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07B1 -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07B1
KR101990907B1 KR1020190022595A KR20190022595A KR101990907B1 KR 101990907 B1 KR101990907 B1 KR 101990907B1 KR 1020190022595 A KR1020190022595 A KR 1020190022595A KR 20190022595 A KR20190022595 A KR 20190022595A KR 101990907 B1 KR101990907 B1 KR 101990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waterproof coating
unit
waterproof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9002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0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a pool of coating material being formed between a roller, e.g. a dosing roller and an element cooperating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73Controlling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f the ambient medium, of the roller or of the work
    • B05C1/0878Controlling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of the ambient medium, of the roller or of the work responsive to the pressure applied between two rollers, e.g.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a backing roller or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a dosing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5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lready applied to the surface, e.g. coating thickness, weight or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어 시공 장소에 균일한 두께의 방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에 탑재되어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저장하는 도막재 저장부, 상기 도막재 저장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도막재 저장부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한 쌍의 롤러에 공급하는 도포부 및 상기 도포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소정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된다.

Description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Waterproof coating film applying device and waterproofing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포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어 시공 장소에 균일한 두께의 방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축물의 옥상, 지하 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의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빗물 등과 같은 수분이 스며들어 수분의 일부가 증발되지 않고 건축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는 경우, 실거주자의 쾌적한 주거 환경의 유지라는 환경적 측면 뿐만 아니라,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을 저하시키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공극, 균열 발생 등 내구성 저하의 방지 측면에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는 반드시 방수 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방수 시공시 사용되는 재료로는, 시트 방수재, 방수 도막재 또는 매스틱 방수재 등이 있으나, 시트 방수재의 경우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시공 후 하자가 발생할 경우, 누수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파손 부분과 함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하자 지점을 찾을 수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매스틱 방수재의 경우에도 방수재를 시공 인력이 직접 펴 발라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않고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시공되며, 고체화되지 않는 매스틱의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 수직 벽 부위의 시공 후 고온에서 방수재가 흘러내리게 되어 상 하부 방수층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보호시트를 시공할 경우 부착된 시트가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방수 도막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표면에 방수 시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상의 방수 도막재를 융해시킨 후,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모르타르 용액을 수차례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방수 시공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작업자가 용융된 방수 도막재를 롤러에 묻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눌러 칠하는 작업 과정이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방수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작업자가 용융된 방수 도막재를 직접 펴 발라서 시공해야 하므로, 도포된 도막층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아 방수 시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56975호(2008.08.2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포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어 시공 장소에 균일한 두께의 방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센서를 구비하여,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제어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방수 도막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방수 도막재가 정확한 두께와 높이로 시공될 수 있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방수도막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수도막 도포장치는, 이동수단(100); 상기 이동수단(100)에 탑재되어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저장하는 도막재 저장부(20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도막재 저장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한 쌍의 롤러(400)에 공급하는 도포부(300); 및 상기 도포부(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소정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롤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간격(d)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된다.
상기 이동수단(100)은, 상기 이동수단(1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10); 및 사용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부(110)로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수단(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는,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양측면 및 하부에 형성되고, 방수 도막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부(21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가압하여 상기 도포부(300)로 공급하는 유압 실린더(220); 및 상기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로 이송하는 이송배관(2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배관(230)에는, 제1 히팅 코일(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300)는, 도포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임펠러(310); 도포부(3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310)에 의해 회전되는 방수 도막재를 토출하는 토출부(320); 상기 토출부(32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30); 및 상기 도포부(300)에 형성되는 제2 히팅 코일(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00)에는,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130); 및 상기 레이저 센서(13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는,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100)에 연결되고, 도포된 방수 도막재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배출하는 시트공급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수단(100)에 탑재된 도막재 저장부(200)에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공급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에서 방수 도막재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수단(100)을 시공 장소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S200); 상기 이동수단(100)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시공 장소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진행하면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시공 장소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도포부의 하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롤러 사이의 간격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될 수 있어 시공 장소에 균일한 두께의 방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레이저 센서를 구비하여,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제어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방수 도막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방수 도막재가 정확한 두께와 높이로 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수 작업의 질이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의 도포부와 한 쌍의 롤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의 도포부와 한 쌍의 롤러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수도막 도포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10)는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도포부(300) 및 한 쌍의 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100)은 후술될 도막재 저장부(200), 도포부(300) 및 한 쌍의 롤러(400)와 결합하어 이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삼륜차 같은 구동부(1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그 구조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엔진이 구비되어 엔진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면 그 구조나 형태에 특별히 제한을 받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삼륜차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수단(100)은 이동수단(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10)와 구동부(110)를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10)는 컨트롤러(120)에서 송신된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것으로서, 이동수단(100)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수단(100)이 삼륜차일 경우, 구동부(110)는 컨트롤러(120)의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기어박스를 통해 뒷축에 결합된 양 뒷바퀴와 앞축에 결합된 앞바퀴에 전달할 수 있고, 전방에 구비된 조향장치(예를 들어, 핸들)를 통해 이동수단(10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20)는 사용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부(110)에 작동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동수단(100)의 작동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110)와 컨트롤러(120)는 무선 혹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작동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예를 들어, 리모콘)를 통해 컨트롤러(120)에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수단(100)의 이동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100)을 일정한 속도로 주행시키면서 일정한 두께로 방수 도막재를 시공 장소에 도포할 수 있다.
도막재 저장부(200)는 이동수단(100)에 탑재되며,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저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열전도도가 높으며 내식성이 양호한 스테인레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막재 저장부(200)는 가열부(210), 유압 실린더(220), 이송배관(230) 및 복수 개의 제1 히팅 코일(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210)는 방수 도막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막재 저장부(200)의 양측면과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도막재 저장부(200)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열부(210)로써 히팅 코일, 가열자켓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가스버너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가스버너에 액화천연가스(LPG) 등과 같은 연료가 공급되고, 이 연료를 기화 및 점화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화염을 통해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가 직접적으로 가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내부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방수 도막재가 굳어져 방수 시공시 열융착이 되지 않으며, 내부 온도가 120℃ 이상인 경우, 방수시트 등과의 접착시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막재 저장부(200)의 내부 온도는 100~120 ℃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압 실린더(220)는 도막재 저장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도막재 저장부(200) 내부에 저장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가압함으로써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220)는 후술되는 제어부(14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이송배관(230)은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일측은 도막재 저장부(200)와 연통되고, 타측은 후술될 도포부(300)와 연결되며, 유압 실린더(220)에 의해 가압된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로 이송해준다. 이때, 이송배관(230)에는 방수 도막재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이송 밸브(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배관(230)을 따라 복수 개의 제1 히팅 코일(240)이 형성되어, 이송배관(230)을 따라 이송되는 방수 도막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는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가 도막재 저장부(200) 내부에 눌러 붙지 않도록 교반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교반기의 크기나 형태, 교반 조건 등은 별도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방수 도막재의 물리적인 성질, 도막재 저장부(200)의 크기 및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의 양이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나 형태를 가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막재 저장부(200)에 용융 상태로 저장되는 방수 도막재는 아스팔트, 고분자개질제, 연화제, 물성보강제, 흡유안정제 및 강도강화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방수 도막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스팔트 40~64 중량%, 고분자개질제 8~22 중량%, 연화제 10~20 중량%, 물성보강제 1~3 중량% 및 강도강화제 7~20 중량%를 포함하는 방수 도막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방수 도막재 100 중량부에 대해서 산화 방지제가 0.1~2 중량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방수 도막재의 점도는 10,000~30,000 cP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팔트는 방수 도막재의 수밀성 및 부착성 확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로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블로운 아스팔트 및 천연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스팔트가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방수 도막재의 수밀성 및 부착성 확보가 곤란하고, 6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범위 내로의 점도 조절이 곤란하여, 시공시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방수 도막재를 균일하게 배출하기 곤란하므로, 상술한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개질제는 방수 도막재의 탄성, 신율, 내저온성 및 내열성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서, 에스비에스고무(SBS), 클로로프렌고무(CR), 이피디엠고무(EPDM), 에스비알고무(SBR), 에스비알고무 라텍스(SBR Latex), 에스이비에스고무(SEBS),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타틱폴리 프로필렌(APP), 비정형폴리올래핀(APAO), 폴리에틸렌(PE), 폴리플로필렌(PP) 및 폐타이어 분말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에스비에스고무(SBS)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개질재는 8~22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8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얻기 곤란하고, 2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시공 후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눌림이나 파손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화제는 방수 도막재의 가공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서, 10~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데,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가소성 향상이 미미하여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기 곤란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수 도막재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상술한 조성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화제로는 프로세스 오일이나 가소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프로세스 오일로는 나프텐계, 파라핀계, 아로마틱계 오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가소제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로세스 오일 및 가소제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2종 이상으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프텐계 오일 45~60 중량%, 파라핀계 오일 25~40 중량%, 디옥틸프탈레이트 5~15 중량%를 포함하는 연화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성보강제는 흐름방지제, 내열안정제, 광택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흐름방지제로는 펄프, 목재 펄프 등의 천연 섬유가 사용될 수 있고, 내열안정제로는 디페닐 아민계 화합물, 예를 들어, 4,4'-비스(α, 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4,4'-bis(α, α-dimethylbenzyl)diphenylamine)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광택제로는 황산바륨이 사용될 수 있고, 활제로는 스테아르산아연, 올레아마이드, 에루카아마이드, 스테아르아마이드,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마이드 또는 베헨아마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강도강화제로는 백운석, 탄산칼슘, 운모, 활석 또는 이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백운석과 탄산칼슘이 1:0.5 ~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강도강화제로 인한 충분한 강도를 획득하는 동시에 방수도막 도포장치(10)의 손상, 예를 들어 이송배관(230), 후술될 토출부(320)나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의 막힘이나 긁힘 등을 방지하기 위해 150~250 메쉬의 입도를 갖는 분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유황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이송배관(230), 도포부(300) 및 한 쌍의 롤러(400)등을 보다 자세하게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포부(300)는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도포부(300)의 하부에는 이송배관(230)을 통해 도포부(300) 내부 공간에 충진된 방수 도막재를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32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포부(300)는 일측이 도막재 저장부(200)에 연결되어 도막재 저장부(2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이송배관(230)의 반대쪽 끝, 즉, 이송배관(230)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때, 이송배관(230)과 도포부(300)가 연결된다는 의미는, 방수 도막재가 이송배관(230)으로부터 도포부(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배관(230)과 도포부(300)가 연결된다는 의미로, 반드시 이송배관(230)과 도포부(300)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연결될 필요는 없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부(300)와 이송배관(230)이 서로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없더라도, 이송배관(230)의 타측이 도포부(300)의 개방된 상부면을 통과하여, 이송배관(230)의 타측이 도포부(300) 내측에 배치되어, 이송배관(230)으로부터 토출되는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가 수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2와 같이 이송배관(230)과 도포부(300)가 물리적 접촉 없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된 경우에는, 도포부(3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 도포부(300) 내 빈 공간의 압력이 상압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후술될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방수 도막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균일하여, 방수 도막재가 일정한 두께로 시공 바닥부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30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후술될 임펠러(310)가 배치되는 하부 공간(302)과 소정 양의 방수 도막재를 저장하고 동시에 임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방수 도막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기 위한 상부 공간(30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부(300)의 하부 공간(302)은 임펠러(310) 회전에 의한 균일한 회전 효과를 얻기 위해 폭 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부 공간(301)과 연통시키기 위해 윗면이 제거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공간(301)은 이송배관(230)을 통해 토출되는 방수 도막재를 수용하고 동시에 하부 공간(302)과 연통되도록 상하부가 제거된 원통형, 직사각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윗면이 제거된 원통형의 하부 공간(302)과 윗면 및 아랫면이 제거된 원통형의 상부 공간(30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부(300)는 이동수단(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동수단(100)의 폭 방향, 즉, 바닥면과 평행한 면상에서 이동수단(100)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이동수단(100)이 이동할 때 도포되는 방수 도막재의 면적이 넓어지므로, 방수 도막재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방수 시공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한 쌍의 롤러(400)는 도포부(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한 쌍의 롤러(400)를 구성하는 제1 롤러(410)와 제2 롤러(420)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롤러(410)와 제2 롤러(4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400) 사이로 공급된 방수 도막재가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배출되어 방수 도막재가 바닥부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롤러(400)가 존재하지 않고 토출부(320)를 통해 시공 바닥부에 방수 도막재가 직접 도포되는 경우에는, 방수 도막재의 질 및 두께가 도포부(300)의 온도, 후술될 도포부(300) 내 임펠러(310)의 회전속도 및 도포부(300) 내의 방수 도막재의 함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를 갖는 방수 도막재를 형성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두께로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한 방향으로 한 쌍의 롤러(400)가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방수 도막재가 바닥부에 도포되므로,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간격(d)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400)는 한 쌍의 롤러(400)와 도포부(300) 사이의 공간(s)에 소정 시간 동안 저장되는 방수 도막재의 압력과 후술될 토출부(320)에서 토출되는 방수 도막재의 토출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도 있으나, 한 쌍의 롤러(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속도로 한 쌍의 롤러(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롤러(400)를 통해 도포되는 방수 도막재의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후자와 같이 사용자 정의 속도로 한 쌍의 롤러(400)의 회전속도가 제어되는 경우에는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를 사용자가 원하는 두께로 더욱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시공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간격(d)은 후술될 토출부(320) 폭의 70~95 %인 것이 바람직한데, 70 % 미만인 경우에는 방수 효과를 얻기 위한 충분한 두께의 방수 도막층을 형성하기 곤란하기 때문이고, 9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토출부(320)를 통해 토출된 방수 도막재가 한 쌍의 롤러(400)와 도포부(300) 사이의 공간(s)에 소정 시간 머무르지 않고 바로 바닥부에 도포되기 때문에 균일한 방수 도막층의 형성이 곤란한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면, 도포부(300)는 임펠러(310), 토출부(320), 걸림턱(330) 및 제2 히팅 코일(340)을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310)는 도포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이에 따라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교반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용융 상태의 도막재(10)를 토출부(320)로 유도하여 방수 도막재가 토출부(32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임펠러(310)는 프로펠러형, 터빈형, 스쿠루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소정 점도를 갖는 방수 도막재는 임펠러(310)의 회전에 의해 토출부(320) 쪽으로 이송되어, 한 쌍의 롤러(400) 사이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방수 도막재의 배출되는 속도 또는 방수 도막재의 양은 임펠러(310)의 회전 상태(속도 등)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포부(300)에는 임펠러(310)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RPM 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부(320)는 도포부(300)의 하부에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임펠러(310)에 의해 회전되는 방수 도막재를 한 쌍의 롤러(400) 사이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때, 토출부(320)의 폭은 6~1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10 mm일 수 있다.
토출부(320)의 폭이 6 mm 미만인 경우, 배출되는 방수 도막재의 양이 충분하지 않아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정의 두께로 방수 도막재를 도포하는 것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방수 도막재의 표면장력에 의해 방수 도막재가 토출부(320)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토출부(320)의 폭이 8 mm 미만인 경우에는 상술한 방수 도막재의 토출부(320)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나, 여전히 배출되는 방수 도막재의 양이 불충분하여 방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토출부(320)의 폭이 10 mm 를 초과하는 경우, 토출부(320)를 통해 토출되는 방수 도막재 양의 증가로 인해, 한 쌍의 롤러(40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제어하더라도 한 쌍의 롤러(400)와 도포부(300) 사이의 공간(s) 사이에 축적되는 방수 도막재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져 각 롤러(410, 420)와 도포부(300)의 간격이 가장 좁은 공간을 통해 방수 도막재가 넘치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장비 고장이 유발될 수도 있기 때문에, 상술한 두께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330)은 토출부(32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토출부(320)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임펠러(31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토출부(320)의 뒤쪽면에 형성되어, 임펠러(310)에 의해 회전하는 방수 도막재가 원활하게 토출부(320)로 토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33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걸림턱(330)과 도포부(300)의 하부면과의 경사(A)는 30~6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5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걸림턱(330)의 형태의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330)의 토출부(320) 방향의 일면(331)은 빗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면(332)은 상기 일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둔각이 되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턱(330) 뒷 공간의 방수 도막재 정체 현상을 최소화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턱(330)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점성을 가지고 있는 방수 도막재는 토출부(320)로 배출되는 양보다 임펠러(3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내부에서 회전하는 양이 늘어나게 되어 방수 도막재가 원활하게 토출부(320)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반면, 걸림턱(330)이 구비되는 경우, 방수 도막재가 임펠러(3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어, 방수 도막재가 원활하게 토출부(320)로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 히팅 코일(340)은 도포부(3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방수 도막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포부(300)의 내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는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방수 시공을 완료한 후에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를 각각 이동수단(100)으로부터 분리하여 내부 공간을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는 나사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가 연결되는 각 연결 부위에는 각각 암나사와 수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 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다른 부재에는 스프링이 구비된 돌기가 형성되어, 돌기를 관통홀에 삽입시켜 서로 체결하거나, 돌기를 스프링 방향으로 누른 후 관통홀에서 탈착시킴으로써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를 각각 분리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수단(100)에는 레이저 센서(130) 및 제어부(1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센서(130)는 이동수단(100)의 후면에 구비되며,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정확한 두께와 높이로 방수 도막재가 시공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센서(130)의 측정값에 따라 제어부(140)가 유압 실린더(220) 및/또는 한 쌍의 롤러(400)의 구동을 제어하여, 방수 도막재의 배출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방수 도막재를 정확한 두께와 높이로 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센서(130)는 센서에서 측정 대상까지의 거리가 수 미터 이내인 중거리 영역으로, 위상 고정 루프 방식을 이용하여 반사광의 간섭을 이용하면 수 마이크론 단위의 방수 도막재의 두께 혹은 바닥면의 높이 및 이들 값의 변화 정도(variance)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방수도막 도포장치(10)는 시트공급부(5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공급부(500)는 이동수단(100)의 후방에 연결되되, 도포부(300) 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어, 도포부(300)를 통해 도포된 방수 도막재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배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시트공급부(500)는 시트공급롤러(510) 및 시트이송롤러(520, 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시트공급롤러(510)는 방수시트가 권취되어 있고, 권취된 방수시트는 시트공급롤러(510)와 복수 개의 시트이송롤러(520, 520’)들이 회전하면서 풀리게 된다.
따라서, 방수시트는 풀리면서 도포된 방수 도막재의 상부에 배출되어 방수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방수도막 도포장치(10)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이동수단(100)에 탑재된 도막재 저장부(200)에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공급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가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 단계(S100)는 고체상태로 공급된 방수 도막재에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 도막재 저장부(200)에 공급하거나, 또는 용융상태로 공급된 방수 도막재를 도막재 저장부(200)에 공급하는 단계이다.
저장 단계(S100) 후, 도막재 저장부(200)에서 방수 도막재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수단(100)을 시공 장소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S20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이동 단계(S200)에서 도막재 저장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방수 도막재의 용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부(210)를 동작시켜 도막재 저장부(200)의 온도를 100~120 ℃ 의 온도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단계(S200) 후, 이동수단(100)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시공 장소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를 통해 배출하여 시공 장소에 방수 도막재를 도포하는 도포 단계(S300)가 수행된다.
이때, 방수 도막재는 도포부(300)를 통해 한 쌍의 롤러(400) 사이로 배출되며,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간격(d)에 의해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제어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10)가 레이저 센서(130) 및 제어부(140)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포 단계(S300) 이후, 배출된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방수 도막재가 도포된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방수 도막재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S400)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저 센서(130)를 통해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한 후, 측정값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막재 저장부(200) 내부에 위치한 유압 실린더(220) 및/또는 한 쌍의 롤러(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방수 도막재의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10)가 시트 공급부(500)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포 단계(S300) 또는 제어 단계(S400)이후에 도포된 방수 도막재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배출하여 부착하는 시트 부착 단계(S500)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도막재를 시공 장소의 상면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이동수단(100)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이동시키면서 시공 장소에 방수 도막재를 도포함으로써, 방수 도막재 및 방수시트를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한 사람의 작업자가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소요되는 작업자 수를 감소시켜 시공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AP-5) 58중량%, 고분자 개질제인 SBS 고무 17 중량%, 연화제 12중량%, 물성보강제 2 중량% 및 강도강화제 11 중량%의 혼합물을 120 ℃로 가열하며 혼합하여 용융된 방수 도막재를 제조하였다. 이때, 현화제로써 나프텐오일, 파라핀오일 및 디옥틸프탈레이트가 2:2:1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고, 물성보강제로써 흐름방지제인 펄프, 내열안정제인 4,4'-비스(α, 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광택제인 황산바륨, 활제인 스테아르산 아연이 2:2:1.5:1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강도강화제로써 백운석과 탄산칼슘이 1:1로 혼합된 혼합분말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강도강화제로써 사용된 혼합분말은 180메쉬의 입도를 갖는 혼합분말이 사용되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수 도막재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10)의 도막재 저장부(200)에 투입하고, 콘크리트 바닥면에 방수 시공을 수행하였다.
도막재 저장부(200), 이송배관(230) 및 도포부(300)의 온도는 110 ℃로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임펠러(310)의 회전속도는 60 rpm으로 일정하게 회전시켰다.
이때, 토출부(320)의 폭이 각각 5, 6, 7, 8, 9, 10, 11 mm인 도포부(300)를 준비하여 토출부(320) 폭에 따른 방수 도막재의 도포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도포 성능은 시공 및 경화 후 무작위적으로 20 곳의 도막을 채취하여 측정한 도막 두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통해 측정하였다.
토출부의 폭
(mm)
한 쌍의 롤러
사이의 간격(d)(mm)
도막의
평균두께(mm)
도막 두께의
표준편차
5 4.5 3.7 1.06
6 5.4 5.0 0.37
7 6.5 6.2 0.30
8 7.2 6.9 0.19
9 8.0 7.8 0.18
10 9.0 8.8 0.17
11 9.9 9.8 0.52
표 1의 실험결과를 살펴보면, 토출부(320)의 폭이 6~10 mm일 때 도막 두께의 표준편차가 낮게 나타나 방수 도막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8~10 mm일 때 더욱 우수한 균일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1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상기 실험 중 토출부(320)의 폭을 5 mm로 제작한 실험에서, 간혹 토출부(320)에서 방수 도막재가 토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토출부(320)의 폭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방수 도막재의 점도가 높고 표면장력이 커서 토출부(320)의 좁은 폭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조성의 아스팔트계 방수 도막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출부(320)의 폭을 5 mm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6 mm인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6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부(320)의 폭을 11 mm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롤러(400)를 통해 바닥부로 도포되는 방수 도막재의 양이 과도하게 많아져 방수 도막재의 두께를 균일하게 제어하기 곤란하고, 토출부(320)를 통해 한 쌍의 롤러(400)와 도포부(300) 사이의 공간(s)에 축적되는 방수 도막재의 양이 빠르게 증가하여,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공간(s)에서 방수 도막재가 넘쳐 흐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토출부(320)의 폭을 10 mm 이하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동수단 110: 구동부
120: 컨트롤러 130: 레이저 센서
140: 제어부 200: 도막재 저장부
210: 가열부 220: 유압 실린더
230: 이송배관 240: 제1 히팅 코일
300: 도포부 310: 임펠러
320: 토출부 330: 걸림턱
340: 제2 히팅 코일 400: 롤러
500: 시트공급부

Claims (8)

  1. 이동수단(100);
    상기 이동수단(100)에 탑재되어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저장하는 도막재 저장부(20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도막재 저장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한 쌍의 롤러(400)에 공급하는 도포부(300); 및
    상기 도포부(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소정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롤러(40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400) 사이의 간격(d)에 의해 바닥부에 시공되는 방수 도막층의 두께가 제어되며,
    상기 도포부(300)는, 도포부(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임펠러(310);
    도포부(3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310)에 의해 회전되는 방수 도막재를 토출하는 토출부(320); 상기 토출부(32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30); 및 상기 도포부(300)에 형성되는 제2 히팅 코일(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은,
    상기 이동수단(10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10); 및
    사용자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부(110)로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수단(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는,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양측면 및 하부에 형성되고, 방수 도막재를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열부(21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가압하여 상기 도포부(300)로 공급하는 유압 실린더(220); 및
    상기 방수 도막재를 도포부(300)로 이송하는 이송배관(23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배관(230)에는, 제1 히팅 코일(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에는, 방수 도막재의 두께 또는 바닥면의 높이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130); 및
    상기 레이저 센서(13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 도막재 저장부(200) 및 도포부(300)는,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00)에 연결되고, 도포된 방수 도막재의 상부에 방수시트를 배출하는 시트공급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도막 도포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도막 도포장치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이동수단(100)에 탑재된 도막재 저장부(200)에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공급하여 저장하는 저장 단계(S100);
    상기 도막재 저장부(200)에서 방수 도막재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수단(100)을 시공 장소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S200);
    상기 이동수단(100)을 무선으로 제어하여 시공 장소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진행하면서, 용융 상태의 방수 도막재를 배출하여 시공 장소에 도포하는 도포 단계(S300);를 포함하는, 방수 시공 방법.
KR1020190022595A 2019-02-26 2019-02-26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990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95A KR101990907B1 (ko) 2019-02-26 2019-02-26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595A KR101990907B1 (ko) 2019-02-26 2019-02-26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907B1 true KR101990907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595A KR101990907B1 (ko) 2019-02-26 2019-02-26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6179A (zh) * 2021-12-24 2022-03-25 深圳市航连通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连接元器件覆膜材料制备装置
CN114433411A (zh) * 2022-01-13 2022-05-06 合肥路明反光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反光布生产用具有防挂流功能的双复合涂布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78A (ja) * 2002-12-25 2004-07-22 Dyflex Holdings:Kk 防水塗膜形成用ロボット
JP2006212545A (ja) * 2005-02-03 2006-08-17 Fast Chemical Co Ltd 液状物塗布装置
KR100856975B1 (ko) 2008-03-28 2008-09-04 김갑환 복합방수 시공장치
KR20160127471A (ko) * 2015-04-27 2016-11-04 한창이앤씨(주) 시트 도포장치
KR101782494B1 (ko) * 2016-11-23 2017-10-23 이계영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378A (ja) * 2002-12-25 2004-07-22 Dyflex Holdings:Kk 防水塗膜形成用ロボット
JP2006212545A (ja) * 2005-02-03 2006-08-17 Fast Chemical Co Ltd 液状物塗布装置
KR100856975B1 (ko) 2008-03-28 2008-09-04 김갑환 복합방수 시공장치
KR20160127471A (ko) * 2015-04-27 2016-11-04 한창이앤씨(주) 시트 도포장치
KR101782494B1 (ko) * 2016-11-23 2017-10-23 이계영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6179A (zh) * 2021-12-24 2022-03-25 深圳市航连通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连接元器件覆膜材料制备装置
CN114226179B (zh) * 2021-12-24 2022-10-11 深圳市航连通连接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连接元器件覆膜材料制备装置
CN114433411A (zh) * 2022-01-13 2022-05-06 合肥路明反光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反光布生产用具有防挂流功能的双复合涂布机
CN114433411B (zh) * 2022-01-13 2023-03-14 合肥路明反光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反光布生产用具有防挂流功能的双复合涂布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907B1 (ko)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574159B1 (ko) 방수 도막 및 방수 시트의 일체형 시공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107629B1 (ko) 다층구조 복합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20110183100A1 (en) Solvent-free adhesive for waterproof sheet,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proof sheet using the solvent-free adhesiv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US7316521B2 (en) Waterproof sheet in-situ application machine
US7776417B2 (en) Self-adhesive ventilating waterproofing membrane
KR102083793B1 (ko) 가열식 방수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958884B1 (ko)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CN101575486B (zh) 无溶剂粘合剂、防水片材、其制法和使用它的建筑方法
KR100958065B1 (ko)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EA029466B1 (ru) Масса для заполнения швов и/или трещин
KR101600072B1 (ko)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US20110064874A1 (en) Process For Coating Modified Bitumen Membranes Using Powder Coatings
KR101960471B1 (ko) 휴대용 폴리우레아 수지 분사장치
JP2007063873A (ja) 床版用防水シートの貼り付け機械
KR101859999B1 (ko) 박막 방수층이 포함된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0977160B1 (ko)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321032B1 (ko) 건축물의 보강방수공법
WO2009048828A1 (en) Road surface maintenance material forms
KR100941747B1 (ko) 교면용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82494B1 (ko) 방수도막 도포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방수층을 시공하는 방법
WO2012050413A1 (es) Impermeabilizante prefabricado acrílico base agua y proceso de obtención del mismo
KR20170001937A (ko)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가 포함된 복합 방수시트
KR101822011B1 (ko) 방수도막 도포장치
KR101114962B1 (ko) 박막형 방수층을 가진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