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329B1 -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 Google Patents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329B1
KR101953329B1 KR1020180095972A KR20180095972A KR101953329B1 KR 101953329 B1 KR101953329 B1 KR 101953329B1 KR 1020180095972 A KR1020180095972 A KR 1020180095972A KR 20180095972 A KR20180095972 A KR 20180095972A KR 101953329 B1 KR101953329 B1 KR 10195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chamber
waterproofing material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선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조규선
박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선, 박선규 filed Critical 조규선
Priority to KR102018009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before the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8Internal vibrators, e.g. needle vibrators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방수재 용융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고, 후면 상측에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의 하측 양측에 연소실을 각각 갖는 챔버; 이 챔버의 내부에서 연소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고체상의 도막방수재가 투입되는 호퍼와, 용융된 액상의 도막방수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슈트를 갖는 원통형의 용융탱크; 이 용융탱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도막방수재를 교반해주는 교반스크루; 각 연소실에서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용융탱크에 투입된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소정온도의 액상으로 용융시키는 복수의 버너; 교반스크루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도막방수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확실하게 용융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막방수재를 대량으로 용융시킬 수 있어 시공작업 중 용융횟수를 최소화시키고 용융불량으로 인한 도막방수층의 시공불량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막방수재 용융장치{Melting apparatus for coating film}
본 발명은 아스팔트 포장도로, 교량 및 건축물의 옥상 등에 방수층을 시공하기 위한 방수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시공부위에 균일하고 용이하게 도포 가능하도록 액체상으로 확실하게 용융시켜 줄수 있는 도막방수재 용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도로와 교량,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 토목 구조물의 경우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시공을 행하고 있다.
즉, 위와 같은 각종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할 경우,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 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가 가속화 될 뿐 아니라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고,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과 균열이 발생되어 내구성과 수명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 구조물의 안정성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바,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방수시공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토목 구조물의 방수공법에는 도막식 방수공법, 시트식 방수공법 및 매스틱 방수공법 등 여러 가지 방수공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중 작업성과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매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복잡한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방수능력에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도막식 방수공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막식 방수공법은 우레탄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아크릴 수지계 및 고무화 아스팔트계 등 사용되는 도막방수재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양한 공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 우레탄 방수 도막이다.
우레탄 방수 도막은 시공할 바닥을 정리한 뒤 접착제인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충분히 침투 건조시키고, 그 프라이머 위에 액상의 우레탄 수지를 롤러 등을 이용하여 도포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2∼3mm)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시키는 시공방법으로, 콘크리트 피도체에 대한 강력한 접착력과 탄력성 및 신축성으로 도막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크랙에 따른 저항력을 가지면서 우수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방수도막재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융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상의 방수도막재를 액상으로 용용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69030호를 들 수 있다.
이 기술은 용융탱크의 내부를 칸막이로 용융부와 수용부의 좌우 두 구역으로 구획하여 수용부에 이송스크루를 구비하고, 용융부의 상하 중간에 경사판을 설치하여 경사판 하측에 버너가 연소되는 연소실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융부에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투입하면, 투입된 도막방수재가 버너의 가열에 의해 용융되어 칸막이의 통과부를 통해 수용부로 흘러 들어가고, 이송스크류에 의해서 배출구를 통해 도포장치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로 유입된 액상 도막방수재의 용융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버너의 연소가스를 복잡한 순환경로를 통해서 이송스크류 주위로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도막방수재 용융장치는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도막방수재를 균일하고 확실하게 용융시키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용융 용량도 작아 시공을 위한 도막방수재를 대량으로 용융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용융장치는 용융탱크의 내부를 용융부와 수용부로 구획하고, 용융부를 다시 상하로 나눠 용융부의 상부에만 도막방수재를 투입하여 그 하부에서 버너로 가열 용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융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의 용량이 상당히 작아 시공 중에 용융작업이 반복적으로 요구될 수도 있으며, 도막방수재를 단순히 용융부에 투입하고 그 하부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투입된 도막방수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용융시키기도 어려운 것이다.
이는 결국 도막방수의 시공효율을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충분히 용융되지 못한 도막방수재가 도포장치로 배출되어 도막방수층의 시공불량을 초래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6903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도막방수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확실하게 용융시킬 수 있음은 물론 도막방수재를 대량으로 용융시킬 수 있어 시공작업 중 용융횟수를 최소화시키고 용융불량으로 인한 도막방수층의 시공불량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도막방수재 용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고, 후면 상측에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의 하측 양측에 연소실을 각각 갖는 챔버; 이 챔버의 내부에서 연소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고체상의 도막방수재가 투입되는 호퍼와, 용융된 액상의 도막방수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슈트를 갖는 원통형의 용융탱크; 이 용융탱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도막방수재를 교반해주는 교반스크루; 각 연소실에서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용융탱크에 투입된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소정온도의 액상으로 용융시키는 복수의 버너; 교반스크루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용융탱크의 배출슈트에 설치되어서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용융온도를 유지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챔버의 후면에 장착되어서 배출슈트를 통한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여 운전자가 도막방수재의 배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용융장치의 챔버는 고내열성의 내부 및 외부 패널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여 열손실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에 의하면, 원통형의 용융탱크 내부에 교반스크루를 구비하고 용융탱크의 하부 양측에 연소실을 구비하여 가열하는 바, 연소가스가 챔버내의 용융탱크를 완전히 감싸주면서 교반스크루가 도막방수재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확실하게 용융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막방수재의 용융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도막방수층의 시공불량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융탱크가 챔버의 내부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도막방수재를 대량으로 용융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막 시공 중 방수재의 용융횟수를 최소화시켜 시공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도 용이할 뿐 아니라 배출슈트에 히터가 구비되어서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용융온도를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는 바, 정확하고 용이한 도막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방수층 시공의 신속성과 안전성, 용이성 및 코스트 다운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4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발췌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1)는, 기본적으로 차량(V)의 적재함에 탑재되어서 방수층 시공현장으로 이동하며, 챔버(10), 용융탱크(20), 교반스크루(30), 구동수단(40) 및 버너(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챔버(10)는 육면체상으로 구성된다. 챔버(10)의 내부 하측 양쪽에는 용융탱크(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2개의 연소실(11)이 구비되고, 챔버(10)의 후면 상부 양측에는 후술한 버너(50)에 의해 각 연소실(11)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2)가 구비된다. 연소실(11)은 챔버(10)의 내부 전방쪽에 위치하여 발생된 연소가스가 챔버(10)의 내부 전체, 즉 후술한 용융탱크(20)의 둘레 전체를 감싸면서 배기되도록 한다.
이러한 챔버(10)는 수백도로 가열되는 연소실(11)을 내부에 구비하는 바,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도막방수재의 효율적인 가열을 위해 열손실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으므로 단열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챔버(10)는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부 및 외부 패널(13)(14) 사이에 내열성 단열재(15)를 개재한 구성을 갖는다.
용융탱크(2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챔버(10)의 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된다. 용융탱크(20)의 전후단은 자체적으로 막힌 구성을 가질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0)의 전면과 후면 내측에 의해 막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용융탱크(20)는 그 둘레에 연소실(11)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외한 챔버(10)의 내부공간 대부분을 차지한다.
용융탱크(20)의 상측에는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그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호퍼(21)가 챔버(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뚜껑(22)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용융탱크(20)의 후단 하측에는 용융된 액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트(23)가 챔버(10)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배출슈트(23)는 액상 도막방수재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적절히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단속밸브(24)를 구비하여 개폐된다. 이러한 배출슈트(23)는 챔버(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저온의 외기에 접촉하므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온도가 급속히 저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출된 도막방수재가 그의 원활한 도포에 필요한 용융온도에 미치지 못해 후속하는 도포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도포불량을 야기할 우려가 없지 않다.
이에 따라 배출슈트(23)에는 소정온도로 발열하는 히터(25)가 함께 구비되어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용융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스크루(30)는 용융탱크(20)의 내부에 중심방향으로 설치된다. 교반스크루(30)는 샤프트(31)의 외주에 복수의 교반날개(32)를 일정 간격으로 갖는다. 교반날개(32)는 샤프트(31)를 따라 회전하면서 도막방수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용융될 수 있도록 교반해 줄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예컨대 나선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샤프트(31)는 월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33)에 지지된다.
구동수단(40)은 교반스크루(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41)와, 이 모터(41)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로 감속시키는 감속기(42)와, 모터(41)의 회전축과 감속기(42)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제1체인유닛(43) 및 감속기(42)의 출력축과 교반스크루(30)의 회전축(31)을 연결하는 제2체인유닛(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너(50)는 2개가 구비되어 챔버(10)의 각 연소실(11)에 대응하도록 챔버(10)의 전면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 연소실(11)에 불꽃화염을 형성한다. 이러한 버너(50)는 예를 들어 챔버(10)의 전면 상부에 연료통(51)을 구비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받는다. 버너(50)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센서에 의해 적절히 제어되어 과열없이 설정된 소정의 용융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막방수재 용융장치는 차량(V)에 탑재되어 이동하면서 용융된 도막방수재를 배출하는 것인 바, 원활한 시공을 위해 운전자가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도막방수재 용융장치(1)는 챔버(10)의 후면에 배출슈트(23)에서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60)를 더 구비하고, 운전실(R)에는 카메라(6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방수층 시공을 야간에 진행할 경우에도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챔버(10)의 후면 양측에 램프(62)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부호 70은 구동수단(40)과, 용융온도 등 용융장치(1)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러이고, 80은 용융탱크(20)의 호퍼(21)에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투입하기 위해 챔버(10)의 상부로 올라갈 수 있게 해주는 사다리이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용융장치(1)는, 용융탱크(20)의 호퍼(21)를 열고 도막방수재를 용융탱크(20)내에 투입한 뒤 콘트롤러(70)를 통해 장치를 가동시키면, 버너(50)가 챔버(10)내에 설치된 각 연소실(11)에 화염불꽃을 발생시킴으로써 도막방수재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수단(40)이 작동됨으로써 용융탱크(20) 내에 설치된 교반스크루(3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용융탱크(20)내에 투입된 도막방수재가 교반스크루(30)에 의해 서서히 회전되면서 골고루 교반됨으로써 도막방수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용융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연소실(11)이 용융탱크(2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위치할 뿐 아니라 각 연소실(11)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챔버(10) 내에서 용융탱크(20)의 전 둘레를 감싸도록 지나면서 배기되게 되므로 도막방수재를 확실하게 용융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균일한 용융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렇게 용융된 액상의 도막방수재가 배출되는 배출슈트(23)에도 소정온도로 발열하는 히터(25)가 구비되어 있는 바, 배출되는 도막방수재도 충분한 용융온로 유지시킬 수 있어 후속하는 도포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또, 본 발명의 용융장치(1)는 융융탱크(20)가 챔버(10)의 내부공간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막방수재를 한 번에 대량으로 용융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층 시공작업 도중 도막방수재의 용융횟수를 최소화하여 보다 원활하고 신속한 시공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용융탱크(20)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메트캅토트리아졸 20중량%, 페트롤륨술포네이트 15중량%, 머캅토벤조티아졸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알루미늄 3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메트캅토트리아졸, 페트롤륨술포네이트 및 머캅토벤조티아졸은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배기구(12) 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챔버(10)의 둘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챔버(1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챔버(10)에 코팅되므로 챔버(10) 둘레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카메라(60)는 방진용 고무재의 홀더(도시안됨)에 결합되어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바, 고무재의 홀더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에 의해 카메라(6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홀더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상기 홀더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홀더의 수명이 증대된다.
10: 챔버 11 : 연소실
12: 배기구 20 : 용융탱크
21 : 호퍼 23 ; 배출슈트
24 : 단속밸브 25 : 히터
30 : 교반스크루 40 : 구동수단
50 : 버너 60 : 카메라
61 : 모니터 62 ; 램프
V : 차량 R : 운전실

Claims (4)

  1.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고, 후면 상측에 배기구를 가지며, 내부의 하측 양측에 연소실을 각각 갖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연소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고체상의 도막방수재가 투입되는 호퍼와, 용융된 액상의 도막방수재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슈트를 갖는 원통형의 용융탱크;
    상기 용융탱크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된 도막방수재를 교반해주는 교반스크루;
    상기 각 연소실에서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상기 용융탱크에 투입된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소정온도의 액상으로 용융시키는 복수의 버너;
    상기 교반스크루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탱크의 배출슈트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액상 도막방수재의 용융온도를 유지시키는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챔버의 후면에 장착되어서 상기 배출슈트를 통한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차량의 운전실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는 고내열성의 내부 및 외부패널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며;
    챔버(10)의 내부 하측 양쪽에는 용융탱크(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2개의 연소실(11)이 구비되고, 챔버(10)의 후면 상부 양측에는 후술한 버너(50)에 의해 각 연소실(11)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12)가 구비되며;
    용융탱크(20)의 상측에는 고체상의 도막방수재를 그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호퍼(21)가 챔버(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뚜껑(22)에 의해 개폐되고;
    배출슈트(23)는 액상 도막방수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단속밸브(24)를 구비하여 개폐되며;
    교반스크루(30)는 용융탱크(20)의 내부에 중심방향으로 설치되고, 샤프트(31)의 외주에 복수의 교반날개(32)를 일정 간격으로 가지며, 샤프트(31)는 회전을 위해 베어링(33)에 지지되고;
    구동수단(40)은 모터(41)와, 이 모터(41)의 회전수를 소정의 회전수로 감속시키는 감속기(42)와, 모터(41)의 회전축과 감속기(42)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제1체인유닛(43) 및 감속기(42)의 출력축과 교반스크루(30)의 회전축(31)을 연결하는 제2체인유닛(44)으로 구성되며;
    방수층 시공을 야간에 진행할 경우에도 액상 도막방수재의 배출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챔버(10)의 후면 양측에 램프(62)가 구비되고;
    카메라(60)는 방진용 고무재의 홀더가 결합되어서 차량에 장착되며, 상기 고무재의 홀더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홀더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하여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95972A 2018-08-17 2018-08-17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KR10195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72A KR101953329B1 (ko) 2018-08-17 2018-08-17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972A KR101953329B1 (ko) 2018-08-17 2018-08-17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329B1 true KR101953329B1 (ko) 2019-02-28

Family

ID=6558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972A KR101953329B1 (ko) 2018-08-17 2018-08-17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3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833A (zh) * 2019-04-16 2019-07-12 冯丛 一种土木工程桥梁施工用的防止堵漏装置
CN110029581A (zh) * 2019-04-17 2019-07-19 孙小燕 一种桥梁建设用水泥浇筑设备
CN111022105A (zh) * 2019-12-11 2020-04-17 江西维尔安石环保科技有限公司 生物液膜综合矿山抑尘系统及装置
CN112576041A (zh) * 2020-12-13 2021-03-30 福州市第三建筑工程公司 微振注浆棒
KR102270845B1 (ko) * 2020-11-09 2021-06-28 신장훈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KR102592062B1 (ko) * 2023-04-27 2023-10-23 우백건설 주식회사 간접가열 용융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시공방법
CN117380045A (zh) * 2023-12-13 2024-01-12 天津盛达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粉末涂料加工用原料添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5719A (ja) * 2005-07-15 2007-04-26 Kinsei Sangyo:Kk アスベスト溶融処理装置
KR100729148B1 (ko) * 2006-06-01 2007-06-18 유석준 방수재 도포장치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5719A (ja) * 2005-07-15 2007-04-26 Kinsei Sangyo:Kk アスベスト溶融処理装置
KR100729148B1 (ko) * 2006-06-01 2007-06-18 유석준 방수재 도포장치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4833A (zh) * 2019-04-16 2019-07-12 冯丛 一种土木工程桥梁施工用的防止堵漏装置
CN110029581A (zh) * 2019-04-17 2019-07-19 孙小燕 一种桥梁建设用水泥浇筑设备
CN111022105A (zh) * 2019-12-11 2020-04-17 江西维尔安石环保科技有限公司 生物液膜综合矿山抑尘系统及装置
KR102270845B1 (ko) * 2020-11-09 2021-06-28 신장훈 차선 시공용 이액형 프라이머의 급속경화 도포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로의 차선 시공방법
CN112576041A (zh) * 2020-12-13 2021-03-30 福州市第三建筑工程公司 微振注浆棒
KR102592062B1 (ko) * 2023-04-27 2023-10-23 우백건설 주식회사 간접가열 용융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시공방법
CN117380045A (zh) * 2023-12-13 2024-01-12 天津盛达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粉末涂料加工用原料添加装置
CN117380045B (zh) * 2023-12-13 2024-02-20 天津盛达新材料有限公司 耐高温粉末涂料加工用原料添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329B1 (ko)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KR100671412B1 (ko)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101820380B1 (ko)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 균열 및 파손 보수재,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덧씌우기 공법
KR101881049B1 (ko)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964680B1 (ko)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시공방법
WO2005115736A2 (en) Process for coating modified bitumen membranes using reflective laminate coatings
FR2525227A1 (fr) Composition d'etancheite et composition et bande adhesives pour membranes de couverture
CA2762672C (en) Solvent-based surface coating
EA014781B1 (ru) Геотех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870122B1 (ko) 탄성복합화합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탄성화합물 교반장치, 탄성복합화합물 및 우레탄을 이용한 복합방수방법
WO2009095476A1 (fr) Utilisation d'un mélange exothermique pour la fabrication d'un enrobe bitumineux
WO2005116125A2 (en) Process for coating modified bitumen membranes using powder coatings
KR101557134B1 (ko)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9426B1 (ko) 파쇄기를 갖는 신축 이음용 매스틱 아스팔트 재료 혼합 장치 및 혼합 방법
EP3617279A1 (en) Bridge deck waterproofing apparatus, waterproof coating method, waterproof coating material applied by bridge deck waterproofing apparatus, and coating layer comprising same waterproof coating material
FI102256B (fi) Menetelmä rakenteen saattamiseksi vedenpitäväksi sekä siinä käytettävä laminaatti
KR102377639B1 (ko) 라돈 차단용 아스팔트 프라이머 조성물
KR102173551B1 (ko) 천연 아스팔트를 활용한 저비용 고성능 도막식 교면방수 조성물의 교면방수층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170023B1 (ko) 방수시트 조인트 접합용 복합 알루미늄 테이프
CN109181326A (zh) 高粘性高弹性的改性沥青
KR101770212B1 (ko) 친환경 폐아스콘 재생설비
US8901229B2 (en) Roof coating containing paint and method of making
KR20030031369A (ko)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KR102193983B1 (ko) 탄성복합화합물을 이용한 바닥보수방법 및 이를 위한 탄성복합화합물 분사장치
KR102592062B1 (ko) 간접가열 용융기 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