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635B1 -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35B1
KR100796635B1 KR1020070024387A KR20070024387A KR100796635B1 KR 100796635 B1 KR100796635 B1 KR 100796635B1 KR 1020070024387 A KR1020070024387 A KR 1020070024387A KR 20070024387 A KR20070024387 A KR 20070024387A KR 100796635 B1 KR100796635 B1 KR 100796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drainage
wing
adhesive materia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용
Original Assignee
연일화섬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2187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966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연일화섬공업(주) filed Critical 연일화섬공업(주)
Priority to KR102007002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480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dhesives
    • B29C65/481Non-reactive adhesives, e.g. physically hardening adhesives
    • B29C65/4815Hot melt adhesives, e.g. thermoplastic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29C66/8362Rollers, cylinders or drums 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 방수공사와 터널의 방수공법에 이용되는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방수 공사용 방수시트에 구비되는 배수용 부직포상에 길이방향으로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는, 배수용 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시트 이송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일체형시트의 부직포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상기 배수용 부직포에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상기 날개 부직포를 연속 공급하는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과,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하는 압착유닛을 포함한다.
배수용부직포, 방수시트, 날개 부직포, 압착유닛, 접착물질, 핫멜트.

Description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NONWOVEN FABRIC SHELL ATTACHING EQUIPMEN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USED FOR WATER PROOF CONSTR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 부착장치에 의해 날개 부직포가 배수용 부직포 와 일체로 된 시트 상에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방수 공사용 방수 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수 공사용 방수 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예 따른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날개 부착장치 21: 제어유닛
22: 시트 이송유닛 23: 접착물질 공급유닛
24: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 25: 압착유닛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사와 터널의 방수공법에 이용되는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는 수송, 채광, 또는, 각종 설비(예컨대, 전력설비)의 지하 설치에 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철도 방수, 지하도 방수, 도로 방수, 채광 방수, 송수 또는 하수용 방수, 전력설비용 방수 등이 있다. 방수 내 물(특히, 지하수)의 유입은 어떠한 형태의 방수 공사에서도 일어나는 것으로, 이러한 물 유입에 대처하기 위한 방수공사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그리고, 방수공사에 따른 많은 하자 중에는 방수공사의 부실시공에 의한 하자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방수공법의 일예로, 숏크리트(shotcrete)가 타설된 굴착 터널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시공함에 있어서, 먼저 타정못과 란델을 이용하여 배수 유도용 부직포를 방수 내면에 고정하고, 불투명의 방수용 ECB(Ethylene Copolymer Bitumen) 수지 시트를 배수 유도용 부직포 상의 란델에 열 융착시키는 공법이 알려져 있다. 이때, 배수 유도용 부직포와 위에 고정된 란델은 고온의 열풍(600℃)을 이용하여 란델 표면과 불투명 ECB 방수시트를 녹여서 열 융착 접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과정은 보이지 않는 위치에서 오직 손의 감각만을 이용해 수행되므로, 란델 아래에 접합하는 배수 유도용 부직포가 고열에 의해 탄화되는 등, 시공 상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란델의 고정 위치가 방수시트의 폭 (2.0m)안으로 40 ~ 60㎝ 정도의 손이 들어가는 위치에 임의로 선정하여 숏크리트 바닥면의 굴곡과는 상관없이 고정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수 시공 전에 방수 용도의 수지 시트 상에 배수용 부직포와 방수시트를 점 융착하여 제조하는 기술과 그 방수시트를 방수 내면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해 날개 부직포를 재봉 가공으로 연결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기술들은 등록특허 제644778호 및 실용신안등록 265644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재봉기를 이용해 날개 부직포와 배수용 부직포에 실매듭을 형성하여 연결하는 바, 실매듭에 불량이 있거나 작업 중 실매듭이 끊어지는 경우에 생산 라인이 정지되는 원인이 됨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배수용 부직포와 방수용 수지 시트를 융착 적층하는 공정과, 배수용 부직포에 날개 부직포를 봉재하는 공정의 특성이 크게 상이하여 , 그 두 공정을 연속하여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는 두 공정을 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봉에 의하지 않고 날개 부직포를 방수시트와 일체로 된 배수용 부직포에 부착하여, 실매듭 불량과 실이 끊어지면 불량이 발생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날개 부직포와 방수시트와 일체로 된 배수용 부직포의 부착 공정과 배수용 부직포와 방수시트의 일체화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기에 적합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방수 공사용 방수시트에 구비되는 배수용 부직포 에 길이방향으로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상기 배수용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의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상기 날개 부직포를 연속 공급하는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과,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하는 압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은, 핫멜트 수지를 상기 접착물질로 이용하되, 상기 핫멜트 수지가 저장되고 상기 핫멜트 수지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된 탱크와, 상기 탱크와 관로에 의해 연결된 채, 가열된 핫멜트 수지를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공급하도록 배치된 노즐과,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노즐로 상기 핫멜트 수지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시트 이송유닛은 하나의 제어유닛에 의해 연동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유닛은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날개 부직포를 서로 압착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트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에 의해 접착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날개 부직포가 부착되는 배수용 부직포는 수지 시트 상에 적층된 방수시트의 일부이거나, 또는, 수지 시트 상에 적층되기 전의 배수용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또는 상기 날개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시키는 압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날개 부직포를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부착시키는 장치와, 방수용 수지 시트 상에 배수용 부직포를 일체형으로 적층시키는 시트 적층장치를 포함하는 배수 유도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시트 적층장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면해 있는 상기 수지 시트 상에 점 융착부 형성을 위한 열을 가하는 복수의 점 가열유닛과,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상기 수지 시트를 압착, 적층하는 시트 적층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방수용 수지 시트 상에 배수용 부직포를 일체로 적층하여 방수 공사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날개 부직포 또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 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배수용 부직포를 압착하여, 상기 날개 부직포를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 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 실시 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유도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제조 장치에 구비된 날개 부착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 부착장치에 의해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가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배수 유도 방수시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방수 공사용 시트, 특히, 배수 유도 방수시트는, 방수용 수지 시트(2a) 상에 배수 유도용 배수용 부직포(2b)가 다수의 열 융착부(2c) 의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열 융착부(2c) 각각은 횡과 열로 정렬된 점 융착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 융착부를 갖는 방수시트는, 선 융착부를 갖는 임의의 방수시트에 비해, 작은 불량률로 제작될 수 있고, 양방향으로의 신장률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점 융착을 위한 국부 가열시 수지 시트(2a)의 수축량이 작은 이점이 있다. 상기 수지 시트(2a)는 에틸렌 비닐 아세트산(EVA) 수지를 베이스로 하여 초저밀도 폴리에틴렌(VLDPE) 수지가 혼합된 투명 V.E 수지의 시트인 것이 바 람직하지만,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수지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수용 부직포(2b) 상에는 방수 내벽에 상기 방수시트를 부착하기 위한 용도의, 부직포 소재로 이루어진 고정 날개(이하, 날개 부직포; 6)가 구비된다. 상기 날개 부직포(6)는 그것의 일부만이 이하 자세히 설명될 접착물질, 가장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물질(5)에 의해 상기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며, 이를 위해, 상기 핫멜트 접착물질(5)은 상기 배수용 부직포(2b)의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 부직포(6)는 핫멜트 접착물질에 의해 접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대략 세워져서 방수시트를 방수 내벽에 고정하는 용도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접착물질(5)은 지그 재그형 또는 직선형으로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공급될 수 있으며, 특히, 지그 재그형으로 공급되는 접착물질(5)은 접착물질의 공급량이 동일할 때 날개 부직포가 배수용 부직포 상에 보다 강하게 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지그 재그형 접착물질의 공급은 별도의 추가 구동수단의 설치 없이 노즐이 장치의 동작에 의한 진동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점 융착부(2c)를 이용하여 수지 시트(2a)와 배수용 부직포(2b)가 열 융착된 경우에는, 배수용 부직포(2b)가 충분한 유연성을 갖게 되므로, 핫멜트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행해지는 날개 부직포(6)와 배수용 부직포(2b) 사이의 압착 공정도 배수용 부직포(2b)의 유연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시트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제조되며, 이하에서는 도 1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장치(1)는, 시트 적층장치(10)와 날개 부착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 적층장치(10)와 날개 부착장치(20)는 서로 연속되게 설치되어, 수지 시트에 대한 배수용 부직포의 적층 공정과 날개 부직포의 부착 공정을 연속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날개 부직포 부착을 위해 이용되던 종래의 재봉 공정은 그 특성상 시트 적층 공정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반면, 접착물질을 이용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날개 부직포 부착 공정은 시트 적층 공정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용이하다.
상기 시트 적층장치(10)는 복수의 점 가열유닛(12)과, 시트 적층유닛(1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점 가열유닛(12)은, 수지 시트 상에 배수용 부직포가 면하여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기 수지 시트 상에 국부적인 점 가열을 하여 횡렬로 정렬되는 복수의 점 융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시트 적층유닛(14)은 압착 롤러 또는 이와 유사한 압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점 융착부가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수지 시트와 배수용 부직포를 압착하여, 두 시트를 적층 상태로 일체화시킨다.
이때, 상기 점 가열유닛(12)은 복수의 점 융착부의 형성을 위해 그와 대응되는 복수의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점 가열유닛(12)을 이동시켜 복수의 점 융착부를 형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 가열유닛(12)으로는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64477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국부적인 열풍을 수지 시트에 가하는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날개 부착장치(20)는, 접착물질 공급유닛(23)과 압착유닛(25)을 포함하 며, 보다 정확하고, 신속 편리한 날개 부착 공정을 위해, 시트 이송유닛(22),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 그리고, 제어유닛(21)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은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부착될 배수용 부직포의 일부분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데 이용되고, 상기 압착유닛(25)은 그 접착물질을 매개로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시트 이송유닛(22),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 제어유닛(21)은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 및 압착유닛(25)과 상호 작용하면서 보다 신속 정확하고, 편리한 날개 부직포 부착 공정을 자동 및 연속 공정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배수 유도 방수시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시트 적층장치(10)와 날개 부착장치(20)를 이용하는 순서는 바뀔 수 있지만, 시트 적층장치(10)를 먼저 이용하여 수지 시트와 배수용 부직포를 일체로 적층한 후, 그 다음 날개 부착장치(20)를 이용하여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전술한 날개 부착장치(20)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상기 날개 부착장치(20)를 이루는 유닛(21, 22, 23, 24, 25)들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부가적으로, 도 2에는 상기 날개 부착장치(20)의 전단에 배치되는, 점 가열유닛(12)과 시트 적층유닛(14)을 포함하는 시트 적층장치(1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닛(21, 22, 23, 24, 25)들에 의해 날개 부 직포(6)가 부착된 시트는 수지 시트(2a) 상에 배수용 부직포(2b)가 적층된 방수시트(2)의 구조이지만, 수지 시트와 적층되지 않은 배수용 부직포 상에 직접 날개 부직포를 부착된 구조도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시트 이송유닛(22)은, 당김 롤(221)과 복수의 안내 롤(222)을 포함한다. 상기 당김 롤(221)은 모터(미도시됨) 등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배수 유도 방수시트(2; 이하 방수시트)를 당겨 이송시키며, 그 이송되는 방수시트(2)를 자체에 감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 롤(222)은 상기 이송되는 방수시트(2)를 그 아래쪽에서 편평하게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2)는 배수용 부직포(2b)가 위쪽으로 배향되어 있어, 이하 설명될 접착물질 공급유닛(23)으로부터 공급되는 접착물질이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시트 이송유닛(22)에는 방수시트(2)와 부직포 날개(6)의 부착 속도에 상응하여 상기 방수시트(2)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체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체기는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 제64477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은, 이송되는 상기 방수시트(2)의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핫멜트 수지를 접착물질로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은, 핫멜트 수지가 저장된 탱크(232)와, 상기 탱크(232)와 호스형의 관로에 의해 연결된 노즐(236)을 포함한다.
상기 관로에는 핫멜트 수지(이하, 핫멜트 접착물질)의 분사를 개폐하는 밸 브(235)와 탱크(232) 내의 핫멜트 접착물질을 상기 노즐(236)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23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탱크(232) 내에는 핫멜트 접착물질을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232a)가 설치된다. 상기 노즐(236)은, 이하 자세히 설명될 압착유닛(25)의 바로 앞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압착유닛(25)을 통과하기 직전의 적층방수시트(2)의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핫멜트 접착물질을 공급한다. 이때, 방수시트(2)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으므로, 그 위에 공급되는 핫멜트 접착물은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은, 날개 부직포(6)가 압착유닛(25)을 통과하면서 전술한 핫멜트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그 날개 부직포(6)를 압착 유닛(25)의 전방, 그리고, 상기 노즐(236)의 후방으로 연속 공급하도록 배치된 피드 롤(242) 및 그 피드 롤(242)을 변속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2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44)는 제어유닛(21)에 의해 제어되어 피드 롤(242)에 의한 날개 부직포(6)의 공급 속도를, 방수시트(2)와 부직포 날개(6)의 부착 속도에 상응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 시트 이송유닛(22), 접착물질 공급유닛(23), 압착유닛(25) 등을 제어하는 수단은 하나의 제어유닛(21)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각각의 개별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21)은 배수용 부직포의 공급과 중단에 따라 노즐(236)을 통한 접착물질의 자동적인 공급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날개 부착장치(20) 전단에 설치된 시트 적층장치(10)가 서로 다른 경로로 제공되는 수지 시트(2a) 상에 배수용 부직포(2b)를 적층한 후 그 적층된 시트를 상기 날개 부착장치(20)로 연속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수지 시트(2a)와 배수용 부직포(2b)는 서로 다른 경로로써 공급되다가 임의의 위치에서 서로 만나며, 그 수지 시트(2a)와 배수용 부직포(2b)가 서로 만나는 위치 부근에는 점 가열유닛(12)이 마련된다. 상기 점 가열유닛(12)은 수지 시트(2a)와 배수용 부직포(2b) 사이를 점 융착시키도록 상기 수지 시트(2a) 상에 점 가열을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점 가열유닛(12)을 지난 수지 시트(2a)와 배수용 부직포(2b)는 압착롤러들로 이루어진 시트 적층유닛(14)에 의해 압착된다.
한편, 상기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은 도 3에 잘 도시된 것과 같이 날개 부직포(6)를 그 날개 부직포(6)의 일측부가 핫멜트 접착물질과 면하게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로, 날개 부직포(6)와 방수시트(2)가 함께 압착유닛(25)의 두 압착롤러(252, 254) 사이를 통과하면, 그 압착롤(252, 254)들의 압착력에 의해, 날개 부직포(6)가 방수시트(2)의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부착된다. 도 3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압착유닛(25) 등과 같은 구성요소 도시를 생략하였다.
앞서 언급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유닛(21)은 상기 시트 이송유닛(22),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 등의 제어를 위해 제공된다. 예컨대, 상기 시트 이송유닛(22)의 시트 이송의 중지 및 개시, 그리고, 그 시트 이송 속도는 상기 제어유닛(21)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21)은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의 히터(232a), 펌프(234) 및 밸브(235)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21)은 상기 시트 이송유닛(22)과 연동하여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을 제어하며, 이에 의해, 시트 이송유닛(22)의 시트 이송 중지 및 개시 그리고 시트 이송 속도에 따라 상기 접착물질의 공급의 중지 및 개시 그리고 접착물질의 공급량 등의 자동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은 방수시트(2)의 배수용 부직포(2b)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지만,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23)으로 하여금 날개 부직포(6)의 배면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노즐(236)의 접착물질 공급 방향을 상기 날개 부직포(6)에 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유도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조방법은, 수지 시트와 배수용 부직포를 점 융착부를 매개로 하여 열 융착하여 방수시트를 적층 제작하는 단계(S100)와, 그 제작된 방수시트의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S201 및 S202)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시트를 적층 제작하는 단계(S100)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적층장치(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점 가열유닛(12)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에 점 융착부를 형성한 후, 시트 적층유닛(14)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와 배수용 부직포를 압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S201 및 S20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날개 부착장치(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접착물질 공급 유닛(23)을 이용하여 방수시트의 배수용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고 그와 동시에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을 이용하여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배수용 부직포 상에서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공급하고(S201), 그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방수시트와 날개 부직포를 압착하여 방수시트의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수 유도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조방법은, 먼저,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S301 및 S302)와, 날개 부직포가 부착된 배수용 부직포를 수지 시트 상에 적층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S301 및 S30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날개 부착장치(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접착물질 공급 유닛(23)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와 적층되기 전의 배수용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고 그와 동시에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24)을 이용하여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배수용 부직포 상에서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공급하고(S201), 그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방수시트와 날개 부직포를 압착하여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400)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적층장치(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점 가열유닛(12)을 이용하여 날개 부직포가 부착된 배수용 부직포와 면하는 수지 시트에 점 융착부를 형성한 후, 시트 적층유닛(14)을 이용하여 수지 시트와 배수용 부직포를 압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시트 제조 장치 및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예들을 도 1 내지 도 3을 설명하면서 이미 자세히 설명되었으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재봉에 의하지 않고도 날개 부직포를 구비한 방수 공사용 시트를제조하고 그 시트를 방수 시공에 이용함으로써, 실 매듭 불량으로 인하여 생산라인이 정지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배수용 부직포와 방수시트를 일체화하는 공정과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공정의 연속성 확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9)

  1. 방수 공사용 방수시트에 구비되는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시트 이송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의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상기 날개 부직포를 연속 공급하는 날개 부직포 공급유닛과;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하는 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은, 핫멜트 수지를 상기 접착물질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은,
    상기 핫멜트 수지가 저장되고 상기 핫멜트 수지를 가열하는 히터가 설치된 탱크와,
    상기 탱크와 관로에 의해 연결된 채, 가열된 핫멜트 수지를 상기 배수용 부 직포 상에 공급하도록 배치된 노즐이 배수용 부직포의 공급과 중단에 따라 자동적으로 공급의 조절이 가능한 제어 유닛과,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노즐로 상기 핫멜트 수지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은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날개 부직포를 서로 압착시키는 한 쌍의 압착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은 지그 재그형 또는 직선형으로 상기 접착물질을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에 의해 접착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날개 부직포가 부착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는 수지 시트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접착물질 공급유닛에 의해 접착물질이 공급되고, 상기 압착유닛에 의해 상기 날개 부직포가 부 착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는 수지 시트와 일체화 되기 전의 배수용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8. 방수 공사용 방수시트에 구비되는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날개 부직포를 부착하는 장치로서,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또는 상기 날개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접착물질 공급유닛과;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시키는 압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9. 방수용 수지 시트 상에 배수용 부직포를 일체형으로 적층시키는 시트 적층장치와;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날개 부직포를 부착시키도록 설치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날개 부직포를 갖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시트 적층장치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면해 있는 상기 수지 시트 상에 점 융착부 형성을 위한 열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점 가열유닛과,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상기 수지 시트를 압착, 적층하는 시트 적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11. 배수용 부직포가 구비된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날개 부직포 또는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진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날개 부직포와 배수용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수용 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고, 그 이송되는 배수용 부직포 상에 접착물질을 공급하고, 그 접착물질과 면하도록 상기 날개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송되는 배수용 부직포와 상기 공급되는 날개 부직포는 상기 접착물질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압착롤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직포를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수지 시트를 일체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직포를 상기 배수용 부직포 상에 부착한 후에 상기 배수용 부직포와 수지 시트를 일체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을 공급하는 단계는, 탱크에 저장된 핫멜트 수지를 가열하여 융융하고, 그 용융된 핫멜트 수지를 상기 배수용 부직포 부근의 노즐로 펌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방법.
  18. 날개 부직포의 일측면이 접착물질에 의해 배수용 부직포 상에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접착물질은 핫멜트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날개 부직포가 부착된 상기 배수용 부직포의 반대면에는 방수 용도의 수지 시트가 일체로 적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
KR1020070024387A 2007-03-13 2007-03-13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96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87A KR100796635B1 (ko) 2007-03-13 2007-03-13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87A KR100796635B1 (ko) 2007-03-13 2007-03-13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635B1 true KR100796635B1 (ko) 2008-01-22

Family

ID=39218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387A KR100796635B1 (ko) 2007-03-13 2007-03-13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6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839B1 (ko) 2008-07-15 2009-08-26 김기철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KR101005027B1 (ko) 2008-04-07 2010-12-30 연일화섬공업(주) 배수 유도용 시트 적층물과, 그것을 이용하는 터널 방수구조 및 터널 방수 공법
KR101083910B1 (ko) * 2009-02-20 2011-11-15 이헌구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096093B1 (ko) 2008-10-11 2011-12-19 양영규 터널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81999B1 (ko) 2010-01-27 2012-09-11 오재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336449B1 (ko) * 2013-05-09 2013-12-04 정경선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일체화되는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터널 시공공법
KR102149877B1 (ko) * 2019-11-11 2020-08-31 (주)페트로산업 방수시트 시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28A (ko) * 2003-04-07 2004-10-14 주식회사 대흥산업 터널 방수용 방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7428A (ko) * 2003-04-07 2004-10-14 주식회사 대흥산업 터널 방수용 방수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027B1 (ko) 2008-04-07 2010-12-30 연일화섬공업(주) 배수 유도용 시트 적층물과, 그것을 이용하는 터널 방수구조 및 터널 방수 공법
KR100913839B1 (ko) 2008-07-15 2009-08-26 김기철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KR101096093B1 (ko) 2008-10-11 2011-12-19 양영규 터널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83910B1 (ko) * 2009-02-20 2011-11-15 이헌구 탈기반이 제공된 방수시트, 방수층 시공용 기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181999B1 (ko) 2010-01-27 2012-09-11 오재연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336449B1 (ko) * 2013-05-09 2013-12-04 정경선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일체화되는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터널 시공공법
KR102149877B1 (ko) * 2019-11-11 2020-08-31 (주)페트로산업 방수시트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635B1 (ko)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278635B1 (ko) 열풍기를 이용한 패널 제조장치
KR100893077B1 (ko) 방수시트의 제조 및 그것을 위한 고정날개 부착장치 및방법
CN203592756U (zh) Ptfe复合板复合装置
KR20120020018A (ko)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TWI23216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overlapping welding of sheet-like plastic materials
JP4840583B2 (ja) トンネル施工の防水シート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0948392B1 (ko) 배관보수용 원단연결 및 테이핑장치
CN217557451U (zh) 一种防水卷材铺设装置
KR100973175B1 (ko) 배수용 부직포의 고정날개 부착방법 및 고정날개를 갖는 배수용 부직포
CN103612463B (zh) Ptfe复合板复合装置与方法
KR101096093B1 (ko) 터널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990483B1 (ko) 층간차음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6957745U (zh) 一种隧道用魔术贴式防水层
CN206824097U (zh) 一种卧式双面高速涂布设备
KR100909036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 장치
KR20090127864A (ko) 배수용 부직포의 고정날개 부착방법 및 고정날개를 갖는 배수용 부직포
JP2010120224A (ja) シート接合体の製造方法
CN217054409U (zh) 一种自粘防水卷材搭接边铺设辅助工具
CN210390276U (zh) 一种锂电池极片制袋机
JPH11115054A (ja) 加硫ゴムシートの接合方法
CN114319890A (zh) 一种自粘防水卷材搭接边铺设辅助工具及其铺设方法
CN106938243A (zh) 一种卧式双面高速涂布设备
CN205713148U (zh) 一种用于防水卷材接缝处理的工具
KR20040042759A (ko) 경화용 튜브라이너 이음새의 테이프 융착방법 및 그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18

Effective date: 2009100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02

Effective date: 20100818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09

Effective date: 2010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