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049B1 -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049B1
KR101881049B1 KR1020180047812A KR20180047812A KR101881049B1 KR 101881049 B1 KR101881049 B1 KR 101881049B1 KR 1020180047812 A KR1020180047812 A KR 1020180047812A KR 20180047812 A KR20180047812 A KR 20180047812A KR 101881049 B1 KR101881049 B1 KR 10188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adhesive
fiber net
roll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혜
Original Assignee
조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혜 filed Critical 조정혜
Priority to KR102018004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프레임과; 상기 차량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로 도막방수제를 공급하는 도막제공급부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막제공급부에 의해 도막방수제가 공급된 콘크리트 슬래브로 반사균열보강재를 공급하는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균열보강재는, 상기 도막방수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직포와; 상기 제1부직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직포와; 상기 제1부직포와 상기 제2부직포 사이에 접착되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재설치롤러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상기 제1부직포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롤러와; 상기 차량프레임에 상기 제1부직포공급롤러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섬유망이 위치되게 상기 섬유망을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하는 섬유망공급롤러와;상기 섬유망공급롤러의 일측에 상기 섬유망의 상부에 상기 제2부직포가 위치되게 상기 제2부직포를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러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망의 공급경로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WATER PROOFING APPARATUS FOR BRIDGE AND WATER PROOFING METHOD USING REFLECTION CRACK STIFFNER}
본 발명은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제1부직포, 섬유망, 제2부직포를 일체화시킨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포장의 반사균열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증진하여 방수성능을 개선시킨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건설이 시작된 이래 도로 포장의 경우 아스팔트 포장(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차량의 대형화와 중량화로 인해 포장 수명이 상대적으로 짧은 아스팔트 포장 대신 콘크리트 포장(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포장은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하지만 노면의 평탄성 확보가 어렵고, 교통 소음 및 빛에 대한 반사가 심하여 운전에 방해를 주며, 투수성으로 인해 염화물이 내부로 침투할 경우 철근 부식을 유발하여 콘크리트 표면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내구성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반면, 아스팔트 포장은 외관이 곱고 티끌이나 먼지가 적으며 방수성이 좋은 점, 양생 기간이 짧아 시공속도가 빠르고 시공비가 저렴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점, 소음 및 진동이 적다는 점 등 여러 이점 때문에 널리 시공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는 평탄성이 우수하므로 표면저항 및 타이어와의 마찰이 적고,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어느 정도 흡수하므로 승차감이 좋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 포장은 온도나 하중에 대해 소성변형이 심하여 균열이나 노면 변형 등이 쉽게 발생하고, 이질적인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 재료의 사용, 투수나 온도 변화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들뜸, 박리, 균열 등이 발생하므로 잦은 보수공사가 요구된다.
특히, 아스팔트 포장은 교통하중에 의한 충격, 기상변화, 우수와 제설용 염화물의 침투 등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고, 소성변형 및 포트홀(pot hole)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손상시 차량의 쾌적한 주행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아스팔트 포장 도로의 아스팔트 포장층은 하부층(기층)으로 선 시공된 시멘트 콘크리트 층 위에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컨대 교량 노면 시공의 경우 스틸 박스와 같은 하부 구조물 위에 시공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표면에, 그리고 일반 토공 도로의 경우 골재층 위 소정 두께로 시공된 콘크리트 면 위에 시공된다.
이때, 도로의 상부층(표층/마모층)을 이루는 아스팔트 포장층은 하부층인 콘크리트 면에 전달되는 하중과 충격을 흡수하고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데,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거나 우수나 차량 하중의 영향을 받게 되면 쉽게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접합재인 아스팔트가 자외선(UV)에 의해 산화되면서 골재들이 탈리되거나 균열을 통해 물이 침투하게 되면서 노면 곳곳에 포트홀이 형성되거나, 하중에 의해 아스팔트 포장이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을 걷어내고 하부층인 콘크리트 면 위에 아스팔트 포장을 새로이 시공하는데, 아스팔트 포장의 잦은 보수와 재포장으로 인해 상당한 경제적 비용이 낭비되고 있다.
이에 아스팔트 포장의 균열 억제 및 내구성 증대, 수명 연장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스팔트 포장의 균열은 축하중에 의한 응력, HMA(Hot Mix Asphalt) 표층의 온도 변화, 하부층의 수분 및 온도 변화와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피로, 저온, 종방향, 블럭형, 반사 및 활동 등에 의한 균열이 많고, 특히 피로균열, 반사균열, 미끄럼균열로 인한 아스팔트 파손이 쉽게 발생한다.
피로균열은 포장 구조상 너무 과중한 하중이나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여 생기는 균열로, 균열 모양이 거북등 모양과 비슷하기 때문에 거북등 균열이라고도 부르며, 아스팔트 포장이 축하중 작용으로 피로수명까지 반복적인 응력을 받았을 때 보통 나타난다.
반사균열은 재료의 강도를 초과하는 HMA 표층의 응력을 일으키는 하부층의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표층을 통해 하중이 가해질 때 이 하중이 하부층의 콘크리트에 의해 반사되어 표층에 작용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미끄럼균열은 보통 HMA 표층(상부층)과 콘크리트 기층(하부층) 사이의 부실한 접착 때문에 발생하며, 자동차의 제동, 회전 혹은 가속이 있는 지역에서 잘 발생한다.
이러한 피로균열, 반사균열, 미끄럼균열 등은 아스팔트 포장의 대표적인 균열로서, 포장의 내구성을 크게 저하시켜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을 단축하고, 재포장 및 보수공사 횟수를 늘리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아스팔트 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는 시멘트 콘크리트와 달리 도로 포장재로 사용하기 위해 시멘트 대신 아스팔트를 결합재(접합재)로 사용하여 골재(모래, 자갈, 쇄석 등)를 첨가한 혼합물이다.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의 혼합물은 내구성, 수밀성, 전단에 대한 저항성 등이 필요하고, 도로 토공 구간의 처짐이나 지반 침하 등에 의한 추종성이 커야 하며, 아스팔트 접합재의 함량이 기준 이상으로 사용되어야만 골재의 접착성이 강하게 되어 소성변형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교통하중, 차량 윤하중(축하중)으로 인한 아스팔트 포장의 균열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통상 반사균열의 경우 덧씌우기 두께를 두껍게 하여 반사균열의 발생을 지연시키는 유지보수 정도가 널리 행하여 지고 있다.
더욱이, 균열을 통해 하부층과의 공간으로 물이 침투하여 체류수가 존재하게 되면 차량 하중으로 인해 아스팔트 포장이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스팔트로부터 떨어진 골재들이 콘크리트 면을 치게 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갈 수 있는데, 이러한 균열을 통해 하부층인 콘크리트(교량의 콘크리트 슬래브) 내부로 물이 침투하게 되면 구조적으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부층의 콘크리트 면 위에 방수층을 적층한 뒤 그 위에 아스팔트 포장을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사이에 응력 및 변형을 흡수할 수 있고 차량 윤하중으로 인한 수평, 수직 하중에 대응할 수 있는 얇은 층을 두는 것이며, 이 방수층이 응력 및 변형, 하부층의 수평 거동을 흡수하여 균열의 발생을 최소화시키면서 균열이 발전해나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거나 지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방수층은 방수 기능과 더불어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하고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를 동시에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보강 기능의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하부층의 콘크리트 면에 실런트(sealant)(도막방수제)를 포설하고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도막식, 상온형 액체를 콘크리트 면에 도포하는 침투식, 그리고 실런트에 부직포를 함침한 시트(sheet)를 하부층에 깔고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시트식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도막식은 실런트를 고온으로 녹여 교량 등의 콘크리트 면 위에 소정 두께(예, 대략 2 mm)로 포설하고 그 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식으로, 실런트만을 포설하는 방식과, 실런트를 포설한 뒤 메쉬를 깔고 그 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방수 공법이 아스팔트 포장의 균열이나 변형을 줄이는데 어느 정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방수층이 반사균열 등을 컨트롤하고 억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차량의 급제동시 하중이 방수층에 전달되어 실런트를 눌러주게 되면 실런트가 비록 얇은 두께이나 하중을 받아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메쉬가 추가로 시공된 경우에도 메쉬가 하중을 어느 정도 지지하고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방수층이 균열 억제 등의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기에는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등록특허 제1189549호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면의 아스팔트 포장 시공시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고, 도막방수제 상에 반사균열보강재를 결합시켜 아스팔트 포장의 반사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막방수제 도포와 반사균열보강재 설치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는,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프레임과; 상기 차량프레임의 선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로 도막방수제를 공급하는 도막제공급부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막제공급부에 의해 도막방수제가 공급된 콘크리트 슬래브로 반사균열보강재를 공급하는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균열보강재는, 상기 도막방수제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직포와; 상기 제1부직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직포와; 상기 제1부직포와 상기 제2부직포 사이에 접착되는 섬유망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상기 차량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재설치롤러와; 상기 차량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상기 제1부직포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롤러와; 상기 차량프레임에 상기 제1부직포공급롤러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직포의 상면에 상기 섬유망이 위치되게 상기 섬유망을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하는 섬유망공급롤러와;상기 섬유망공급롤러의 일측에 상기 섬유망의 상부에 상기 제2부직포가 위치되게 상기 제2부직포를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러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설치롤러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망의 공급경로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망은 유리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PVP(Polyvinyl Pyrrolidone)에 고무, 헥산, 케톤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도막방수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SBS 고무, 폴리머 합성수지, 오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공급부는, 상기 접착제가 저장되는 접착제저장조와; 상기 접착제저장조의 하부에서 상기 섬유망의 공급경로로 연장형성되는 접착제공급관과; 상기 접착제공급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섬유망으로 접착제를 분사하는 접착제공급노즐과; 상기 접착제공급노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제공급노즐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분사된 접착제를 상기 섬유망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브러쉬와; 상기 접착제공급노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섬유망에 분사된 접착제의 도포두께를 조절하는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로 방수도막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섬유망을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되는 섬유망의 전후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섬유망의 전후면으로 제1부직포와 제2부직포를 각각 공급하여 반사균열보강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수도막제의 상부로 상기 반사균열보강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사균열보강재 상부에 아스팔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와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은 제1부직포와 섬유망 및 제2부직포가 일체로 결합된 반사균열보강재를 도막방수제에 일체로 결합시켜 방수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교면 도로는 우수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아스팔트 포장층 간의 부착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부직포와 제2부직포가 섬유망과 일체로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아스팔트의 반사균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프레임에 도막방수제도포부와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차량프레임을 이동하며 자동으로 도막방수제공급과 반사균열보강재공급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교면도막 방수시공에 소용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의 도막방수제의 조성비를 나타낸 도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의 도막방수제도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의 접착제공급부의 구성과 동작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10) 상에 도막방수제(20)를 포설하여 도막방수제층을 형성하고, 도막방수제(20) 상에 반사균열보강재(3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반사균열보강재(30) 위에 아스팔트(40)를 타설한다.
콘크리트 슬래브(10)는 도로의 베이스층을 이루는 일종의 골격층으로서, 본래 타설된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구조적 결함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콘크리트 슬래브(10) 위쪽에 방수층을 사이에 두고 포장되는 아스팔트 포장층(40)이 차량 주행에 따른 반복하중 등으로 인하여 균열 또는 훼손됨에 따라, 도막방수제층도 함께 균열 내지 훼손되어, 결국 우수 등이 도막방수제층을 지나서 콘크리트 슬래브로 침투하게 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가 노후될 수 밖에 없다.
이에, 아스팔트 포장층 및 도막방수제층이 균열 내지 훼손되거나, 콘크리트 슬래브가 노후되면, 안전을 위하여 도로 보수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도막방수제(20)에 반사균열보강재(30)를 일체로 적용한다. 이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방수성능을 증대하는 동시에 균열 방지 및 내구성 증대를 위한 보강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10)에 대한 아스팔트 포장층(40)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반사균열보강재(30)는 제1부직포(31) 위에 섬유망(33)을 일체로 결합시키고, 섬유망(33) 위에 제2부직포(35)를 일체로 결합시켜 형성된다.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는 접착제(37)에 의해 섬유망(33)에 일체로 결합된다.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는 1헤베당 20g~100g의 무게를 가진 제품을 사용한다. 섬유망(33)은 유리섬유망으로 인장강도 30kn~60kn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는 제품을 사용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도막방수제(20)는 가열형의 아스팔트 고무계로 구비된다. 도막방수제(20)의 조성물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SBS고무, 폴리머 합성수지, 오일 탄산칼슘이다. 도막방수제 조성물의 혼합비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5%~60%, SBS고무 15%~20%, 폴리머 합성수지 5%~10%, 오일 10%~15%, 탄산칼슘 5%의 조성비율을 가지고 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비유화 아스팔트를 사용한다. 콘크리트의 슬래브 균열 발생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균열부에 침투하여 채움재 역할을 하면서 방수 기능을 확보하며 도막의 두께를 결정한다.
SBS 고무는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이며, 열경화성 탄성 중합체이다. SBS 고무는 교량의 풍하중, 차량의 진동, 충격, 제동 하중에 의한 윤하중, 교량 케이블에 의한 진동 등 아스팔트 포장표면의 진동에 의한 탄성력 확보 및 유연성을 확보하여 진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폴리머 합성수지는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중 2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합성수지는 고무 제품과 동일한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계적 강도, 광택, 표면강도가 좋고, 화학적·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수지이다. 또한, 폴리머 합성수지는 내충격성, 투명성, 내열성이 우수하여 SBS 고무와 혼합 및 용융이 우수하며 고분자 물질 가운데 점성이 있고 굳어질 수 있는 고체 형태이다.
오일은 실리콘 오일 및 피마자오일를 3:7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오일은 중합도가 비교적 낮은 액체 상태의 규소수지로서 응고점이 낮고 온도에 따른 점성의 변화가 적어 다른 재료와 배합이 가능하여 재료의 방수기능, 유연성 및 유동성을 확보하여 재료의 흐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방수제(20)는 준비1~준비6까지 6종류로 분류하여 각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상이하게 준비될 수 있다. 도막방수제(20)는 포설되는 교량의 상태에 따라 조성비율을 상이하게 하여 준비할 수 있다.
반사균열보강재(30)는 도막방수제(20)와 제1부직포(31),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가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콘크리트 슬래브에 대한 도막방수층의 방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 포장 면에서 전달되는 윤하중을 도로 종횡방향으로 분산시키고, 반사균열, 피로균열, 미끄럼균열에 저항하여 아스팔트 포장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도막방수제(20)와 복수겹의 부직포(31,35)가 결합되므로 도막방수제(20)를 보호하여 도막방수제층이 밀리거나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37)는 섬유망(33)에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가 접착될 수 있게 한다. 접착제(37)는 PVP(Polyvinyl Pyrrolidone) 10%~20%에 고무 10%~20%, 헥산 30%~50%, 케톤 20%~40%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도 3은 콘크리트 슬래브(10)에 도막방수제(20)와 반사균열보강재(30)를 일체로 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100)는 차량프레임(110)과, 차량프레임(1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 위로 도막방수제(20)를 도포하는 도막방수제도포부(120)와, 도막방수제(20)에 의해 도포된 도막방수제(20)로 반사균열보강재(30)를 공급하는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포함한다.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제1부직포(31)를 도막방수제(20)로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롤러(130)와, 제1부직포(31) 위로 섬유망(33)을 공급하는 섬유망공급롤러(140)와, 섬유망(33) 위로 제1부직포(31)를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러(150)와, 섬유망공급롤러(140)에 의해 공급되는 섬유망(33)에 접착제(37)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160)와, 제1부직포(31)와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가 일체로 결합된 반사균열보강재(30)를 도막방수제(20) 상에 결합시키는 보강재설치롤러(180)를 포함한다.
차량프레임(110)은 특정 구조 및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모터 또는 엔진 등의 동력을 주행 휠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시스템(미도시됨)이 탑재되는 동시에 복합식 도막방수층을 도포하기 위한 각 구성품을 탑재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차량프레임(110)의 저부에는 바퀴가 결합되므로, 모터 또는 엔진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작업자가 인력으로 끌면서 교면도막 방수시공을 할 수 있다.
도막방수제도포부(120)는 차량프레임(110)의 선단에 구비된다. 이는 차량프레임(110)의 이동시에 도막방수제도포부(120)로부터 먼저 도막방수제(20)가 도포되고 후속하여 반사균열보강재(30)가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막방수제도포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방수제도포부(120)는 도막방수제저장조(121)와, 도막방수제노즐(123)을 포함한다.
이때, 도막방수제저장조(121)의 내벽 내부에는 도막방수제(20)를 간접 가열하기 위한 간접가열수단(미도시)으로서, 열선이 장착되거나 열매체유가 충진됨으로써, 예열된 도막방수제(20)가 도막방수제저장조(121)에 충진되면 간접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일정한 점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막방수제노즐(123)의 내부에는 도막방수제저장조(121) 내의 도막방수제(20)가 도막방수제노즐(123)의 폭방향에 걸쳐 일정하게 분배되도록 분배용 스크류(12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차량프레임(110)에 도막방수제도포부(120)의 후단에 위치된다. 특히, 반사균열보강재(30)의 적층순서를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제1부직포공급롤러(130), 섬유망공급롤러(140) 및 제2부직포공급롤러(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직포공급롤러(130)는 차량프레임(1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보강재설치롤러(180)로 제1부직포(31)를 공급한다. 제1부직포공급롤러(130)는 제1지지축(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부직포공급롤러(130)는 차량프레임(1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아이들하게 회전하며 제1부직포를 공급하게 구비되거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제1부직포를 공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부직포의 공급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력유지수단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섬유망공급롤러(140)는 제1부직포(31)의 상단에 섬유망(33)이 위치되도록 섬유망(33)을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한다. 섬유망공급롤러(140)는 제2지지축(1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섬유망공급롤러(140)도 수동으로 회전되거나, 자동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부직포공급롤러(150)는 섬유망(33)의 상단으로 제2부직포(35)가 위치되도록 제2부직포(35)를 공급한다. 제2부직포공급롤러(150)는 섬유망공급롤러(140)의 후단에 제3지지축(1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부직포공급롤러(130), 섬유망공급롤러(140) 및 제2부직포공급롤러(150)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제1부직포(31), 섬유망(33), 제2부직포(35)의 위치가 정렬되어 겹치거나 주름지는 영역이 없게 공급한다.
접착제공급부(160)는 섬유망공급롤러(140)가 보강재설치롤러(180)로 섬유망(33)을 공급하는 경로상으로 접착제(37)를 공급하여 접착제(37)가 섬유망(33)의 표면에 도포되도록 한다. 접착제공급부(160)는 접착제(37)가 저장되는 접착제저장조(161)와, 접착제저장조(161)의 하부에서 섬유망(33)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접착제공급관(163)을 포함한다.
접착제저장조(161)는 차량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결합된다. 접착제공급관(163)은 섬유망(33)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게 접착제저장조(161)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망(33) 표면으로 접착제(37)를 도포한다.
섬유망(33)은 메쉬 형태로 표면에 구멍이 형서되므로 섬유망(33)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37)는 섬유망(33)을 따라 흘러 섬유망(33)의 뒷면으로도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보강재설치롤러(180)에서 제1부직포(31), 섬유망(33), 제2부직포(35)가 겹쳐지면 접착제(37)가 섬유망(33)의 앞뒤면으로 번지면서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가 섬유망(33)에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공급부(16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접착제공급부(160)는 접착제공급관(163)이 섬유망(33)의 상면으로 접착제(37)를 공급한다. 그러나, 섬유망(33)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보강재설치롤러(180)로 진입되므로 접착제공급관(163)에 의해 접착제(37)를 공급할 경우 접착제(37)가 흘러내려 전체 섬유망(33)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공급부(160a)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착제공급관(163)의 하부에 접착제(37)를 섬유망(33)으로 분사하는 접착제공급노즐(165)과, 접착제공급노즐(165)에 의해 불규칙하게 도포된 접착제(37)를 균일하게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브러쉬(167)와, 접착제(37)의 도포두께를 제한하는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168)를 포함한다.
접착제공급노즐(165)은 섬유망(33)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원통관 형상으로 구비된다. 접착제공급노즐(165)의 상부는 접착제공급관(163)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외주연의 일측에 하부로 경사지게 접착제공급공(165a)가 형성된다.
접착제(37)는 접착제저장조(161)의 공급압력 또는 펌프와 같은 별도이 공급수단에 의해 접착제공급노즐(165)의 접착제공급공(165a)로 분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망(33)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공급될 때 접착제공급노즐(165)이 섬유망(33)의 상면에 접착제(37)를 불규칙하게 공급한다.
이 때, 섬유망(33)의 메쉬형상에 의해 접착제(37)는 섬유망(33)의 하부로도 불규칙한 높이와 양으로 공급된다.
접착제도포브러쉬(167)는 브러쉬지지프레임(166)에 의해 접착제공급노즐(165)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착제도포브러쉬(167)의 결합바(167a)는 브러쉬지지프레임(166)의 바결합공(166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진다. 섬유망(33)이 보강재설치롤러(180) 측으로 이동되면 상면에 불규칙하게 접착제(37)가 도포된 상태로 접착제도포브러쉬(167)로 진입된다.
접착제도포브러쉬(167)는 섬유망(33)의 이동압력에 의해 섬유망(33) 표면을 접촉하여 불규칙하게 도포된 접착제(37)를 섬유망(33)의 전영역에 균일하게 도포시킨다. 이 때, 접착제도포브러쉬(167)는 섬유망(33)의 뒷면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섬유망(33) 뒷면의 접착제 도포량도 균일하게 조절한다.
이 때, 접착제도포브러쉬(167)의 전단에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168)가 구비된다.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168)는 접착제공급노즐(165)에 의해 불규칙한 양으로 도포된 접착제(37)의 도포량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이에 의해 접착제도포브러쉬(167)의 도포량이 균일해지도록 돕는다.
이러한 접착제공급부(160a)의 접착제공급구조에 의해 경사지게 공급되는 섬유망(33) 표면에 접착제(37)를 균일하게 도포하여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가 주름지거나 들뜨거나 하지 않고 균일하게 접착될 수 있게 한다.
보강재설치롤러(180)는 콘크리트 슬래브(10)에 접촉되며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제1부직포(31),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가 일체로 결합되며 도막방수제(2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보강재설치롤러(180)는 지지바(181)에 대해 아이들회전되게 구비된다. 보강재설치롤러(180)의 외주연에는 제1부직포(31),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권취된다.
서로 다른 공급경로로 제1부직포(31),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가 공급되나, 보강재설치롤러(18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적층되게 모이고 콘크리트 슬래브(10)와 닿는 영역에서 서로 겹쳐지면서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가 접착제(37)에 의해 섬유망(33)에 접착되게 된다.
이렇게 일체로 접착된 반사균열보강재(30)는 콘크리트 슬래브(10)에 기도포된 도막방수제(20)에 일체로 결합되어 방수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보강재설치롤러(180)와 도막방수제도포부(120) 사이에는 도막방수제(20)의 도포두께를 조절하는 도포두께조절블레이드(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100)를 이용한 교면의 교면도막 방수시공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방수작업을 시행할 교면의 콘크리트 슬래브(10)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차량프레임(110)을 콘크리트 슬래브(10)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막방수제도포부(120)를 구동하여 도막방수제노즐(123)로 도막방수제(20)가 공급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에 도포되도록 한다.
작업자가 차량프레임(110)을 일정 속도로 이동하면 이동속도에 따라 도막방수제(20)가 차량의 이동경로를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10) 상에 도포된다.
이와 동시에 제1부직포공급롤러(130),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공급롤러(150)는 보강재설치롤러(180)로 동시에 공급된다. 이 때, 섬유망(33)의 경로 상에는 접착제공급부(160)가 구비되어 섬유망(33)으로 접착제(37)를 도포한다.
접착제(37)가 앞뒤면에 도포된 섬유망(33)은 보강재설치롤러(180)에서 제1부직포(31) 및 제2부직포(35)와 겹쳐지며 일체로 접착된다. 이렇게 일체로 결합된 반사균열보강재(30)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상에 기도포된 도막방수제(20)에 보강재설치롤러(180)에 의해 가압되며 공급된다.
반사균열보강재(30)의 제1부직포(31)는 도막방수제(20)와 접착되며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반사균열보강재(30)는 도막방수제(20)가 경화되기 전에 설치되어야 일체로 결합되어 도막방수제(20), 제1부직포(31), 섬유망(33) 및 제2부직포(35)의 각 층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사균열보강재(30)의 섬유망(33)과 제2부직포(35)는 아스팔트 포장층을 형성할 때 도막방수제(20)의 밀림 및 찢김을 방지하는 동시에 아스팔트 포설시 발생하는 약 130~160℃의 열에 의하여 녹으면서 아스팔트 포장층(40)과 도막방수제(20)를 일체로 접합시키게 된다.
이렇게 반사균열보강재(30)가 결합된 교면 도로는 우수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콘크리트 슬래브(10)와 아스팔트 포장층(40) 간의 부착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가 섬유망(33)과 일체로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아스팔트의 반사균열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와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은 제1부직포와 섬유망 및 제2부직포가 일체로 결합된 반사균열보강재를 도막방수제에 일체로 결합시켜 방수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교면 도로는 우수 등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침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아스팔트 포장층 간의 부착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부직포와 제2부직포가 섬유망과 일체로 결합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므로 아스팔트의 반사균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차량프레임에 도막방수제도포부와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차량프레임을 이동하며 자동으로 도막방수제공급과 반사균열보강재공급이 진행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체 교면도막 방수시공에 소용되는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차량프레임(110)에는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표면 도포재료는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구성된다.
토일트리아졸, 벤즈이미자졸 및 트리옥틸아민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접착제공급관(163)의 출구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0.1 몰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프레임(110)의 둘레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 50중량%,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citronellol, linalool, cital 등을 들 수 있으며 방부, 진경, 진정작용 등을 하여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오일은 항산화작용을 하며 건조하거나 노화된 피부에 좋으며 세포 재생, 살균,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차량프레임(110) 둘레에 코팅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섬유망공급롤러(140)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고무재의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섬유망공급롤러(14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수명이 증대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슬래브(10)에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각종 매연에 함유되어 대기 중에 방사된 유기물로부터 구조물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래브보호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슬래브보호층은, 콘크리트 슬래브(10)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66.42-66.58 중량%로 함유되는 아미노실란 화합물,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암모늄 화합물,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용제 및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10)의 표면은 구조물의 완성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매연에 함유된 유기물로 인해 오염되게 된다. 특히 구조물의 표면에 이러한 오염물질이 흡착되게 되면 추가적으로 이들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하여 누적되고, 상기 오염물질의 흡착도 더욱 가속화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10)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상기 미세먼지 또는 유기물 등의 오염물질로부터 구조물의 표면이 누적적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되면 구조물 표면을 세척하는 횟수가 감소되어 구조물의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은 기존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에 비해 부착력과 차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염소 이온의 침투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이를 통해 철근의 부식으로 인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표면의 오염 방지용 도장재 조성물은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도장의 표면에 발수성을 부여하고,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포함된 수분의 접촉각을 크게 하여 상기 미세먼지 또는 염소이온이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구조물의 자가 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66.42-66.58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4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발수성이 미흡하여 수분의 흡수에 의해 오염물질이 축적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이 66.5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내에서 다른 조성물질의 함량을 제한하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을 방해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아미노실란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도장재의 표면에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또는 유기물이 구조물의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대전 방지(Antistatic) 효과가 우수한 제4급 암모늄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4급 암모늄화합물은 질소원자 1개에 4개의 탄화수소기가 결합하여 생긴 제4급의 암모늄 이온염과 결합된 화합물이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암모늄 화합물은 13.24-13.4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24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대전 방지 기능이 미흡하여 표면에 오염 물질이 흡착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암모늄 화합물이 13.41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의 표면에 핀홀이 발생하여 오염물질 및 염소이온이 콘크리트나 강재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암모늄 화합물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제4급 암모늄염, 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 및 아실로일히드록시알킬 제4급 암모늄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 내에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3.21-3.3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용제가 3.2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용제가 3.38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낮아 과도한 흐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및 이소부틸알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된다.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첨가제는 16.76-16.93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첨가제가 16.76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전체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첨가제가 16.93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도막 형성이 원활하지 못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흐름방지제, 가소제, 소포제 및 침강방지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흐름방지제는 지방산 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아크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아디핀산계, 프탈레이트계 및 말레인산염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실리콘계, 광물계 및 알콜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침강방지제는 유기벤토나이트계 또는 실리카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도막에 색상을 구현하여 구조물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장재 조성물에서 상기 안료는 도장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안료가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은폐력이 떨어져 구조물의 외적 미관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안료가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도장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이 불량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안료는 당업계에 안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안료는 아조계 또는 프탈로시아닌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기안료는 티타늄계, 아연계, 구리계 및 크로뮴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0)에 본 발명의 슬래브보호층이 도포되므로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각종 매연에 함유되어 대기 중에 방사된 유기물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0)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콘크리트 슬래브 20 : 도막방수제
30 : 반사균열보강재 31 : 제1부직포
33 : 섬유망 35 : 제2부직포
37 : 접착제 100 :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110 : 차량프레임 111 : 바퀴
113 : 손잡이 120 : 도막방수제도포부
121 : 도막방수제저장조 123 : 도막방수제노즐
125 : 분배용스크류 130 : 제1부직포공급롤러
131 : 제1지지축 140 : 섬유망공급롤러
141 : 제2지지축 150 : 제2부직포공급롤러
151 : 제3지지축 160 : 접착제공급부
161 : 접착제저장조 163 : 접착제공급관
165 : 접착제공급노즐 165a : 접착제공급공
166 : 브러쉬지지프레임 166a : 바결합공
167 : 접착제도포브러쉬 167a : 결합바
168 :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 170 : 도포두께조절블레이드
180 : 보강재설치롤러 181 : 지지바

Claims (4)

  1.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프레임(110)과;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로 도막방수제(20)를 공급하는 도막방수제도포부(12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막방수제도포부(120)에 의해 도막방수제(20)가 공급된 콘크리트 슬래브(10)로 반사균열보강재(30)를 공급하는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균열보강재(30)는,
    상기 도막방수제(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직포(31)와;
    상기 제1부직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직포(35)와;
    상기 제1부직포(31)와 상기 제2부직포(35) 사이에 접착되는 섬유망(33)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하부에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재설치롤러(18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상기 제1부직포(31)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롤러(13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에 상기 제1부직포공급롤러(130)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직포(31)의 상면에 상기 섬유망(33)이 위치되게 상기 섬유망(33)을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하는 섬유망공급롤러(140)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일측에 상기 섬유망(33)의 상부에 상기 제2부직포(35)가 위치되게 상기 제2부직포(35)를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러(150)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망(33)의 공급경로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망은 유리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PVP(Polyvinyl Pyrrolidone)에 고무, 헥산, 케톤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도막방수제(20)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SBS 고무, 폴리머 합성수지, 오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공급부(160)는,
    상기 접착제(37)가 저장되는 접착제저장조(161)와;
    상기 접착제저장조(161)의 하부에서 상기 섬유망(33)의 공급경로로 연장형성되는 접착제공급관(163)과;
    상기 접착제공급관(163)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섬유망(33)으로 접착제(37)를 분사하는 접착제공급노즐(165)과;
    상기 접착제공급노즐(165)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제공급노즐(165)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분사된 접착제를 상기 섬유망(33)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브러쉬(167)와;
    상기 접착제공급노즐(165)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섬유망(33)에 분사된 접착제(37)의 도포두께를 조절하는 접착제두께조절블레이드(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4. 바퀴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프레임(110)과;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선단에 구비되어 콘크리트 슬래브(10)로 도막방수제(20)를 공급하는 도막방수제도포부(12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막방수제도포부(120)에 의해 도막방수제(20)가 공급된 콘크리트 슬래브(10)로 반사균열보강재(30)를 공급하는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균열보강재(30)는, 상기 도막방수제(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부직포(31)와; 상기 제1부직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부직포(35)와; 상기 제1부직포(31)와 상기 제2부직포(35) 사이에 접착되는 섬유망(33)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균열보강재공급부는,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하부에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0)와 접촉하며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보강재설치롤러(18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상기 제1부직포(31)를 공급하는 제1부직포공급롤러(130)와; 상기 차량프레임(110)에 상기 제1부직포공급롤러(130)와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부직포(31)의 상면에 상기 섬유망(33)이 위치되게 상기 섬유망(33)을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하는 섬유망공급롤러(140)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일측에 상기 섬유망(33)의 상부에 상기 제2부직포(35)가 위치되게 상기 제2부직포(35)를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하는 제2부직포공급롤러(150)와; 상기 섬유망공급롤러(1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재설치롤러(180)로 공급되는 상기 섬유망(33)의 공급경로로 접착제를 공급하는 접착제공급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망은 유리섬유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PVP(Polyvinyl Pyrrolidone)에 고무, 헥산, 케톤을 혼합하여 형성되며, 상기 도막방수제(20)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SBS 고무, 폴리머 합성수지, 오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으로서,
    콘크리트 슬래브로 도막방수제(20)를 도포하는 단계와;
    섬유망(33)을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되는 섬유망(33)의 전후면으로 접착제(37)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37)가 도포된 섬유망(33)의 전후면으로 제1부직포(31)와 제2부직포(35)를 각각 공급하여 반사균열보강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도막방수제(20)의 상부로 상기 반사균열보강재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사균열보강재(30) 상부에 아스팔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공법.
KR1020180047812A 2018-04-25 2018-04-25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88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12A KR101881049B1 (ko) 2018-04-25 2018-04-25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812A KR101881049B1 (ko) 2018-04-25 2018-04-25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049B1 true KR101881049B1 (ko) 2018-07-23

Family

ID=63102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812A KR101881049B1 (ko) 2018-04-25 2018-04-25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04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793B1 (ko) 2019-08-07 2020-03-03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093465B1 (ko) 2019-08-21 2020-06-01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KR102118671B1 (ko) 2019-08-21 2020-06-03 에프알앤디건설(주)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CN111719431A (zh) * 2020-07-02 2020-09-29 吕友飞 一种自走式桥梁建设用防水卷材铺设装置
CN112627047A (zh) * 2021-01-04 2021-04-09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粗骨料活性粉末混凝土桥面抛丸及底涂防水工艺
KR102260780B1 (ko) 2021-04-01 2021-06-08 에스티이엠 주식회사 강교의 강재 구조물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방법
CN112962467A (zh) * 2021-03-09 2021-06-15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主桥桥面抛丸及复合改性沥青防水粘结层施工工艺
KR20220156191A (ko) * 2021-05-18 2022-11-25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접합부의 시공방법 및 그의 시공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49B1 (ko) 2012-05-18 2012-10-11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KR101347567B1 (ko) * 2007-08-07 2014-01-10 생-고뱅 애드포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팔트 포장용 보강재, 포장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용 코팅재로 그리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88396B1 (ko) * 2016-06-23 2016-12-22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567B1 (ko) * 2007-08-07 2014-01-10 생-고뱅 애드포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아스팔트 포장용 보강재, 포장방법 및 아스팔트 포장용 코팅재로 그리드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89549B1 (ko) 2012-05-18 2012-10-11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아스팔트 포장 균열 방지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및 교량 방수 포장 방법
KR101688396B1 (ko) * 2016-06-23 2016-12-22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793B1 (ko) 2019-08-07 2020-03-03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093465B1 (ko) 2019-08-21 2020-06-01 주식회사 오에이티엠엔씨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KR102118671B1 (ko) 2019-08-21 2020-06-03 에프알앤디건설(주)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CN111719431A (zh) * 2020-07-02 2020-09-29 吕友飞 一种自走式桥梁建设用防水卷材铺设装置
CN111719431B (zh) * 2020-07-02 2022-02-15 山西振兴公路监理有限公司 一种自走式桥梁建设用防水卷材铺设装置
CN112627047A (zh) * 2021-01-04 2021-04-09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粗骨料活性粉末混凝土桥面抛丸及底涂防水工艺
CN112962467A (zh) * 2021-03-09 2021-06-15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主桥桥面抛丸及复合改性沥青防水粘结层施工工艺
KR102260780B1 (ko) 2021-04-01 2021-06-08 에스티이엠 주식회사 강교의 강재 구조물용 친환경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재 구조물 도장 방법
KR20220156191A (ko) * 2021-05-18 2022-11-25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접합부의 시공방법 및 그의 시공장치
KR102622272B1 (ko) * 2021-05-18 2024-01-08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트 접합부의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049B1 (ko)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76102B1 (ko)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CA3035057C (en) Millable, recyclable, waterproofing, paving fabric interlay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12845B1 (ko) 도막방수와 그리드를 이용한 교면 방수구조
KR101058231B1 (ko) Mma 레진을 이용한 혼합용 교면 방수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및 강상판 무이음 교면 방수 시공방법
KR100641021B1 (ko) 접착력과 방수성이 우수하여 균열 보수에 이용되는아스팔트 조성물
KR101758339B1 (ko) 도로 균열 보수용 봉합 자재와, 이의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8625B1 (ko) 매스틱 아스팔트를 이용한 교량 신축이음부 후타보수재 보수공법
KR101327860B1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보수 방법
CN1239730A (zh) 沥青砂胶铺展膜和板的双层防水材料及其施工方法
KR101722126B1 (ko) 도막식 교면 방수층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70111650A (ko) 저융점섬유로 이루어진 아스팔트보강재
KR101880473B1 (ko) 도로용 융설 미끄럼방지재를 이용한 동결 및 미끄럼방지 시공방법
KR20050010984A (ko) 포장면을 강화하고 방수하는 방법
KR102119348B1 (ko) 가열식 교면방수공법
KR100664501B1 (ko) 방수 시공을 위한 복합조인트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방수섬유시트 방수 공법
KR101722125B1 (ko) 복합식 교면 방수층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79705B1 (ko) 도로구조물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809872B1 (ko) 매스틱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6702891A (zh) 一种暗缝式伸缩缝结构
KR200375633Y1 (ko) 아스팔트 보강재
JP4098993B2 (ja) 床版用防水構造物と防水施工法
KR102065388B1 (ko) 교량표면용 방수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표면 방수 코팅방법
KR20010107074A (ko) 도막과 시트의 복합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