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845B1 -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845B1
KR102270845B1 KR1020200148466A KR20200148466A KR102270845B1 KR 102270845 B1 KR102270845 B1 KR 102270845B1 KR 1020200148466 A KR1020200148466 A KR 1020200148466A KR 20200148466 A KR20200148466 A KR 20200148466A KR 102270845 B1 KR102270845 B1 KR 10227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curing agent
agent
heating unit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훈
Original Assignee
신장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장훈 filed Critical 신장훈
Priority to KR102020014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가열한 후 혼합하여 노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경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는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탱크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탱크와, 주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주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부와,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부와, 제 1히팅부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제 2히팅부와 제 2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시켜 노면에 도포하는 노즐유닛과, 노즐유닛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노즐유닛과 연결되는 공기압축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rapidly hardening sprayer for road lan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oad la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가열한 후 혼합하여 노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경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교통안전을 위하여 도로 사용자가 주의할 사항, 규제,지시 따위의 내용을 기호, 문자, 선 따위로 노면에 표시하여 알리는 노면표지가 형성된다.
노면표지의 대표적인 예인 도로의 차선은 도로 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는 데 필요하며, 안전 표시를 보완하거나, 혹은 단독으로 운전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 등의 정보를 전달하여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각 정보를 제공한다.
국내외 차선의 경우 백색, 황색 혹은 청색으로 주행선을 표시하며 주간뿐만 야간에도 각각의 색을 구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로의 선형 정보 및 표시를 운전자에게 사전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차선은 다양한 합성수지 도료 혼합물과 차량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유리비드 및 안료 등을 배합하여 한층 또는 둘 이상의 두꺼운 도료층을 형성하거나, 도료층을 도색한 뒤에 유리비드를 도료층의 상면에 무작위로 도포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선 시공방법은 도로의 노면 위에 바로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선의 탈리나 박리, 균열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차선용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시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3002호에는 이물질 제거단계(S1), 프라이머 도포단계(S2), 차선을 도색하는 단계(S3), 글라스비드 살포 단계(S4) 및 차선도색 품질 확인 단계(S5)로 이루어지는 차선도색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차선도색방법은 노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경화시킨 다음 차선을 도색하므로 차선의 탈리나 박리를 저감시킬 수 있지만 프라이머가 경화하는데 수시간이 소요되므로 차선시공시간이 길어져 여러시간 동안 도로의 교통을 통제하여야 하므로 교통체증이 장시간 동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3002호: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이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프라이머층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임과 동시에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가열한 후 혼합하여 노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경화시간을 10분 이내로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는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탱크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탱크와; 상기 주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주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부와; 상기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부와; 상기 제 1히팅부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히팅부와 제 2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시켜 노면에 도포하는 노즐유닛과; 상기 노즐유닛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노즐유닛과 연결되는 공기압축기;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연결관과 각각 연결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각각 유입되는 주제유입실 및 경화제유입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주제가 통과하는 제 1유로가 형성된 제 1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경화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경화제가 통과하는 제 2유로가 형성된 제 2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유로와 연결되는 혼합실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분사로가 하단부까지 형성된 노즐팁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샤프트의 상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결합되는 니플이 설치된 캡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샤프트의 내부에는 상단부에서 상기 혼합실까지 이어지는 공기통로 및 상기 혼합실에서 하단부까지 연결되는 혼합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실은 상기 이동샤프트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센터공간부와, 상기 이동샤프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센터공간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유로와 상기 센터공간부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통로와, 상기 이동샤프트의 타측면에서 상기 센터공간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2유로와 상기 센터공간부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사이드통로는 상기 제 1유로와 연결되는 제 1확대경부와, 상기 제 1확대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터공간부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축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사이드통로는 상기 제 2유로와 연결되는 제 2확대경부와, 상기 제 2확대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터공간부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축소경부를 구비한다.
상기 히팅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탱크와 주제공급관으로 연결되며 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분산챔버와, 상기 분산챔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환형의 히팅패널과, 상기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분산챔버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히팅패널에 결합되는 한쌍의 헬리컬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은 주제탱크에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저장단계와; 경화제탱크에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저장단계와; 상기 주제탱크에 저장된 주제를 제 1히팅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경화제탱크에 저장된 경화제를 제 2히팅부로 유입시켜 경화제와 주제를 각각 가열하는 히팅단계와; 상기 제 1히팅부를 통과한 주제 및 상기 제 2히팅부를 통과한 경화제 및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량에 설치된 노즐유닛으로 유입시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프라이머를 노면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의 경화 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차선용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형성하는 차선도료도포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가열한 후 혼합하여 노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경화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차선의 시공시간이 매우 짧아져 교통체증을 체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노즐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노즐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노즐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노즐유닛에 적용된 제 1연결카트리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노즐유닛에 적용된 이동샤프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노즐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적용된 제 1히팅부를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시공된 차선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는 이동가능한 차량(1)에 설치되어 도로의 노면에 이액형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액형 프라이머로 통상적인 아크릴계나 에폭시계, 우레탄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액형 프라이머는 폴리올 등이 주성분으로 함유된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아민화합물 등이 주성분으로 함유된 경화제로 통상 이루어진다.
이액형 프라이머는 일액형 프라이머에 비해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프라이머층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는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탱크(10)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탱크(15)와, 주제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주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부(20)와, 경화제탱크(15)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부(25)와, 제 1히팅부(20)와 제 1연결관(21)으로 연결되고 제 2히팅부(25)와 제 2연결관(26)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시켜 노면에 도포하는 노즐유닛(40)과, 노즐유닛(40)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노즐유닛(40)과 연결되는 공기압축기(30)를 구비한다.
주제탱크(10)는 차량(1)의 적재함에 설치된다. 주제탱크(10)에는 프라이머의 주제가 일정량 저장된다.
경화제탱크(10)는 차량(1)의 적재함에 설치된다. 경화제탱크(15)에는 프라이머의 경화제가 일정량 저장된다.
제 1히팅부(20)와 제 2히팅부(25)는 차량(1)의 적재함에 설치된다.
제 1히팅부(20)는 주제탱크(10)와 주제공급관(11)으로 연결된다. 주제공급관(11)에는 주제를 이송시키는 펌프(13)가 설치된다. 주제공급관(11)을 통해 주제는 주제탱크(10)에서 제 1히팅부(20)로 유입된다. 제 1히팅부(20)로 유입된 주제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다. 가령, 주제는 40 내지 80℃로 가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히팅부(20)는 주제공급관(11)과 연결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구조로 이루어진다. 히터로 막대 또는 판상의 전기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히터는 케이스의 내부에 하나 또는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히팅부(25)는 경화제탱크(15)와 경화제공급관(16)으로 연결된다. 경화제공급관(16)에는 경화제를 이송시키는 펌프(17)가 설치된다. 경화제공급관(16)을 통해 경화제는 경화제탱크(15)에서 제 2히팅부(25)로 유입된다. 제 2히팅부(25)로 유입된 경화제는 일정한 온도로 가열된다. 가령, 경화제는 40 내지 80℃로 가열될 수 있다.
제 2히팅부(25)는 제 1히팅부(2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령, 제 2히팅부(25)는 경화제공급관(16)과 연결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로 이루어진다.
노즐유닛(40)은 차량(1)의 적재함 측면이나 하부에 설치된다. 노즐유닛(40)은 경화제와 주제를 혼합시킨 혼합액을 도로의 노면에 도포하는 역할을 한다. 노즐유닛(40)은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차량(1)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노즐유닛(40)은 제 1히팅부(20)와 제 1연결관(21)으로 연결되고, 제 2히팅부(25)와 제 2연결관(26)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연결관(21)을 통해 주제가 노즐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되고, 제 2연결관(26)을 경화제가 노즐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다. 또한, 공기압축기(30)를 통해 노즐유닛(40)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공기압축기(40)는 차량(1)의 적재함에 설치된다. 공기압축기(30)와 노즐유닛(40)은 에어호스(31)로 연결된다.
노즐유닛(40)은 장착대(5)에 의해 차량(1)의 적재함에 고정된다. 장착대(5)는 중앙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 장착보스(7)와, 장착보스(7)와 적재함을 연결하는 브라켓(8)으로 이루어진다. 장착보스(7)의 내측으로 노즐유닛(40)의 상부가 삽입된 후 고정볼트(9)에 의해 노즐유닛(40)이 장착보스(7)에 결합된다. 이때 노즐유닛(40)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니플은 장착보스(7)의 관통홀을 통해 상부로 노출된다.
노즐유닛(40)은 제 1 및 제 2연결관과 각각 연결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각각 유입되는 주제유입실 및 경화제유입실이 형성된 본체(50)와, 본체(50)에 설치되어 주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주제가 통과하는 제 1유로가 형성된 제 1연결카트리지(70)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경화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경화제가 통과하는 제 2유로가 형성된 제 2연결카트리지(80)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유로와 연결되는 혼합실이 형성된 이동샤프트(90)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100)와, 리테이너(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샤프트(9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삽입홈과 연결되는 분사로가 하단부까지 형성된 노즐팁(110)과, 본체(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이동샤프트(90)의 상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하우징(120)과, 연결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공기압축기(30)와 연결되는 에어호스(31)가 결합되는 니플(135)이 설치된 캡(130)과, 연결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샤프트(90)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140)를 구비한다.
본체(50)에는 이동샤프트(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이동홀(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홀(51)의 좌우측에 주제유입실(53)과 경화제유입실(55)이 각각 형성된다. 주제유입실(53)과 경화제유입실(55)은 구형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50)의 일측에는 플러그모듈(56)이 결합된다. 플러그모듈(56)에는 제 1연결관(21)과 연결되는 제 1플러그(57)와, 제 2연결관(26)과 연결되는 제 2플러그(59)가 설치된다. 제 1플러그(57)를 통해 주제가 주제유입실(53)로 유입되고, 제 2플러그(59)를 통해 경화제가 경화제유입실(55)로 유입된다.
제 1 및 제 2연결카트리지(70)(80)는 본체(50)에 설치된다. 본체(50)에 형성된 제 1장착홀(미도시)에 제 1연결카트리지(70)가 삽입되고, 본체(50)에 형성된 제 2장착홀(61)에 제 2연결카트리지(80)가 삽입된다. 제 1연결카트리지(70)와 제 2연결카트리지(80)는 이동홀(51)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체(50)에는 주제유입실(53)과 제 1장착홀을 연결하는 제 1연결통로(63)가 형성되고, 경화제유입실(55)과 제 2장착홀(61)을 연결하는 제 2연결통로(65)가 형성된다.
제 1연결카트리지(70)는 중앙 부위가 좌우측 부위보다 외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제 1연결카트리지(70)의 중앙에는 외주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인입된 인입부(71)가 마련된다. 인입부(71)는 제 1연결통로(63)와 연결된다.
제 1연결카트리지(70)의 내부에는 제 1유로(73)가 형성된다. 제 1유로(73)는 인입부(71)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다수의 제 1사이드유로들(74)과, 제 1사이드유로들(74)과 연결되어 이동홀(51)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 1센터유로(75)로 이루어진다.
주제유입실(53)로 유입된 주제는 제 1연결통로(63)를 통과한 후 제 1연결카트리지(70)의 제 1사이드유로(74)를 통과하여 제 1센터유로(75)로 유입된다.
제 2연결카트리지(80)는 제 1연결카트리지(7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 2연결카트리지(80)는 중앙 부위가 좌우측 부위보다 외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제 2연결카트리지의 중앙에는 외주면에서 일정한 깊이로 인입된 인입부(81)가 마련된다. 인입부(81)는 제 2연결유로와 연결된다.
제 2연결카트리지(80)의 내부에는 제 2유로가 형성된다. 제 2유로는 인입부(81)의 외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형성된 다수의 제 2사이드유로들(84)과, 제 2사이드유로들(84)과 연결되어 이동홀(51)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제 2센터유로(85)로 이루어진다.
경화제유입실(55)로 유입된 경화제는 제 2연결통로(65)를 통과한 후 제 2연결카트리지(80)의 제 2사이드유로(81)를 통과하여 제 2센터유로로 유입된다.
이동샤프트(90)는 본체(50)의 내측에 형성된 이동홀(5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동샤프트(90)는 이동홀(51)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다. 이동샤프트(90)의 상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된 헤드플레이트(91)가 형성된다.
이동샤프트(90)의 내부에는 혼합실 및 공기통로(97), 혼합유체통로(99)가 형성된다.
혼합실은 이동샤프트(9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센터공간부(93)와, 이동샤프트(90)의 일측면에서 센터공간부(93)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 1카트리지(70)의 제 1유로(73)와 센터공간부(93)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통로(94)와, 이동샤프트(90)의 타측면에서 센터공간부(93)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 2카트리지(80)의 제 2유로와 센터공간부(93)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통로(95)를 구비한다.
제 1사이드통로(94)는 제 1유로(73)와 연결되는 제 1확대경부(94a)와, 제 1확대경부(94a)에서 연장되어 센터공간부(93)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축소경부(94b)를 구비한다.
제 2사이드통로(95)는 제 2유로와 연결되는 제 2확대경부(95a)와, 제 2확대경부(95a)에서 연장되어 센터공간부(93)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축소경부(95b)를 구비한다.
상술한 혼합실의 구조에 의해 경화제와 주제가 센터공간부(93)에서 접촉하여 나선형의 흐름을 형성하므로 혼합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공기통로(97)는 이동샤프트(90)의 상단부에서 혼합실의 센터공간부(93)까지 이어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혼합유체통로(99)는 혼합실의 센터공간부(93)에서 이동샤프트(90)의 하단부까지 이어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리테이너(100)는 본체(50)의 하부에 결합된다. 리테이너(50)의 하부에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노즐팁(110)은 리테이너(100)에 결합된다. 노즐팁(100)의 상부는 리테이너(100)의 나사홀에 나사결합된다. 노즐팁(110)의 상부에는 삽입홈(111)이 형성된다. 삽입홈(111)에 이동샤프트(90)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노즐팁(110)에는 분사로(113)가 형성된다. 분사로(113)는 노즐팁(110)의 하단부에서 삽입홈(111)까지 이어지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연결하우징(120)은 본체(50)의 상부에 결합된다. 연결하우징(120)의 내경은 이동홀(51)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연결하우징(120)의 내부로 이동샤프트(90)의 상부가 삽입된다.
캡(130)은 연결하우징(1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캡(130)에는 공기압축기(30)와 연결되는 에어호스(31)가 결합되는 니플(135)이 설치된다. 공기압축기(30)에서 발생한 고압의 압축공기는 니플(135)을 통해 연결하우징(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탄성부재(140)는 연결하우징(120)의 내부에 위치한다. 탄성부재(140)는 이동샤프트(9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40)로 스프링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의 일측은 본체(50)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헤드플레이트(91)에 지지된다.
연결하우징(12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도 4와 같이 탄성부재(140)에 의해 이동샤프트(90)는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 1카트리지(70)의 제 1유로(73)와 제 2카트리지(80)의 제 2유로는 이동샤프트(90)의 외주면에 의해 막혀있다. 이동샤프트(90)는 연결하우징(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출턱(125)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연결하우징(12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압축공기가 헤드플레이트(125)를 하방으로 밀어낸다.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이동샤프트(9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이동샤프트(90)의 하단부가 노즐팁(110)의 삽입홈(111)으로 삽입되어 노즐팁(110)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혼합실의 제 1사이드통로(94)와 제 1연결카트리지(70)의 제 1유로(73)가 연결되고, 혼합실의 제 2사이드통로(95)와 제 2연결카트리지(80)의 제 2유로가 각각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혼합실로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는 센터공간부(93)에서 급속히 혼합되어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노즐팁(110)의 분사로(113)를 통해 노면으로 분사된다.
펌프((13)(17), 제 1 및 제 2히팅부(20)(25), 공기압축기(30)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내연기관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기(35)가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도 1 및 도 11,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은 주제탱크(10)에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저장단계와, 경화제탱크(15)에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저장단계와, 주제탱크(10)에 저장된 주제를 제 1히팅부(20)로 유입시키고 경화제탱크(15)에 저장된 경화제를 제 2히팅부(25)로 유입시켜 경화제와 주제를 각각 가열하는 히팅단계와, 제 1히팅부(20)를 통과한 주제 및 제 2히팅부(25)를 통과한 경화제 및 공기압축기(3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량(1)에 설치된 노즐유닛(40)으로 유입시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프라이머를 노면(300)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301)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프라이머층(301)의 경화 후 프라이머층(301) 위에 차선용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305)을 형성하는 차선도료도포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주제탱크(10)에 주제를 일정량 저장한다. 그리고 경화제탱크(15)에 경화제를 일정량 저장한다.
다음으로, 주제를 제 1히팅부(20)로 유입시키고 경화제를 제 2히팅부(25)로 유입시켜 주제와 경화제를 40 내지 80℃로 각각 가열한다. 주제 가열과 경화제 가열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열된 주제와 경화제는 노즐유닛(40)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공기압축기(30)에서 발생한 압축공기는 노즐유닛(40)으로 유입시킨다.
노즐유닛(40)의 혼합실에서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는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노면(300)으로 분사되어 노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프라이머층(301)은 경화시간을 2 내지 10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이액형 프라이머를 사용하더라도 경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서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를 가열한 상태에서 혼합하므로 프라이머층(301)의 경화를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301)이 경화되면 프라이머층(301) 위에 차선용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형성함으로써 차선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주제탱크 15: 경화제탱크
20: 제 1히팅부 25: 제 2히팅부
30: 공기압축기 35: 발전기
40: 노즐유닛

Claims (5)

  1. 삭제
  2. 이동가능한 차량에 설치되어 차선 시공을 위한 이액형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에 있어서,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탱크와;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탱크와;
    상기 주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주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1히팅부와;
    상기 경화제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경화제를 가열하기 위한 제 2히팅부와;
    상기 제 1히팅부와 제 1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히팅부와 제 2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주제 및 경화제를 혼합시켜 노면에 도포하는 노즐유닛과;
    상기 노즐유닛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노즐유닛과 연결되는 공기압축기;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제 1 및 제 2연결관과 각각 연결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각각 유입되는 주제유입실 및 경화제유입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주제가 통과하는 제 1유로가 형성된 제 1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경화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경화제가 통과하는 제 2유로가 형성된 제 2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유로와 연결되는 혼합실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분사로가 하단부까지 형성된 노즐팁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샤프트의 상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결합되는 니플이 설치된 캡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샤프트의 내부에는 상단부에서 상기 혼합실까지 이어지는 공기통로 및 상기 혼합실에서 하단부까지 연결되는 혼합유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실은 상기 이동샤프트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원형의 센터공간부와, 상기 이동샤프트의 일측면에서 상기 센터공간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유로와 상기 센터공간부를 연결하는 제 1사이드통로와, 상기 이동샤프트의 타측면에서 상기 센터공간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2유로와 상기 센터공간부를 연결하는 제 2사이드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사이드통로는 상기 제 1유로와 연결되는 제 1확대경부와, 상기 제 1확대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터공간부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축소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사이드통로는 상기 제 2유로와 연결되는 제 2확대경부와, 상기 제 2확대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터공간부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접선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축소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
  4. 삭제
  5. 주제탱크에 주제를 저장하는 주제저장단계와;
    경화제탱크에 경화제를 저장하는 경화제저장단계와;
    상기 주제탱크에 저장된 주제를 제 1히팅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경화제탱크에 저장된 경화제를 제 2히팅부로 유입시켜 경화제와 주제를 각각 가열하는 히팅단계와;
    상기 제 1히팅부를 통과한 주제 및 상기 제 2히팅부를 통과한 경화제 및 공기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차량에 설치된 노즐유닛으로 유입시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프라이머를 노면으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층의 경화 후 상기 프라이머층 위에 차선용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을 형성하는 차선도료도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유닛은 상기 제 1히팅부 및 제 2히팅부와 각각 연결되어 주제 및 경화제가 각각 유입되는 주제유입실 및 경화제유입실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주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주제가 통과하는 제 1유로가 형성된 제 1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경화제유입실에서 공급되는 경화제가 통과하는 제 2유로가 형성된 제 2연결카트리지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왕복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유로와 연결되는 혼합실이 형성된 이동샤프트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샤프트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는 분사로가 하단부까지 형성된 노즐팁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샤프트의 상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에어호스가 결합되는 니플이 설치된 캡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샤프트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20200148466A 2020-11-09 2020-11-09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227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66A KR102270845B1 (ko) 2020-11-09 2020-11-09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466A KR102270845B1 (ko) 2020-11-09 2020-11-09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845B1 true KR102270845B1 (ko) 2021-06-28

Family

ID=7660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466A KR102270845B1 (ko) 2020-11-09 2020-11-09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86B1 (ko) * 2022-08-11 2023-04-25 이종석 하도 프라이머 및 미끄럼 방지 도료를 동시 포설 가능한 미끄럼 방지 피복층 시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74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경풍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101953329B1 (ko) * 2018-08-17 2019-02-28 조규선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KR20190113002A (ko) 2018-03-27 2019-10-08 이우진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774A (ko) * 2004-06-08 2005-12-13 주식회사 경풍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20190113002A (ko) 2018-03-27 2019-10-08 이우진 차선도색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차량도색차량
KR101953329B1 (ko) * 2018-08-17 2019-02-28 조규선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886B1 (ko) * 2022-08-11 2023-04-25 이종석 하도 프라이머 및 미끄럼 방지 도료를 동시 포설 가능한 미끄럼 방지 피복층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845B1 (ko)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US7216782B2 (en) Dispenser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TWI272187B (en) Liquid drop emission method of orientation membrane, electric optical panel and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production method of electronic equipment, liquid drop emission device of program and orientation membrane, and electronic equipment
CA2605232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heating epoxy coatings for spray application
US3049439A (en) Internal mix catalyst type spray gun and process employing same
DE202013011666U1 (de) Hubkolbenpumpe mit elektromagnetischem Antrieb und Kunststoffumspritzung
CN101909765A (zh) 用于将催化剂引入到雾化涂料组合物中的装置
JPH04260460A (ja) 超臨界流体を希釈材として含むコーティングをオリフィスからスプレーすることによって適用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50102132A1 (en) Spray mixer for mixing and spraying at least two flowable components
KR101013934B1 (ko) 액체로켓 연소기의 분사기 헤드
KR850008502A (ko) 파이프의 라이닝 장치
CA2240033A1 (en) Multiple color painting apparatus
US20090152299A1 (en) Dispensing device having mixing function
US20190264401A1 (en) Ground striper pump piston having dual checks
US7025286B1 (en) Third stream automotive color injection
CN101567410A (zh) Led芯片的封装方法
US7215406B2 (en) Device for arranging liquid drops, electro-optical panel,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arranging liquid drops,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apparatus
KR20190051449A (ko) 차선 도색용 분사장비
EP1047534B1 (en) Mixing block for mixing multi-component reactive material coating systems and an apparatus using same
KR101387584B1 (ko) 도료 및 경화제를 정밀하게 혼합할 수 있는 혼합 파이프를 포함하는 차선 도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방법
US99316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heating epoxy coatings for spray application
KR102182425B1 (ko) 혼합비 차이가 큰 2액형 폴리우레탄 적용 인몰드 코팅을 위한 믹싱헤드
CN102202799A (zh) 用于将催化剂引入到雾化涂料组合物中的装置
KR200361657Y1 (ko) 순간 경화 차선도색이 가능한 차량 탑재용 차선 도색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색차량
KR101812276B1 (ko) 원형 돌출부 형성을 위한 2액형 상온경화형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