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3002A -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 Google Patents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3002A
KR20190113002A KR1020180035089A KR20180035089A KR20190113002A KR 20190113002 A KR20190113002 A KR 20190113002A KR 1020180035089 A KR1020180035089 A KR 1020180035089A KR 20180035089 A KR20180035089 A KR 20180035089A KR 20190113002 A KR20190113002 A KR 2019011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module
painting
glass bead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6332B1 (ko
Inventor
이우진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이우진
이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진, 이상만 filed Critical 이우진
Priority to KR1020180035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63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선도색차량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 제거단계(S1), 프라이머 도포단계(S2),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 및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단계를 구현하기 차선도색차량은 이물질 제거모듈(1), 프라이머 도포모듈(2), 차선도색모듈(3),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 및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 상기 차선도색모듈(3),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및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을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H)을 구비한 차량(V)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 및 차선도색차량은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차선 및 글라스비드의 품질을 도색 중에 확인하고, 결함이 발생된 위치를 즉각적으로 저장할 수 있어, 품질에 이상이 있는 차선을 바로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Land Painting Method and Land Painting Vehicle for it}
백색 또는 황색의 차선을 도색한 후 글라스비드를 살포하여 차선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선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도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선은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 형성되어, 중앙선, 주행 차선 등을 운전자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을 말한다. 이러한 차선은 황색 및 백색의 도료가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바닥면에 도색되어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방지를 위하여 도색된 차선 위에 돌출차선을 형성하거나, 야간 및 우천시 차선의 식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비드를 살포한다.
이러한 차선을 도색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서, 도면 1에 보이는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와 돌출차선도색방법이 등록특허공보 제10-1344370호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이액형 돌출찬선도색장치는 황색도색제공급라인(10)과 백색도색제공급라인(20)과 경화제공급라인(30) 및 세척제공급라인(40)이 각기 믹서기(110)를 통하여 띠형차선도색기(120)와 연결되는 띠형차선도색수단(100)과, 황색도색제공급라인(50)과 백색도색제공급라인(60)과 경화제공급라인(70) 및 세척제공급라인(40)이 각기 믹서기(210)를 통하여 돌출형차선도색기(220)와 연결되고 또 믹서기(210)와 돌출형차선도색기(220) 사이에는 차선도색차량(5)의 바퀴와 접촉하고 있던 엔코더(250)와 제어기(240)를 통하여 접속되는 개폐밸브(230)가 설치되는 돌출형차선도색수단(200)과, 글라스비드살포기(85,95)를 갖는 글라스비드살포수단(80,90)으로 이루어져 띠형차선도색수단(100)이 갖는 띠형차선도색기(120)와 돌출형차선도색수단(200)이 갖는 돌출형차선도색기(220) 및 글라스비스살포수단(80,90)이 갖는 글라스비드살포기(85,95)가 차선도색차량(5)의 저부에 전후에 나란히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이액형 돌출차선장치에는 차선을 도색하기 위하여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작업 중 발생하는 도로면의 미세먼지,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으며, 차선도색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에어분사를 통하여 도로 바닥면이 이물질을 다른 곳으로 단순히 이동시키는 방법을 택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선도색이 완료된 후, 도색된 차선의 품질 및 글라스비드가 골고루 차선위에 분포되었는지에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즉각적으로 차선에 관한 품질을 확인할 수 없어, 품질이상이 있는 곳에 대한 보수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44370호
본 발명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차선도색장치가 탑재된 차량에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비한 이물질 제거단계,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 및 차선도색 보수단계를 포함하는 차선도색방법과 상기 차선도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차선도색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차량에 설치된 차선도색수단 및 글라스비드 살포수단을 이용한 주행차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은 도색될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S1), 차선이 도색될 구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 백색 또는 황색을 선택하여, 선택된 색상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도색된 차선 위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는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 및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는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사이에 건조장치(26)에 의해 도포된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프라이머 건조단계(S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이후에 글라스비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색의 마감재(451)를 도포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이후에 글라스비드 살포에 결함이 발견될 경우, 상기 결합이 발생된 위치를 저장하는 차선도색 품질 이상 위치 저장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선도색 품질 이상 위치 저장단계(S51)에서 저장된 위치의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보수하는 차선도색 보수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선도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차량은 이물질 제거모듈(1), 프라이머 도포모듈(2), 차선도색모듈(3),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 및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 상기 차선도색모듈(3),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및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을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H)을 구비한 차량(V)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도색차량에 이물질 제거모듈를 부가하여 도로 바닥면에 형성된 도색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 분진 등을 이물질 흡입장치를 통하여 흡입하므로써 작업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차선도색상태 및 글라스비드 살포상태를 차선도색 중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비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색의 마감재를 글라스비드 위에 도포함으로써 야간 및 우천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선도색 중 품질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위치를 기록하여, 즉각적으로 차선도색보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차선도색차량에 이물질 제거모듈, 프라이머 도포모듈, 차선도색모듈, 글라스비드 살포모듈,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을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차선도색에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하우징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쉽게 유추할 수 있는 모든 효과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선도색방법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선도색차량 내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모듈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도포모듈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선모듈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글라스비드 살포모듈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차선도색수단 및 글라스비드 살포수단을 이용한 주행차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은 도색될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S1), 차선이 도색될 구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 백색 또는 황색을 선택하여, 선택된 색상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도색된 차선 위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는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 및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는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를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1)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모듈(1)은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11)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 흡입장치(11)는 도로 바닥면의 미세먼지까지 흡입할 수 있는 싸이클론 집진장치(1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사이에 건조장치(26)에 의해 도포된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프라이머 건조단계(S21)를 포함하며,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상기 건조장치(26)는 온풍장치(26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이후에 글라스비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색의 마감재(451)를 도포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에서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휘도스캐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이후에 글라스비드 살포에 결함이 발견될 경우,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이 발생된 위치를 저장하는 차선도색 품질 이상 위치 저장단계(S51)를 포함하며, 상기 차선도색 품질 이상 위치 저장단계(S51)에서 저장된 위치의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보수하는 차선도색 보수단계(S52)를 포함한다.
도면 3 내지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선도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차량은 이물질 제거모듈(1), 프라이머 도포모듈(2), 차선도색모듈(3),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 및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 상기 차선도색모듈(3),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및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을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H)을 구비한 차량(V)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은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11)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흡입장치(11)는 도로 바닥면의 미세먼지까지 흡입할 수 있는 싸이클론 집진장치(1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는 프라이머 공급통(21), 이송펌프(22), 압력조절기(23), 개폐밸브(24) 및 분사노즐(25)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에는 착탈 가능한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건조장치(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건조장치(26)는 온풍장치(26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도색모듈(3)은 백색도색제 공급라인(31), 황색도색제 공급라인(32), 백색도색제 또는 황색도색제를 선택하는 제어밸브(33) 및 도색제공급관(3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경화제 공급관(351)을 구비한 경화제 공급라인(35)과 상기 경화제 공급라인(35)에 경화제 공급을 위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36)이 상기 경화제 공급관(3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색제공급관(34)으로부터 공급되는 백색도색제 또는 황색도색제와 상기 경화제 공급관(351)으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차선도색제를 형성하는 믹서기(361) 및 상기 믹서기(361)에서 공급되는 차선도색제를 도로 바닥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선도색모듈(3)에는 상기 도색제공급관(34)과 상기 믹서기(36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공급라인(38)이 포함한다. 세척공급라인(38)에 구비되는 세척분사노즐(381)은 도색제공급관(34)에 세척수를 강하고 효율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회전식분사노즐(381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은 글라스비드 공급통(41), 글라스비드를 이송 및 살포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발생하는 압축공기조절기(42), 개폐밸브(43) 및 글라스비드 살포기(44)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에는 글라스비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비드 살포 후 무색의 마감재(451)를 도포하는 마감재 도포라인(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은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휘도스캐너(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에는 글라스비드 살포에 결함이 발견될 경우, 위치 및 상기 위치를 저장하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52) 및 위치저장매체(53)를 포함한다. 또한 차선도색차량에 이물질 제거모듈(1), 프라이머 도포모듈(2), 차선도색모듈(3),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을 구분하여 설치됨으로써, 차선시공환경에 따라 차선도색에 필요한 모듈만을 선택적으로 하우징에 탑재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에 설치된 차선도색수단 및 글라스비드 살포수단을 이용한 주행차선의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에 있어서,
    (1) 도색될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S1),
    (2) 차선이 도색될 구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2),
    (3) 백색 또는 황색을 선택하여, 선택된 색상으로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4) 도색된 차선 위에 글라스비드를 살포하는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 및
    (5) 도색 및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는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
    를 포함하는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S1)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모듈(1)은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11)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 도색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2)와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사이에 건조장치(26)에 의해 도포된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프라이머 건조단계(S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에서 글라스비드 살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휘도스캐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방법.
  5. 이물질 제거모듈(1), 프라이머 도포모듈(2), 차선도색모듈(3),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 및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 상기 차선도색모듈(3),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 및 상기 차선도색 품질 확인모듈(5)을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H)을 구비한 차량(V)으로 이루어진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차량.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모듈(1)은 도로 바닥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이물질 흡입장치(11)와 흡입된 이물질을 저장하는 저장탱크(12)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는 프라이머 공급통(21), 이송펌프(22), 압력조절기(23), 개폐밸브(24) 및 분사노즐(25)이 차례로 연결되며, 상기 프라이머 도포모듈(2)에는 착탈 가능한 프라이머를 건조하는 건조장치(2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선도색모듈(3)은 백색도색제 공급라인(31), 황색도색제 공급라인(32), 백색도색제 또는 황색도색제를 선택하는 제어밸브(33) 및 도색제공급관(34)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경화제 공급관(351)을 구비한 경화제 공급라인(35)과 상기 경화제 공급라인(35)에 경화제 공급을 위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36)이 상기 경화제 공급관(35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색제공급관(34)으로부터 공급되는 백색도색제 또는 황색도색제와 상기 경화제 공급관(351)으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혼합하여 차선도색제를 형성하는 믹서기(361) 및 상기 믹서기(361)에서 공급되는 차선도색제를 도로 바닥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37)을 포함하며,
    상기 차선도색모듈(3)에는 상기 도색제공급관(34)과 상기 믹서기(361)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공급라인(38)이 포함되며,
    상기 글라스비드 살포모듈(4)은 글라스비드 공급통(41), 압축공기조절기(42), 개폐밸브(43) 및 글라스비드 살포기(44)가 차례로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선도색차량.
KR1020180035089A 2018-03-27 2018-03-27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KR102126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89A KR102126332B1 (ko) 2018-03-27 2018-03-27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89A KR102126332B1 (ko) 2018-03-27 2018-03-27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02A true KR20190113002A (ko) 2019-10-08
KR102126332B1 KR102126332B1 (ko) 2020-07-08

Family

ID=6820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89A KR102126332B1 (ko) 2018-03-27 2018-03-27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45B1 (ko) 2020-11-09 2021-06-28 신장훈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2307243B1 (ko) * 2020-10-30 2021-09-30 한국브로치주식회사 융착식 도로 마킹머신 및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403A (ja) * 1995-11-10 1997-05-27 Kensetsusho Kinkichihou Kensetsukyoku 路面区画線設置機械
KR101344370B1 (ko) 2013-04-23 2013-12-24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101771072B1 (ko) * 2016-08-31 2017-08-24 주식회사 에코리치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KR20180016074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로드텍 차선 재귀 반사 휘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403A (ja) * 1995-11-10 1997-05-27 Kensetsusho Kinkichihou Kensetsukyoku 路面区画線設置機械
KR101344370B1 (ko) 2013-04-23 2013-12-24 (주)선화건설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20180016074A (ko)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로드텍 차선 재귀 반사 휘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771072B1 (ko) * 2016-08-31 2017-08-24 주식회사 에코리치 복합형 차선 도색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243B1 (ko) * 2020-10-30 2021-09-30 한국브로치주식회사 융착식 도로 마킹머신 및 제어 방법
KR102270845B1 (ko) 2020-11-09 2021-06-28 신장훈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332B1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980A (en) Truck-mounted apparatus for repairing asphalt
EP0807714B1 (en) Vehicle towed apparatus for striping of roads
US5302207A (en) Line striper apparatus with optical sighting means
KR20190113002A (ko)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US20120219359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apparatus and method for surface printing
KR100895652B1 (ko)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101482224B1 (ko)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 및 보수 차선 도색 공법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20160001764A (ko) 도로보수 자동화장치
JP2005046838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JP2009078210A (ja) 自走型洗浄・塗装方法及び自走型の洗浄・塗装機
KR101344370B1 (ko) 이액형 돌출차선도색장치 및 돌출차선도색공법
KR20120038714A (ko) 도로 특수문자 인쇄 장치
US110458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ating operations
KR101747370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
KR101373508B1 (ko) 자동차의 흠집 도장방법
KR200433471Y1 (ko) 차량탑재용 도색장치
KR101466259B1 (ko) 도색제 압력탱크 세척장치
KR0134892Y1 (ko) 차량탑재용 차선도색장치
KR102188472B1 (ko) 실러 도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실러 도포 방법
JPS6340501Y2 (ko)
EP1221507B1 (en) Vehicle towed apparatus for striping of roads
KR20050040413A (ko) 이동식노면표시제거장비 및 그 제어방법
KR101662506B1 (ko) 우천형 돌출 스프레이 차선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9577220U (zh) 一种汽车车身钢板的焊缝涂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