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671B1 -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671B1
KR102118671B1 KR1020190102486A KR20190102486A KR102118671B1 KR 102118671 B1 KR102118671 B1 KR 102118671B1 KR 1020190102486 A KR1020190102486 A KR 1020190102486A KR 20190102486 A KR20190102486 A KR 20190102486A KR 102118671 B1 KR102118671 B1 KR 10211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lass fiber
fiber mesh
coating film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봉주
Original Assignee
에프알앤디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알앤디건설(주) filed Critical 에프알앤디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10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0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solely roller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상기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기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상기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을 제시함으로써, 방수층의 안정적인 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의 시공이 가능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FOR SLAB OF BRIDG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은 도막식, 시트식, 침투식으로 구분되는데, 도막식은 다시 방수재료의 가열 유무에 따라 상온식과 가열식으로 구분되며, 시트식은 시공방법에 따라 자착식과 융착식으로 구분되고, 침투식은 화학적 반응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 침투에 의해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막식 방수공법은 고온으로 용융된 도막방수재가 도포 및 양생(경화)되어 방수층이 형성되는 가열식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고온의 용융된 도막방수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나 시공표면의 요철에 따라 균일한 두께의 시공품질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방수층의 보강을 위해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유리섬유 메쉬와 도막방수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된 도막방수층의 결합이 견고하지 못한 경우,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이 형성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방수층 손상의 이유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74159 (2015.11.2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17121 (2018.01.0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81049 (2018.07.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69030 (2017.08.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방수층의 안정적인 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의 시공이 가능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얻도록 하는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상기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기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상기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을 제시한다.
상기 도막방수제는, 개질아스팔트 30 ~ 60중량%; 폐타이어분말 10 ~ 50중량%; 탄산칼슘분말 5 ~ 20중량%; 길소나이트분말 1 ~ 5중량%;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 2 ~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방수제는, 상기 개질아스팔트를 150℃ ~ 180℃로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상기 개질아스팔트에 대하여, 연화점 상승첨가재로서 상기 폐타이어분말, 탄산칼슘분말, 길소나이트분말 및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 ~ 70중량%; 천연 아스팔트 1 ~ 20중량%; 고분자플라스틱 1 ~ 15중량%; 폴리올레핀계열 폴리머 개질 첨가제 1~15중량%; SBS고분자 1 ~ 15중량%; 특수섬유질 충진제 1 ~ 5중량%; UV안정제 0.1 ~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및 도막방수제 도포단계는 방수시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시공장치는, 교량 상판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량부(1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상기 도막방수재가 도포된 교량 상판으로 공급하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및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차량부(100)는, 이동프레임(110)과,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후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130)와, 상기 조향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바퀴부(140)와,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부(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바퀴부(150)는, 개별로 작동되는 한 쌍의 제1바퀴구동부(153)와 제2바퀴구동부(15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바퀴구동부(153,154)는 각각, 제1,2뒷바퀴(151,152)에 연결되는 기어부(153a,154a)와, 상기 기어부(153a,154a)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2뒷바퀴(151,152)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부(153b,154b)와, 상기 기어부(153a,154a)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153a,154a)를 승하강시키는 바퀴승하강부(153c,154c)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승하강부(153c,154c)는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바퀴지지대(153d,154d)와, 상기 기어부(153a,154a)와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바퀴지지대(153d,154d)를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로드지지대(153e,154e)와, 상기 바퀴지지대(153d,154d)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로드가 로드지지대(153e,154e)에 연결설치되는 바퀴 승하강실린더(153f,154f)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상기 도막방수재가 내통(220)으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상기 내통(220)과 외통(230)사이의 가열공간(240)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이중저장탱크(210)와, 상기 이중저장탱크(210)의 내통(220)과 연결되어 상기 이중저장탱크(210)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판에 대하여 도막방수재를 공급 및 분사시키는 도막분사부(25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의 선단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상기 도막분사부(250)에 의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1블레이드부(2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블레이드부(260)는, 상기 제1블레이드(261)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261)를 승하강시키는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와, 상기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의 로드 및 제1블레이드(261)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승하강시키는 중앙가이드부(263)와, 상기 중앙가이드부(26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261)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연결가이드부(2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후단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유리섬유 메쉬가 설치된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2블레이드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블레이드부(270)는,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펴는 상기 제2블레이드(271)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271)에 연결와이어(274)가 연결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를 승하강시키는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와, 상기 제2블레이드(271)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27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는, 상기 세골재 공급부(300)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폭방향(W)으로 로드가 수평작동되는 유압실린더(275)와, 상기 유압실린더(275)의 로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상기 연결와이어(274)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와이어(274)를 가이드하는 풀리(27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블레이드부(270)는, 상기 가이드부(273)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보정하여 조정하는 미세조절부(2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세조절부(280)는, 수직가이드의 상단나사산(278a)에 체결되는 조절너트(281)와, 상기 조절너트(281)에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가이드하우징(277)에 하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8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는,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유리섬유 메쉬가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저장되는 권취드럼부(41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되도록 연결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섬유 메쉬가 교량 상판에 밀착접촉되도록 가압시키는 가압롤러부(42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420)를 승하강시키는 롤러승하강부(430)와, 상기 권취드럼부(410)와 가압롤러부(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420) 방향으로 유리섬유 메쉬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는, 상기 권취드럼부(410)의 드럼(411)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450)가 상기 권취드럼부(410)의 회전축(412) 일측에 더 연결설치되되, 상기 속도제어부(450)는,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회전축(412)이 베어링지지되며 관통되는 고정디스크(451)와, 상기 고정디스크(451)를 관통한 회전축의 끝단에 스크류 체결되는 조절핸들(452)과, 상기 고정디스크(451)와 조절핸들(4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4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디스크(453)와, 가압디스크(453)의 가이드돌기(454)가 관통삽입되도록 가압디스크(453)와 조절핸들(452)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41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디스크(455)와, 상기 가압디스크(453)와 이동디스크(455)에 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상기 가압디스크(453)의 가이드돌기(454)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45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승하강부(430)는, 상기 가압롤러부(420)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가압롤러부(420)의 양단에 연결설치되는 수직지지대(431)와, 상기 수직지지대(431)의 상단이 양측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432)와, 상기 수평지지대(432)의 양단(432a)이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직가이드홀(433a)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433)과, 상기 수직프레임(433)이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433)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프레임(434)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34)을 따라 로드가 수평작동되도록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34)에 고정설치되는 롤러승하강실린더(435)와, 상기 롤러승하강실린더(435)의 로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수평지지프레임(434)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지지대(432)의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롤러승하강와이어(436)와, 수평지지프레임(43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롤러승하강와이어(436)를 가이드하는 풀리(437)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승하강실린더(4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부(420)가 연결설치된 상기 수평지지대(43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수층의 안정적인 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의 시공이 가능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얻도록 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는 방수시공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방수시공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조향바퀴부와 구동바퀴부의 구성도.
도 5는 저장호퍼부의 단면도.
도 6은 제1블레이드부의 부분사시도.
도 7은 제1블레이드부의 승하강에 관한 구동상태도.
도 8은 제2블레이드부의 승하강에 관한 구동상태도.
도 9는 제2블레이드부의 미세조절부의 구동상태도.
도 10은 세골재 공급부와 제2블레이드부의 부분사시도.
도 11은 세골재 공급부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저장호퍼부의 배출조절패널부의 구동상태도.
도 13은 세골재 공급부와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의 부분사시도.
도 14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의 롤러승하강부의 구동상태도.
도 15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의 속도제어부의 구동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은 기본적으로,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교량 상판이란, 신설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및 강상판, 노후 교량의 콘크리트 상판 및 강상판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이란, 단량체 에틸렌으로 만들어진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서,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해 포장재나 단열재, 흡음재, 케이블 절연체 등으로 사용된다.
LDPE는 -120℃의 유리전이온도와 105~115℃의 융점(Melting point, Tm)을 가짐으로 인해 우연성과 내충격성, 용이한 가공성을 갖게 되나, Tm이 낮고 vicat 연화점이 80~90℃로 나타나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는 물성을 유지하지 못하여 가교방법을 통해 취약한 내열성으로 보완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은 종래와 같이 유리섬유 메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은 물성을 갖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사용하므로, 이를 도막방수층에 설치하고, 그 위에 고온 상태(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면, 아스콘의 고온으로 인하여 자연히 LDPE 코팅층이 용융되었다가, 온도의 하강에 의해 다시 경화되면서, 도막방수층에 설치된 유리섬유 메쉬, LDPE, 아스콘의 3가지 재료가 견고하게 결합한 구조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유리섬유 메쉬, 도막방수층, 아스콘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방수층의 안정적인 보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의 시공이 가능하고, 우수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LDPE 코팅층은 도막방수층의 시공 후, 위 아스콘 포설공정을 위한 장비인 덤프트럭, 페이버 등의 중량으로 인한 도막방수층의 파손을 방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막방수제는, 개질아스팔트 30 ~ 60중량%; 폐타이어분말 10 ~ 50중량%; 탄산칼슘분말 5 ~ 20중량%; 길소나이트분말 1 ~ 5중량%;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 2 ~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위 도막방수제는, 개질아스팔트를 150℃ ~ 180℃로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개질아스팔트에 대하여, 연화점 상승첨가재로서 폐타이어분말, 탄산칼슘분말, 길소나이트분말 및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 ~ 70중량%; 천연 아스팔트 1 ~ 20중량%; 고분자플라스틱 1 ~ 15중량%; 폴리올레핀계열 폴리머 개질 첨가제 1~15중량%; SBS고분자 1 ~ 15중량%; 특수섬유질 충진제 1 ~ 5중량%; UV안정제 0.1 ~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유리섬유 메쉬의 물성에 관한 실험결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에 관한 것이고, 비교예는 일반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코팅된 종래의 유리섬유 메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표면 접착력
(Adhesion number)
22 10
표면 평활도(nm) 537 800
밀도(g/cm3) 2.3 2.1
인장강도(MPa) 3,300 1,130
내열성(48시간 200℃) % 83 80
분해온도/융점 ℃ 625 400
연소성
(한계산소지수) %
불연성 불연성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접착력, 표면 평활도, 인장강도, 내열성, 분해온도 등 모든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표면 접착력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2배 이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3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도막방수제의 물성에 관한 실험결과이다.
구성 개질
아스팔트
폐타이어
분말
탄산칼슘
분말
길소나이트 분말 접착보강제 합계
실시예 1 40 30 15 5 10 100
실시예 2 50 27 10 3 10 100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도막방수제)의 배합에 관한 것이다.표 2의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서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8.7중량%; 천연 아스팔트 15중량%; 고분자플라스틱 8중량%; 폴리올레핀계열 폴리머 개질 첨가제 7중량%; SBS고분자 8중량%; 특수섬유질 충진제 3중량%; UV안정제 0.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연화점(℃) 118 116 112
침입도(mm) 22 23 28
인장성능(N/mm2) 5.5 5.7 4.2
인장접착강도
(N/mm2), -10℃
1.7 1.8 1.3
인장접착강도
(N/mm2), 23℃
0.9 0.9 0.4
전단접착강도
(N/mm2), -10℃
1.8 1.7 0.6
전단접착강도
(N/mm2), 23℃
0.9 0.9 0.4
표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와 비교예(종래의 도막방수제)의 물성에 관한 실험결과이다.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장성능, 인장접착강도, 전단접착강도 등 모든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시공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시공장치는 기본적으로, 교량 상판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량부(1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도막방수제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도막방수제 공급부와 세골재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도막방수재가 도포된 교량 상판으로 공급하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도막방수제 공급부 및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에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 공정에 추가로,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세골재를 살포하는 공정이 있을 수 있는데, 세골재 공급부(300)는 이러한 공정을 위한 것으로서,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내부에 저장된 세골재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동차량부(100)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10)과, 이동프레임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이동프레임의 후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130)와, 조향부와 연결되어 이동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바퀴부(140)와, 동력발생부와 연결되어 이동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향부(120)는 조향바퀴부(140)를 작동시키는 조향핸들(121)과,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운전석(122)을 포함하며, 이동차량부(100)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동력발생부(130)는 시공장치에 사용되는 동력인 유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동프레임(110)의 후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조향바퀴부(140)는 이동차량부(100)의 앞바퀴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향부(120)와 연결되어 이동프레임(110)의 선단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조향바퀴부(140)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2앞바퀴(141,142)는, 도 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량부(100)의 안정적인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이동프레임의 폭(W)을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바퀴부(150)는 이동차량부(100)를 구동시키는 뒷바퀴에 해당되는 것으로,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도록 이동프레임부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바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2뒷바퀴(151,152)는, 도 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에 도포 및 포설된 방수도막재와 시트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동프레임의 폭(W)을 벗어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바퀴부(150)는 양측에 위치하는 제1,2뒷바퀴가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 및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바퀴부(150)는 개별로 작동되는 한 쌍의 제1바퀴구동부(153)와 제2바퀴구동부(154)로 이루어지되, 제1,2바퀴구동부(153,154)는 각각, 제1,2뒷바퀴(151,152)에 연결되는 기어부(153a,154a)와, 기어부(153a,154a)에 연결설치되고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제1,2뒷바퀴(151,152)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부(153b,154b)와, 기어부(153a,154a)와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고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기어부(153a,154a)를 승하강시키는 바퀴승하강부(153c,154c)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퀴승하강부(153c,154c)는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바퀴지지대(153d,154d)와, 기어부(153a,154a)와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바퀴지지대(153d,154d)내로 삽입지지되며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로드지지대(153e,154e)와, 바퀴지지대(153d,154d)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로드가 로드지지대(153e,154e)에 연결설치되는 바퀴 승하강실린더(153f,154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바퀴승하강부(153c,154c)는 바퀴 승하강실린더(153f,154f)의 작동에 의해 기어부(153a,154a)가 연결설치된 로드지지대(153e,154e)가 바퀴지지대(153d,154d)를 따라 승하강되어, 기어부(153a,154a)와 구동모터부(153b,154b) 및 제1,2뒷바퀴(151,152)가 승하강된다.
이러한 제1,2바퀴구동부(153,154)는 동력발생부(130)에 의해 구동모터부(153b,154b)가 구동되고, 구동모터부(153b,154b)의 구동력이 기어부(153a,154a)를 통해 제1,2뒷바퀴(151,152)에 각각 전달되어 구동이 이루어지고, 바퀴 승하강부(153c,154c)의 작동에 의해 제1,2뒷바퀴(151,152)와 구동모터부(153b,154b)가 연결된 기어부(153a,154a)가 개별적으로 승하강된다.
이와 같이 구동바퀴부(150)는 제1바퀴구동부(153)와 제2바퀴구동부(154)의 개별작동에 의해 주행 및 조향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교량 상판에 높이편차가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여 제1바퀴구동부에 연결된 제1뒷바퀴(151)와, 제2바퀴구동부에 연결된 제2뒷바퀴(152)의 높이가 조절되어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이 기울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방수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막방수재가 내통(220)으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내통(220)과 외통(230)사이의 가열공간(240)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이중저장탱크(210)와, 이중저장탱크의 내통(220)과 연결되어 이중저장탱크(210) 일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차량부(100)에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판에 대하여 도막방수재를 공급 및 분사시키는 도막분사부(250)와,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의 선단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도막분사부(250)에 의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1블레이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저장탱크(21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 방수 컴파운드 등과 같은 용융성 도막방수재가 공급되어 저장되는 내통(220)과, 내통(2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외통(230)을 포함하며, 내통(220)과 외통(230) 사이의 가열공간(240)내로 가스공급부(500)의 가스노즐(510)이 연결된다.
내통(220)은 도막방수재가 공급저장되도록 호퍼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폐도어(221)에 의해 밀폐되고 하단이 별도의 배출구없이 도막분사부(250)와 연결된다.
외통(230)은 가스공급부(500)에 의해 공급되는 가열가스의 불필요한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내통(22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내통(220)을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220)을 감싸며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막분사부(250)가 연결되는 하단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외통(230)은 일측에 가열공간(240)과 연통되는 개구부(231)가 형성된다.
즉, 가열공간(240)은 개구부(23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가스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개구부(231)를 통해 가스의 점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중저장탱크(210)는 가열공간(240)내에 별도의 점화장치(도시없음)가 더 설치되도록 구성될수 있다.
도막분사부(25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저장탱크(210)내의 도막방수재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이송공급하는 것으로, 이중저장탱크(210)의 내통(22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메인공급배관(251)과, 메인공급배관(251)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분사공급배관(252)과, 분사공급배관(252)의 끝단에 설치되는 분사노즐(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인공급배관(251) 또는, 분사공급배관(252) 또는, 메인공급배관(251)과 분사공급배관(252)에는 도막방수재의 공급차단 또는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254)가 설치된다.
제1블레이드부(260)는 교량 상판에 대하여 배출공급된 도막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261)와,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제1블레이드(261)를 승하강시키는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와,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의 로드 및 제1블레이드(261)에 연결설치되고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승하강시키는 중앙가이드부(263)와, 중앙가이드부(26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1블레이드(261)와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연결가이드부(2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블레이드(261)는 이동프레임(100)의 폭방향(W)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블레이드(261a)와, 메인블레이드(261a)의 양측에 선단방향(F)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블레이드(261b)를 포함하여, 선단방향(F)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블레이드(261b)는 메인블레이드(261a)의 양 측면에 마련되며, 메인블레이드(261a)에 의해 도막방수재가 교량 상판에 넓게 펼쳐질 때, 펼쳐지는 폭을 제한하게 된다.
제1블레이드(261)의 메인블레이드(261a) 길이 및 가이드블레이드(261b)간의 거리는 교량 상판에 도포되는 유리섬유 메쉬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블레이드부(261)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 및 중앙가이드(263)에 의해 교량 상판에 대하여부터 제1블레이드(261)의 높낮이가 조절되고,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시,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된 다수의 연결가이드부(264)에 의해 제1블레이드(261)가 수평을 유지하며 승하강된다.
이때,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는 동력발생부(13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와 중앙가이드부(263) 및 연결가이드부(264)에는 이물질 또는 도막방수재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캡 및 자바라식 커버가 설치된다.
또한,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도 1 내지 도 3, 도 8,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후단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유리섬유 메쉬가 설치된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2블레이드부(27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블레이드부(270)는 세골재 공급부(300)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된다.
제2블레이드부(270)는,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펴는 제2블레이드(271)와,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제2블레이드(271)에 연결와이어(274)가 연결되어 제2블레이드를 승하강시키는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와, 제2블레이드(271)와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제2블레이드(27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2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블레이드(271)는 제1블레이드(261)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2블레이드(271)는 이동프레임의 폭방향(W)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메인블레이드(271a)와, 메인블레이드(271a)의 양측에 선단방향(F)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블레이드(271b)를 포함하여, 선단방향(F)으로 개방된 'ㄷ' 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블레이드(271b)는 메인블레이드(271a)의 양 측면에 마련되며, 메인블레이드(271a)에 의해 도막방수재가 교량 상판에 넓게 펼쳐질 때, 펼쳐지는 폭을 제한하게 된다.
제2블레이드(271)의 메인블레이드(271a) 길이 및 가이드블레이드(271b)간의 거리는 교량 상판의 도포되는 유리섬유 메쉬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골재 공급부(300) 하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이동프레임의 폭방향(W)으로 로드가 수평작동되는 유압실린더(275)와, 유압실린더(275)의 로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제2블레이드(271)의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연결와이어(274)와, 이동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결와이어(274)를 가이드하는 풀리(2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의 하측의 좁은 공간내에 설치되어, 제2블레이드(271)가 효율적으로 승하강되도록 유압실린더(275)의 수평작동에 의해 제2블레이드(27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가이드부(273)는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에 의해 제2블레이드(271)가 수평상태를 구비하며 흔들림 또는 회전현상없이 승하강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동프레임의 양측면(111)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277)과, 가이드하우징(277)을 관통하여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수직가이드(278)와, 수직가이드(278)의 하단에 일측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제2블레이드(271)에 타측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는 수평연결대(27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2가이드부(273)는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에 의한 제2블레이드(271)의 승하강시, 가이드하우징(277)을 따라 수직가이드(278)가 상하이동되어 제2블레이드(271)가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이동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273)는 이물질 또는 도막방수재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수직가이드(278)에 자라바식 커버가 더 설치된다.
또한, 제2블레이드부(270)는, 도 1 내지 도 3,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273)에 연결설치되어 제2블레이드(271)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보정하여 조정하는 미세조절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미세조절부(280)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가이드의 상단나사산(278a)에 체결되는 조절너트(281)와, 조절너트(281)에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가이드하우징(277)에 하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미세조절부(280)는, 조절너트(281)가 수직가이드의 상단나사산(278a)을 따라 하강되도록 회전되면, 조절너트(281)의 회전 및 탄성스프링(282)의 탄성력에 의해 수직가이드(278)가 상승되어 교량 상판에 대하여부터 제2블레이드(271)의 높이가 미세하게 조절된다.
즉, 미세조절부(280)는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 측면(111)에 고정설치된 가이드하우징(277)과 조절너트(281) 사이에 탄성스프링(282)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조절너트(281)가 수직가이드의 상단나사산(278a)을 따라 하강되도록 회전되면, 탄성스프링(282)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조절너트(281)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수직가이드(278)가 상승하게 되어, 교량 상판에 대하여부터 제2블레이드(271)가 조금씩 상승되게 된다.
또한, 도막방수제 공급부(200)가 제2블레이드부(270)를 더 포함할 경우, 도막분사부(25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공급배관(251)에 연결설치되는 분기배관(255)과, 분기배관(255)에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배출공급배관(256)과, 배출공급배관(256)의 끝단에 설치되어 제2블레이드(271)로 도막방수재를 분사배출시키는 후단노즐(257)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분기배관(255) 또는, 배출공급배관(256) 또는, 분기배관(255)과 배출공급배관(256)에는 도막방수재의 공급차단 또는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밸브(258)가 더 설치된다.
세골재 공급부(300)는 도 1 내지 도 3, 도 10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골재가 저장되는 저장호퍼부(310)와, 저장호퍼부의 배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세골재(930)를 이송공급하는 배출컨베이어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호퍼부(310)는 하측에 하향개방된 배출구(312)를 구비하는 호퍼(311)와, 배출구(312) 양측에 위치하도록 호퍼(311)의 하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대(313)와, 배출구(312)의 선단방향(F)에 위치하도록 호퍼(311)의 하단에 설치되는 선단배출방지패널(314)과, 배출구의 후단방향(B)에 위치하도록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출컨베이어부(320)에 의해 이송되는 세골재량을 조절하는 배출조절패널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311)는 내부에 분산판(316)이 설치되며, 분산판(316)에 의해 호퍼내의 세골재가 배출컨베이어부(320)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분사판(316)은 '∧'자 또는 '△' 단면형상을 구비하도록 호퍼내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분사판(316)에 의해 호퍼의 배출구(312)가 선단배출구(312a)와 하단배출구(312b)로 분리되어, 호퍼내 저장된 세골재의 전체하중이 배출컨베이어부(32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된다.
즉, 저장호퍼부(310)의 호퍼내 세골재 하중이 분산판(316)에 의해 지지되고, 분사판(316)에 의해 분리형성된 선단배출구(312a)와 하단배출구(312b)를 통해 일정량의 세골재만이 배출컨베이어부(320)로 하강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배출컨베이어부(320)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 아니라, 배출컨베이어부(320)에 의한 세골재(930)의 수평이동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분사판(316)은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호퍼내부에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분사판(316)에 의해 선단배출구(312a)와 후단배출구(312b)는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긴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컨베이어부(320)로 세골재가 균일하게 공급된다.
고정대(313)는 이동프레임(110)에 호퍼(311)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 등에 의해 호퍼(311)와 일체화되도록 되며,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고정대(313)는 이동프레임(110)을 감싸며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절곡형성될수 있다.
선단배출방지패널(314)은 호퍼의 배출구를 통해 선단방향(F) 즉,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방향으로 세골재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호퍼(311)에 상단이 일체로 고정설치되며, 하단이 배출컨베이어부(32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배출컨베이어부에 밀착(근접)되도록 설치된다.
배출조절패널부(315)는 호퍼의 배출구 후단방향에 위치하도록 호퍼 하단에 고정설치되고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슬릿홀을 구비하는 가이드지지대(317)와, 가이드지지대의 슬릿홀(317a)내로 삽입되어 가이드지지대(317)에 고정설치되는 배출조절패널(318)과, 배출조절패널(318)에 하단이 연결되고 호퍼(311) 일측에 상단이 연결되어 배출조절패널(318)이 상승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작동스프링(319)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지지대(317)는 호퍼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외측지지대(317b)와, 외측지지대(317b)와의 사이에 슬릿홀(317a)이 구비되도록 외측지지대(317b)와 호퍼(311) 사이에 설치되는 내측지지대(31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지지대의 슬릿홀(317a)은 배출조절패널(318)이 수직으로 상하이동되며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조절패널(318)은 가이드 지지대의 슬릿홀(317a)내로 삽입되고, 배출컨베이어부(320)와의 사이에 세골재배출틈새(330)가 구비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가이드 지지대(317)에 고정설치된다.
가이드 지지대(317)에 대한 배출조절패널(318)의 고정은 볼트와 너트 등 공지의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지지대(317)에 구비된 수직장홈(317d)을 관통하여 배출조절패널(318)에 고정볼트(318a)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볼트(318a)에 체결된 고정너트(318b)가 가이드 지지대(317)에 밀착접촉되어 배출조절패널(318)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출조절패널(318)에 일체로 설치된 고정볼트(318a)가 가이드지지대의 수직장홈(317d)을 따라 상하이동되어 배출조절패널(318)의 높이가 조절되어짐으로써, 세골재배출틈새(330)의 높이가 조절되고, 고정너트(318b)와 가이드지지대(317)의 마찰력에 의해 배출조절패널(318)이 가이드 지지대(3127)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스프링(319)은 배출조절패널(318)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작은 힘에 의해서도 슬릿홀을 따라 배출조절패널(318)이 상승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에 의해 배출조절패널(318)이 슬릿홀(317a)을 따라 상승되도록 호퍼(311)와 배출조절패널(318)에 연결설치된다.
즉, 작동스프링(319)은 세골재배출틈새(330)를 통해 이동하는 세골재의 힘에 의해 배출조절패널(318)이 슬릿홀(317a)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될 시, 작은 힘에 의해서도 탄성력에 의해 슬릿홀(317a)을 따라 배출조절패널(318)이 상승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배출컨베이어부(320)는 저장호퍼의 배출구(31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함과 아울러 수평을 구비하도록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된 세골재(930)를 후단방향(B)으로 이동낙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배출컨베이어부(320)는 호퍼의 배출구 하단에 수평작동되도록 설치되는 컨베이어(321)와, 컨베이어(32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22)와, 구동모터(3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조절레버(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322) 및 조절레버(323)는 동력발생부(130)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작동된다.
컨베이어(321)는 호퍼의 배출구 하단에 수평작동되도록 벨트(324)가 설치되고, 양끝단에 위치하는 캐리롤러(325)와 리턴롤러(326)에 의해 벨트(324)가 순환작동된다.
또한, 컨베이어(321)는 리턴롤러(326)에 연결되도록 이동프레임(110)에 벨트장력조절부(340)가 더 설치된다.
벨트장력조절부(340)는 상/하단 가이드(344,345)를 구비하는 하우징 프레임(341)과, 상기 하우징프레임의 상/하단 가이드(344,345)를 따라 이동프레임의 선단방향(F) 및 후단방향(B)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리턴롤러(326)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이동대(342)와, 이동대(342)에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 프레임(341)에 나사체결되며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조절볼트(3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벨트장력조절부(340)는 컨베이어(321)의 리턴롤러(326)에 연결되도록 이동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조절볼트(343)의 회전에 의해 이동대(342)가 하우징프레임의 상/하단 가이드(344,345)를 따라 이동되어 선단방향 또는 후단방향으로 이동되어 리턴롤러(326)를 이동시키도록 된다.
구동모터(322)는 이동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컨베이어부의 캐리롤러(325)를 구동시키도록 연결설치된다.
조절레버(323)는 구동모터(322)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에 의한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이동프레임(110) 또는 저장호퍼부(310)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조절레버(323)와 구동모터(322)는 모두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세골재 공급부(300)는 벨트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321)와 고정대(313) 및 이동프레임(110) 사이로 세골재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컨베이어(321) 상에 밀착되는 밀착패널(350)이 고정대(313)에 고정설치되도록 구성될수 있다.
즉, 밀착패널(350)은 이동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함과 아울러, 배출컨베이어의 상면에 밀착(근접)되지도록 고정대(313)에 고정설치되어, 호퍼 배출구(312)에서 배출컨베이어부의 컨베이어(321)으로 배출된 세골재가 컨베이어(321)의 작동에 의해 배출조절패널부(315)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컨베이어(321)의 폭방향으로 세골재가 이동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는, 도 1 내지 도 3,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차량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유리섬유 메쉬가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저장되는 권취드럼부(410)와,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되도록 연결설치되고 권취드럼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섬유 메쉬가 교량 상판에 밀착접촉되도록 가압시키는 가압롤러부(420)와, 이동차량부(100)에 설치되어 가압롤러부(420)를 승하강시키는 롤러승하강부(430)와, 권취드럼부(410)와 가압롤러부(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차량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압롤러부(420) 방향으로 유리섬유 메쉬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권취드럼부(410)는 유리섬유 메쉬가 롤타입으로 권취되는 드럼(411)과, 드럼(411)에 연결설치되고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지지되는 회전축(412)을 포함하여, 이동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는 도 1, 도 3 및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부의 드럼(411)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부(450)가 권취드럼부의 회전축(412) 일측에 더 연결설치된다.
속도제어부(450)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1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회전축(412)이 베어링지지되며 관통되는 고정디스크(451)와, 고정디스크(451)를 관통한 회전축의 끝단에 스크류 체결되는 조절핸들(452)과, 고정디스크(451)와 조절핸들(4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축(4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디스크(453)와, 가압디스크(453)의 가이드돌기(454)가 관통삽입되도록 가압디스크(453)와 조절핸들(452) 사이에 위치하고 회전축(412)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디스크(455)와, 가압디스크(453)와 이동디스크(455)에 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가압디스크의 가이드돌기(454)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4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조절핸들(452)은 시트 포설을 위한 권취드럼부(4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시, 이동디스크(455)가 가압디스크(45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권취드럼부의 회전축(412)에 스크류결합된다.
또한, 고정디스크(451) 또는 가압디스크(453)는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패드(45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속도제어부(450)는 조절핸들(452)의 회전작동에 의해 이동디스크(455)가 가압스프링(456)을 압축하며 이동되고, 가압스프링(456)의 압축에 의해 가압디스크(453)가 고정디스크(451)에 가압되면서, 가압디스크(453)와 고정디스크(451) 사이의 마찰력이 증감되어 권취드럼부(4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즉, 속도제어부(450)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조절핸들(452)의 조절에 의해, 가압디스크(453)와 고정디스크(451)의 마찰력이 조절되고, 이와 같은 마찰력 조절에 의해 권취드럼부(410)의 회전속도가 조절된다.
가압롤러부(420)는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내부로 가스가 공급되어 가열되도록 가스공급부(500)와 연결되며, 롤러승하강부(430)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가압롤러부(420)는 원통형 롤러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통내부로 가스가 공급되도록 가스공급부(500)와 연결된다.
롤러승하강부(43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부(420)가 회전가능하도록 가압롤러부의 양단에 연결설치되는 수직지지대(431)와, 수직지지대(431)의 상단이 양측에 고정설치되도록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432)와, 수평지지대의 양단(432a)이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수직가이드홀(433a)을 구비하고 이동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수직프레임(433)과, 수직프레임(433)이 연결되도록 수직프레임(433)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동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프레임(434)과, 수평지지프레임(434)을 따라 로드가 수평작동되도록 수평지지프레임(434)에 고정설치되는 롤러승하강실린더(435)와, 롤러승하강실린더(435)의 로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수평지지프레임(434)을 관통하여 수평지지대(432)의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롤러승하강와이어(436)와, 수평지지프레임(434)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롤러승하강와이어(436)를 가이드하는 풀리(4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롤러승하강실린더(435)의 작동에 의해 가압롤러부(420)가 연결설치된 수평지지대(43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수평지지대(432)는 양단(432a)이 수직프레임의 수직가이드홀(433a)를 따라 이동되어 가압롤러부(420)가 흔들림없이 수직이동된다.
가이드롤러부(440)는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의 하측에 아이들 상태가 유지되도록 연결설치되되, 가압롤러부(420) 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권취드럼부에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가압롤러부(420)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된다.
가스공급부(500)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의 가압롤러부(420) 및, 도막방수제 공급부의 이중저장탱크(210)내로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부(130)와 세골재 공급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차량부의 이동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이중저장탱크의 가열공간내에 설치되는 가스노즐(510) 및 가압롤러부(420)내에 설치되는 롤러가스노즐(520)과 가스호스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가스노즐(510)은 가열공간(240)내에서 내통(220)을 향하여 가스가 분사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며, 롤러가스노즐(5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가압롤러부의 양측에서 중앙방향으로 가스가 분사되도록 설치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이동차량부 (110) : 이동프레임
(111) : 양측면 (120) : 조향부
(121) : 조향핸들 (122) : 운전석
(130) : 동력발생부 (140) : 조향바퀴부
(141) : 제1앞바퀴 (142) : 제2앞바퀴
(150) : 구동바퀴부 (151) : 제1뒤바퀴
(152) : 제2뒤바퀴 (153) : 제1바퀴구동부
(154) : 제2바퀴구동부 (153a,154a): 기어부
(153b,154b): 구동모터부 (153c,154c): 바퀴승하강부
(153d,154d): 바퀴지지대 (153e,154e): 로드지지대
(153f,154f): 바퀴 승하강실린더 (200) : 도막방수제 공급부
(210) : 이중저장탱크 (220) : 내통
(230) : 외통 (231) : 개구부
(240) : 가열공간 (250) : 도막분사부
(251) : 메인공급배관 (252) : 분사공급배관
(253) : 분사노즐 (254) : 개폐밸브
(255) : 분기배관 (256) : 배출공급배관
(257) : 후단노즐 (258) : 개폐밸브
(260) : 제1블레이드부 (261) : 제1블레이드
(261a): 메인블레이드 (261b): 가이드블레이드
(262) :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 (263) : 중앙가이드부
(270) : 제2블레이드부 (271) : 제2블레이드
(271a): 메인블레이드 (271b): 가이드블레이드
(272) :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 (273) : 제2가이드부
(274) : 연결와이어 (275) : 유압실린더
(276) : 풀리 (277) : 가이드하우징
(278) : 수직가이드 (278a): 상단나사산
(279) : 수평연결대 (280) : 미세조절부
(281) : 조절너트 (282) : 탄성스프링
(300) : 세골재 공급부 (310) : 저장호퍼부
(311) : 호퍼 (312) : 배출구
(312a): 선단배출구 (312b): 후단배출구
(313) : 고정대 (314) : 선단배출방지패널
(315) : 배출조절패널부 (316) : 분산판
(317) : 가이드지지대 (317a): 슬릿홀
(317b): 외측지지대 (317c): 내측지지대
(318) : 배출조절패널 (319) : 작동스프링
(320) : 배출컨베이어부 (321) : 컨베이어
(322) : 구동모터 (323) : 조절레버
(324) : 벨트 (325) : 캐리롤러
(326) : 리턴롤러 (330) : 세골재배출틈새
(340) : 벨트장력조절부 (341) : 하우징프레임
(342) : 이동대 (343) : 조절볼트
(344) : 상단가이드 (345) : 하단가이드
(350) : 밀착패널 (400) :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
(410) : 권취드럼부 (411) : 드럼
(412) : 회전축 (420) : 가압롤러부
(430) : 롤러승하강부 (431) : 수직지지대
(432) : 수평지지대 (432a): 수평지지대 양단
(433) : 수직프레임 (433a): 수직가이드홀
(434) : 수평지지프레임 (435) : 롤러승하강실린더
(436) : 롤러승하강와이어 (440) : 가이드롤러부
(450) : 속도제어부 (451) : 고정디스크
(452) : 조절핸들 (453) : 가압디스크
(454) : 가이드돌기 (455) : 이동디스크
(456) : 가압스프링 (457) : 패드
(500) : 가스공급부 (510) : 가스노즐(저장호퍼)
(520) : 롤러가스노즐 (700) : 방수시공장치
(800) : 교량 상판

Claims (15)

  1.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상기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기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상기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및 도막방수제 도포단계는 방수시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시공장치는,
    교량 상판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량부(1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상기 도막방수재가 도포된 교량 상판으로 공급하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및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차량부(100)는,
    이동프레임(110)과,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선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부(120)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후단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동력발생부(130)와,
    상기 조향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조향바퀴부(140)와,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바퀴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부(150)는, 개별로 작동되는 한 쌍의 제1바퀴구동부(153)와 제2바퀴구동부(15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바퀴구동부(153,154)는 각각, 제1,2뒷바퀴(151,152)에 연결되는 기어부(153a,154a)와, 상기 기어부(153a,154a)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제1,2뒷바퀴(151,152)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부(153b,154b)와, 상기 기어부(153a,154a)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153a,154a)를 승하강시키는 바퀴승하강부(153c,154c)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승하강부(153c,154c)는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바퀴지지대(153d,154d)와, 상기 기어부(153a,154a)와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바퀴지지대(153d,154d)를 관통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로드지지대(153e,154e)와, 상기 바퀴지지대(153d,154d)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로드가 로드지지대(153e,154e)에 연결설치되는 바퀴 승하강실린더(153f,154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제는,
    개질아스팔트 30 ~ 60중량%;
    폐타이어분말 10 ~ 50중량%;
    탄산칼슘분말 5 ~ 20중량%;
    길소나이트분말 1 ~ 5중량%;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 2 ~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제는,
    상기 개질아스팔트를 150℃ ~ 180℃로 용융하는 단계;
    용융된 상기 개질아스팔트에 대하여, 연화점 상승첨가재로서 상기 폐타이어분말, 탄산칼슘분말, 길소나이트분말 및 레진(Resin)계 접착보강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30 ~ 70중량%;
    천연 아스팔트 1 ~ 20중량%;
    고분자플라스틱 1 ~ 15중량%;
    폴리올레핀계열 폴리머 개질 첨가제 1~15중량%;
    SBS고분자 1 ~ 15중량%;
    특수섬유질 충진제 1 ~ 5중량%;
    UV안정제 0.1 ~ 0.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상기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기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상기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및 도막방수제 도포단계는 방수시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시공장치는,
    교량 상판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량부(1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상기 도막방수재가 도포된 교량 상판으로 공급하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및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상기 도막방수재가 내통(220)으로 공급되어 저장되고 상기 내통(220)과 외통(230)사이의 가열공간(240)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이중저장탱크(210)와,
    상기 이중저장탱크(210)의 내통(220)과 연결되어 상기 이중저장탱크(210)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고정설치되어 교량 상판에 대하여 도막방수재를 공급 및 분사시키는 도막분사부(25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의 선단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상기 도막분사부(250)에 의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1블레이드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블레이드부(260)는, 제1블레이드(261)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블레이드(261)를 승하강시키는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와, 상기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의 로드 및 제1블레이드(261)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승하강시키는 중앙가이드부(263)와, 상기 중앙가이드부(263)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블레이드(261)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26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연결가이드부(2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블레이드 승하강부(262)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는,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후단에 위치하도록 연결설치되어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유리섬유 메쉬가 설치된 교량 상판에 고르게 도포하는 제2블레이드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블레이드부(270)는, 공급된 도막방수재를 일정한 두께로 펴는 제2블레이드(271)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의 이동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271)에 연결와이어(274)가 연결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를 승하강시키는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와, 상기 제2블레이드(271)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레이드 승하강부(272)는, 상기 세골재 공급부(300)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10)의 폭방향(W)으로 로드가 수평작동되는 유압실린더(275)와, 상기 유압실린더(275)의 로드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중앙에 연결설치되는 상기 연결와이어(274)와, 상기 이동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와이어(274)를 가이드하는 풀리(2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2블레이드부(270)는, 상기 가이드부(273)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2블레이드(271)의 높낮이를 미세하게 보정하여 조정하는 미세조절부(2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세조절부(280)는, 수직가이드의 상단나사산(278a)에 체결되는 조절너트(281)와, 상기 조절너트(281)에 상단이 접촉지지되고 가이드하우징(277)에 하단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스프링(2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13. 교량 상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제를 도포하여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제 도포단계;
    상기 도막방수층의 상부에 용융점이 100 ~ 140°인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설치하여 유리섬유 메쉬층을 형성하는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상기 유리섬유 메쉬층의 상부에 온도가 120 ~ 150°인 아스콘을 포설하여, 상기 LDPE가 용융됨과 함께, 상기 아스콘이 경화되도록 하는 아스콘 포설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 메쉬 설치단계 및 도막방수제 도포단계는 방수시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시공장치는,
    교량 상판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차량부(100);
    이동차량부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를 교량 상판에 대하여 공급하여 도포하는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권취된 상기 유리섬유 메쉬를 상기 도막방수재가 도포된 교량 상판으로 공급하는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탑재되고 상기 도막방수제 공급부(200) 및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에 연결되는 가스공급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섬유 메쉬 공급부(400)는,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유리섬유 메쉬가 롤타입으로 권취되어 저장되는 권취드럼부(41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승하강되도록 연결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부(410)로부터 공급되는 유리섬유 메쉬가 교량 상판에 밀착접촉되도록 가압시키는 가압롤러부(420)와,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420)를 승하강시키는 롤러승하강부(430)와,
    상기 권취드럼부(410)와 가압롤러부(4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차량부(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420) 방향으로 유리섬유 메쉬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102486A 2019-08-21 2019-08-21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KR10211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86A KR102118671B1 (ko) 2019-08-21 2019-08-21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486A KR102118671B1 (ko) 2019-08-21 2019-08-21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671B1 true KR102118671B1 (ko) 2020-06-03

Family

ID=710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486A KR102118671B1 (ko) 2019-08-21 2019-08-21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9113A (zh) * 2021-08-13 2021-09-14 新沂市金铭节能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建造施工摊铺机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004B1 (ko) * 2004-09-17 2007-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교면 방수공법
KR100723374B1 (ko) * 2006-02-27 2007-06-04 김용호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4021577B2 (ja) * 1998-03-05 2007-12-12 日本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改質用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及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1574159B1 (ko) 2015-03-09 2015-12-04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1817121B1 (ko) 2016-03-28 2018-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881049B1 (ko) 2018-04-25 2018-07-23 조정혜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955570B1 (ko) * 2018-07-26 2019-04-17 안승하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KR102010244B1 (ko) * 2017-06-29 2019-08-20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1577B2 (ja) * 1998-03-05 2007-12-12 日本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改質用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及び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0672004B1 (ko) * 2004-09-17 2007-01-22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교면 방수공법
KR100723374B1 (ko) * 2006-02-27 2007-06-04 김용호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574159B1 (ko) 2015-03-09 2015-12-04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817121B1 (ko) 2016-03-28 2018-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769030B1 (ko) 2016-12-12 2017-08-18 김갑환 도막 용융장치와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2010244B1 (ko) * 2017-06-29 2019-08-20 권문현 도로용 차선표시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차선표시방법
KR101881049B1 (ko) 2018-04-25 2018-07-23 조정혜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1955570B1 (ko) * 2018-07-26 2019-04-17 안승하 아스팔트섬유보강재가 일체 형성된 택코팅용 섬유융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89113A (zh) * 2021-08-13 2021-09-14 新沂市金铭节能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建造施工摊铺机械
CN113389113B (zh) * 2021-08-13 2021-10-26 新沂市金铭节能保温工程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建造施工摊铺机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793B1 (ko)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US8474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pipes
KR102118671B1 (ko) Ldpe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US3954544A (en) Foam applying apparatus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120838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ofing materials utilizing reclaimed asphalt-based materials
KR100856975B1 (ko) 복합방수 시공장치
US20020004346A1 (en) Monolithic roofing surface membranes and applicators and methods for same
KR101881049B1 (ko) 반사균열보강재를 이용한 교량의 교면도막 방수시공장치 및 교면도막 방수시공방법
WO2008062231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lymer composites
KR101792539B1 (ko) 도막시공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시공된 도막 레이어
WO20100493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pipes and pipe sections
KR102093465B1 (ko)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 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메쉬를 이용한 교량 상판의 방수공법
KR100723374B1 (ko) 방수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20200071902A (ko) 기체확산층 및 이의 제조방법과 연료전지 단위셀
KR102173974B1 (ko)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용 함침 유리섬유시트 및 제조 장치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2135974B1 (ko)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369296B1 (ko)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JP3682760B2 (ja) トンネル内壁の形成方法およびその形成装置
KR102149877B1 (ko)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679246B1 (ko) 열교환기와 급속경화형 에폭시 프라이머계 분사식 택 코트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 공법
KR102183568B1 (ko) 상이한 상,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현장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KR100512288B1 (ko) 하면에 모래층을 가진 교량용 방수시트 및 그 설치공법
US9481962B2 (en) Method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 for use in reinforced elastomeric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