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877B1 - 방수시트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시트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877B1
KR102149877B1 KR1020190143375A KR20190143375A KR102149877B1 KR 102149877 B1 KR102149877 B1 KR 102149877B1 KR 1020190143375 A KR1020190143375 A KR 1020190143375A KR 20190143375 A KR20190143375 A KR 20190143375A KR 102149877 B1 KR102149877 B1 KR 102149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frame
unit
coating
coat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순
Original Assignee
(주)페트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트로산업 filed Critical (주)페트로산업
Priority to KR102019014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6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handling roofing or sealing material in rol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된 도막 펠렛이 펠렛 용융부에 의하여 도막액으로 용융되며, 용융된 도막액이 방수 시트지 제조부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와;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것으로, 부직포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부직포가 도막액이 저장된 함침부에 잠겨져 함침되도록 하고, 도막액이 함친된 방수 부직포의 윗면에 필름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필름이 덮혀져 방수시트가 제조되어 방수시트 시공부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 및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에서 공급된 방수시트가 펼쳐지도록 하면서 밑면이 시공바닥에 덮혀져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바닥의 표면에 도막액이 함침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방수시트가 덮혀지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성을 높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방수시트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시트 시공장치{WATERPROOF SHEET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직포 공급부로부터 도막액 함침탱크로 공급된 부직포에 도막액이 함침되도록 하고, 이어 표면에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필름이 덮혀진 상태에서 방수시트 가압로울러에 의하여 시공바닥의 표면에 방수시트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옥상, 지하 주차장 상부, 지하 외벽, 지하철, 지하차도, 공동구 등에는 누수로 인한 철근 및 철골의 부식이나 중성화, 동결융해, 유해물질의 침입 등으로 인한 열화 가속화 및 콘크리트 재료의 결합력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방수 시공은 시트 방수재, 방수 도막재 또는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하여 시공되며, 시트 방수재의 경우,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됨에 따라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하자가 발생될 경우, 누수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파손 부분과 함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발생함으로써, 하자 지점을 찾을 수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매스틱 방수재의 경우, 방수재를 시공 인력이 직접 펴 발라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두께가 균일하지 않게 시공되며, 고체화되지 않는 매스틱의 특징으로 인해 하절기 수직 벽 부위의 시공 후 고온에서 방수재가 흘러내리게 되어 상 하부 방수층 두께가 균일하지 않거나, 보호시트를 시공할 경우 부착된 시트가 흘러 내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방수 도막재의 경우,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상의 방수 도막재를 융융시킨 후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롤러를 이용하여 수차례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방수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용융된 방수 도막재를 롤러에 묻혀 방수하고자 하는 표면에 눌러 칠하는 작업과정이 전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방수 작업량이 줄어들게 되며 작업시간이 늘어나고, 시공비가 증가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방수 도막재의 하나인 우레탄 방수 도막은 시공할 바닥 등을 정리한 후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 우레탄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우레탄 도막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우수하고 이음매가 발생하지 않으며 복잡한 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방수 성능은 뛰어나지만 고가의 가격으로 인해 노출 및 특수 부위 방수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황변 현상 등과 같은 노화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10-1578086(2015.12.10)호
본 발명은 시공바닥의 표면에 도막액이 함침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방수시트가 덮혀지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여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성을 높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방수시트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된 도막 펠렛이 펠렛 용융부(210)에 의하여 도막액으로 용융되며, 용융된 도막액이 방수 시트지 제조부(3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와;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것으로, 부직포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부직포(311)가 도막액이 저장된 함침부(320)에 잠겨져 함침되도록 하고, 도막액이 함친된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필름 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된 필름(341)이 덮혀져 방수시트(350)가 제조되어 방수시트 시공부(4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 및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에서 공급된 방수시트(350)가 펼쳐지도록 하면서 밑면이 시공바닥에 덮혀져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4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각각의 모서리 하부에 이동휠(110)이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휠(110)의 폭방향의 간격(DT)은 방수시트(350)의 폭(DT') 보다 좁게 구비됨에 따라 시공바닥에 방수시트(350)가 2열 이상으로 시공될 경우, 소정 간격으로 겹쳐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는 지지 프레임(220)과; 상기 지지 프레임(220)의 상부에 하부 모서리의 밑면이 얹혀지게 결합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와;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바닥에 구비된 히팅패널을 갖는 상기 펠렛 용융부(210)와;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내외부가 관통되게 결합된 엘보우 형태를 갖는 도막액 배출부(240); 및 상기 도막액 배출부(240)에 구비된 도막액 단속부(25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펠렛 용융부(21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막액 단속부(250)는 솔레노이드 밸브(251);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1)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도막액 저장량 감지센서(252)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방수시트 제조부(300)는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액 함침탱크(360)와;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와;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 프레임 패널(361)과;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부직포 로울러 안착홈(36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것으로, 부직포(311)가 감겨진 부직포 공급 로울러(312)로 구비된 상기 부직포 공급부(310)와;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필름 로울러 안착홈(363)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필름(341)이 감겨진 필름 공급 로울러(342); 및 상기 도막액이 함침된 방수 부직포(330)의 밑면이 받쳐지는 가운데 필름 공급 로울러(342)에서 공급된 필름(341)이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부착되도록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타측 상부로 위치된 연장 프레임 패널(3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가압 로울러(38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는 바닥 밑면과 프레임(100)의 윗면 사이에 함침탱크 이송부(390)가 구비되되, 상기 함침탱크 이송부(390)는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 밑면 양측에 상기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와 평행하게 구비된 철부 가이드 레일(391)과;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1)과 대응되도록 프레임(100)의 윗면에 구비된 요부 가이드 레일(392)과;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2) 사이로 위치된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에 구비된 암나사부(393)가 관통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394)와; 상기 암나사부(393)를 관통하며, 핸들(395)이 구비된 이송 스크류(396); 및 상기 이송 스크류(396)가 공회전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윗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 지지부(397)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400)는 받침 프레임(410)과; 상기 받침 프레임(410)의 양측 모서리에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포스트 프레임(420)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420)의 상부에 구비된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와; 상기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의 하부로 위치된 포스트 프레임(420)에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2열 링크(440)와; 상기 2열 링크(440)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방수시트 가압 로울러(450); 및 상기 2열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에 가압력 조절부(4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력 조절부(460)는 상기 2열 링크(440)에 구비된 링크축(461)과; 상기 링크축(461)에 타측 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에 장홀(462)이 구비된 가압편(463)과; 상기 장홀(462)의 하부와 받침 프레임(410) 사이에 구비된 압축 코일 스프링(464)과; 상기 장홀(462)과 압축 코일 스프링(464)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받침 프레임(410)에 고정된 숫나사부(465); 및 상기 장홀(462)을 관통한 가압편(463)의 상부로 위치된 숫나사부(465)에 나사 결합된 조절노브(466)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 공급부로부터 도막액 함침탱크로 공급된 부직포에 도막액이 함침되도록 하고, 이어 표면에 필름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필름이 덮혀진 상태에서 방수시트 가압로울러에 의하여 시공바닥의 표면에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막액이 함침된 부직포의 윗면에 필름이 덮혀지도록 함으로써, 누수가 더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동휠을 갖는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방수시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바닥에 표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동휠의 폭이 프레임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함으로써, 방수시트가 지그 재그 형태로 시공되는 과정에서 일측의 가장자리게 소정 폭으로 결쳐지도록 하여 방수시트와 방수시트 사이에서 발생되는 누수현상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는 현장에서 직접 도막액이 함침된 방수 부직포에 필름이 덮혀지도록 제조된 방수시트가 시공바닥의 표면에 덮혀지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 방수시트 제조부(300) 및 방수시트 시공부(400)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전체적인 하중이 안정되게 받쳐지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자가 용이하게 끌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직사각형태를 갖는 각각의 모서리 하부에 이동휠(110)이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휠(110)의 폭방향의 간격(DT)은 방수시트(350)의 폭(DT') 보다 좁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도8 및 도9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바닥(FL)에 방수시트(350)가 2열 이상으로 시공될 경우, 소정 간격으로 겹쳐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일측 방수시트(350)와 타측 방수시트(350)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는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된 도막 펠렛이 펠렛 용융부(210)에 의하여 도막액으로 용융되도록 구비되고, 용융된 도막액이 방수 시트지 제조부(3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는 지지 프레임(220)의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하부 모서리 밑면이 얹혀지게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바닥에 히팅패널을 갖는 펠렛 용융부(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펠렛 용융부(21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어 도막 펠렛이 용융된 도막액이 흘러 후술하는 도막액 배출부(240)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내외부가 관통되게 엘보우 형태를 갖는 도막액 배출부(2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액 배출부(240)에 도막액 단속부(250)가 구비되어 도막액 함침탱크(360)에서 도막액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막액 단속부(250)는 솔레노이드 밸브(251)로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1)에 도막액 저장량 감지센서(252)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포막액 함침탱크(360)에 항상 일정량의 도막액이 저장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부직포(311)에 도막액이 함침되는 과정에 끊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는 현장에서 도막액이 함침된 부직포(311)로 이루어진 방수 부직포(311)에 필름(341)이 덮혀진 방수시트(350)가 제조되도록 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부직포(311)가 도막액이 저장된 함침부(320)에 잠겨져 함침되도록 하고, 도막액이 함친된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필름 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된 필름(341)이 덮혀져 방수시트(350)가 제조되어 방수시트 시공부(4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는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 프레임 패널(361)이 연장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는 바닥 밑면과 프레임(100)의 윗면 사이에 함침탱크 이송부(390)가 구비되어 도막액 함침탱크(360)가 소정 길이를 갖도록 왕복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어 현장의 시공바닥에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방수시트(350)가 덮혀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함침탱크 이송부(390)는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 밑면 양측에 철부 가이드 레일(391)이 상기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1)과 대응되도록 프레임(100)의 윗면에 요부 가이드 레일(39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2) 사이로 위치된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에암나사부(393)가 관통된 슬라이더(394)가 구비되어 있고, 핸들(395)이 구비된 이송 스크류(396)가 상기 암나사부(393)를 관통하며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 스크류(396)가 공회전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윗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 지지부(397)에 의하여 상기 이송 스크류(396)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부직포 로울러 안착홈(362)에 부직포(311)가 감겨진 부직포 공급 로울러(312)를 갖는 부직포 공급부(31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타측에 필름 로울러 안착홈(363)이 구비되어 필름(341)이 감겨진 필름 공급 로울러(34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도막액이 함침된 방수 부직포(330)의 밑면이 받쳐지는 가운데 필름 공급 로울러(342)에서 공급된 필름(341)이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부착되도록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타측 상부로 위치된 연장 프레임 패널(361)에 가압 로울러(38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400)는 방수시트 제조부(300)에서 공급된 방수시트(350)가 펼쳐지도록 하면서 밑면이 시공바닥에 덮혀져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받침 프레임(410)의 양측 모서리에 상부를 향하도록 포스트 프레임(4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포스트 프레임(420)의 상부에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의 하부로 위치된 포스트 프레임(420)에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2열 링크(4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2열 링크(440)의 타측 단부에 방수시트 가압 로울러(45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아울러 상기 2열 링크(440) 중 어느 하나의 링크(440)에 가압력 조절부(4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력 조절부(460)는 평상시 방수시트 가압로울러(450)가 올려진 상태로 유지되어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 방수시트 가압로울러(450)가 시공바닥(FL)의 윗면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2열 링크(440)에 링크축(46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링크축(461)에 타측 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에 장홀(462)을 갖는 가압편(46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홀(462)의 하부와 받침 프레임(410)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46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홀(462)과 압축 코일 스프링(464)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받침 프레임(410)에 고정된 숫나사부(46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장홀(462)을 관통한 가압편(463)의 상부로 위치된 숫나사부(465)에 나사 결합된 조절노브(466)로 구비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에 있어 도막액 함침탱크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가 폭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 시공장치는 먼저, 방수시트(350)가 시공될 시공바닥(FL)으로 프레임(100)을 이동시킨 후 도막 펠렛을 도막 펠렛 용융탱크(230)로 투입하게 되면 펠렛 용융부(2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도막액으로 용융된다. 이때, 부직포 공급로울러(312)에 감겨진 부직포(311)는 풀어 부직포 잠김로울러(370)를 경유한 후 가압로울러(380) 사이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필름 공급로울러(342)에 감져진 필름(341) 역시 풀어 부직포(311)의 윗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가압로울러(380) 사이로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용융된 도막액은 도막액 배출부(240)를 통해 도막액 함침탱크(360)로 배출됨에 따라 도막액 함침탱크(360)내로 저장된다. 이때, 도막액 감지센서(252)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251)에 의하여 도막액 함침탱크(360) 내의 도막액은 항상 일정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다음, 가압력 조절부(460)의 조절 노브(466)를 회전시켜 도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463)이 상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압축 코일 스프링(464)이 확장되면서 2열 링크(440)가 하부로 회동하여 방수시트(350)의 상부를 가압시키게 된다.
다음, 미도시한 이동 손잡이를 이용하여 프레임(100)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부직포(311)와 필름(341)이 풀려지게 되고, 부직포(311)는 부직포 잠김로울러(37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도막액이 함침된 후 이어 필름(341)이 덮혀진 상태로 인출됨에 따라 방수시트 가압로울러(380)에 의하여 시공바닥(FL)에 압착된 상태로 덮혀지게 된다.
다음, 이러한 과정의 반복을 통해 시공바닥(FL)에 방수시트가 덮혀지도록 시공되는 과정에서 프레임(100)의 이동 동선에서 어느 일측으로 더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할 경우, 핸들(395)을 이용하여 이송스크류(396)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송스크류(396)에 나사결합된 슬라이더(394)에 의하여 토막액 함침탱크(360)가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모서리 부분에도 충분하게 방수시트(350)가 시공될 수 있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 즉, 시공바닥(FL)에 방수시트(350)가 지그 재그형태로 덮여지는 과정에서 프레임(100)의 밑면에 구비된 이동휠(110)의 폭방향의 간격(DT)이 방수시트(350)의 폭(DT') 보다 좁게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먼저 시공된 방수시트(350)의 가장자리 일측 상부에 시공되어지는 방수시트(350)의 가장자리 타측 하부가 덮혀질 수 있게 된다. 즉, 방수시트(350)의 시공과정에서 방수시트(350)와 이동휠(110)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프레임 200: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
210:펠렛 용융부 220:지지 프레임
230:도막 펠렛 용융 탱크 240:도막액 배출부
250:도막액 단속부 300:방수 시트지 제조부
310:부직포 공급부 311:부직포
312:부직포 공급 로울러 320:함침부
330:방수 부직포 340:필름 공급부
341:필름 342:필름 공급 로울러
350:방수시트 360:도막액 함침탱크
361:연장 프레임 패널 362:부직포 로울러 안착홈
370:부직포 잠김 로울러 380:가압 로울러
390:함침탱크 이송부 391:철부 가이드 레일
392:요부 가이드 레일 394:슬라이더
395:핸들 396:이송 스크류
397:이송 스크류 지지부 400:방수시트 시공부
410:받침 프레임 420:포스트 프레임
430:방수시트 인출 로울러 440:2열 링크
450:방수시트 가압 로울러 460:가압력 조절부

Claims (8)

  1.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으로 공급된 도막 펠렛이 펠렛 용융부(210)에 의하여 도막액으로 용융되며, 용융된 도막액이 방수시트 제조부(3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것으로, 부직포 공급부(310)로부터 공급된 부직포(311)가 도막액이 저장된 함침부(320)에 잠겨져 함침되도록 하고, 도막액이 함친된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필름 공급부(340)로부터 공급된 필름(341)이 덮혀져 방수시트(350)가 제조되어 방수시트 시공부(400)로 공급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 및
    상기 방수시트 제조부(300)에서 공급된 방수시트(350)가 펼쳐지도록 하면서 밑면이 시공바닥에 덮혀져 일정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구비된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된 방수시트 제조부(300)는,
    상부만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액 함침탱크(360);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양측 단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 프레임 패널(361);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부직포 로울러 안착홈(36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것으로, 부직포(311)가 감겨진 부직포 공급 로울러(312)로 구비된 상기 부직포 공급부(310);
    상기 연장 프레임 패널(361)의 상부 타측에 구비된 필름 로울러 안착홈(363)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필름(341)이 감겨진 필름 공급 로울러(342); 및
    상기 도막액이 함침된 방수 부직포(330)의 밑면이 받쳐지는 가운데 필름 공급 로울러(342)에서 공급된 필름(341)이 방수 부직포(330)의 윗면에 부착되도록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타측 상부로 위치된 연장 프레임 패널(3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압 로울러(380);를 포함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직사각형태를 갖는 각각의 모서리 하부에 이동휠(110)이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상기 이동휠(110)의 폭방향의 간격(DT)은 방수시트(350)의 폭(DT') 보다 좁게 구비됨에 따라 시공바닥에 방수시트(350)가 2열 이상으로 시공될 경우, 소정 간격으로 겹쳐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 펠렛 용융 공급부(200)는,
    지지 프레임(220);
    상기 지지 프레임(220)의 상부에 하부 모서리의 밑면이 얹혀지게 결합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바닥에 구비된 히팅패널을 갖는 상기 펠렛 용융부(210);
    상기 도막 펠렛 용융 탱크(230)의 내외부가 관통되게 결합된 엘보우 형태를 갖는 도막액 배출부(240); 및
    상기 도막액 배출부(240)에 구비된 도막액 단속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펠렛 용융부(21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막액 단속부(250)는, 솔레노이드 밸브(251);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251)에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도막액 저장량 감지센서(2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액 함침탱크(360)는 바닥 밑면과 프레임(100)의 윗면 사이에 함침탱크 이송부(390)가 구비되되,
    상기 함침탱크 이송부(390)는,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 밑면 양측에 상기 부직포 잠김 로울러(370)와 평행하게 구비된 철부 가이드 레일(391);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1)과 대응되도록 프레임(100)의 윗면에 구비된 요부 가이드 레일(392);
    상기 철부 가이드 레일(392) 사이로 위치된 도막액 함침탱크(360)의 바닥에 구비된 암나사부(393)가 관통되도록 구비된 슬라이더(394);
    상기 암나사부(393)를 관통하며, 핸들(395)이 구비된 이송 스크류(396); 및
    상기 이송 스크류(396)가 공회전되도록 관통되며, 상기 프레임(100)의 윗면에 고정된 이송 스크류 지지부(39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 시공부(400)는,
    받침 프레임(410);
    상기 받침 프레임(410)의 양측 모서리에 상부를 향하도록 구비된 포스트 프레임(420);
    상기 포스트 프레임(420)의 상부에 구비된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
    상기 방수시트 인출 로울러(430)의 하부로 위치된 포스트 프레임(420)에 일측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2열 링크(440);
    상기 2열 링크(440)의 타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방수시트 가압 로울러(450); 및
    상기 2열 링크 중 어느 하나의 링크에 가압력 조절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조절부(460)는,
    상기 2열 링크(440)에 구비된 링크축(461);
    상기 링크축(461)에 타측 단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일측에 장홀(462)이 구비된 가압편(463);
    상기 장홀(462)의 하부와 받침 프레임(410) 사이에 구비된 압축 코일 스프링(464);
    상기 장홀(462)과 압축 코일 스프링(464)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받침 프레임(410)에 고정된 숫나사부(465); 및
    상기 장홀(462)을 관통한 가압편(463)의 상부로 위치된 숫나사부(465)에 나사 결합된 조절노브(4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20190143375A 2019-11-11 2019-11-11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2149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75A KR102149877B1 (ko) 2019-11-11 2019-11-11 방수시트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75A KR102149877B1 (ko) 2019-11-11 2019-11-11 방수시트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877B1 true KR102149877B1 (ko) 2020-08-31

Family

ID=7223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75A KR102149877B1 (ko) 2019-11-11 2019-11-11 방수시트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234A (zh) * 2021-08-05 2021-09-17 上海朗道景观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的景观池施工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81B1 (ko) * 2002-06-25 2005-07-18 주식회사 신흥정밀 단일진공흡입기로 구성되는 사출성형기 원료공급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57495B1 (ko) * 2007-05-14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공장치
KR100796635B1 (ko) * 2007-03-13 2008-01-22 연일화섬공업(주)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578086B1 (ko) 2015-07-29 2015-12-28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9229B1 (ko) * 2017-11-01 2018-02-14 한창이앤씨(주) 방수시트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881B1 (ko) * 2002-06-25 2005-07-18 주식회사 신흥정밀 단일진공흡입기로 구성되는 사출성형기 원료공급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796635B1 (ko) * 2007-03-13 2008-01-22 연일화섬공업(주)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57495B1 (ko) * 2007-05-14 2007-09-11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시공장치
KR101578086B1 (ko) 2015-07-29 2015-12-28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도막 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29229B1 (ko) * 2017-11-01 2018-02-14 한창이앤씨(주) 방수시트 도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234A (zh) * 2021-08-05 2021-09-17 上海朗道景观规划设计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的景观池施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495B1 (ko) 방수시공장치
KR101688396B1 (ko) 2-레이어 복합식 도막방수층,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E56131B1 (en) Insulating water-tight panels for roof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ir manufacture
US11408142B2 (en) Draining construction wrap and methods for same
US3144376A (en) Insulating board of fibrous glas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102149877B1 (ko)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0814945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장치
US3243926A (en) Gravel stop
KR101173181B1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EP0145064B1 (en) Sheet of roofcovering material
EP3885125A1 (en) Rainproof curtain wall, fabric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EP1464471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lappenden Verschweissen von flächigen Kunststoffmaterialien
DE102007011578A1 (de) Belagkonstruktion für insbesondere wechselbelastete Verkehrsflächen
EP2492438A2 (de) Verfahren zum temporären Anbringen einer Dichtungsbahn in Tunnelgewölben und Dichtungsbahn dafür
KR102372797B1 (ko) 상이한 상부 및 하부 도막층을 갖는 방수시트 시공방법
DE19808518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und/oder Imprägnierung von Mineralwolleprodukten
KR101035909B1 (ko) 단일겹 방수시트의 벽면 마감부위 시공방법
KR101707082B1 (ko) 목재판넬용 필름 공급 자동화장치
JPH03133641A (ja) 耐燃性ないし不燃性の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LU8721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schichtigen,mehrere traeger enthaltenden bitumenplatten
DE19945732A1 (de) Dachbahn für die Abdichtung von Flachdächern und flach geneigten Dächern
KR101923550B1 (ko)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102153438B1 (ko)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US3252822A (en) Method of making a bituminous coated sheet of synthetic mineral wool fibers
CN104085118B (zh) 嵌入式共固化穿孔阻尼薄膜复合材料结构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