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839B1 -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839B1
KR100913839B1 KR1020080096731A KR20080096731A KR100913839B1 KR 100913839 B1 KR100913839 B1 KR 100913839B1 KR 1020080096731 A KR1020080096731 A KR 1020080096731A KR 20080096731 A KR20080096731 A KR 20080096731A KR 100913839 B1 KR100913839 B1 KR 10091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igh elastic
layer
nonwoven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철
김화순
Original Assignee
김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철 filed Critical 김기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1Setting apparatu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은 부직포 기재와 보강필름기재를 상기 부직포 기재와 상기 보강필름기재의 폭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1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소정의 압력과 열로 상기 부직포 기재와 보강필름기재를 합지하여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강필름기재가 합지된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 동일 사이즈의 고탄성 필름기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의 중앙부를 상기 제 1 롤러 중 하나와 상기 제 1 롤러보다 작은 제 2 롤러 쌍을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가압 가열하여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중앙부를 상기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합지시켜 상기 중앙부의 양측부에 광폭 부직포 날개부 및 광폭 고탄성 필름기재 날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조된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하여 터널을 방수하면, 터널의 숏크리트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물을 보강필름층이 한번 더 걸러주기 때문에 부직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부직포로 유입되는 수압도 감소시켜 하자를 줄일 수 있으며, 광폭 부직포 날개부와 광폭 고탄성 필름기재 날개부를 이용하기 때문에 광폭을 방수하면서도 하방으로 쳐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부직포 날개부, 보강필름층, 고탄성 방수필름층

Description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HIGH ELASTIC COMPOSITE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배수용 부직포와 방수시트을 한번에 일층 넓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 배수용 부직포의 배수 특성을 향상시키고, 배수용 부직포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속도로, 고속철도, 지하철, 해저터널 등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터널 건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터널 시공 방법은 재래식 공법(ASSM 공법, American Steel Support Method), NATM 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 공법, 침매(沈埋) 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 중 NATM 공법은, 국내 대부분의 지반이 암반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장 보편화되어 있다.
이 NATM 공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터널 천공 및 굴착, 1차 숏크리 트 타설, 락볼트 시공, 2차 숏크리트 타설, 방수층 시공,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타일 등의 내장재 시공 및 마무리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방수층 시공은 지하수가 라이닝 콘크리트에 스며들어 콘크리트를 부식 또는 열화 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방수층은 지금까지 터널 굴착면 상에 타설된 숏크리트에 투수성을 갖는 부직포를 란텔로 고정한 후 부직포 표면에 EVA, ECB, PVC 등 방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필름 또는 시트를 열 융착하여 부착함으로써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방수층 시공방법은 란텔로 부직포를 1차적으로 고정한 후, 2차적으로 란텔에 방수필름 또는 시트를 열융착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시간 및 노동력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용 부직포는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터널의 배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숏크리트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부직포에 누적되어 배수기능을 감소시키고 부직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방수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방수하는 경우에 시공시 이들 시트 중간이 하방으로 쳐짐이 심하게 발생하여, 라이닝콘트리트 타설시 밀리기 때문에 광폭 시트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숏크리트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부직포층에 누적되어 배 수기능을 감소시키고 방수층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한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의 하부 쳐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터널 시공방법에 이용될 수 있고, 인건비 및 이음부 로스를 방지할 수 있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측면에 따른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은, 부직포 기재와 보강필름기재를 상기 부직포 기재와 상기 보강필름기재의 폭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1 합지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합지 롤러는 압력과 열로 상기 부직포 기재와 상기 보강필름기재를 합지하여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강필름기재가 합지된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동일 사이즈의 고탄성 필름기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의 중앙부를 한 쌍의 제 2 합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중앙부를 따라 합지하여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가장자리에 고탄성 필름기재 날개부와 상기 보강필름기재와 상기 부직포 기재로 된 부직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합지 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 2 합지 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보강필름기재는 폭 + α이며, α는 상기 보강필름기재의 수축률에 대응하며, 상기 보강필름기재 합지 단계는 물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굴착되어 형성된 터널구간과 상기 터널구간의 하부 측벽에 연결된 박스구간으로 이루어진 터널의 방수방법은,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상기 부직포층의 면적보다 소면적으로 합지되어, 상기 부직포층으로된 부직포 날개부로부터 분리된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를 갖는 고탄성 방수필름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다른 일면에 전체적으로 합지된 보강 필름층을 포함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를 서로 이웃하게 터널구간의 천정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날개부중 하나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를 동반하여 이웃하는 상기 부직포 날개부와 서로 겹치게 하여 제 1 이음부를 형성하고 결착구에 의해서 상기 터널구간의 숏크리트층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음부를 상기 부직포 날개부에 동반하지 않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로 커버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의 제 1 날개부를 이용하여 숏크리트층에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제 1 날개부를 서로 인접배치하고 자착식 부틸고무층을 도포한 후 고탄성 필름기재층으로 된 제 2 날개부로 커버링함으로써 서로 이질적인 재료에 순응하여 방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는 숏크리트면에 대면하는 부직포층의 일면에 보강필름층이 형성되어 숏크리트면으로부터 이물질이 직접 부직포를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반월관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굴곡이 심한 숏크리트 면에 대해서도 시트가 찢어져서 방수층이 파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를 서로 이웃 연결하더라도 제 1 날개부가 양측가장자리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집중 부하에 의하여 하부로 쳐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터널구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공할 수 있고, 박스구간의 이음부에서도 확실한 방수성을 제공하여 고질적인 누수문제를 해결하여 하자 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고, 란텔 고정, 열융합 등 복잡한 시공방법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로 방수층이 형성된 터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터널을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로 터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의 방수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먼저 시공 예정 부위에 굴착 기기를 이용하여 굴착을 행하고 암반 등이 있는 경우는 발파 작업을 통하여 기초터널(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터널(1)은 바닥에 형성되는 박스구간(2)과 상기 박 스구간 상방에 굴착에 의해서 형성된 터널구간(3)을 포함한다.
상기 터널구간(3)을 따라 자중방향으로 유도된 물은 상기 터널구간(3)의 측벽 하부, 예컨대 상기 바닥구간(2)과의 이음부를 따라 터널(1)의 길이방향(X축방향)으로 긴 배수관(5)으로 유도되어, 상기 터널(1)이 배수가 잘되어 수압을 크게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수관(5)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의 이음부(32)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 터널(1)의 굴착면은 대단히 굴곡이 심하여 후속 방수 작업을 착수하기에 부적합하므로 기초터널의 굴착면을 안정시키고 방수 바탕면을 평활하게 만들기 위해 숏크리트(Shotcrete)를 분사하여 1차 또는 2차 숏크리트층(10)을 시공한다.
이어서 기초터널(1) 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의 침투를 막기 위해 방수층(30)을 시공한 다음, 터널 내벽을 보호하는 콘크리트 보강 벽체인 콘크리트 라이닝(50)을 타설한다.
상기 방수층(30)은 숏크리트층(10) 타설면 상에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를 터널(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동일높이를 따라가면서 고정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물론 터널(3)의 원주방향(X축방향)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는 중앙부에 형성된 몸통부(101)와 상기 몸통부(101)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날개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103)는 상기 몸통부(101)의 폭의 절반 정도의 폭을 갖는 것으로, 대략 몸통부(101)가 약 1m의 폭을 가지면, 상기 날개부(103)는 50cm의 폭을 가져서 총 2m 정도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통부(101)는 대면적의 배수용 부직포층(110)과, 상기 배수용 부직포층(110)의 일면에 합지된 고탄성 방수필름층(130)과, 상기 배수용 부직포층(110)의 다른 일면에 합지된 보강필름층(1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103)는 상기 몸통부(101)의 가장자리에서 연결되며, 서로 분리상태인, 상기 배수용 부직포층(110)과 다른 일면에 합지된 보강필름층(150)으로 이루어 제 1 날개부(103a)와 상기 보강필름층(150)으로 된 제 2 날개부(103b)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부(101)의 폭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가 하방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약 1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몸통부의 폭을 달리하면서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의 중앙부의 하부 처짐을 10회씩 반복실험한 결과이다.
표 1
몸통부의 폭 50cm 1m 1m 50cm 2m
실험횟수/시간 10회/30일 10회/30일 10회/30일 10회/30일
중앙쳐짐횟수 0 0 2 4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은 고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터널(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가 배치될 때 상기 제 1 날개부(103a) 를 이루는 상기 부직포층(110)과의 정전기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너플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와 인접한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는 상기 제 1 날개부(103a)가 연접하여 배치되고, 못 등의 결착구(107)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날개부(103a)의 양측가장자리에서 폭방향으로 따라 상기 숏크리트층(10)에 고정되고,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을 상기 제 1 날개부(103a) 상방에 도포한 후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으로 된 상기 제 2 날개부(103b)를 커버링하고 열본딩장치로 열본딩함으로써 이음부의 손실없이 총 2m의 방수층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층은 상기 숏크리트층(10)으로부터 이물질이 직접 상기 부직포층(11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보강 필름층(150)에 의하여 걸려지기 때문에 이전에 비해서 배수능력과 배수수명이 훨씬 연장될 수 있으며, 한번에 2m 광폭이 시공될 수 있고,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는 광폭이질라도 탄성이 좋기 때문에 라이팅 타설시 터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에 의해서 마무리후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으로 된 상기 제 2 날개부(103b)를 당겨서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라이닝 타설시 밀려서 찢어지는 일이 없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가벼워서 작업이 용이하고 추락위험이 없다.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으로 된 제 2 날개부(103b) 사이를 테이핑 처리하여 마무리할 수도 있으며, 열밴딩 장치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으로 된 상기 제 1 날개부(103a)에는 상방에 미리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을 도포시켜서 시공현장에서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와 이웃하는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를 단단히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날개부(103a, 103a')를 서로 겹치게 배치한 후 양측 가장자리를 못 등의 결착구(107)를 이용하여 한번에 고정한 후 상기 제 2 날개부(103b, 103b')중 하나로 커버링할 수도 있게지만, 이경우에는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가 낭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높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며, 열풍 작업 없이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으로 된 제 2 날개부(103b, 103b')와 상기 자착식 합성고무층(120)을 이용하여 완전한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은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이며, 지하수 등과 반응하여 중금속 오염물질을 방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의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면서도 신장율과 인장력이 좋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이나 이러한 성질을 가지면서 가수분해되지 않는 TPV, TPO, 올리핀계 메탈레센 PE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이외에도, TPV, TPO, 올리핀계 메탈레센 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 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중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은 이질적인 바탕기재에 대해서 접합성이 좋고 특히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을 구성하는 다양한 소재의 필름에 대해서도 일체적으로 접착되어 바탕기재의 균열 거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바탕기재와 같이 거동하여 방수층 파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반필름의 5배 이상의 내마모성과 수밀성으로 방수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층(120)은 비가황계 부틸고무 18 중량%, 카본 보강제 10 중량%, 가소제 1 중량%, 첨가제 25 중량%, 및 중탄 충전제 46중량%를 혼합하여 균일 도포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보강 필름층(150)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이외에도, TPV, TPO, 올리핀계 메탈레센 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중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필름층(150)이 폴리에틸렌필름(PE)을 이용하더라도 충분히 상기 숏크리트층(10)으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부직포층(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필름층(150)은 상기 숏크리트층(10)이 경화 시에 일정한 수 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숏크리트층(10)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콘크리트가 수분이 너무 없는 경우에도 부석부석해져서 쉽게 열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때,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의 폭을 약 2M 이내로 하는 것이 운반 및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의 폭이 약 2M 일 때, 길이방향을 따라 4~5장 정도의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만을 연결하면, 터널를 완전히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보강필름층(150) 및 상기 숏크리트층(10)을 따라서 유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100, 100') 사이에 반월관을 배치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보강필름층(150)은 상기 숏크리트층(10)과의 수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세천공(150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미세천공(150a)는 상기 부직포층(110)에 형성된 미세천공(110a)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의 기재이며, 고탄성 방수필름층(130)를 보호하면서 배수 유로를 확보하는 부직포층(110)은 상기 숏크리트층(10)에 섞여 있는 강섬유 또는 굴곡에 의해서 상기 라이닝 콘크리트(50) 타설 시 상기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1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압축부직포시트(113)와 배수용 부직포시트(111)을 합지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용 부직포시트(111)에는 연속된 수많은 선상 집수구와 배수공간이 있어서 막힘이 적고 압력에 강하도록 집속 다발관(111a)을 배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집속 다발관(111a)이 형성된 부직포층(111)은 유효배수단면적이 크며 고탄성을 제공하며 숏크리트층(10)에서 배출된 수산화나트륨 등이 유효배수단면적을 막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요약컨데, 터널(1) 내부로 유입된 물은 1차적으로 상기 보강필름층(150)을 따라 2차적으로는 상기 부직포층(110)을 따라서 하부로 흘러내려 터널의 하부 측벽과 박스구간(2) 사이에 상기 터널(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설치된 배수관(5)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100)는 제 1 및 제 2 공급롤(501, 502)를 이용하여 부직포 기재(110)와 보강필름기재(150)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공급롤(501, 502)은 회전속도 및 텐션을 제어하는 제어부(510)에 의하여 일정하게 제어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롤(501, 502)의 회전속도가 서로 동기되도록 제 어한다.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2 공급롤(502)이 상기 보강필름기재(150)를 상기 부직포 기재(110)+α만큼 더 많이 공급되도록 동기된다.
상기 α는 상기 보강필름기재(150)가 상기 부직포 기재(110)의 일면에 합지될 때 열수축되는 열수축률에 대응하여 선택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롤(501, 502)로부터 공급된 부직포 기재(110)와 상기 보강필름기재(150)는 제 1 및 제 2 합지 롤(503, 504)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제 1 합지 롤(503)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합지 롤(504)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합지 롤(503)이 상기 제 2 합지 롤(504)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합지 롤(504)은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510)에 의해서 120 내지 18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소정의 온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10)에 의해서 동일한 회전속도로 상기 제 1 및 제 2 합지롤(503, 504)이 회전되도록 제어될 때 상기 부직포 기재(110)와 상기 보강필름기재(150)가 가압 가열되어 합지된다.
이때 분무수단(505)을 이용하여 상기 보강필름기재(150)상에 수분을 공급해줌으로써 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지된 상기 부직포 기재(110)와 상기 보강필름기재(150)는 이송벨트(506)를 따라서 이송되면서 경화된다.
한편, 상기 부직포 기재(110)의 2면 중에서 상기 보강필름기재(150)가 합지되지 않은 다른 일면 상에 고탄성 방수필름기재(130)가 부분적으로 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 공급롤(507)에서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기재(130)가 공급된다.
상기 제 3 공급롤(507)은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기재(130)가 상기 합지된 부직포 기재(110)와 상기 보강필름기재(150)가 공급되는 속도에 동기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 3 공급롤(507)은 상기 합지된 부직포 기재(110)와 상기 보강필름기재(150)의 경화시간을 고려하여 공급 후 대기 상태를 반복한다.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기재(130)가 상기 합지된 부직포 기재(110)의 다른 일면에 배치되고, 다시 제 3 및 제 4 합지롤(508, 509) 사이를 관통하여 합지된다.
상기 제 3 합지롤(508)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합지 롤(509)이 하부에 배치된다고 할 때, 상기 제 3 합지롤(508)은 상기 제 4 합지 롤(509)보다 작으며, 상기 제 4 합지 롤(509)의 길이방향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합지롤(508)은 가열수단(508)을 내장하여 상기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의 온도 120 내지 250℃ 사이에서 선택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합지롤(508)이 상기 제 4 합지 롤(509)보다 길이가 작고, 상기 제 4 합지 롤(509)의 중심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3 합지롤(508)과 상기 제 4 합지 롤(509)의 대향부분에서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기재(130), 상기 부직포 기재(110), 및 상기 보강필름기재(150)가 합지된 몸체부(101)가 형성되고, 나머지 가장자리에서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기재로 된 제 2 날개부(103)와 상기 부직포와 보강필름층이 합지되어 형성된 제 2 날개부(103')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원번호 10-2007-0080252 에 기재된 신축이음부재를 이용한 방수 방법을 이용하여 배수구용 반월관을 배치한 후 자착식 이피디엠 고무시트로 상기 반월관 표면을 감싸 붙이고 상기 자착식 이피디엠 고무시트 상면에 상기 도막재가 함침된 자착식 폴리우레탄 시트로 마감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로 방수층이 형성된 터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터널을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변형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로 터널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14)

  1. 부직포 기재와 보강필름기재를 상기 부직포 기재와 상기 보강필름기재의 폭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 1 합지 롤러 사이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합지 롤러는 압력과 열로 상기 부직포 기재와 상기 보강필름기재를 합지하여 이송벨트를 따라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강필름기재가 합지된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동일 사이즈의 고탄성 필름기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의 중앙부를 한 쌍의 제 2 합지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 기재의 다른 일면에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중앙부를 따라 합지하여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가장자리에 고탄성 필름기재 날개부와 상기 보강필름기재와 상기 부직포 기재로 된 부직포 날개부를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제 1 합지 롤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 2 합지 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며,
    상기 보강필름기재는 폭 + α이며, α는 상기 보강필름기재의 수축률에 대응하며, 상기 보강필름기재 합지 단계는 물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 날개부의 상면에 자착식 부틸고무층을 형성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기재는 합지된 제 1 및 제 2 층의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은 압축부직포 기재이며, 상기 제 2 층은 유공 부직포층인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 부직포층은 집속다발관을 포함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필름기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이외에도, TPO, TPV, 올리핀계 메탈레센 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필름기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이외에도,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합지 롤 중 하나의 크기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폭과 동일하며, 다른 하나의 크기는 상기 부직포 기재의 폭과 양쪽 상기 부직포 날개부의 폭의 차이에 대응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
  9. 삭제
  10. 굴착되어 형성된 터널구간과 상기 터널구간의 하부 측벽에 연결된 박스구간으로 이루어진 터널의 방수방법에 있어서,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일면에 상기 부직포층의 면적보다 소면적으로 합지되어, 상기 부직포층으로된 부직포 날개부로부터 분리된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를 갖는 고탄성 방수필름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다른 일면에 전체적으로 합지된 보강 필름층을 포함하는 고탄성 복합방수시트를 서로 이웃하게 터널구간의 천정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날개부중 하나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를 동반하여 이웃하는 상기 부직포 날개부와 서로 겹치게 하여 제 1 이음부를 형성하고 결착구에 의해서 상기 터널구간의 숏크리트층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이음부를 상기 부직포 날개부에 동반하지 않는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로 커버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 방수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로 상기 제 1 이음부를 커버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음부상에 자착식 부틸고무층을 도포하여,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 날개부를 가압함으로써 커버링하는 터널 방수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방수필름층과 상기 보강필름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이외에도, TPO, TPV, 올리핀계 메탈레센 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하여 형성하는 터널 방수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부틸고무층은 비가황계 부틸고무 18 중량%, 카본 보강제 10 중량%, 가소제 1 중량%, 첨가제 25 중량%, 및 중탄 충전제 46중량%를 혼합하여 균일 도포하여 형성하는 터널 방수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구간의 하부 측벽에 연결된 박스구간에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배수관을 설치하는 터널 방수방법.
KR1020080096731A 2008-07-15 2008-10-01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KR1009138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416 2008-07-15
KR20080009416 2008-07-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839B1 true KR100913839B1 (ko) 2009-08-26

Family

ID=4121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31A KR100913839B1 (ko) 2008-07-15 2008-10-01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8B1 (ko) 2009-07-28 2009-11-18 김진영 터널 방수용 친환경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KR101043948B1 (ko) 2010-05-20 2011-06-24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터널 방수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004A (ko) * 2003-08-12 2005-02-23 김기홍 최소 굴착단면을 갖는 개량된 메서 쉴드공법
KR100781992B1 (ko) 2007-01-09 2007-12-06 김기철 자착식 방수시트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KR100796635B1 (ko) 2007-03-13 2008-01-22 연일화섬공업(주)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004A (ko) * 2003-08-12 2005-02-23 김기홍 최소 굴착단면을 갖는 개량된 메서 쉴드공법
KR100781992B1 (ko) 2007-01-09 2007-12-06 김기철 자착식 방수시트
KR100796635B1 (ko) 2007-03-13 2008-01-22 연일화섬공업(주) 날개 부직포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수 공사용 시트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8B1 (ko) 2009-07-28 2009-11-18 김진영 터널 방수용 친환경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KR101043948B1 (ko) 2010-05-20 2011-06-24 주식회사 에이씨이테크 터널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913B1 (ko) 단열방수복합보드 및 그 단열방수복합보드를 이용한 단열방수 시공 방법
US20130000237A1 (en) Membrane Roofing
WO2008130091A1 (en) Un-vulcanized synthetic rubber sheets-waterproof material of self-adhesion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01521840A (ja) 構造物表面用密閉シート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並びに適用方法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100913839B1 (ko) 고탄성 광폭 복합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방법
KR101020646B1 (ko)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KR20100105211A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128760B1 (ko)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0956144B1 (ko)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방법
KR101530600B1 (ko) 시공성과 내구성 및 내크랙성이 뛰어난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100949570B1 (ko) 자착식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9945504B2 (en) Lining element for the rehabilitation of a pipeline
KR20090010012U (ko) 고탄성 복합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방법
KR101171037B1 (ko) 구간 분리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 방법
KR200413500Y1 (ko) 유리섬유 방수시트
KR100638990B1 (ko) 시트방수 구조 및 방수공법
CN207466040U (zh) 一种屋面防水卷材
CN206554125U (zh) 一种新型的地下工程防水结构
RU2288397C1 (ru) Уплот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мухаметдинова под кольцевые утяжелители и чугунные грузы для балластиров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S6121230Y2 (ko)
KR102618931B1 (ko) 옥상 슬래브 방수 구조물
CN215715585U (zh) 一种管廊防水结构
US20040261347A1 (en) Base sheet for self-adhering membranes and selvage roll for such membr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