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044B1 -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 Google Patents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044B1
KR102145044B1 KR1020190179483A KR20190179483A KR102145044B1 KR 102145044 B1 KR102145044 B1 KR 102145044B1 KR 1020190179483 A KR1020190179483 A KR 1020190179483A KR 20190179483 A KR20190179483 A KR 20190179483A KR 102145044 B1 KR102145044 B1 KR 10214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pump
tank
curing agent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신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진테크 filed Critical (주)신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17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 B05B7/0807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to form intersecting jets
    • B05B7/084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separate outlet orifices, e.g. to form parallel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being parallel, to form intersecting jets, i.e. the axis of the jets converging but not necessarily intersecting at a point to form intersecting jets with jets being only jets constituted by a liquid or a mixture contain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탱크,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 및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가 수납되는 이동수단; 상기 제1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1펌프; 상기 제2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2펌프;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2펌프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제1펌프 및 상기 제2펌프와 상기 유압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변;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블록;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공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3탱크에 전달하는 에어모터; 및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스프레이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은,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도료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1유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유로 및 구동레버를 구비하는 본체블록;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 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연동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HARDENER-HARDENING AGENT 1:1 MIXING TYPE LANE PAINTING DEVICE AND LANE PAINTING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와, 주제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가 각각 별도로 저장되고, 차선 도색 작업이 개시되면 별도의 탱크에 저장되었던 도료들이 혼합되면서 분사되어 도료가 도포된 직후에 빠르게 경화되면서 차선 도색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경화제가 포함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포함되는 도료가 동일한 양으로 혼합되므로 각각의 탱크 용량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고, 각각의 탱크로부터 도료를 토출시키는 펌프의 용량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량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어 도색장치 제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선 도색작업에서 요구되는 배합비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선박 등은 벽면의 단열 또는 다양한 외장 효과를 얻기 위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도료에 압력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에어리스 스프레이(airless spray) 방식으로서, 장비의 형상 및 성능에 따라 일액형 펌프(single pump)와 이액형 펌프(plural component pump)로 나눌 수 있다.
일액형 펌프는 혼합된 도료를 에어모터(air motor)에 의한 피스톤 운동으로 이송을 하여 스프레이건의 끝단부에서 무화시키는 방식이고, 이액형 펌프는 에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료의 주제 및 경화제를 따로 이송하여 원하는 혼합비로 장비 안에서 혼합시켜 이 혼합된 도료를 토출시켜 이액 성분을 섞으면 그 성분이 화학적 반응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을 거쳐 유용한 재질로 전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액형 펌프는 주펌프의 하단이 축결합되어 있고, 주펌프의 로드 상부에 에어모터가 장착되며, 주펌프와 일정거리를 두고 하단이 축결합된 보조펌프가 장착되어 주펌프와 보조펌프의 로드를 작동간으로 연결되고 주펌프와 보조펌프 사이의 중간에 세워진 지주에 작동간의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모터의 작동으로 주펌프의 로드가 상하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작동간으로 연결된 보조펌프의 로드도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이액형으로 이루어지는 도료가 도로에 분사되면서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이액형 도장장치는, 주펌프와 보조펌프 사이에 작동간의 힌지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주펌프와 보조펌프가 서로 교호로 구동되면서 도료와 경화제가 혼합되므로 도료와 경화제의 혼합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액형 도료 공급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이액형 도료 공급장치는, 도료를 공급하는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출몰되는 제1로드를 구비하는 제1펌프와, 도료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경화개시제를 공급하도록 출몰 가능한 제2로드를 구비하는 제2펌프와, 제1로드와 제2로드를 연결하는 전달부재와, 제2펌프를 지지하고 전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289호(2015년 07월 0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이액형 도료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도색장치는, 주제, 경화제 및 비드를 분사하는 펌프가 서로 다른 용량의 펌프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펌프가 연동되도록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주제와 경화제가 일정한 비율로 연속되게 공급되도록 복수 개의 펌프가 일정한 비율로 구동되도록 서로 연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와, 주제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가 각각 별도로 저장되고, 차선 도색 작업이 개시되면 별도의 탱크에 저장되었던 도료들이 혼합되면서 분사되어 도료가 도포된 직후에 빠르게 경화되면서 차선 도색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경화제가 포함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포함되는 도료가 동일한 양으로 혼합되므로 각각의 탱크 용량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고, 각각의 탱크로부터 도료를 토출시키는 펌프의 용량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량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어 도색장치 제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선 도색작업에서 요구되는 배합비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탱크,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 및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가 수납되는 이동수단; 상기 제1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1펌프; 상기 제2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2펌프;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2펌프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제1펌프 및 상기 제2펌프와 상기 유압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변;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블록;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공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3탱크에 전달하는 에어모터; 및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스프레이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은,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도료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1유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유로 및 구동레버를 구비하는 본체블록;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 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연동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유로에는 제2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에는 제3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고, 작동압제공부에서 연장되는 제3공급관이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압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는 상기 본체블록의 슬라이딩홀부 토출 측을 감싸는 고정커버와 지지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어 주제,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는 혼합블록을 지지하고, 상기 혼합블록의 토출 측에 설치되는 지지블록 및 고정부재는 고정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블록의 슬라이딩홀부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축;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부로부터 후방으로 후진 또는 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축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하면서 상기 혼합블록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동블록; 상기 본체블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동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색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상기 작동축을 당기면서 상기 혼합블록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작동축 후방 측 단부에 설치되는 해제레버; 및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본체블록 배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1탱크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1공급관을 제1탱크의 내부로 삽입하고, 도료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2탱크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2공급관을 제2탱크의 내부로 삽입한 후에 제3탱크에 비드를 주입하여 도색작업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수단의 엔진에 시동을 걸어 유압모터 및 에어모터를 구동시키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도색될 차선의 종류, 즉 실선 또는 점선의 차선 종료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유압이 전달되어 제1챔버에 생성되는 유압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1유압밸브 및 제2유압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탱크에 연결되는 제1펌프의 제1로드가 제1실린더부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상기 제1탱크로부터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제1공급관을 따라 상기 제1펌프로 흡입되어 배출되고, 상기 제2탱크에 연결되는 제2펌프의 제2로드가 제2실린더부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상기 제2탱크로부터 도료와 경화제가 제2공급관을 따라 상기 제2펌프로 흡입되어 배출되므로 스프레이건에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충진되는 단계; 및 (d) 상기 스프레이건의 작동부를 조작하는 작동압을 제공하여 도료 및 경화개시제와 경화제를 스프레이건에서 혼합하여 도로에 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도료와, 주제와 경화개시제로 이루어지는 도료가 1:1의 비율로 공급되면서 도색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용량의 펌프를 사용하여 동일한 비율로 도료를 공급하면서 도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도료를 공급하는 펌프를 동일한 용량의 펌프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색작업 중에 도료 공급 비율이 가변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동일한 조건의 도색작업이 연속적으로 지속될 수 있으며, 도색되는 차선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도료와, 주제와 경화개시제로 이루어지는 도료가 혼합되는 스프레이건에 커버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는 부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도색작업이 종료된 후에 별도의 세정제를 스프레이건에 주입하지 않고 커버부재를 분리시켜 스프레이건의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유동공정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스프레이건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유동공정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의 분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와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탱크(82)와,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84)와,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86)와,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와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1펌프(10)와, 제2탱크(84)에 저장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를 배출시키는 제2펌프(30)와, 제1탱크(82), 제2탱크(84), 제3탱크(86),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가 설치되는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엔진(94f)과, 엔진(94f)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제1펌프(10) 또는 제2펌프(3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94a)와, 유압모터(94a)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제1펌프(10)와 제2펌프(30)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와 유압모터(94a)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변(94d)와, 제1펌프(10) 또는 제2펌프(30)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스프레이건(100)과, 엔진(94f)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공압으로 변환시켜 제3탱크(86)에 전달하고, 공압을 비드가 토출되는 토출노즐(89b) 및 스프레이건(100)으로 전달하여 토출노즐(89b) 및 스프레이건(100)의 조작력을 제공하는 에어모터(94g)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수단은, 작업차량, 작업차량의 후방에 구비되는 수납부, 오토바이, 전동 카트 등을 의미하며, 트럭과 같은 기존의 작업 차량 외에 별도로 제작된 차량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작업 차량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프레임에 의해 도색장치를 이루는 기술구성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동수단에는 엔진(94f)이 설치되고, 엔진(94f)의 동력이 전달되어 유압의 형성하도록 엔진(94f)의 일측에 유압모터(94a)가 동력전달부(94e)에 의해 연결된다.
엔진(94f)과 유압모터(94a) 사이에는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94e)가 설치되고, 유압모터(94a)의 구동축에는 에어모터(94g)가 연결되어 엔진(94f)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유압 및 공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부(94e)의 일측에는 유압모터(94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제1펌프(10) 또는 제2펌프(30) 측으로 제공되거나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 동시에 유압이 제공되도록 유압을 분배하여 제공하는 분배변(94d)이 설치되어 하나의 구동부(94)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엔진(94f)에 의해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의 구동과 비드의 분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도색장치와 비교하여 구동부(94)의 개수가 감소되고, 구동부(94)의 크기가 현저히 작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94)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도색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도색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수가 감소되므로 도색장치 제작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도색작업에 요구되는 공간이 축소된다.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프레임 일측에는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가 구비되므로 구동부(94)가 작동되면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이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에 공급되어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탱크(82)에는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49:1의 비율로 혼합되어 저장되고, 제2탱크(84)에는 49:1의 비율로 도료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저장되고, 구동부(94)의 작동에 의해 제1탱크(82)와 제2탱크(84)에 저장되는 유체가 동일한 비율로 스프레이건(100)에서 혼합되어 도로에 분사된다.
도료와 혼합되는 경화개시제와 경화제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도료가 분사되기 직전에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가 혼합되면서 도료의 경화작용이 개시되므로 도료의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 및 제2펌프(3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도로에 분사되면 짧은 시간 내에 도료가 경화되면서 차선을 형성하게 된다.
제1펌프(10)는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고, 도료가 저장되는 제1탱크(82)로부터 도료와 경화개시제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고, 제2펌프(30)는 제2탱크(84)로부터 도료와 경화제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며, 경화개시제와 경화제는 스프레이건(100)을 통과하면서 서로 혼합된 후에 도로에 분사된다.
본 실시예는, 유압모터(94a)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에 공급하는 분배변(94d)가 구비되므로 제1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 및 제2펌프(3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제가 혼합되어 도료 대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의 혼합비가 98:2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펌프(10)와 제2펌프(30)는 동일한 용량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의 용량과, 제2펌프(3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제의 용량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1펌프(10)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14a) 및 도료가 토출되는 제1토출관(14b)이 연결되고 제1로드(12)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실린더부(14)와, 제1실린더부(14)에 연결되고 제1로드(12)가 노출되는 연결홀부(16a)를 구비하며 구동부(94)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제1유압공급관(16b) 및 제1유압배출관(16c)이 연결되는 작동부(16)를 포함한다.
제1실린더부(14)의 상부에 제1유압공급관(16b) 및 제1유압배출관(16c)이 연결되는 작동부(16)가 설치되고, 제1실린더부(14)의 하단에는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14a)이 연결되고, 제1실린더부(14)의 측면에는 제1토출관(14b)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1펌프(10)가 구동되면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제1공급관(14a)을 따라 제1실린더부(14)에 공급되고, 제1로드(12)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는 제1토출관(14b)을 따라 혼합블록(96) 측으로 배출된다.
제2펌프(30)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34a) 및 도료가 토출되는 제2토출관(34b)이 연결되고 제2로드(32)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실린더부(34)와, 제2실린더부(34)에 연결되고 제2로드(32)가 노출되는 연결홀부(36a)를 구비하며 구동부(94)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제2유압공급관(36b) 및 제2유압배출관(36c)이 연결되는 작동부(36)를 포함한다.
제2실린더부(34)의 상부에 제2유압공급관(36b) 및 제2유압배출관(36c)이 연결되는 작동부(36)가 설치되고, 제2실린더부(34)의 하단에는 제2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34a)이 연결되고, 제2실린더부(34)의 측면에는 제2토출관(34b)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2펌프(30)가 구동되면 제2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제2공급관(34a)을 따라 제2실린더부(34)에 공급되고, 제2로드(32)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도료와 경화제는 제2토출관(34b)을 따라 혼합블록(96)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에어모터(94g)와 제3탱크(86) 사이에 공압이 저장되는 제1챔버(94b)가 설치되고, 제1펌프(10)와 스프레이건(100) 사이에는 제2챔버(94c)가 설치되며, 제2펌프(30)와 혼합블록(96) 사이에는 제3챔버(94h)가 설치된다.
제1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도료는 제2챔버(94c)에 충진된 후에 혼합블록(96)로 공급되며, 제2챔버(94c)에는 도료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제2챔버(94c)에는 도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키는 레버가 설치되며, 제2챔버(94c)로부터 제1탱크(82)로 도료를 순환시키는 제1회수관(82a)이 설치된다.
따라서 차색 도색작업을 종료한 후에 제1공급관(14a)을 제1탱크(82)로부터 분리시키고 제1회수관(82a)에 설치되는 레버를 조작한 후에 제1펌프(10)의 구동을 행하면 제1공급관(14a) 및 제1펌프(10)에 잔존하는 도료를 제1회수관(82a)을 통하여 제1탱크(82)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제2펌프(30)로부터 토출되는 도료는 제3챔버(94h)에 충진된 후에 혼합블록(96)로 공급되며, 제3챔버(94h)에는 도료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제3챔버(94h)에는 도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키는 레버가 설치되며, 제3챔버(94h)로부터 제2탱크(82)로 도료를 순환시키는 제2회수관(84a)이 설치된다.
따라서 차색 도색작업을 종료한 후에 제2공급관(34a)을 제2탱크(82)로부터 분리시키고 제2회수관(84a)에 설치되는 레버를 조작한 후에 제2펌프(30)의 구동을 행하면 제2공급관(34a) 및 제2펌프(30)에 잔존하는 도료를 제2회수관(84a)을 통하여 제2탱크(82)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94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1펌프(10)가 구동되면 제1펌프(10)를 이루는 제1실린더부(12)로부터 제1로드(12)가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을 행하게 되고, 제2펌프(30)가 구동되면 제2펌프(30)를 이루는 제2실린더부(32)로부터 제2로드(32)가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을 행하게 되고, 이때, 분배변(94d)의 작동에 의해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토출량을 유지하게 된다.
이동수단에는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이 분사되는 스프레이건(100)이 설치된다.
제1펌프(10)의 작동부(16)에는 제1유압공급관(16b)이 연결되어 제1펌프(10)의 작동을 행하는 유압을 공급하는데, 제1유압공급관(16b)에는 유압분기관(16d)이 연결되어 스프레이건(100) 또는 토출노즐(89b)의 개폐를 행하는 유압이 유압분기관(16d)을 따라 작동압제공부(89d)에 전달되어 스프레이건(100) 또는 토출노즐(89b)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동수단에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와 경화제가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차선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86)와, 제3탱크(86)로부터 비드를 토출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유압모터(94a)에 연결되는 에어모터(94g)와, 에어모터(94g)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저장하고 제3탱크(86)에 균일한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94b)와, 제3탱크(86)로부터 제공되는 비드를 분사하는 토출노즐(89b)이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모터(94g)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은 제1챔버(94b)를 통해 제3탱크(86)에 전달되므로 비드를 토출노즐(89b) 측으로 공급하게 되고, 토출노즐(89b)은 스프레이건(100)의 후방에 설치되므로 이송수단이 주행되면서 도료 및 경화개시제가 도로에 분사되면 차선의 상면에 토출노즐(89b)로부터 비드가 분사되어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유압분기관(16d, 36d)은 스프레이건(89)이 설치되는 이동수단에 연결되고,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작업바를 당기는 와이어의 장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스프레이건(89)으로부터 혼합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토출노즐(89b)과 스프레이건(100) 사이에 연동관(89c)이 설치되고, 제1챔버(94b)로부터 연장되는 공압관(95)이 스프레이건(100)에 연결되므로 스프레이건(100)으로부터 분사되는 혼합액의 순간적인 차단을 행하게 되고, 공압관(95)에 의해 제공되는 공압은 연동관(89c)을 따라 토출노즐(89b)에 동시에 제공된다.
따라서 혼합액의 분사가 순간적으로 차단될 때에 비드도 동시에 분사되지 않도록 차단되므로 점선으로 이루어지는 차선을 도색할 수 있게 되고, 점선으로 도색되는 차선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분배부는, 분기관(114)과 제1펌프(10) 사이에 설치되고 제1펌프(10)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1유압밸브(16e)와, 분기관(114)과 제2펌프(30) 사이에 설치되고 제2펌프(30)로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 또는 공급하는 제2유압밸브(36e)와 분배면(94d)을 포함한다.
유압모터(94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은 분배변(94d)에 모아진 후에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압으로 각각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동수단의 저면에 설치되고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일정한 비율로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00)과, 제3탱크(86)로부터 제공되는 비드를 스프레이건(100)으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의 상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노즐(89b)과, 스프레이건(100) 및 토출노즐(89b)을 이동수단에 유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유동고정부(120)를 더 포함한다.
유동고정부(120)는, 작업 차량에 설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스프레이건(100) 및 토출노즐(89b)을 지지하므로 차량의 이동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스프레이건(100) 및 토출노즐(89b)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토출되는 도료가 균일하지 않게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유동고정부(120)는, 스프레이건(100)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거치부(122a)와, 토출노즐(89b)이 설치되는 제2거치부(122b)와, 제1거치부(122a) 및 제2거치부(122b)가 지지되는 거치대(122)와, 거치대(122)가 고정되는 고정블록(124)과,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설치패널(126)과, 설치패널(126)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블록(124)에 결합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대(127)와, 고정블록(124)과 설치패널(126)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28)를 포함한다.
작업 차량의 저면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패널(126)이 고정되고, 설치패널(126)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의 관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동되는 복수 개의 가변대(127)의 하단에 고정블록(124)이 설치된다.
고정블록(12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거치대(122)를 지지하고, 거치대(122)에는 한 쌍의 제1거치부(122a)와 1개의 제2거치부(122b)가 설치된다.
복수 개의 제1거치부(122a)에는 각각 별도의 스프레이건(89)이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색장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차선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제1펌프(10)에 노란색의 도료가 저장되는 제1탱크(82)를 연결하고, 제2펌프(30)에 흰색의 도료가 저장되는 제2탱크(84)를 연결한 후에 제1펌프(10)와 제2펌프(30)를 교호로 구동시키면서 하나의 도로에 복수의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차선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로의 중앙에 노란색의 중앙선을 도포한 후에 흰색의 차선을 도포하는 경우에는 제1유압밸브(16e)를 개방하고 제2유압밸브(36e)를 폐쇄하여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노란색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제1펌프(10)의 구동으로 분사하여 노락색의 중앙선을 도포한 후에 제1유압밸브(16e)를 폐쇄하고 제2유압밸브(36e)를 개방하여 제2탱크(84)에 저장되는 흰색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제2펌프(30)의 구동으로 분사하여 흰색의 차선을 도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유압밸브(16e) 및 제2유압밸브(36e)를 조작하여 제1펌프(10) 또는 제2펌프(30)만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도로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차선 도색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스프레이건(100)은, 도료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1유로(112),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유로(114) 및 구동레버를 구비하는 본체블록(110)과,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가 연결되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도록 상기 본체블록(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130)와, 본체블록(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커버부재(130) 측으로 전진되면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를 폐쇄하고, 후진되면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를 개방하도록 구동레버와 연동되는 작동부(1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프레이건(100)에 작동압이 제공되어 구동레버가 조작되면 구동레버의 회전운동이 작동부(170)에 전달되어 본체블록(110)에 구비되는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를 개방하고,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에 충진되었던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커버부재(130) 내측에 구비되는 혼합블록(134)에서 서로 혼합되어 커버부재(130)의 전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토출홀부를 따라 주제,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혼합된 도료가 분사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블록(110)은, 배면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중앙부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유로(112) 및 제2유로(114)가 형성된다.
제1유로(112)에는 제2챔버(94c)로부터 연장되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고, 제2유로(114)에는 제3챔버(94h)로부터 연장되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고, 작동압제공부(89d)에서 연장되는 제3공급관이 레버에 연결되어 작동압제공부(89d)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스프레이건(100)(100)의 레버가 회전되면서 작동부(170)(170)를 조작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130) 내측에는 본체블록(110)의 슬라이딩홀부 토출 측을 감싸는 고정커버(150)와 지지커버(152)가 설치되고, 지지커버(152)는 본체블록(110)에 설치되어 주제,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는 혼합블록(134)을 지지하고, 혼합블록(134)의 토출 측에 설치되는 지지블록(136) 및 고정부재(138)는 고정커버(15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작동부(170)는, 본체블록(110)의 슬라이딩홀부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축(172)과, 구동레버에 의해 슬라이딩홀부로부터 후방으로 후진 또는 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축(172)과 연결되어 작동축(172)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하면서 혼합블록(134)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동블록(174)과, 본체블록(1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작동축(172)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색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작동축(172)을 당기면서 혼합블록(134)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작동축(172) 후방 측 단부에 설치되는 해제레버(178)와, 해제레버(178)와 본체블록(110) 배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블록(110) 중앙부에는 배면으로부터 전면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홀부가 형성되고, 슬라이딩홀부의 배면 측에는 구동레버의 조작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동블록(174)이 설치된다.
작동블록(174)은 작동축(172)에 일체로 연결되므로 스프레이건(100)에 전달되는 작동압에 의해 구동레버가 당겨지면 작동블록(174)이 본체블록(110)의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작동축(172)을 본체블록(110) 후방으로 당기면서 혼합블록(134)의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130)와 고정커버(150) 사이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제3유로(132)가 형성되므로 주제,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토출될 때에 커버부재(130)와 고정커버(150) 사이에 형성되는 제3유로(13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도료와 함께 토출되면서 스프레이건(100) 외측으로 도료를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색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제1탱크(82) 및 제2탱크(84)에 도료를 비우고 세척제를 담수한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레이건(100)을 작동시켜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이때, 작업자가 해제레버(178)를 당기면 혼합블록(134)의 유로가 개방되어 도료의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어 이동되는 유로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짧기 때문에 도색작업이 종료된 후에 진행되는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스프레이건(100) 세척을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이 생략될 수 있어 도색장치가 간소화되고, 도색장치의 단가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130), 고정커버(150) 및 지지커버(152)는 본체블록(110)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서 본체블록(110)과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어 혼합블록(134), 지지블록(136) 및 고정부재(138)를 손쉽게 해체하여 세척작업을 손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114a는 각각의 공급관이 본체블록(110)에 연결되는 부위에 공급관과 본체블록(110)을 연결하는 연결캡(114a)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1탱크(82)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1공급관(14a)을 제1탱크(82)의 내부로 삽입하고, 도료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2탱크(84)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2공급관(34a)을 제2탱크(84)의 내부로 삽입한 후에 제3탱크(86)에 비드를 주입하여 도색작업의 준비를 마친다.
이후에, 작업자는 엔진(94f)에 시동을 걸어 유압모터(94a) 및 에어모터(94g)를 구동시키고, 조작부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노브 및 버튼을 조작하여 도색될 차선의 종류, 즉 실선 또는 점선의 차선 종료를 선택한다.
제1챔버(94b)에 생성되는 유압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1유압밸브(16e) 및 제2유압밸브(36e)를 개방하면 제1펌프(10)의 제1로드(12)가 제1실린더부(12)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제1탱크(82)로부터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제1공급관(14a)을 따라 제1펌프(10)로 흡입되어 배출되고, 제2펌프(30)의 제2로드(32)가 제2실린더부(32)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제2탱크(84)로부터 도료와 경화제가 제2공급관(34a)을 따라 제2펌프(30)로 흡입되어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와 경화제는 스프레이건에서 혼합되어 도로에 분사되어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이때, 도료와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는 분배변(94d)을 통해 제1펌프(10)와 제2펌프(30)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압이 제공되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료 및 경화개시제의 혼합 분사가 개시되는 초기에 작업자는 유량계를 확인하면서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이 설정치 까지 상승되는지 확인하고,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이 설정치 까지 상승되면 탑승하여 작업차량의 핸들을 조작하여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하면서 도로에 실선 또는 점선의 차선 도색을 행하게 된다.
차선 도색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제1유압밸브(16e) 또는 제2유압밸브(36e)를 조작하여 유압을 차단하고, 제1펌프(10) 또는 제2펌프(30)의 구동을 정지시킨 후에 스프레이건의 세적작업을 진행한다.
이로써, 주제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와, 주제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는 도료가 각각 별도로 저장되고, 차선 도색 작업이 개시되면 별도의 탱크에 저장되었던 도료들이 혼합되면서 분사되어 도료가 도포된 직후에 빠르게 경화되면서 차선 도색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경화제가 포함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포함되는 도료가 동일한 양으로 혼합되므로 각각의 탱크 용량이 동일하게 제작될 수 있고, 각각의 탱크로부터 도료를 토출시키는 펌프의 용량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용량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어 도색장치 제작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차선 도색작업에서 요구되는 배합비를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도색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1펌프 12 : 제1로드
14 : 제1실린더부 14a : 제1공급관
16 : 제1작동부 16a : 제1연결홀부
16b : 제1유압공급관 30 : 제2펌프
32 : 제2로드 34 : 제2실린더부
34a : 제2공급관 36 : 제2작동부
36a : 제2연결홀부 36b : 제2유압공급관
82 : 제1탱크 84 : 제2탱크
86 : 제3탱크
94 : 구동부 94b : 제1챔버
94c : 제2챔버 96 : 혼합블록
96a : 케이스 97 : 제1공급관
97a : 제1유로 97b : 제1체크밸브
97c : 제1수동레버 98 : 제2공급관
98a : 제2유로 98b : 제2체크밸브
98c : 제2수동레버 99 : 제3공급관
110 : 분기탱크 112 : 분기관
120 : 유동고정부 122 : 거치대
122a : 제1거치부 122b : 제2거치부
124 : 고정블록 126 : 설치패널
127 : 가변대 128 : 탄성부재
100 : 스프레이건 110 : 본체블록
112 : 제1유로 114 : 제2유로
114a : 연결캡 130 : 커버부재
132 : 제3유로 134 : 혼합블록
136 : 지지블록 138 : 고정부재
150 : 고정커버 152 : 지지커버
170 : 작동부 172 : 작동축
174 : 작동블록 176 : 탄성부재
178 : 해제레버

Claims (5)

  1.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1탱크, 도료와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 및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가 수납되는 이동수단;
    상기 제1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1펌프;
    상기 제2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또는 경화제를 배출시키는 제2펌프;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엔진;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
    상기 유압모터에서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펌프와 상기 제2펌프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제1펌프 및 상기 제2펌프와 상기 유압모터 사이에 설치되는 분배변;
    상기 제1펌프 또는 상기 제2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경화개시제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블록; 및 상기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공압으로 변환시켜 상기 제3탱크에 전달하는 에어모터; 및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이 분사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는 스프레이건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은,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도료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1유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유로 및 구동레버를 구비하는 본체블록;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 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연동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에는 제2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에는 제3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고, 작동압제공부에서 연장되는 제3공급관이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압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는 상기 본체블록의 슬라이딩홀부 토출 측을 감싸는 고정커버와 지지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어 주제,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는 혼합블록을 지지하고, 상기 혼합블록의 토출 측에 설치되는 지지블록 및 고정부재는 고정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블록의 슬라이딩홀부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작동축;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홀부로부터 후방으로 후진 또는 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축을 전진 또는 후진되게 하면서 상기 혼합블록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작동블록;
    상기 본체블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작동축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색 작업이 완료된 후에 작업자가 상기 작동축을 당기면서 상기 혼합블록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작동축 후방 측 단부에 설치되는 해제레버; 및
    상기 해제레버와 상기 본체블록 배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5. (a)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1탱크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1공급관을 제1탱크의 내부로 삽입하고, 도료와 경화제가 49:1로 혼합되어 저장되는 제2탱크를 이동수단의 상면에 안착시키고 제2공급관을 제2탱크의 내부로 삽입한 후에 제3탱크에 비드를 주입하여 도색작업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이동수단의 엔진에 시동을 걸어 유압모터 및 에어모터를 구동시키고, 조작부를 조작하여 도색될 차선의 종류, 즉 실선 또는 점선의 차선 종료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유압이 전달되어 제1챔버에 생성되는 유압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1유압밸브 및 제2유압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탱크에 연결되는 제1펌프의 제1로드가 제1실린더부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상기 제1탱크로부터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제1공급관을 따라 상기 제1펌프로 흡입되어 배출되고, 상기 제2탱크에 연결되는 제2펌프의 제2로드가 제2실린더부로부터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이 진행되어 상기 제2탱크로부터 도료와 경화제가 제2공급관을 따라 상기 제2펌프로 흡입되어 배출되므로 스프레이건에 도료, 경화제 및 경화개시제가 충진되는 단계; 및
    (d) 상기 스프레이건의 작동부를 조작하는 작동압을 제공하여 도료 및 경화개시제와 경화제를 상기 스프레이건에서 혼합하여 도로에 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이건은,
    상기 이동수단에 설치되고, 도료와 경화제가 공급되는 제1유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유로 및 구동레버를 구비하는 본체블록;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가 연결되어 경화제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되도록 상기 본체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본체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커버부재 측으로 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폐쇄하고, 후진되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구동레버와 연동되는 상기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에는 제2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1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유로에는 제3챔버로부터 연장되는 제2공급관이 연결되고, 작동압제공부에서 연장되는 제3공급관이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압제공부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20190179483A 2019-12-31 2019-12-31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214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83A KR102145044B1 (ko) 2019-12-31 2019-12-31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483A KR102145044B1 (ko) 2019-12-31 2019-12-31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044B1 true KR102145044B1 (ko) 2020-08-19

Family

ID=7226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483A KR102145044B1 (ko) 2019-12-31 2019-12-31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0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59B1 (ko) * 2011-11-01 2013-08-09 조성훈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KR20150121631A (ko) * 2014-04-21 2015-10-29 최춘식 공압 이송 자동 분무 장치
KR101905868B1 (ko) * 2015-12-31 2018-10-08 이권세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59B1 (ko) * 2011-11-01 2013-08-09 조성훈 비드가 혼합된 도로의 차선용 수용성 도료의 도색 장치
KR20150121631A (ko) * 2014-04-21 2015-10-29 최춘식 공압 이송 자동 분무 장치
KR101905868B1 (ko) * 2015-12-31 2018-10-08 이권세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8288A (en) Mobile concre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CN104249860B (zh) 可固化的多组分材料的混合和分配
KR101555524B1 (ko)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US20080203192A1 (en) Third stream automotive color injection
EP0063707A1 (en) Plural component spray gun
KR101477750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용 도료 조성물
KR100772938B1 (ko) 도관 도장장치
US11224887B1 (en) Adhesiv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1905868B1 (ko)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102105480B1 (ko)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
KR102145044B1 (ko)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2170443B1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KR101771072B1 (ko)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487932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방법
KR101535290B1 (ko)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CN104191889B (zh) 一种沙雕成型设备及成型方法
CN113399171B (zh) 动态混合涂漆装置及其工作方法、涂漆机器人
KR101628346B1 (ko) 2액형 도료 도장장치
KR101262052B1 (ko)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101625296B1 (ko)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200361657Y1 (ko)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101918562B1 (ko) 이액형 차선도색장치 및 차선도색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