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96B1 -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 Google Patents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96B1
KR101369296B1 KR1020130142688A KR20130142688A KR101369296B1 KR 101369296 B1 KR101369296 B1 KR 101369296B1 KR 1020130142688 A KR1020130142688 A KR 1020130142688A KR 20130142688 A KR20130142688 A KR 20130142688A KR 101369296 B1 KR101369296 B1 KR 101369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ing material
coating film
moving
storage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정필교
최익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3014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16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the material to be sprayed being heated in a contain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 E04F21/12Mechanical implements acting by gas pressure, e.g. steam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서 고체상의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펠렛을 용융시켜 저장하고, 이를 이동탱크로 이송한 후 상기 이동탱크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켜 용융된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타입으로 분사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규모로 도막 방수재의 가열, 교반 및 저장을 수행하는 저장탱크와 비교적 소규모로 도막 방수재의 가열, 시공 장소로의 이동 및 분사를 수행하는 이동탱크의 이원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CONSTRUCTING METHOD OF HEATING CONNECTED SHEET BY SPRAYING WATERPROOF STUFF, CONSTRUCTING APPARATUS AND HEATING CONNECTED SHEET CONSTRUCT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서 고체상의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펠렛을 용융시켜 저장하고, 이를 이동탱크로 이송한 후 상기 이동탱크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켜 용융된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타입으로 분사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의 방수는 총 공사비의 1~3% 이하를 차지하여 비용 측면에서는 미비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 융해, 유해 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가속화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는 영향력이 큰 중요한 공정이다.
방수 시공시 사용되는 재료로는 시트 방수재, 도막 방수재 및 매스틱 방수재 등이 있으나, 시트 방수재의 경우 가공시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고, 시공 후 하자가 발생될 경우 누수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파손 부분과 동시에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일어나 하자 지점을 찾을 수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우레탄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방수 성능은 뛰어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노출 및 특수 부위 방수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우레탄 방수재 중에서 가장 가격이 저렴한 타르 우레탄 방수재도 고유가로 인한 우레탄 원료의 가격상승과 타르 특유의 악취 및 독성때문에 최근 들어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매스틱 방수재의 경우에도 방수재를 인력으로 펴 발라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시공되며, 고체화되지 않는 매스틱의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 수직 벽 부위의 시공 후 고온으로 인해 방수재가 흘러내리게 되어 상하부 방수층 두께가 균일하지 않고 보호시트를 시공할 경우 부착된 시트가 흘러내리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롤러 및 스퀴지로 시공함에 따라 시공은 간편하고 시공속도도 빠르나, 시공 후 경화 또는 건조 공정이 요구되어 공정기가 상당히 길어지며 수성 도막 방수재의 경우에는 동절기에 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막 방수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방수 시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융해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를 융해시키고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로울러를 이용하여 몰타르 용액을 수차례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방수가 되도록 해야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용융된 도막 방수재를 로울러에 묻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눌러 칠하는 작업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방수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 몰타르 분사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몰타르 분사장치는 몰타르 분출부를 통하여 분출되어진 몰타르가 몰타르 이송부에 의하여 공급관을 경유하여 토출관으로 토출되어지고, 토출관을 통해 토출되어지는 몰타르는 이송호스를 따라 이송되어지며, 이송호스의 끝까지 이송된 몰타르는 압력부에서 에어호스를 통해 분사부로 공급되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바닥면 및 벽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뿜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때 사용되어지는 방수재는 콘크리트 몰타르로서 방수 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고체상의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를 용융시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 등록특허 제0809653호(건축물의 방수액 분사장치)가 제안되었으나, 방수재를 파쇄로울러로 파쇄하는 과정에서 많은 힘이 필요하여 모터 등 장비의 고장율이 높고 장비가 대형화되어 분사건을 통해 분사시에도 고온 고압이 요구되므로 안정성이 떨어지고, 장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9653호(2008.02.2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탱크에서 고체상의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 펠렛을 용융시켜 저장하고, 이를 이동탱크로 이송한 후 상기 이동탱크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켜 용융된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타입으로 분사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막 방수재(10)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에 있어서,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pellet)(10a)을 저장탱크(100) 내의 가열지지체(110) 상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단계(S10), 상기 저장탱크(10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히터봉(120),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상기 가열지지체(110)와 가열자켓(130), 상기 저장탱크(100)를 직접 가열하는 가스버너(140)로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을 액화시켜 상기 저장탱크(100) 내 가열지지체(110) 하부 영역에 저장하는 제1가열단계(S20),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상기 히터봉(120), 가열자켓(130) 및 가스버너(140)를 통해 고온으로 유지하고, 상기 저장탱크(100)에 설치된 교반기(150)를 통해 교반하는 제2가열단계(S30), 상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의 일부를 이송배관(180)을 따라서 이동탱크(200)로 이송하는 제2공급단계(S40),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상기 이동탱크(200)에 구비된 가열코일(210)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탱크(200)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50) 및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된 이동탱크(200)에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에어컴프레서(220)로 가압하여 스프레이 노즐(230)을 통해 분사하는 시공단계(S60)를 포함하며, 상기 도막 방수재(10)는 아스팔트, 고분자개질제, 연화제, 점착보강제 및 물성보강제를 포함하되,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고분자개질제는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로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스비알고무 라텍스(SBR Latex), 에스이비에스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연화제는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오일, 디옥틸프탈레이트 가소제, 디부틸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점착보강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물성보강제는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가열단계(S20)와 제2가열단계(S30)에서,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액체상이 되도록 130 ~ 15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탱크(200)는,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40) 및 상기 저장탱크(100)의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체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배관(180)의 외부에는 밴드히터(18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열 지지체(15)는, 내부로 흐르는 열매체유에 의한 간접 가열을 통해 액화되는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상기 저장탱크(10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pipe)으로 된 체(sieve)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이동탱크(200)에 연결된 스프레이 노즐(230)은 교체 가능한 탈착식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막 방수재(10)는 아스팔트 30~80 중량%, 고분자개질제 5~15 중량%, 연화제 6~40 중량%, 점착보강제 4~15 중량% 및 물성보강제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막 방수재(10)에는 상기 도막 방수재(10)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 및 노화방지제 0.1~1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시공 방법으로 시공된 열융착 시트를 제공하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막 방수재(10)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100)와 이동탱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 구비되며,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공급되어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흐르는 열매체유에 의해 상기 적층된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간접 가열되어 액화되는 도막 방수재(10b)가 상기 저장탱크(10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관(pipe)으로 된 체(sieve) 구조로 형성되어지는 가열지지체(110), 상기 저장탱크(100) 내부에 인입되어지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히터봉(120), 상기 저장탱크(100)의 외벽에 구비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가열자켓(130), 상기 저장탱크(100) 내부를 직접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140), 상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150), 상기 저장탱크(100)에서 이동탱크(200)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 일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어펌프(160), 제어밸브(170) 및 이송배관(180) 및 상기 이송배관(180)의 외벽에 구비되며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밴드히터(181)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탱크(200)는, 상기 이동탱크(200) 외벽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용융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코일(210), 상기 이동탱크(200)에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가압 분사하기 위한 에어컴프래서(220) 및 스프레이 노즐(230), 상기 이동탱크(200)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240) 및 상기 이동탱크(200)와 상기 저장탱크(100)의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체결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는 유통되는 상태의 도막 방수재 펠렛을 그대로 저장탱크의 가열지지체 상으로 투입하여 액화 및 저장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가열자켓, 히터봉, 가스히터 등의 다양한 가열 수단 및 교반기를 통하여 액화된 도막 방수재의 상태를 최상의 작업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대규모로 도막 방수재의 가열, 교반 및 저장을 수행하는 저장탱크와 비교적 소규모로 도막 방수재의 가열, 시공 장소로의 이동 및 분사를 수행하는 이동탱크의 이원화 구조를 취함으로써 작업성 및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 이러한 저장탱크-이동탱크 이원화 구조와 최적화된 중온 가열형 개질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를 적용하여 용융, 저장, 이송 및 분사 작업에 있어서 뛰어난 작업성으로 작업 시간이 줄어 시공비를 감소시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의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공급단계(S10), 제1가열단계(S20), 제2가열단계(S30), 제2공급단계(S40), 이동단계(S50) 및 시공단계(S60)를 포함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을 제공한다. 이에 대한 흐름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를 참고하여, 이하 시공 방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한다. 시공 장치는 크게 저장탱크(100)와 이동탱크(200)로 구분된다. 저장탱크(100)는 상대적으로 대규모이며 도막 방수재를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용융된 도막 방수재를 교반 및 저장하며 일부를 이동탱크(20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동탱크(200)는 저장탱크(100)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를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공 장소로 이동하여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pellet)(10a)을 저장탱크(10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지지체(110) 상부에 공급한다. 도막 방수재는 고체상태의 펠렛 형태고 유통되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과정 없이 유통되는 도막 방수재를 바로 투입시킬 수 있어 별도의 처리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때 가열지지체(110)는 저장탱크(100) 내부 중간 영역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가 순환하게 되면서 간접적으로 상부에 놓여진 도막 방수재 펠렛(10a)을 가열하며, 가열을 통해 용융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가 저장탱크(100) 내부 가열지지체(11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발휘를 위한 다양한 구조의 가열지지체(110)가 차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가열 지지체(15)는 내부로 흐르는 열매체유에 의한 간접 가열을 통해 액화되는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저장탱크(10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pipe)으로 된 체(sieve) 구조일 수 있다.
상술한 제1공급단계(S10)가 종료되면 가열지지체(110)를 비롯하여 저장탱크(100) 내부에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히터봉(120), 저장탱크(100) 외벽에 구비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가열자켓(130) 및 저장탱크(100)를 직접 가열하는 가스버너(140)를 통해 공급되는 열로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10a)을 액화시켜 저장탱크(100) 내 가열지지체(110) 하부 영역에 저장하는 제1가열단계(S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히터봉(120), 가열자켓(130), 가스버너(140)는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것들이 차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히터봉(120)은 말단에 전기 코일의 저항에 따른 발열체가 구비되고, 가열자켓(130)은 저장탱크(100)를 감싸는 관(pipe)의 내부에 열매체유가 순환하는 형태이며, 가스버너(140)는 액화천연가스(LNG) 등이 공급되고 기화 및 점화시켜 발생되는 화염으로 저장탱크(100) 하단을 직접 가열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1가열단계(S20)가 종료되면 제1가열단계(S20)를 통해 생성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탱크(100)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봉(120), 가열자켓(130) 및 가스버너(140)를 통해 고온으로 유지하면서, 설치된 교반기(150)를 이용하여 교반시키는 제2가열단계(S30)를 거친다.
상기 교반기(150)의 크기나 형태, 교반조건 등에 대해서는 별도로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방수 도막재의 물리적인 성질, 저장탱크(100)의 크기 및 처리하는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의 양이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크기나 형태가 차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열단계(S20)와 제2가열단계(S30)에서는 도막 방수재 펠렛(10a)을 액화시키거나, 액화된 도막 방수재(10b)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130 ~ 15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2가열단계(S30)를 거친 후, 저장탱크(100) 내부에 용융 및 교반된 상태로 저장되어진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 중 일부를 이송배관(180)을 따라 이동탱크(200)로 이송하는 제2공급단계(S40)를 거친다.
이송되는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의 양은 방수 시공해야 하는 건축물 표면의 면적, 이동탱크(200)의 용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송배관(180)을 따라 이송하기 위한 이송 동력을 제공하고, 이송량 등을 단속하기 위하여 기어펌프(160)와 제어밸브(170)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장비들을 사용자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이송배관(180)을 따라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가 저장탱크(100)로부터 이동탱크(200)로 이송될 때 열을 가하여 용융점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여 도막 방수재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배관(180)의 외부에 발열 코일 형태의 밴드히터(181)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2공급단계(S40) 후, 이동탱크(200)로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이동탱크(200) 내에서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동탱크(200)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이동탱크(200) 내부로 일정한 열량을 주입하여 도막 방수재가 용융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탱크(200) 외벽에 코일히터를 구비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탱크(200)는,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40) 및 저장탱크(100)의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체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240)은 이동탱크(200) 하부 소정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일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250)는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파이프 커플링 등이 차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이동단계(S50)를 거친 후,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된 이동탱크(200)에서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에어컴프레서(220)로 가압하여 스프레이 노즐(230)을 통해 분사하는 시공단계(S60)를 거치게 된다.
에어컴프레서(220)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가압하는 정도는 도막 방수재의 양, 점도 등의 물리적인 성질, 시공 장소의 상태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압력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황에 맞춰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추가로 둘 수 있다.
또한 스프레이 노즐(230)은 시공에 따라 내부 노즐에 도막 방수재가 응고될 수 있으므로 교체 가능한 탈착식 구조를 차용하여 사용자가 시공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도막 방수재(10)는 아스팔트, 고분자개질제, 연화제, 점착보강제 및 물성보강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계 도막 방수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30~80 중량%, 고분자개질제 5~15 중량%, 연화제 6~40 중량%, 점착보강제 4~15 중량% 및 물성보강제 5~15 중량%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고, 여기에 필요에 따라 도막 방수재(10)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 및 노화방지제 0.1~1 중량부를 추가로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도막재의 수밀성 및 부착성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개질재는 도막재의 탄성, 신율, 내저온성 및 내열성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서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로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스비알고무 라텍스(SBR Latex), 에스이비에스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화제로는 프로세스 오일, 가소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 오일은 나프텐계, 파라핀계, 아로마틱계 오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프로세스 오일 및 가소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보강제는 도막재 혼합물의 점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재료로서 그 종류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송진), 로진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석유수지는 C9계, C5계, C9-C5계 공중합 수지, 수첨수지 등이 있으며 상술한 재료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폴리부텐의 등급으로 어느 한 가지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물성보강제로는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흐름방지제로는 폴리에틸렌(PE)왁스, 폴리프로필렌(PP)왁스, 아마이드왁스,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이크로 왁스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중온 가열형 도막 방수재(10)는 상술한 조성비에 맞게 아스팔트와 고분자개질제를 혼합하여 개질 아스팔트를 제조한 다음, 적정 조성비에 맞게 연화제, 점착보강제, 물성보강제를 투입한 후 교반 분산 시킴으로써 제조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도막 방수재
10a :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
10b :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
100 : 저장탱크
110 : 가열지지체
120 : 히터봉
130 : 가열자켓
140 : 가스버너
150 : 교반기
160 : 기어펌프
170 : 제어벨브
180 : 이송배관
181 : 밴드히터
200 : 이동탱크
210 : 가열코일
220 : 에어컴프래서
230 : 스프레이 노즐
240 : 이동수단
250 : 체결부

Claims (10)

  1. 도막 방수재(10)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에 있어서,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pellet)(10a)을 저장탱크(100) 내의 가열지지체(110) 상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단계(S10);
    상기 저장탱크(100)에 설치된 복수 개의 히터봉(120),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상기 가열지지체(110)와 가열자켓(130), 상기 저장탱크(100)를 직접 가열하는 가스버너(140)로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을 액화시켜 상기 저장탱크(100) 내 가열지지체(110) 하부 영역에 저장하는 제1가열단계(S20);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상기 히터봉(120), 가열자켓(130) 및 가스버너(140)를 통해 고온으로 유지하고, 상기 저장탱크(100)에 설치된 교반기(150)를 통해 교반하는 제2가열단계(S30);
    상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의 일부를 이송배관(180)을 따라서 이동탱크(200)로 이송하는 제2공급단계(S40);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상기 이동탱크(200)에 구비된 가열코일(210)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탱크(200)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S50); 및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된 이동탱크(200)에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에어컴프레서(220)로 가압하여 스프레이 노즐(230)을 통해 분사하는 시공단계(S60);
    를 포함하며,
    상기 도막 방수재(10)는 아스팔트, 고분자개질제, 연화제, 점착보강제 및 물성보강제를 포함하되,
    상기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고분자개질제는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로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스비알고무 라텍스(SBR Latex), 에스이비에스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연화제는 나프텐계 프로세스오일, 파라핀계 프로세스오일, 아로마틱계 프로세스오일, 디옥틸프탈레이트 가소제, 디부틸프탈레이트 가소제 및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점착보강제는 석유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PIB), 로진 및 로진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이며,
    상기 물성보강제는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난연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단계(S20)와 제2가열단계(S30)에서,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액체상이 되도록 130 ~ 150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탱크(200)는,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240) 및 상기 저장탱크(100)의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체결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180)의 외부에는 밴드히터(181)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지지체(15)는,
    내부로 흐르는 열매체유에 의한 간접 가열을 통해 액화되는 상기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상기 저장탱크(10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pipe)으로 된 체(sieve)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탱크(200)에 연결된 스프레이 노즐(230)은 교체 가능한 탈착식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방수재(10)는 아스팔트 30~80 중량%, 고분자개질제 5~15 중량%, 연화제 6~40 중량%, 점착보강제 4~15 중량% 및 물성보강제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방수재(10)에는 상기 도막 방수재(10)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 및 노화방지제 0.1~1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시공 공법으로 시공된 열융착 시트.
  10. 도막 방수재(10)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에 있어서,
    저장탱크(100)와 이동탱크(200)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탱크(100)는,
    상기 저장탱크(100) 내에 구비되며, 고체상의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공급되어 상부에 적층되고, 내부에 흐르는 열매체유에 의해 상기 적층된 도막 방수재 펠렛(10a)이 간접 가열되어 액화되는 도막 방수재(10b)가 상기 저장탱크(100) 하부 영역으로 이동되도록 관(pipe)으로 된 체(sieve) 구조로 형성되어지는 가열지지체(110);
    상기 저장탱크(100) 내부에 인입되어지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히터봉(120);
    상기 저장탱크(100)의 외벽에 구비되며, 내부에 가열된 열매체유가 순환되는 가열자켓(130);
    상기 저장탱크(100) 내부를 직접 가열하기 위한 가스버너(140);
    상기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기(150);
    상기 저장탱크(100)에서 이동탱크(200)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 일부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어펌프(160), 제어밸브(170) 및 이송배관(180); 및
    상기 이송배관(180)의 외벽에 구비되며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한 밴드히터(181);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탱크(200)는,
    상기 이동탱크(200) 외벽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용융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코일(210);
    상기 이동탱크(200)에서 액체상의 도막 방수재(10b)를 가압 분사하기 위한 에어컴프래서(220) 및 스프레이 노즐(230);
    상기 이동탱크(200)를 방수재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240); 및
    상기 이동탱크(200)와 상기 저장탱크(100)의 이송배관(180)과의 연결상태를 단속하기 위한 체결부(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장치.
KR1020130142688A 2013-11-22 2013-11-22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KR101369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88A KR101369296B1 (ko) 2013-11-22 2013-11-22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688A KR101369296B1 (ko) 2013-11-22 2013-11-22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296B1 true KR101369296B1 (ko) 2014-03-06

Family

ID=5064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688A KR101369296B1 (ko) 2013-11-22 2013-11-22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448B1 (ko) 2016-04-06 2016-11-09 (주)에이알앤씨 소립자 epdm이 가교결합되어 흄 발생이 없는 저점도 비고화 스프레이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2549B1 (ko) * 2016-11-04 2018-01-26 현대건설 주식회사 파라핀 코팅 시공장치
KR101967776B1 (ko) * 2019-01-31 2019-04-10 맥종합건설 주식회사 저온 용융 교면용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979A (ko) * 2010-02-08 2011-08-17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건축물의 방수액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1979A (ko) * 2010-02-08 2011-08-17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건축물의 방수액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448B1 (ko) 2016-04-06 2016-11-09 (주)에이알앤씨 소립자 epdm이 가교결합되어 흄 발생이 없는 저점도 비고화 스프레이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2549B1 (ko) * 2016-11-04 2018-01-26 현대건설 주식회사 파라핀 코팅 시공장치
KR101967776B1 (ko) * 2019-01-31 2019-04-10 맥종합건설 주식회사 저온 용융 교면용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369296B1 (ko) 도막 방수재 스프레이 열융착 시트의 시공 공법,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시트
KR101117183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DK2859050T3 (en) Mass to fill the joints and / or cracks
CA268381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pipes
CN101575486B (zh) 无溶剂粘合剂、防水片材、其制法和使用它的建筑方法
KR100585225B1 (ko) 스프레이식 고무화 아스팔트 매스틱 방수재 및 그제조방법.
KR101600072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KR101256108B1 (ko) 교면방수공법
CN102472024B (zh) 具有增强的粘结特性的路面结构
US20110183100A1 (en) Solvent-free adhesive for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olvent-free adhesiv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20090095993A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20170001937A (ko)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가 포함된 복합 방수시트
JP6918301B2 (ja) 既設管更生方法
CN108086603A (zh) 一种既有屋面防止水系统以及防止水屋面
US20110250012A1 (en) Roadway sealing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1926446B1 (ko) 맨홀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1990907B1 (ko)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926445B1 (ko) 도로 보수용 아스콘 제조방법
KR102372797B1 (ko) 상이한 상부 및 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시공방법
JP2008303541A (ja) 常温施工アスファルト防水工法および防水積層構造
CN108086490A (zh) 一种地下防止水系统以及地面、顶面和立面施工方法
KR101679246B1 (ko) 열교환기와 급속경화형 에폭시 프라이머계 분사식 택 코트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보수 공법
Zaikin et al. Tape polymer materials for anti-corrosion insulation of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