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369A -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 Google Patents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369A
KR20030031369A KR1020010063463A KR20010063463A KR20030031369A KR 20030031369 A KR20030031369 A KR 20030031369A KR 1020010063463 A KR1020010063463 A KR 1020010063463A KR 20010063463 A KR20010063463 A KR 20010063463A KR 20030031369 A KR20030031369 A KR 2003003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ing
waterproof
forming
waterproof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4166B1 (ko
Inventor
임기채
Original Assignee
임기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기채 filed Critical 임기채
Priority to KR10-2001-006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16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적외선 방출물질과 무독성 물질을 혼합된 방수도료를 토목, 건축, 상수도, 하수도 및 고도의 정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담수 부위에 도포하므로 방수기능은 물론 항균작용과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작용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철근 및 구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METHOD FOR CARRYING OUT WATER-PROOF AND USING THEREOF WATER-PROOF MATERIAL}
본 발명은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적외선 방출물질과 무독성 물질을 혼합된 방수도료를 토목, 건축, 상수도, 하수도 및 고도의 정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담수 부위에 도포하므로 방수기능은 물론 항균작용과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작용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철근 및 구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수밀성과 강도와 하중 그리고 충격 등에 의한 균열로 인해 방수의 개념은 대두되었고, 이러한 방수의 형태는 토목 또는 건축물에 있어서 지붕, 실내, 수조류 및 지하 방수로 분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방수 시공을 행하여 오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수 시공은 콘크리트를 숙성시키는 과정에서 방수액을 첨가하여 방수를 하거나, 방수액을 이용하여 적층 후에 시트 등을 이용하여 마감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 시공은 냄새가 발생되고, 화기의 위험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방수층의 노후 현상에 의한 방수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시트 등을 이용하여 방수를 하는 경우 시트가 떨어져 나가게 되어 부분적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되고, 지붕의 콘크리트가 진동이나 지각의 뒤틀림 등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방수의 효과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수 시공에 의하면, 약 1년 내지 2년 정도 후에 부분적으로 다시 방수를 해야하고, 이러한 보수 공사에 의해서도 누수 되는 부분을 완전하게 방수처리를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통상의 무기질계 방수 도료제는 시멘트와 모래 및 메칠셀로즈분말(접착제) 등을 혼합하여 물이나 수용성 접착제로 도포하는 방수기능만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구조물 등은 기존의 무기질계 방수 도료제로는 물이나 슬러지 담수 부위에 항균작용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 세균이 달라붙어 번식되므로 인해 물의 탁도나 냄새 및바이러스 등 독소부유물질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출물질과 무독성 물질로 혼합된 방수도료를 토목, 건축, 상수도, 하수도 및 고도의 정수처리시설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담수 부위에 도포하므로 방수기능은 물론 항균작용과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작용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또한 철근 및 구체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방수공법에 있어서, 구조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방수제가 도포될 부위를 고르게 하는 단계; 40%의 옥 파우더, 20%의 규사, 30%의 포오틀랜드 시멘트, 3%의 메틸셀로우즈 및 7%의 옥 사이드로 구성되는 무기질 재료의 주재와 20%의 S.B.R 라텍스, 20%의 E.V.A 접착재, 3%의 소디움벤조나이트 및 57%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유기질 재료의 경화재를 구조체의 표면 균열 부위와 조인트 부위에 충진하여 표면이 평활하게 되도록 고름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름층(110)의 상부면에 상기 경화재만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120)의 상부에 경화재와 주재가 혼합된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방수층(130)이 형성되고 약 30분이 경과한 후에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2차 방수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제의 혼합비는 주재가 4.5kg/m2이고, 경화재가 2.35kg.m2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특징은 방수제에 있어서, 방수제는 경화재와 주재의 혼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재는 40%의 옥 파우더, 20%의 규사, 30%의 포오틀랜드 시멘트, 3%의 메틸셀로우즈 및 7%의 옥사이드로 구성되는 무기질 재료이고, 경화재는 20%의 S.B.R 라텍스, 20%의 E.V.A 접합재, 3%의 소디움벤조나이트 및 57%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유기질 재료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여기서, 주재와 경화재의 혼합비는 주재가 4.5kg/m2이고, 경화재가 2.35kg.m2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되는 방수층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방수층 110 ... 고름층
120 ... 접착층 130 ... 1차 방수층
140 ... 2차 방수층 200 ... 콘크리트
210 ... 균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공법에 의해 시공된 방수층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층(100)의 구성은 콘크리트(200)의 표면에 일차로 형성되는 고름층(110)과 고름층(110) 위에 순차로 형성되는 접착층(120), 1차 방수층(130) 및 2차 방수층(140)으로 이루어지며, 부가적인 콘크리트의 배합이나 이음새가 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재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주재와 경화재의 2액형 재료로 이루어지며, 재료의 구성에 있어서 주재는무기질계로 옥과 규사 및 포틀랜드 시멘트와 메칠셀로우즈 접착 강화재를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경화재는 수용성의 액상형으로 S.B.R 라텍스와 E.V.A, 그리고 소디움벤죠나이트 및 옥사이드와 증류수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수제는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을 갖는 주재와 경화재를 혼합하여 콘크리트의 구조물이나 몰탈부위에 평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포되어 방수효과와 원적외선 방출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의 무균, 무취, 무독성 등의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수제의 주재의 구성성분인 옥은 40℃의 분광방사율을 기준으로 할 때 전방사율이 약 0.9 내지 0.93이 되고, 규사의 전방사율은 0.7 내지 0.75가 된다.
그리고, 상기 무기질 재료로 구성되는 주재의 성분비는 다음과 같다.
옥(파우더) 40%
규사 20%
포오틀랜드 시멘트 30%
메틸셀로우즈 3%
옥 사이드 7%
또한 상기 유기질 재료로 구성되는 경화재의 성분비는 다음과 같다.
S.B.R 라텍스 20%
E.V.A 접합재 20%
소디움벤조나이트 3%
증류수 57%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계 방수 도료제는 방수기능을 주목적으로 시공되는 기존의 방수 도료제와는 달리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방수제로 담수부위의 방수와 항균작용 및 세균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작용과 콘크리트의 노화방지, 그리고 부유물질의 침투로 인한 철근의 부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방수 도료제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해 시공되게 된다.
우선 방수처리를 필요로 하는 구조체(콘크리트(200))의 표면에 먼지나 기름, 또는 레이탄스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 후에 구조체의 표면 또는 조인트 부위나 균열부위(210) 등을 치핑처리하여 방수제가 도포될 부위를 고르게 한다.
그 후에 방수제의 주재를 경화재와 혼합하여 균열부위와 조인트 부위 등에 충진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되도록 보강처리를 하여 고름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처리되어 형성되는 고름층(110)의 상부면에는 접착층(120)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접착층(120)은 경화재만 이용하여 형성되게 되며, 이후 형성되는 1차 방수층(130)과 2차 방수층(140)이 완전하게 도포되어 구조체로부터 들뜨는 형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접착층(120)은 S.B.R 라텍스, E.V.A 접합재, 소디움벤조나이트 및 증류수로 구성되는 경화재를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구조체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120)의 상부에는 1차 방수층(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1차 방수층(130)은 경화재와 주재를 표준 배합비로 혼합하여 붓이나 흙손으로 평활한 표면이 형성되게 도포 된다.
이와 같이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한 후에 약 30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2차 방수층(140)을 형성하게 된다. 즉, 경화재와 주재를 표준 배합비로 혼합하여 붓 또는 흙손을 이용하여 평활한 표면이 형성되게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경화재는 방수층(100)이 시간이 경과되어 마모되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또한 구조체의 표면에 발생되는 균열 등의 부위를 매우게 되어 구조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층을 형성하는 시공에 있어서, 콘크리트(200)의 표면을 완전이 건조된 경우 방수층의 도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물을 살포하여 표면이 습윤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에 시공해야 하며, 또한 기온이 0℃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시공을 중단하여야 한다.
그리고 방수제의 보관은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을 하여야 하고 동절기에는 경화재가 얼지 않도록 충분한 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기존의 방수시공과 비교를 하여 보면, 종래의 방수재를 이용하여 양어장의 내부 구조물을 방수하는 경우 통상의 에폭시를 2 내지 3회 정도 도포하여 도막의 두께가 약 01.m/m 내지 0.2m/m가 되어 내구 시한이 약 6개월 정도의 수명을 갖게 된다. 상기 기간 내에 다시 방수재를 도포하지 않는 경우 시멘트의 유동성과 부유물질의 접착 및 유해균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어들의 성장과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또한 염수로 인하여 구조물 자체의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시공방법과 방수재를 이용하여 양어장의 내부 구조물을 방수하는 경우에는 방수재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산소의 원할한 공급과 치어들의 성장을 정상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고, 또한 방수 도막이 약 3m/m 내지 4m/m로 되어 내구 시한이 약 10년 내지 15년 정도가 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방수 도막층에 비하여 충분한 두께의 도막층이 형성되어 장기간 동안 방수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되고, 또한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치어들의 성장을 정상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는 기존의 방수효과는 물론 세균번식을 방지하여 항균효과를 갖게 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독소 부유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구조체에 담수되는 정화된 물에 세균번식이 방지되므로 인해 물의 자체 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방수공법에 있어서,
    구조체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방수제가 도포될 부위를 고르게 하는 단계;
    40%의 옥 파우더, 20%의 규사, 30%의 포오틀랜드 시멘트, 3%의 메틸셀로우즈 및 7%의 옥 사이드로 구성되는 무기질 재료의 주재와 20%의 S.B.R 라텍스, 20%의 E.V.A 접합재, 3%의 소디움벤조나이트 및 57%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유기질 재료의 경화재를 구조체의 표면 균열 부위와 조인트 부위에 충진하여 표면이 평활하게 되도록 고름층(11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름층(110)의 상부면에 상기 경화재만으로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층(120)의 상부에 경화재와 주재가 혼합된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방수층(130)이 형성되고 약 30분이 경과한 후에 1차 방수층(130)을 형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2차 방수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방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제의 혼합비는 주재가 4.5kg/m2이고, 경화재가2.35kg.m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 방수 방법.
  3. 방수제에 있어서, 방수제는 경화재와 주재의 혼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재는 40%의 옥 파우더, 20%의 규사, 30%의 포오틀랜드 시멘트, 3%의 메틸셀로우즈 및 7%의 옥 사이드로 구성되는 무기질 재료이고, 경화재는 20%의 S.B.R 라텍스, 20%의 E.V.A 접합재, 3%의 소디움벤조나이트 및 57%의 증류수로 구성되는 유기질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재와 경화재의 혼합비는 주재가 4.5kg/m2이고, 경화재가 2.35kg.m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제.
KR10-2001-0063463A 2001-10-15 2001-10-15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KR10047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63A KR100474166B1 (ko) 2001-10-15 2001-10-15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63A KR100474166B1 (ko) 2001-10-15 2001-10-15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369A true KR20030031369A (ko) 2003-04-21
KR100474166B1 KR100474166B1 (ko) 2005-03-08

Family

ID=2956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463A KR100474166B1 (ko) 2001-10-15 2001-10-15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828B1 (ko) * 2002-03-12 2005-01-17 영진콘크리트(주) 시멘트 콘크리트 철근의 부식 방지를 위한 폴리머시멘트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978B1 (ko) 2008-05-27 2008-10-16 재신건설(주) 중성화 및 염해 복합열화 방지기능을 갖는 무기계 방수방식재
KR101599792B1 (ko) 2015-05-08 2016-03-04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친환경 수성 세라믹 방수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794B1 (ko) 2015-05-12 2016-03-04 주식회사 엔씨페인트 친환경 무기계 침투형 방수제
KR101886179B1 (ko) 2016-10-05 2018-08-07 임기채 세라믹 방수공법 및 방수재
KR102004215B1 (ko) * 2017-09-08 2019-07-30 임기채 세라믹 몰탈 방수·방식 재료를 이용한 구조물 단면복구공법
KR20200134075A (ko) 2019-05-21 2020-12-01 (주)다나티앤씨 모듈형 엘이디 램프를 갖는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0989B1 (ko) * 2000-03-20 2002-04-10 송복헌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349234B1 (ko) * 2000-03-30 2002-08-19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절연 필름을 이용한 방수구조
KR20020001916A (ko) * 2000-05-23 2002-01-09 양봉회 무기질계 수성경화용 도포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94748B1 (ko) * 2001-04-03 2003-08-14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통기성 탄성모르타르 도막방수재
KR100426899B1 (ko) * 2001-04-27 2004-04-13 임기채 옥상방수 공법
KR20020083340A (ko) * 2001-04-27 2002-11-02 임기채 주거용 건축물 지붕 방수시공법
KR100448474B1 (ko) * 2001-09-03 2004-09-16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합성수지 패드와 이를 이용한 방진, 방음 및 방수의다기능화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828B1 (ko) * 2002-03-12 2005-01-17 영진콘크리트(주) 시멘트 콘크리트 철근의 부식 방지를 위한 폴리머시멘트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4166B1 (ko)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87B1 (ko) 열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단면복구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복구공법
KR101773799B1 (ko) 방수코팅제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1528120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422206B1 (ko) 고성능 유동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공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31158B1 (ko) 인산계 세라믹 조성물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 및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1634367B1 (ko) 수지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법
KR100749926B1 (ko) 굴 껍질을 이용한 내진형 섬유보강 모르타르 및 자동수평재
KR101802698B1 (ko)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도로 측구 및 도막 바닥 보수보강 공법
KR101663690B1 (ko) 도로 측구 및 소파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891567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방법
KR101621199B1 (ko)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용 초속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측구 콘크리트 및 도로 소파부 보수 보강 시공 방법
KR1018441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CN1163919A (zh) 单组分无机防水剂
JP2018203582A (ja) 防水材
KR100474166B1 (ko) 세라믹 방수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방수제
JP201317043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KR10155623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769923B1 (ko) 나노 폴리머 무기질계 방균성 도포방수재 및 그복합방수공법.
KR101172808B1 (ko) 섬유시트와 푸쉬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공법
KR101935721B1 (ko)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의 균일 분사 및 재료 분리 방지 성능이 향상된 분사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공법
KR102351177B1 (ko) 단면보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598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102249B1 (ko) 방청 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EP0084951B1 (en) Preventing carbonation in concrete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