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072B1 -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 Google Patents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072B1
KR101771072B1 KR1020160111993A KR20160111993A KR101771072B1 KR 101771072 B1 KR101771072 B1 KR 101771072B1 KR 1020160111993 A KR1020160111993 A KR 1020160111993A KR 20160111993 A KR20160111993 A KR 20160111993A KR 101771072 B1 KR101771072 B1 KR 10177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aint
unit
driver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항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리치
나항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리치, 나항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리치
Priority to KR102016011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1/00Machine characteristics, part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301/30Cabi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주행을 조작하고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의 도포작업을 조절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으로부터 연장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공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공압부;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별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유압도색장치;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분사되는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로면에 안내하여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부; 및 상기 유압도색장치를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HYBRID VEHICLE FOR PAINTING LINE}
본 발명은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압을 이용하거나 유압을 이용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살포하면서 차선 도색을 진행할 수 있고,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한 차선을 선택하여 도색할 수 있으며, 소형의 유압식 차선 도색 차량을 분리시켜 별도의 차선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선박 등은 벽면의 단열 또는 다양한 외장 효과를 얻기 위해서 도장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도료에 압력을 가하여 무화시키는 에어리스 스프레이(airless spray) 방식으로서, 장비의 형상 및 성능에 따라 일액형 펌프(single pump)와 이액형 펌프(plural component pump)로 나눌 수 있다.
일액형 펌프는 혼합된 도료를 에어모터(air motor)에 의한 피스톤 운동으로 이송을 하여 스프레이건의 끝단부에서 무화시키는 방식이고, 이액형 펌프는 에어모터의 구동에 의해 도료의 주제 및 경화제를 따로 이송하여 원하는 혼합비로 장비 안에서 혼합시켜 이 혼합된 도료를 토출시켜 이액 성분을 섞으면 그 성분이 화학적 반응을 통해 경화되는 과정을 거쳐 유용한 재질로 전이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액형 펌프는 주펌프의 하단이 축결합되어 있고, 주펌프의 로드 상부에 에어모터가 장착되며, 주펌프와 일정거리를 두고 하단이 축결합된 보조펌프가 장착되어 주펌프와 보조펌프의 로드를 작동간으로 연결되고 주펌프와 보조펌프 사이의 중간에 세워진 지주에 작동간의 중앙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에어모터의 작동으로 주펌프의 로드가 상하로 왕복 운동함에 따라 작동간으로 연결된 보조펌프의 로드도 상하로 왕복운동하게 되어 이액형으로 이루어지는 도료가 도로에 분사되면서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 및 경화제의 공급을 위해 공압이 사용되기 때문에 에어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컴프레서가 요구되는데, 도료 분사에 요구되는 약150Bar의 공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5톤 트럭의 적제 공간이 요구되는 대형의 컴프레서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차선 도색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선 도색장치는, 차량의 주행을 위한 구동부와, 도료 또는 경화제의 공급을 위한 구동부와, 비드의 공급을 위한 구동부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도색 장치의 부품수를 줄이기가 어려워 차선 도색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를 공급하는 펌프와 경화제를 공급하는 펌프의 용량이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도료와 경화제 사이의 혼합비가 1 : 1 내지 1 : 4 정도를 유지하면서 도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분사할 수 있으나,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98 : 2 정도로 혼합되는 경우에는 도료와 경화제 사이의 공급량이 현저하여 정확한 혼합비를 유지하며 도료와 경화제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되는 제1탱크, 도료의 경화가 개시되도록 유발시키는 경화개시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 및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와, 제1탱크 또는 제2탱크에 저장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를 배출시키는 펌핑부와, 본체에 설치되는 엔진과, 엔진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바퀴의 동력 또는 펌핑부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와, 펌핑부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5290호(2015년 07월 02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는,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공압에 의해서만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공압장치에 의한 분사공정이 요구되는 도색작업을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는, 카트 모양의 소형 차량에 의해서만 차선 도색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거리 떨어진 지역에 도색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도색장치의 이송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는, 차량의 일측에 설치되는 분사부에 의해서 도색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로의 다양한 조건에 맞는 도색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선 도색장치는, 차선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차선을 바르게 도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공압을 이용하거나 유압을 이용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살포하면서 차선 도색을 진행할 수 있고,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한 차선을 선택하여 도색할 수 있으며, 소형의 유압식 차선 도색 차량을 분리시켜 별도의 차선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주행을 조작하고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의 도포작업을 조절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으로부터 연장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공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공압부;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별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유압도색장치;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분사되는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로면에 안내하여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부; 및 상기 유압도색장치를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운전석에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분사부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1조작부와,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분사부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2조작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운전석에는 상기 제1조작부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핸들과, 상기 제2조작부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변환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를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제어전환부; 및 상기 제1핸들 또는 상기 제2핸들을 차량의 주행장치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유압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직진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운전석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운전석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고 차선의 일면을 가리키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차선의 타면을 가리키는 간격봉;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운전석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납부에는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를 상기 수납부 측 또는 지면으로 승강시키는 승하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은, 운전석에 제1핸들 및 제2핸들이 구비되므로 차선 도색작업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조건에 따라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에 배치되는 차선을 선택하여 도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은, 제1핸들 또는 제2핸들의 조작력이 차량의 주행장치에 선택하여 전달되게 하는 변환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제1핸들 또는 제2핸들을 선택하여 차선 도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차선을 도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은, 공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분사하는 공압부가 차량의 수납부에 설치되고, 유압에 의해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분사하고 개별적인 주행이 가능한 유압도색장치가 수납부에 안착되므로 도로 환경이나 주제 및 경화개시제의 특성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은, 유압도색차량을 수납부에 고정시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므로 유압도색차량을 수납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구동시키며 도색작업을 진행할 때에 차량 주행에 의한 진동으로 유압도색장치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장치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안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안내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고정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후륜에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운전석 내부가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유압 회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펌핑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혼합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혼합블록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이 도시된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수납부에 설치되는 장치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안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안내부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고정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고정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후륜에 고정부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운전석 내부가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정면 사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배면 사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가 도시된 유압 회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펌핑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혼합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의 유압도색장치의 혼합블록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주행을 조작하고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의 도포작업을 조절하는 운전석(110)과, 운전석(110)으로부터 연장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30)와, 수납부(130)에 설치되고 공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공압부(150)와, 수납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별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유압도색장치(100a)와,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분사되는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로면에 안내하여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부(230)와, 유압도색장치(100a)를 수납부(13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제, 경화개시제의 종류 및 도로의 환경에 따라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를 선택적하여 사용할 수 있고, 수납부(13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분사부(230) 중 어느 하나의 분사부(230)를 선택하여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에 차선을 도색하면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운전석(110)에는 복수 개의 분사부(230) 중 어느 하나의 분사부(230)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1조작부(112a)와, 복수 개의 분사부(230) 중 다른 하나의 분사부(230)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2조작부(114a)가 설치된다.
차량의 좌측에 차선을 도색하면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변환부(186)를 조작하여 운전석(11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조작부(112a)를 공압부(150) 및 유압도색장치(100a)와 연결하고, 차량의 우측에 차선을 도색하면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변환부(186)를 조작하여 운전석(11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조작부(114a)를 공압부(150) 및 유압도색장치(100a)와 연결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운전석(1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착석하여 차선이 도색되는 위치와 가까운 운전석(110)에서 차선의 도색 방향을 관찰하면서 도색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석(110)에는 제1조작부(112a)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핸들(112)과, 제2조작부(114a)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1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핸들(114)이 설치된다.
변환부(186)의 조작에 의해 제1핸들(112) 및 제2핸들(114)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고, 제1핸들(112)을 조작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1조작부(112a)를 조작하면서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제2핸들(114)을 조작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제2조작부(114a)를 조작하면서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제1조작부(112a) 또는 제2조작부(114a)의 입력신호를 상기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도록 제1조작부(112a) 또는 제2조작부(114a)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변환부(186)를 더 포함하므로 작업자는 운전석(110)의 일측 또는 타측에 탑승하여 핸들 및 조작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다.
변환부(186)는, 제1조작부(112a) 또는 제2조작부(114a)를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제어전환부(186a)와, 제1핸들(112) 또는 제2핸들(114)을 차량의 주행장치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유압전환부를 포함한다.
제어전환부(186a)는 운전석(1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므로 단자부의 연결여부에 따라 제1조작부(112a) 또는 제2조작부(114a)를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와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유압전환부는 운전석(110)의 외벽에 구비되는 라디에이터 그릴 내부에 제1핸들(112) 또는 제2핸들(114)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전달되는 호스가 노출되고, 호스의 개폐 또는 유압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스위치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스위치밸브를 조작하여 제1핸들(112) 또는 제2핸들(114)을 주행장치와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차량의 직진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190)를 더 포함하고, 안내부(190)는, 운전석(110)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192)와, 지지대(192)로부터 분기되어 운전석(110)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대(194)와, 지지대(192)에 설치되고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고 차선의 일면을 가리키는 가이드봉(197)과, 가이드봉(197)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차선의 타면을 가리키는 간격봉(198)과, 지지대(192)를 운전석(110)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198)를 포함한다.
안내부(190)는 운전석(110)의 전면 외벽에 설치되며, 한 쌍의 안내부(190)가 운전석(11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착석하는 운전석(110)과 가까운 안내부(190)를 조작하여 작업자가 차량의 직진여부를 육안으로 판단하면서 주행작업 또는 도색작업을 정확히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192)의 하단은 차량의 범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봉(197) 및 간격봉(198)은 지지대(192)의 상단에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므로 개방실린더(196)의 구동에 의해 지지대(192)가 도로면 측으로 회전되어 하강하면 가이드봉(197) 및 간격봉(198)이 차선의 일면 및 타면을 가리키면서 작업자가 차량의 직진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납부(130)에는 난간이 설치되고, 난간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공압부(150) 또는 유압도색장치(100a)를 상기 수납부(130) 측 또는 지면으로 승강시키는 승하차부(132)가 설치되므로 유압도색장치(100a) 또는 공압부(150)를 이루는 컴프레셔(152), 공압펌프(154), 제1탱크(158a), 제2탱크(158b) 또는 제3탱크(158c)를 수납부(130)에 승차 또는 하차시킬 때에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유압도색장치(100a)는, 도료가 저장되는 제1탱크(82), 도료의 경화가 개시되도록 유발시키는 경화개시제가 저장되는 제2탱크(84) 및 이동을 위한 바퀴(92a)를 구비하는 본체(92)와, 제1탱크(82) 또는 제2탱크(84)에 저장되는 도료 또는 경화개시제를 배출시키는 펌핑부(100)와, 본체(92)에 설치되는 엔진(94f)과, 엔진(94f)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으로 변환시켜 바퀴(92a)의 동력 또는 펌핑부(100)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모터(94a)와, 펌핑부(100)에 의해 제공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를 혼합하여 제공하는 혼합블록(9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92)에는 복수 개의 바퀴(92a)가 설치되고, 유압모터(94a)의 동력에 의해 바퀴(92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본체(92)의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하게 된다.
본체(92)의 후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지지판(76a)이 설치되고, 지지판(76a)의 전방에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본체(92)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 및 핸들이 설치된다.
본체(92)의 전방부에는 엔진(94f)이 설치되고, 엔진(94f)의 동력이 전달되어 유압의 형성하도록 엔진(94f)의 출력축에 유압모터(94a)가 연결된다.
엔진(94f)과 유압모터(94a) 사이에는 디스크의 착탈에 의해 동력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클러치(94e)가 설치되고, 유압모터(94a)의 구동축에는 에어모터(94g)가 연결되어 엔진(94f)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유압 및 공압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클러치(94e)의 일측에는 유압모터(94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이 바퀴(92a) 측으로 제공되거나 펌핑부(100) 측으로 제공되도록 유압을 분배하여 제공하는 분배변(94d)이 설치되어 하나의 구동부(94)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엔진(94f)에 의해 본체(92)의 주행과 펌핑부(100)의 구동과 비드의 분사를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도색장치와 비교하여 구동부(94)의 개수가 감소되고, 구동부(94)의 크기가 현저히 작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94)의 개수가 감소되므로 도색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도색장치의 제작에 소요되는 부품수가 감소되므로 도색장치 제작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도색작업에 요구되는 공간이 축소된다.
본체(92) 또는 펌핑부(100)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는, 지지판(76a)에 대향되도록 본체(92)에 설치되며, 본체(9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76)에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고, 지지대(76) 일측에는 펌핑부(100)가 설치된다.
지지대(76)의 상단에는 본체(92)의 전진 또는 후진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핸들이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지지판(76a)에 탑승하여 조작핸들을 조작하면서 본체(92)의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76)의 일측에는 펌핑부(100)가 구비되므로 구동부(94)가 작동되면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이 펌핑부(100)에 공급되어 펌핑부(100)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펌핑부(100)는, 도료를 공급하는 흡입력을 공급하도록 구동부(94)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출몰되는 제1로드(12)를 구비하는 제1펌프(10)와, 경화개시제를 공급하도록 출몰 가능한 제2로드(32)를 구비하는 제2펌프(30)와, 제1로드(12)의 왕복운동을 제2로드(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 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펌핑부(100)는, 도료와 경화개시제를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도료가 분사되기 직전에 경화개시제가 도료와 혼합되면서 도료의 경화작용이 개시되므로 도료의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펌프(10)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와 제2펌프(30)에 의해 공급되는 경화개시제가 혼합되어 도로에 분사되면 짧은 시간 내에 도료가 경화되면서 차선을 형성하게 된다.
제1펌프(10)는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고, 도료가 저장되는 제1탱크(82)로부터 도료를 흡입하여 토출시키고, 제2펌프(30)는 제2탱크(84)로부터 경화개시제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며, 도료와 경화개시제는 혼합블록(96)을 통과하면서 서로 혼합된 후에 도로에 분사된다.
본 실시예는 제1펌프(10)로부터 출몰되는 제1로드(12)의 직선운동을 제2펌프(30)의 제2로드(3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0, 70)가 구비되므로 제1로드(12)에 유압을 제공하는 구동부(94) 외에 제2로드(32)에 외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차선 도색장치의 수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고, 차선 도색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차선 도색작업에 사용되는 이액형 도료는, 도료 대 경화개시제의 혼합비율이 약98:2의 비율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펌프(1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도료의 공급량과 제2펌프(3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경화개시제의 공급량 차이가 현저하다.
종래의 차선 도색장치는, 하나의 구동부(94)에 의해 2개의 펌프를 동시에 구동시키면서 공급량 차이가 현저한 도료와 경화개시제의 혼합비율을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는 동력전달부(50, 70)에 의해 제1로드(12)와 제2로드(32)가 연결되므로 제1로드(12)의 직선왕복운동이 제2로드(32)에 전달될 때에 동력전달부(50, 70)의 작용에 의해 제1로드(12)의 운동량이 감소되어 제2로드(32)에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펌프(10)는 제2펌프(30)와 비교하여 큰 용량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로드(12)의 직선운동을 제2로드(32)의 직선운동으로 전달할 때에 제1로드(12)의 운동량을 감소시켜 제2로드(32)에 전달하는 별도의 감속장치 또는 변화장치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펌프(10)에 의한 공급량과 제2펌프(30)에 의한 공급량 차이를 유지하도록 제1펌프(10)가 제2펌프(30)와 비교하여 큰 용량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감속장치 또는 동력변환장치를 거치지 않고 제1로드(12)의 운동량을 제2로드(32)에 전달하여도 제2펌프(30)에 의해 제공되는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이 도료의 공급량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작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대적으로 용량의 큰 제1펌프(10)와 용량이 작은 제2펌프(30)가 동력전달부에 의해 연동되도록 연결되므로 도료와 비교하여 공급량이 현저하게 작은 경화개시제를 정확한 혼합비율을 유지하며 도료와 함께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1펌프(10)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14a) 및 도료가 토출되는 제1토출관(14b)이 연결되고 제1로드(12)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실린더부(14)와, 제1실린더부(14)에 연결되고 제1로드(12)가 노출되는 연결홀부(16a)를 구비하며 구동부(94)로부터 전달되는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제1유압공급관(16b) 및 제1유압배출관(16c)이 연결되는 작동부(16)를 포함한다.
제1펌프(10)는 차선 도색장치를 이루는 본체(92)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76)에 설치되고, 제1실린더부(14)의 상부에 제1유압공급관(16b) 및 제1유압배출관(16c)이 연결되는 작동부(16)가 설치되고, 제1실린더부(14)의 하단에는 본체(92)에 설치되는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14a)이 연결되고, 제1실린더부의 측면에는 제1토출관(14b)이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9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제1펌프(10)가 구동되면 제1탱크(82)에 저장되는 도료가 제1공급관(14a)을 따라 제1실린더부(14)에 공급되고, 제1로드(12)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도료는 제1토출관(14b)을 따라 혼합블록(96) 측으로 배출된다.
제2펌프(30)는, 경화개시제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34a)과 경화개시제가 토출되는 제2토출관(34b)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부(34)를 포함하므로 제1로드(12)의 직선운동이 제2로드(32)에 전달되면 제2탱크(84)에 저장되는 경화개시제를 흡입하여 제2토출관(34b)을 따라 혼합블록(96) 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전달부재(50)에 의해 제1로드(12)와 제2로드(32)가 동시에 제1실린더부(14) 및 제2실린더부(34) 내부로 삽입되고, 제1실린더부(14) 및 제2실린더부(34) 외부로 돌출되므로 도료의 공급과 경화개시제의 공급이 혼합블록(96) 측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로드(12) 및 제2로드(32)가 동시에 하강 또는 상승되면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동시에 일정한 혼합비율을 유지하면서 공급되므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고르게 혼합되어 차선이 부분적으로 경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고 차선 전체가 고르게 짧은 시간 내에 경화되는 차선 도색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실린더부(34)에는 경화개시제를 제2탱크(84)로부 순환시키는 순환관(34c)이 연결되고, 제2로드(32)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지 못하고 오버플로우되는 경화개시제를 제2탱크(84)로 회수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34d)이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에어모터(94g)와 제3탱크(86) 사이에 공압이 저장되는 제1챔버(94b)가 설치되고, 제1펌프(10)와 혼합블록(96) 사이에는 제2챔버(94c)가 설치된다.
제1펌프(10)로부터 토출되는 도료는 제2챔버(94c)에 충진된 후에 혼합블록(96)로 공급되며, 제2챔버(94c)에는 도료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제2챔버(94c)에는 도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키는 레버가 설치되며, 제2챔버(94c)로부터 제1탱크(82)로 도료를 순환시키는 회수관(94d)이 설치된다.
따라서 차색 도색작업을 종료한 후에 제1공급관(14a)을 제1탱크(82)로부터 분리시키고 회수관(94d)에 설치되는 레버를 조작한 후에 제1펌프(10)의 구동을 행하면 제1공급관(14a) 및 제1펌프(10)에 잔존하는 도료를 회수관(94d)을 통하여 제1탱크(82)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모터(94a)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제1펌프(10)가 구동되면 제1펌프(10)를 이루는 제1실린더부(12)로부터 제1로드(12)가 출몰되는 직선왕복운동을 행하게 되고, 제1로드(12)의 직선왕복운동은 동력전달부(50, 70)의 작동에 의해 제2펌프(30)의 제2로드(32)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하나의 구동부(94)에 의해 제1펌프(10) 및 제2펌프(3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혼합블록(96)에 일정한 혼합비를 유지하며 도료와 경화개시제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부(50, 70)는, 제1로드(12)와 제2로드(32)를 연결하는 전달부재(50)와, 제2펌프(30)를 지지하고 전달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부재(7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70)는, 제1펌프(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펌프(3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평부(72)와, 수평부(72)로부터 굴곡되게 연장되고 전달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굴곡부(74)를 포함한다.
수평부(72)에는 제3실린더부(36)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평부(72)로부터 굴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굴곡부(74)의 상단에는 전달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54)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평부(72)와 전달부재(50) 사이에는 제2펌프(30)가 설치되는 간격이 형성되고, 제1로드(12)와 연결되는 전달부재(50)의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되면 힌지부(54)를 중심으로 전달부재(50)가 회전되면서 제2로드(32)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게 된다.
또한, 전달부재(50)의 일단에는 제1로드(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52)가 구비되고, 전달부재(50)의 타단에는 고정부재(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54)가 구비되며, 제1연결부(52)와 힌지부(54) 사이에는 제2로드(32)가 연결되는 제2연결부(56)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2로드(32)가 연결되는 전달부재(50) 중앙부의 운동거리는, 제1로드(12)가 연결되는 전달부재(50) 일단부의 운동거리와 비교하여 더 짧아지게 되므로 제1로드(12)의 운동량이 감소되면서 제2로드(32)에 전달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달부재(50)와 고정부재(70)의 연결구조 및 제2펌프(30)의 설치위치에 따라 제1로드(12)의 운동량과 제2로드(32)의 운동량 사이의 차이가 가변된다.
제1연결부(52)는, 전달부재(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편(52a)과, 연결편(52a)에 결합되고 제1로드(12)에 삽입되는 고정핀(52b)을 포함한다.
연결편(52a)은 전달부재(5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편(52a)에 압입되는 고정핀(52b)은 제1로드(12)의 둘레면에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제1로드(12)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되면 연결편(52a)이 상하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되며 연결편(5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달부재(50)의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운동되며, 연결편(52a)과 전달부재(50)가 이루는 각도는 제1로드(12)의 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전달부재(50)에는 제2연결부(56)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각도조절부(58)가 구비되므로 제2연결부(56)의 위치를 전달부재(50)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제2연결부(56)에 의해 전달부재(50)에 연결되는 제2로드(32)의 상단 위치가 가변되면 제2펌프(30)(30)와 수평부(72)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연결부(56)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2펌프(30)의 각도가 변경되면, 전달부재(50)가 구동될 때에 제2로드(32)가 하강 또는 상승하는 운동량이 가변되므로 제2펌프(30)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각도조절부(58)는, 전달부재(50)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홀부(58a)와, 슬라이딩홀부(58a)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눈금부(5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연결부(56)를 슬라이딩홀부(58a)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슬라이딩홀부(58a)를 따라 제2연결부(56)의 위치를 전달부재(50)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로드(32)의 운동량이 증가되어 경화개시제 공급량이 증가되고, 슬라이딩홀부(58a)를 따라 제2연결부(56)의 위치를 전달부재(5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로드(32)의 운동량이 감소되어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이 감소하게 된다.
제2연결부(56)는, 슬라이딩홀부(58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축과, 이동축에 체결되는 결합부재(56b)와, 결합부재(56b)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부재(56b)를 이동시켜 이동축을 고정시키는 레버(56c)부재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레버(56c)를 잡고 결합부재(56b)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축이 결합부재(56b) 내부로 삽입되므로 결합부재(56b)가 전달부재(50) 외벽에 밀착되면서 이동축을 구속하여 이동축과 연결되는 제2로드(32)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작업자가 레버(56c)를 잡고 결합부재(56b)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축이 결합부재(56b)로부터 돌출되면서 결합부재(56b)와 전달부재(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동축에 연결되는 제2로드(32)가 슬라이딩홀부(58a)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로드(32)를 슬라이딩홀부(58a)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제2펌프(30)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홀부(58a)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눈금부(58b)를 확인하면서 작업자는 경화개시제의 공급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결합부재(56b)의 일측에는 눈금부(58b)에 대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돌출부가 눈금부(58b)를 가리키게 된다.
혼합블록(96)은, 펌프로부터 연장되고 도료를 공급하는 제1토출관(14b)이 연결되는 제1유로(97a) 및 경화개시제를 공급하는 제2토출관이 연결되는 제2유로(98a)를 구비하는 케이스(96a)와, 제1유로(97a)와 제2유로(98a)가 합류되는 토출홀부(91e)에 구비되고 도료와 경화개시제를 교반시키면서 배출시키는 교반부(91)와,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를 개폐시키는 레버부재(93)를 포함한다.
본체(92)의 중앙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돌출부에는 제1탱크(82), 제2탱크(84) 및 제3탱크(86)가 설치되며, 혼합블록(96)의 케이스(96a)가 돌출부 일측에 설치된다.
케이스(96a)의 상면에는 제1공급홀부(97) 및 제2공급홀부(98)가 형성되고, 케이스(96a)의 내부에는 제1공급홀부(97)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1유로(97a) 및 제2공급홀부(98)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제2유로(98a)가 형성되고,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는 케이스(96a)의 하부에서 합류되어 케이스(96a)의 하단에 형성되는 토출홀부(91e)와 통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공급홀부(97)를 통해 케이스(96a) 내부로 공급되는 도료와, 제2공급홀부(98)를 통해 케이스(96a) 내부로 유입되는 경화개시제는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를 지나 토출홀부(91e)를 통해 배출되면서 혼합되게 된다.
토출홀부(91e)를 통해 배출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는 교반부(91)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교호로 이루어지면서 교반되므로 도료와 경화개시제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교반부(91)는, 제1유로(97a)와 제2유로(98a)가 합류되는 토출홀부(91e)에 설치되는 가이드관(91a)과, 가이드관(91a)에 구비되고 도료 및 경화개시제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교호로 유동시키면서 이동시키는 혼합부재(91b)를 포함한다.
토출홀부(91e)를 통해 케이스(96a) 외부로 배출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는 가이드관(91a)을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관(91a) 내부에 설치되는 혼합부재(91b)에 의해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소용돌이 모양으로 회전되면서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혼합된다.
혼합부재(91b)는, 가이드관(91a) 내부에 삽입되고 정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스크루(91c)와, 제1스크루(91c)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제1스크루(91c)와 간격을 유지하며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스크루(91d)를 포함한다.
제1스크루(91c)는 정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이는 나사산 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스크루(91d)는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꼬이는 나사산 모양으로 형성되며, 제1스크루(91c)와 제2스크루(91d)는 회전축이 연결된다.
제1스크루(91c)와 제2스크루(91d)는 회전축 외에 나사산 모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날개부는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제1스크루(91c)와 제2스크루(91d)는 다수 개가 교호로 배치된다.
따라서 가이드관(91a)을 통과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는 제1스크루(91c)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제2스크루(91d)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교반되고,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다수 차례 교호로 이루어지며 도료와 경화개시제의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스(96a)에는, 제1유로(97a) 또는 제2유로(98a)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수동레버(97c, 98c)와, 제1유로(97a) 또는 제2유로(98a)를 따라 공급되는 도료 또는 경화개시제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97b, 98b)가 설치된다.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에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볼밸브로 이루어지는 제1체크밸브(97b) 및 제2체크밸브(98b)가 설치되고,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에는 제1수동레버(97c) 및 제2수동레버(98c)가 설치되어 레버부재(93)가 폐쇄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1수동레버(97c) 및 제2수동레버(98c)를 개방하면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가 개방되어 케이스(96a) 내부의 세척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체(92)에는 혼합블록(96)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와 경화개시제의 혼합물이 분사되는 스프레이건(89)이 설치되고, 제1펌프(10)로부터 회수되는 유압은 스프레이건(89)의 작동을 행하는 유압으로 제공된다.
제1펌프(10)의 작동부(16)에는 제1유압공급관(16b)이 연결되어 제1펌프(10)의 작동을 행하는 유압을 공급하는데, 제1유압공급관(16b)에는 유압분기관(16d)이 연결되어 스프레이건(89) 또는 토출노즐(89b)의 개폐를 행하는 유압이 유압분기관(16d)을 따라 작동압제공부(89d)에 전달되어 스프레이건(89) 또는 토출노즐(89b)의 개폐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92)에는, 도료와 경화개시제가 분사되어 이루어지는 차선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도록 비드가 저장되는 제3탱크(86)와, 제3탱크(86)로부터 비드를 토출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유압모터(94a)에 연결되는 에어모터(94g)와, 에어모터(94g)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을 저장하고 제3탱크(86)에 균일한 공압을 제공하는 제1챔버(94b)와, 제3탱크(86)로부터 제공되는 비드를 분사하는 토출노즐(89b)이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모터(94g)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은 제1챔버(94b)를 통해 제3탱크(86)에 전달되므로 비드를 토출노즐(89b) 측으로 공급하게 되고, 토출노즐(89b)은 스프레이건(89)의 후방에 설치되므로 본체(92)가 주행되면서 도료 및 경화개시제가 도로에 분사되면 차선의 상면에 토출노즐(89b)로부터 비드가 분사되어 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유압분기관(16d)은 스프레이건(89)이 설치되는 본체(90)에 연결되고, 본체(92)에 설치되는 작업바를 당기는 와이어의 장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스프레이건(89)으로부터 혼합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토출노즐(89b)과 스프레이건(89) 사이에 연동관(89c)이 설치되고, 제1챔버(94b)로부터 연장되는 공압관(95)이 스프레이건(89)에 연결되므로 스프레이건(89)으로부터 분사되는 혼합액의 순간적인 차단을 행하게 되고, 공압관(95)에 의해 제공되는 공압은 연동관(89c)을 따라 토출노즐(89b)에 동시에 제공된다.
따라서 혼합액의 분사가 순간적으로 차단될 때에 비드도 동시에 분사되지 않도록 차단되므로 점선으로 이루어지는 차선을 도색할 수 있게 되고, 점선으로 도색되는 차선에 비드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92)에는 도색작업이 종료된 후에 혼합블록(96)에 잔존하는 도료 및 경화개시제를 세척하는 세척부(88, 88a, 92b)가 구비되고, 세척부(88, 88a, 92b)는, 세척유체가 저장되도록 본체(92)에 설치되는 세척탱크(88)와, 제1챔버(94b)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고 세척탱크(88)로부터 세척유체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세척펌프(92b)와, 세척탱크(88)와 혼합블록(96) 사이에 설치되는 세척관(88a)을 포함한다.
제1챔버(94b)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세척펌프(92b)가 구동되어 세척탱크(88)에 저장되는 세척유체가 공급되고, 세척탱크(88)로부터 토출되는 세척유체는 혼합블록(96)의 제3공급홀부(99)에 제공된다.
혼합블록(96)에는 제1유로(97a) 또는 제2유로(98a)에 세척유체를 공급하는 제3공급홀부(99)가 형성되고, 제3공급홀부(99)에는 세척유체가 저장되는 세척탱크(88)가 세척관(88a)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차선 도색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의 유압밸브(16e)를 폐쇄하여 작동유체가 제1펌프(1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도료 및 경화개시제의 공급을 차단하고, 제1수동레버(97c) 및 제2수동레버(98c)를 해제하여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를 개방하고, 제3공급홀부(99)를 개방하면 세척탱크(88)로부터 세척유체가 공급되어 제3공급홀부(99)를 통해 케이스(96a) 내부로 유입된다.
제3공급홀부(99)를 통해 케이스(96a)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유체는 제1유로(97a) 및 제2유로(98a)를 지나 토출홀부(91e)를 통해 가이드관(91a)을 따라 이동되고, 스프레이건(89)을 통해 배출되면서 도료 및 경화개시제가 차선 도색장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경화개시제가 혼합된 도료가 유로 내부에 잔존하면서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차선 도색장치가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세척유체는 아세트산에스테르, 부탄올, 톨루엔의 혼액으로 이루어지는 시너(Thinn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도료, 경화개시제 및 비드로 이루어지는 혼합액의 점성을 낮추면서 도색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압부(150)는, 공압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에어콤프레셔(152)와, 에어콤프레셔(152)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154)와, 에어탱크(154)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 주제 및 경화개시제를 수납부(130)의 일측으로 공급하는 제1에어펌프(156a)와, 에어탱크(154)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어 주제 및 경화개지제를 수납부(130)의 타측으로 공급하는 제2에어펌프(156b)와, 제1에어펌프(156a)와 연결되고 도료가 저장되는 제1도료탱크(158a)와, 제2에어펌프(156b)에 연결되고 다른 색상의 도료가 저장되는 제2도료탱크(15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에어콤프레셔(152)로부터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제1에어펌프(156a) 또는 제2에어펌프(156b)가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가 저장되는 제1도료탱크(158a) 또는 제2도료탱크(158b)로부터 도료를 분사부에 공급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도료를 사용하여 차선 도색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공압을 이용하거나 유압을 이용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살포하면서 차선 도색을 진행할 수 있고, 차량의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한 차선을 선택하여 도색할 수 있으며, 소형의 유압식 차선 도색 차량을 분리시켜 별도의 차선 도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차량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운전석 112 : 제1핸들
112a : 제1조작부 114 : 제2핸들
114a : 제2조작부 130 : 수납부
136 : 승하차부 150 : 공압부
152 : 컴프레셔 154 : 공압펌프
156 : 도색부 158a : 제1탱크
158b : 제2탱크 158c : 제3탱크
100a : 유압도색장치 92a : 이동바퀴
180 : 고정부 182 : 구속패널
184 : 승강부 186 : 변환부
186a : 제어전환부 186b : 유압전환부
190 : 안내부 192 : 지지대
194 : 보조대 196 : 개방실린더
197 : 가이드봉 198 : 간격봉
199 : 고정지지부

Claims (7)

  1. 작업자가 탑승하여 차량의 주행을 조작하고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의 도포작업을 조절하는 운전석;
    상기 운전석으로부터 연장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고 공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공압부;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별적인 주행이 가능하며 유압을 제공하여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포하는 유압도색장치;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분사되는 주제, 경화개시제 및 비드를 도로면에 안내하여 분사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부; 및
    상기 유압도색장치를 상기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석에는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분사부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1조작부와, 복수 개의 상기 분사부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분사부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컨트롤 노브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제2조작부가 설치되고,
    상기 운전석에는 상기 제1조작부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핸들과, 상기 제2조작부와 연동되어 차량의 주행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의 입력신호를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에 전달하여 구동시키도록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변환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조작부 또는 상기 제2조작부를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제어전환부; 및
    상기 제1핸들 또는 상기 제2핸들을 차량의 주행장치에 선택하여 연결시키는 유압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직진여부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운전석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운전석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도로면 측으로 연장되고 차선의 일면을 가리키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차선의 타면을 가리키는 간격봉;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운전석 외벽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난간이 설치되고, 상기 난간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공압부 또는 상기 유압도색장치를 상기 수납부 측 또는 지면으로 승강시키는 승하차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KR1020160111993A 2016-08-31 2016-08-31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KR10177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993A KR101771072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993A KR101771072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072B1 true KR101771072B1 (ko) 2017-08-24

Family

ID=5975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993A KR101771072B1 (ko) 2016-08-31 2016-08-31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02A (ko) * 2018-03-27 2019-10-08 이우진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EP3990702A4 (en) * 2019-06-25 2023-08-09 QFE Holdings Pty. Ltd. ROAD CONSTRUCTION MATERIAL SPREADING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535290B1 (ko) 2014-11-28 2015-07-08 (주)신진테크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255B1 (ko) 2010-07-07 2010-12-21 (주)중앙건설 차량 장착형 도로표시장치
KR101535290B1 (ko) 2014-11-28 2015-07-08 (주)신진테크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002A (ko) * 2018-03-27 2019-10-08 이우진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KR102126332B1 (ko) * 2018-03-27 2020-07-08 이우진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EP3990702A4 (en) * 2019-06-25 2023-08-09 QFE Holdings Pty. Ltd. ROAD CONSTRUCTION MATERIAL SPREADING VEHICLE
US11821151B2 (en) 2019-06-25 2023-11-21 QFE Holdings Pty. Ltd. Road construction materials spreading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708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555524B1 (ko) 이액형 차선도색시스템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US8689730B2 (en) Robotic painting system and method
US7318554B2 (en) Third stream automotive color injection
KR101771072B1 (ko)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KR20160033164A (ko) 분무 시스템 펌프 세척 순서
KR101965160B1 (ko) 차선 자동 도색장치
KR101477750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용 도료 조성물
CN1864840A (zh) 液体混合装置
KR101905868B1 (ko) 선택형 멀티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차선 도색장치
KR102105480B1 (ko)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
JP6794550B2 (ja) 塗装システム及び塗装方法
CN214390778U (zh) 一种具有混合调色机构的汽车表面喷涂装置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JPH11267560A (ja) 塗装用ロボット
KR101549570B1 (ko) 이액형 노면표지용 도료 시공방법
KR101487932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방법
KR101535290B1 (ko)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KR20030033936A (ko) 도료 공급 방법 및 도료 공급 장치
KR102145044B1 (ko)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WO2016085288A1 (ko) 이액형 도료용 차선 도색장치
US6193110B1 (en) Internal mix dispenser
JP3927026B2 (ja) 塗料送給装置
KR200348548Y1 (ko) 2액 반응형 수지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도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