크로 부터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아,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서로 고르게 혼합하여, 노면에 도포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는,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구동바퀴를 형성하여, 노면에서 정해진 높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바퀴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단 일측에 조작레버를 형성한 프레임과;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를 구획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분리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 내로 침수되어 이 도료를 각각으로 교반하는 제1교반장치를 형성하고, 일 측면을 개폐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배출하는 제1교반부; 상기 제1교반부의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로 부터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공급받으며, 상기 프레임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1교반장치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서로 교반하는 제2교반장치를 형성하여, 이 도료를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제2교반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교반부 직하방에 위치되고, 그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안내바퀴를 형성하며, 상기 제2교반부 하부로 낙하되는 도료를 공급받되, 그 전면을 개폐하여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 도색장치부; 상기 프레임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그 내부에 글라스 비드를 수용한 비드저장탱크; 상기 도색장치부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비드저장탱크로 부터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아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장치; 상기 프레임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회전구동되는 풀리를 형성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컴프레셔; 상기 프레임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비드저장탱크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프레임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로 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제1교반부, 상기 레귤레이터 및 상기 도색장치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 일단이 상기 에어컴프레셔의 풀리와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상기 제1교반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풀리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교반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는, 상기 제1교반부 내에 직립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교반부 내부 공간에 제1도료수용공간 및 제2도료수용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판과; 상기 제1교반부 일 측면에 상기 구획판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 및 제2도료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교반부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동시에 배출하는 배출홀; 상기 배출홀 상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홀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승강개폐도어; 상기 승강개폐도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승강개폐도어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공압실린더; 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교반장치는, 바 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제1회전풀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 및 제2도료수용공간 내로 각각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도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 상기 제1회전축의 제1회전풀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 사이 및 한 쌍의 상기 제1회전축의 제1회전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풀리로 전달하는 제1구동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제1교반부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를 통해 배출되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공급받아,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면서 흘러 내려가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경사안내부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부를 따라 흘러 내려오는 도료를 직하방으로 배출하는 직립관; 상기 직립관 하단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 복수개의 타공홀을 형성하여, 상기 직립관 하방으로 이동하는 도료가 서로 혼합되면서 상기 타공홀을 통해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메시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교반장치는, 바 형상으로 그 상단에 상기 제1교반장치와 연결되는 제2회전풀리를 형성하고, 상기 직립관 내로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직립관 내로 공급된 도료를 교반하면서 상기 직립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스크류교반날개; 상기 제1교반장치와 상기 제2회전풀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교반장치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는, 상기 경사안내부 상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고, 흘러 내려가는 도료가 오버플로우 되도록 안내하여, 도료를 혼합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오버플로우턱을 더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오버플로우턱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도료의 흐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색장치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고, 일 측면 하단에 내부 공간에 수용된 도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도료배출홀을 형성한 도료저장통과; 양단이 상기 도료저장통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배출홀을 개폐하여, 상기 도료저장통 내의 도료가 상기 도료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회전개폐도어; 상기 도료저장통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개폐도어를 상방으로 회전 개폐시키는 제2공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제1교반부 내에 분리 수용되어, 제1교반부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어 경화작용이 일어날 우려가 없고, 제1교반부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에 포함된 물질이 제1교반장치에 의해 각각의 도료와 고르게 혼합되며, 제1교반부에서 고르게 혼합된 각각의 도료가 제2교반부에서 서로 혼합되어 경화작용을 일으키되, 이때, 2교반장치가 도료를 고르게 교반 배출하여 도료의 경화시간이 지연되고, 특히, 제2교반부에서 고르게 혼합 교반된 도료가 도색도료장치로 낙하 공급되되, 도색도료장치를 통해 노면으로 도포된 후 경화가 이루어져 도료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도료 경화시간 단축으로 노면 통행을 빠르게 복구할 수 있어 통행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도색도료장치에서 도료를 노면으로 낙하 도포하여, 도료가 공중으로 흩날릴 우려가 없으며, 도색도료장치에서 배출되는 도료가 노면으로 그대로 도포되어 도료의 사용량 감소와 동시에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제2교반부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도색장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우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평면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측면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제2교반부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의 제1교반부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프레임(100)은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구동바퀴(101)를 형성하여, 노면에서 정해진 높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바퀴(101)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단 일측에 조작레버(102)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그 후단에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어 전방으로 밀려나거나 혹은 후방으로 당겨지도록 안내하는 손잡이(103)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구동바퀴(10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제2교반부(200, 300) 및 상기 도색장치부(400)를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프레임(100)은 그 전단에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를 안착하되, 상기 비드저장탱크(500)와 반대되는 후단에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퀴(101)는 상기 프레임(100) 저면에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조작레버(102)는 상기 제1교반부(200)의 제1공압실린더(204),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제2공압실린더(404) 및 상기 레귤레이터(800)와 상기 에어탱크(900)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조작레버(102)는 상기 손잡이(103)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탱크(900) 내의 에어가 상기 제1교반부(200)의 제1공압실린더(204),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제2공압실린더(404) 및 상기 레귤레이터(800)로 공급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조작레버(102)는 다단 구조로 작동되어, 상기 에어탱크(900)에서 상기 제1교반부(200)의 제1공압실린더(204),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제2공압실린더(404) 및 상기 레귤레이터(800)로 공급되는 공기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그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도색장치부(400)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회동식 스토퍼(104)를 더 형성한다
상기 회동식 스토퍼(104)는 노면에 밀착되어, 도포작업 완료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프레임(100)이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회동식 스토퍼(104)는 상기 프레임(100) 이동시 상방으로 올려지도록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100) 이동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동식 스토퍼(104)는 상기 프레임(100) 일측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 노출 거리가 조절된다.
제1교반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를 구획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분리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 내로 침수되어 이 도료를 각각으로 교반하는 제1교반장치(210)를 형성하고, 일 측면을 개폐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배출한다.
상기 제1교반부(200)는 서로 다른 성분의 물질을 포함하는 각각의 도료를 수용하여, 그 내부에서 내포된 물질이 각각의 도료와 고르게 혼합되도록 상기 제1교방장치(210)로 도료를 교반한다.
상기 제1교반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과 일체로 이동된다.
상기 제1교반부(2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 직립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교반부(200) 내부 공간에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판(201)과, 상기 제1교반부(200) 일 측면에 상기 구획판(20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교반부(300)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동시에 배출하는 배출홀(202), 상기 배출홀(202) 상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홀(202)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승강개폐도어(203) 및 상기 승강개폐도어(203)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공압실린더(204)로 구성된다.
상기 제1교반부(200)는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과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에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도료를 수용한다.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중 어느 하나에는 경화제와 혼합되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을 포함한 도료가 수용되고, 다른 하나에는 경화제를 포함한 도료가 수용된다.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은 상기 구획판(201)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서 서로 혼합되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획판(201)은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을 구획한다.
상기 배출홀(202)은 상기 구획판(20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과 연통되어,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의 도료가 동일한 량으로 배출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배출홀(202)은 상기 제2교반부(300)의 경사안내부(301)와 연결되어, 상기 경사안내부(301)로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공급한다.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는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배출홀(202)을 밀폐하여,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에 도료가 머물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홀(202)을 개방하여, 상기 제1, 제2도료수공간(200a, 200b) 내의 도료가 상기 배출홀(20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는 상기 조작레버(102)의 개방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거나 혹은 상기 조작레버(102)의 차단에 의해 공기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는 상기 에어탱크(900)와 에어호스(H)로 연결되어, 이 에어호스(H)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교반부(200)는 상기 승강개폐도어(203)에 대응하는 일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말단이 상기 승강개폐도어(203)와 연결된 수동레버(203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수동레버(203a)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상, 하로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제1교반장치(210)는 바 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 상기 구동장치(1000)와 연결되는 제1회전풀리(211a)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로 각각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1회전축(211)과, 상기 제1회전축(211)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21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에 수용된 도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12) 및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1000) 사이 및 한 쌍의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1000)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풀리(211a)로 전달하는 제1구동밸트(2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는 상기 구동장치(1000)로 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21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회전축(211)은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에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교반날개(21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교반날개(212)는 상기 제1회전축(211)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날개(212)는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에 수용된 도료에 침수된 상태에서 정,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료에 포함된 물질이 도료에 고르게 혼합되도록 도료를 교반한다.
상기 제1구동밸트(213)는 상기 구동장치(1000)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풀리(211a)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제1회전풀리(211a)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회전풀리(211a)의 동력을 다른 상기 제1회전풀리(211a)로 전달한다.
제2교반부(300)는 상기 제1교반부(200)의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200)로 부터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공급받으며,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서로 교반하는 제2교반장치(310)를 형성하여, 이 도료를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제2교반부(300)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공급받되, 이 도료를 혼합하여 도료가 경화작용을 일으키도록 한다.
상기 제2교반부(300)는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도료를 혼합 교반하면서, 직하방으로 배출하여, 도료의 경화 시간을 지연시킨다.
상기 제2교반부(3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일 측면에 밀착 설치되어, 상기 배출홀(202)을 통해 배출되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상기 제2교반부(3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공급받아,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면서 흘러 내려가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301)와,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경사안내부(301)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부(301)를 따라 흘러 내려오는 도료를 직하방으로 배출하는 직립관(302) 및 상기 직립관(302) 하단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 복수개의 타공홀(303a)을 형성하여,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는 도료가 서로 혼합되면서 상기 타공홀(303a)을 통해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메시망(303)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안내부(301)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2가지의 도료를 공급받아 상기 직립관(302) 방향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안내한다.
상기 경사안내부(301)는 상기 배출홀(202) 방향에서 상기 직립관(302) 방향으로 굴곡지되,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가 혼합되면서 상기 직립관(302)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교반부(300)는 상기 경사안내부(301) 상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고, 흘러 내려가는 도료가 오버플로우 되도록 안내하여, 도료의 혼합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오버플로우턱(3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은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2가지의 정해진 량의 도료가 걸림되도록 유도하여 서로 혼합되도록 하되, 정해진 량 이상이 초과되면 오버플로우 되어 상기 경사안내부(301)를 따라 흘러 내려가도록 하면서 2가지의 도료 혼합을 유도한다.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도료의 흐름 속도를 조절한다.
상기 경사안내부(301)의 오버플로우턱(301a) 중 상대적으로 그 위치가 높은 상단 부분에 위치된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에 걸림되는 도료의 량을 상대적으로 그 위치가 낮은 하단 부분에 위치된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에 걸림되는 도료의 량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경사안내부(301) 하단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그 속도가 점차 상승된다.
상기 직립관(302)은 상기 경사안내부(301)에서 혼합된 도료를 공급받아 직하방으로 배출한다.
상기 직립관(302)은 그 내부에 상기 제2교반장치(310)의 스크류교반날개(312)가 수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메시망(303)은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는 도료가 중앙부로 집결되도록 유도하여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메시망(303)은 상기 타공홀(303a)을 통해 상기 도색장치부(400) 내로 낙하되는 도료의 낙하량을 조절한다.
상기 메시망(303)은 상기 직립관(302) 하단을 감싸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교반장치(310)는 바 형상으로 그 상단에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연결되는 제2회전풀리(311a)를 형성하고, 상기 직립관(302) 내로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2회전축(311)과, 상기 제2회전축(311)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직립관(302) 내로 공급된 도료를 교반하면서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스크류교반날개(312) 및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상기 제2회전풀리(311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회전축(311)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밸트(3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회전축(311)은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상기 제2회전풀리(311a)에 의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스크류교반날개(312)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회전풀리(311a)는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제1회전풀리(211a)와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풀리(211a)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스크류교반날개(312)는 상기 직립관(302) 내에서 제자리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직립관(302) 내로 공급되는 혼합 도료를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교반하면서 이동시킨다.
상기 스크류교반날개(312)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혼합된 도료가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구동밸트(313)는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제1회전풀리(211a)와 상기 제2회전풀리(311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2회전풀리(311a)로 상기 제1회전풀리(211a)의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도색장치부(4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교반부(300) 직하방에 위치되고, 그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안내바퀴(401)를 형성하며, 상기 제2교반부(300) 하부로 낙하되는 도료를 공급받되, 그 전면을 개폐하여 도료를 노면에 도포한다.
상기 도색장치부(400)는 서로 혼합된 상태의 도료를 그 내부공간으로 공급받아 수용하고, 개폐된 전면을 통해 노면으로 낙하 도포하여, 노면에 혼합 도료를 도포한다.
상기 안내바퀴(401)는 노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도색장치부(400)가 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도색장치부(4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고, 일 측면 하단에 내부 공간에 수용된 도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도료배출홀(402a)을 형성한 도료저장통(402)과, 양단이 상기 도료저장통(402)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개폐하여, 상기 도료저장통(402) 내의 도료가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회전개폐도어(403) 및 상기 도료저장통(402)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개폐도어(403)를 상방으로 회전 개폐시키는 제2공압실린더(404)로 구성된다.
상기 도료저장통(402)은 그 내벽면에 도료가 묻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저장통(402)은 서로 혼합되어 경화작용이 지연된 도료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저장통(402)은 상기 제2교반부(300)의 직립관(302) 직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직립관(302)의 메시망(303)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는 혼합된 도료를 공급받는다.
상기 도료배출홀(402a)은 장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어, 노면으로 도료를 낙하 도포한다.
상기 도료배출홀(402a)의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도어(403)는 그 양단을 기준으로 상, 하로 회전되면서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개방 또는 차단한다.
상기 제2공압실린더(404)는 상기 에어탱크(900)와 에어호스(H)로 연결되어,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2공압실린더(404)는 상기 조작레버(102)의 개폐조작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거나 혹은 공기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회전개폐도어(403)를 상, 하로 회전시킨다.
비드저장탱크(5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그 내부에 글라스 비드(GB)를 수용한다.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는 상기 레귤레이터(800)로 부터 정해진 압력의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로 글라스 비드(GB)를 배출한다.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비드분사장치(60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드분사장치(600)는 상기 도색장치부(400)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500)와 연결되며,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로 부터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아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비드(GB)를 분사한다.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는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00) 일측으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는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글라스 비드(GB)를 정해진 면적으로 넓게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는 상,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노면으로 분사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비드분사징치(600)는 그 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컴프레셔(7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회전구동되는 풀리(701)를 형성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는 상기 에어탱크(900)와 연결되어, 상기 에어탱크(900)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풀리(701)는 상기 구동장치(1000)에 의해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교반장치(210)로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면서, 상기 풀리(701)를 회전구동시켜, 상기 풀리(701)의 회전동력을 상기 구동장치(400)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귤레이터(800)는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5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레귤레이터(800)는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비트저장탱크(500)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한다.
에어탱크(9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로 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제1교반부(200), 상기 레귤레이터(800) 및 상기 도색장치부(400)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에어탱크(900)는 그 내부에 공기를 저장하여, 상기 제1교반부(200), 상기 레귤레이터(800) 및 상기 도색장치부(400)로 정해진 량의 공기를 연속공급한다.
상기 에어탱크(9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상기 레귤레이터(800) 및 상기 도색장치부(800)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소진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 공기를 저장한다.
구동장치(1000)는 일단이 상기 에어컴프레셔(700)의 풀리(701)와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상기 제1교반장치(210) 및 제2교반장치(310)와 연결되며, 상기 풀리(70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제2교반장치(210, 310)로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장치(10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700))와 동력밸트(1001)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제1회전풀리(211a)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장치(1000)는 베벨기어 방식으로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제1회전풀리(211a)로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경화제와 혼합되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을 포함한 도료가 제1도료수용공간(200a)에 수용되고, 경화제를 포함한 도료가 제2도료수용공간(200b)에 수용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100) 상면에 설치된 제1교반부(200)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투입하여,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 도료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교반부(200) 내부공간은 구획판(201)에 의해 구획되어,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에 경화제와 혼합되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을 포함한 도료를 수용하되,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에 경화제를 포함한 도료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에 저장되는 경화제를 포함한 도료는, 경화제와 혼합되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 제거된 것으로서, 경화제에 의해 도료가 경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에 수용된 도료는 상기 구획판(201)에 의해 구획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 저장됨으로써,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서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교반부(200)의 제1교반장치(210)는 상기 구동장치(10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 수용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 각각을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1000)는 상기 에어컴프레셔(700)의 풀리(701)와 동력밸트(1001)로 연결되어, 상기 풀리(70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베벨기어 방식에 의해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제1회전풀리(211a)와 상기 제1구동밸트(213)로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풀리(211a)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1회전풀리(211a)는 상기 제1구동밸트(213)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10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제1회전축(211)을 제자리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제1회전축(211)에 형성된 교반날개(212)가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내에서 회전작동되면서 경화제와 혼합되면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을 도료에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한다.
또한,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에 위치된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는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내에 위치된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와 상기 제1구동밸트(213)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면서 경화제가 도료에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상기 에어탱크(900)로 저장하되, 이와 동시에 상기 풀리(701)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장치(1000)를 통해 상기 제1교반장치(210)로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103)의 조작레버(102)를 조작하여 상기 에어탱크(900)와 상기 제1교반부(200)의 제1공압실린더(204),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제2공압실린더(404), 상기 레귤레이터(700)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호스(H)를 개방하여, 각각의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 제2공압실린더(404) 및 레귤레이터(800)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102)는 다단으로 조작되어, 상기 에어탱크(900)에서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 제2공압실린더(404) 및 레귤레이터(800)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탱크(900)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 제2공압실린더(404) 및 레귤레이터(800)로 공기를 배출하면서, 그 내부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소진한 후, 상기 에어컴프레셔(70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탱크(900)에서 에어호스(H)를 통해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로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교반부(200)의 배출홀(202)이 개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의 오작동 또는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로 공기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승강개폐도어(203)의 자동 조작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레버(203a)를 지렛대 원리로 조작하여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수동으로 개폐 작동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배출홀(202)을 통해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에 수용된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각각의 도료가 상기 제2교반부(300)의 경사안내부(301)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의 각각의 도료는 상기 배출홀(202)을 통해 동일한 량으로 배출되어 상기 경사안내부(301)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경사안내부(301)로 공급된 도료중 경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 포함된 도료가 경화제를 포함된 도료와 혼합되면서 경화작용을 일으키고, 이 혼합된 도료를 상기 경사안내부(301)의 오버플로우턱(301a)에 정해진 량의 도료가 걸림되도록 유도하여 서로 혼합되도록 하되, 정해진 량 이상이 초과되면 오버플로우 되어 상기 경사안내부(301)를 따라 흘러 내려가도록 하면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은 상기 경사안내부(301)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상기 경사안내부(301) 하단방향으로 이동할 수록 그 속도가 점차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안내부(301)에서 고르게 혼합된 혼합 도료는 상기 직립관(302)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교반장치(310)의 제2회전축(311)이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직립관(302) 내에 설치된 상기 스크류교반날개(312)를 회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류교반날개(312)에 의해 혼합 도료가 교반되면서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되어, 혼합 도료의 경화가 지연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311)은 그 상단에 형성된 제2회전풀리(311a)를 상기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에 위치된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와 상기 제2구동밸트(313)로 연결하여, 상기 제2구동밸트(313)를 통해 상기 제1회전풀리(211a)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제2회전축(311)을 제자리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된 혼합 도료는 상광하협 구조의 메시망(303)에 의해 중앙부로 집결되도록 이동되면서, 복수개의 상기 타공홀(303a)을 통해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도료저장통(402) 내부 공간으로 정해진 량의 혼합 도료가 공급된다.
이때, 상기 도색장치부(400)의 제2공압실린더(404)는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상방으로 승강 작동되면서 상기 회전개폐도어(403)를 상방으로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개폐도어(403)가 그 양단을 축으로 상방으로 회전 개폐되어, 상기 도료배출홀(402a)이 개방된다.
그러면, 도료배출홀(402a)을 통해 혼합 도료가 노면으로 낙하 도포되고,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손잡이(103)를 파지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노면에 혼합 도료가 연속 도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료저장통(402)은 그 내벽면 및 바닥면에 혼합 도료가 묻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코팅층(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도료저장통(402) 내에 도료가 잔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식 스토퍼(104)는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이동에 간섭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에어탱크(900)에서 에어호스(H)를 통해 레귤레이터(800)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레귤레이터(800)에서 정해진 압력으로 토출되도록 그 공기압력이 조절된 후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로 공급되어 상기 비드저장탱크(500) 내의 글라스 비드를 비드공급호스(501)를 통해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도색장치부(400)에 의해 노면에 도포되는 혼합 도료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상기 비드분사장치(600)가 노면에 도포된 혼합 도료에 글라스 비드를 분사하여, 혼합 도료에 글라스 비드를 내포하는 것이다.
이후, 노면에 도포된 혼합 도료는 상온에서 점차적으로 경화되어, 노면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된다.
즉, 노면에 도포되는 도료는 상온경화형 도료인 것이다.
이때, 상기 비드분사장치(600)는 노면에 도포되는 혼합 도료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그 노출 길이 및 혼합 도료로 분사되는 글라스 비드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조작레버(102)로 상기 에어호스(H)를 개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02)를 다단으로 조작하여 상기 에어호스(H)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1공압실린더(204)에 의해 상기 승강개폐도어(203)가 개방되는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의 각각의 도료가 상기 배출홀(202)을 통해 배출되는 도료 배출량 및 상기 제2공압실린더(404)에 의해 상기 회전개폐도어(403)가 개방되는 개방 면적이 조절되어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통해 노면으로 낙하 도포되는 혼합 도료 도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교반부(200)에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공급하여, 제1교반장치(210)로 각각의 도료에 포함된 물질을 도료와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하고, 제2교반부(300)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제2교반장치(310)로 혼합 교반하여, 이 혼합 도료를 도색장치부(400)로 노면에 낙하 도포하는 구조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제1교반부(200) 내에 분리 수용되어, 제1교반부(200)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어 경화작용이 일어날 우려가 없고, 제1교반부(200) 내에서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에 포함된 물질이 제1교반장치(210)에 의해 각각의 도료와 고르게 혼합되며, 제1교반부(200)에서 고르게 혼합된 각각의 도료가 제2교반부(300)에서 서로 혼합되어 경화작용을 일으키되, 이때, 2교반장치(310)가 도료를 고르게 교반 배출하여 도료의 경화시간이 지연되고, 특히, 제2교반부(310)에서 고르게 혼합 교반된 도료가 도색장치부(400)로 낙하 공급되되, 도색장치부(400)를 통해 노면으로 도포된 후 경화가 이루어져 도료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프레임 101 : 구동바퀴
102 : 조작레버 103 : 손잡이
104 : 회동식 스토퍼 200 : 제1교반부
200a : 제1도료수용공간 200b : 제2도료수용공간
201 : 구획판 202 : 배출홀
203 : 승강개폐도어 203a : 수동레버
204 : 제1공압실린더 210 : 제1교반장치
211a : 제1회전풀리 211 : 제1회전축
212 : 교반날개 213 : 제1구동밸트
300 : 제2교반부 301 : 경사안내부
301a :오버플로우턱 302 : 직립관
303 : 메시망 303a : 타공홀
310 : 제2교반장치 311 : 제2회전축
311a : 제2회전풀리 312 : 스크류교반날개
313 : 제2구동밸트 400 : 도색장치부
401 : 안내바퀴 402 : 도료저장통
402a : 도료배출홀 403 : 회전개폐도어
404 : 제2공압실린더 500 : 비드저장탱크
501 : 비드공급호스 600 : 비드분사장치
700 : 에어컴프레셔 701 : 풀리
800 : 레귤레이터 900 : 에어탱크
1000 : 구동장치 1001 : 동력밸트
GB : 글라스 비드 H : 에어호스

Claims (5)

  1.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구동바퀴(101)를 형성하여, 노면에서 정해진 높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바퀴(101)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단 일측에 조작레버(102)를 형성한 프레임(100)과;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를 구획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분리 수용하며,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설치되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 내로 침수되어 이 도료를 각각으로 교반하는 제1교반장치(210)를 형성하고, 일 측면을 개폐하여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배출하는 제1교반부(200);
    상기 제1교반부(200)의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200)로 부터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동시에 공급받으며, 상기 프레임(100)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제1교반장치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도료를 서로 교반하는 제2교반장치(310)를 형성하여, 이 도료를 교반하면서 하방으로 배출하는 제2교반부(300);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교반부(300) 직하방에 위치되고, 그 하부에 노면에 밀착되는 안내바퀴(401)를 형성하며, 상기 제2교반부(300) 하부로 낙하되는 도료를 공급받되, 그 전면을 개폐하여 도료를 노면에 도포하는 도색장치부(400);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그 내부에 글라스 비드(GB)를 수용한 비드저장탱크(500);
    상기 도색장치부(400) 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500)와 연결되며,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로 부터 글라스 비드를 공급받아 노면에 도포된 도료에 글라스비드(GB)를 분사하는 비드분사장치(600);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회전구동되는 풀리(701)를 형성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에어컴프레셔(700);
    상기 프레임(100)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드저장탱크(500)와 연결되어 상기 비드저장탱크(500)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800);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컴프레셔(700)로 부터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압축공기를 저장하되, 상기 제1교반부(200), 상기 레귤레이터(800) 및 상기 도색장치부(400)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탱크(900);
    일단이 상기 에어컴프레셔(700)의 풀리(701)와 연결되고, 타단이 각각의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연결되며, 상기 풀리(701)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교반장치(210)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10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반부(2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내에 직립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교반부(200) 내부 공간에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판(201)과;
    상기 제1교반부(200) 일 측면에 상기 구획판(201)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교반부(300)로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동시에 배출하는 배출홀(202);
    상기 배출홀(202) 상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배출홀(202)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승강개폐도어(203);
    상기 승강개폐도어(203)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승강개폐도어(203)를 승강 이동시키는 제1공압실린더(204);
    로 구성되고,
    상기 제1교반장치(210)는,
    바 형상으로,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 상기 구동장치(1000)와 연결되는 제1회전풀리(211a)를 형성하며, 상기 제1도료수용공간(200a) 및 제2도료수용공간(200b) 내로 각각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1회전축(211)과;
    상기 제1회전축(211)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축(211)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1, 제2도료수용공간(200a, 200b) 내에 수용된 도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212);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구동장치(1000) 사이 및 한 쌍의 상기 제1회전축(211)의 제1회전풀리(211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1000)의 동력을 상기 제1회전풀리(211a)로 전달하는 제1구동밸트(2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300)는,
    상기 제1교반부(200) 일 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교반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를 공급받아, 서로 다른 성분의 도료가 혼합되면서 흘러 내려가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부(301);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경사안내부(301)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경사안내부(301)를 따라 흘러 내려오는 도료를 직하방으로 배출하는 직립관(302);
    상기 직립관(302) 하단에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 복수개의 타공홀(303a)을 형성하여,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는 도료가 서로 혼합되면서 상기 타공홀(303a)을 통해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메시망(303);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교반장치(310)는,
    바 형상으로 그 상단에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연결되는 제2회전풀리(311a)를 형성하고, 상기 직립관(302) 내로 삽입되어 회전작동되는 제2회전축(311)과;
    상기 제2회전축(311) 외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되, 정해진 각도로 경사지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직립관(302) 내로 공급된 도료를 교반하면서 상기 직립관(302)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스크류교반날개(312);
    상기 제1교반장치(210)와 상기 제2회전풀리(311a)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제1교반장치(210)의 회전동력을 상기 제2회전축(311)으로 전달하는 제2구동밸트(31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교반부(300)는,
    상기 경사안내부(301) 상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고, 흘러 내려가는 도료가 오버플로우 되도록 안내하여, 도료를 혼합을 유도하는 복수개의 오버플로우턱(301a)을 더 형성하고,
    복수개의 상기 오버플로우턱(301a)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도료의 흐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색장치부(4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도료를 수용하고, 일 측면 하단에 내부 공간에 수용된 도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도료배출홀(402a)을 형성한 도료저장통(402)과;
    양단이 상기 도료저장통(402)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개폐하여, 상기 도료저장통(402) 내의 도료가 상기 도료배출홀(402a)을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회전개폐도어(403);
    상기 도료저장통(402)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탱크(900)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회전개폐도어(403)를 상방으로 회전 개폐시키는 제2공압실린더(4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KR1020210050501A 2021-04-19 2021-04-19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KR102510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01A KR102510866B1 (ko) 2021-04-19 2021-04-19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01A KR102510866B1 (ko) 2021-04-19 2021-04-19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65A true KR20220144165A (ko) 2022-10-26
KR102510866B1 KR102510866B1 (ko) 2023-03-16

Family

ID=8378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01A KR102510866B1 (ko) 2021-04-19 2021-04-19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8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20110133936A (ko)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경풍 차선 도색장치 및 방법
KR101757153B1 (ko) * 2017-03-02 2017-07-12 최규환 농약 혼합장치
KR102088600B1 (ko) * 2019-10-04 2020-03-12 이승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075B1 (ko) *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20110133936A (ko) 2010-06-08 2011-12-14 주식회사 경풍 차선 도색장치 및 방법
KR101757153B1 (ko) * 2017-03-02 2017-07-12 최규환 농약 혼합장치
KR102088600B1 (ko) * 2019-10-04 2020-03-12 이승호 포장 바닥면의 줄눈 마감재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66B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40396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crete panels with surface pattern decorations
US5314100A (en) Grout delivery system
KR101555524B1 (ko)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CN1250394A (zh) 用于从粉末组分和水制备水性液体涂料的移动装置
KR101824053B1 (ko) 이액형 문자 또는 기호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색방법
CN212188637U (zh) 一种具有定量配比的涂料调色装置
KR102510866B1 (ko) 상온경화형 이중 교반형 도색장치
US3260176A (en) Road repair apparatus
US4457258A (en) Marking apparatus for paints and inks
CN109183594A (zh) 一种公路划线机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47316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EP2286034A2 (en) Method, filling station and storage holder for providing grit
WO2013107451A1 (en) A batch mixer for mixing face mix and a method for mixing face mix
KR101905868B1 (ko)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20140117236A (ko) 속건성 2액형 도료 교반 및 분무기
KR200233886Y1 (ko) 내화물 유입시공장치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EP1384819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road repair material
KR20190064861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200259258Y1 (ko) 차선표시 시공장치
CN209465253U (zh) 一种便于维护的注塑件喷漆装置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KR102145044B1 (ko)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1313905B1 (ko) 자동 배합 및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