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018A -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018A
KR20120020018A KR1020100083713A KR20100083713A KR20120020018A KR 20120020018 A KR20120020018 A KR 20120020018A KR 1020100083713 A KR1020100083713 A KR 1020100083713A KR 20100083713 A KR20100083713 A KR 20100083713A KR 20120020018 A KR20120020018 A KR 2012002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nonwoven fabric
waterproof
waterproof shee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임상길
박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주) 네스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주) 네스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앤피 우진
Priority to KR102010008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018A/ko
Publication of KR2012002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1Setting apparatu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의 방수공법으로서, 터널 굴착 후 시공한 후, 상기 방수시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숏크리트면을 통해 유출되는 침출수를 안내하는 배수 유도로가 형성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부직포에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시트와 부직포 일체형 방수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부직포에 접합된 고정부를 상기 숏크리트면에 고정하여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상기 숏크리트면에 대면하도록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터널의 방수공법 및 이에 제공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WATERPROOF SHEET HAVING CHANNEL TYPE DRAINING GUIDANCE SHEET AN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 SAMEOF, TUNNEL WATERPROOF METHOD USING THE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의 터널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배수성능 및 방수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널의 방수공법은 터널 굴착 후 그 내면에 타설하고, 그 내면에 배수 유도용 부직포를 고정한 다음, 부직포의 표면에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시트를 상기 부착하고, 방수시트의 연결부는 의해 연속하여 연결한 후 그 위로 라이닝 콘크리트를 달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사용하는 경우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시 방수층의 밀림 현상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방수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168540호에서 합성수지시트와 부직포가 일체형으로 접합 된 일체형 방수시트를 제안하였으며, 이후로 일체형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는 통한 침출수를 아래로 배수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대심도 철도 등과 같이 다량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지역에서는 부직포만으로는 배수 유도가 원활하지 못하여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터널에서 국부적으로 다량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에 종래의 방수시트에 의하면 해당 구역의 침출수를 부직포만으로 제어할 수 없으므로 침출수가 옆면으로 확산하고 이에 따라 배수 불량의 하자 범위가 확산함으로써 전체 구간의 방수층 파손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출된 것으로, 방수시트에 충분한 배수 유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일체화하여, 우수한 배수성능 및 방수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채널용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방수시트에 일체화되어 별도의 드레인 보드 시공 없이 충분한 배수 유도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 벽면에서 유출되는 지하수가 주변으로 확장됨이 없이 신속하게 아래로 유도하도록 배수성능이 향상되도록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시트가 설치된 터널 벽면에서 다량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에 지하수가 주변으로 확산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수 불량의 하자 범위를 최소화하고, 불량 부분의 신속한 확인을 통해 하자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어 파손으로 인한 배수효과의 저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일체로 접합된 부직포를 구비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로 접합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수유도시트는, 상기 부직포와 면하는 면의 반대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오목한 오목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배수유도로가 구비되며, 상기 배수유도시트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직포에는 복수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서로 이격되어 접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숏크리트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또는 수형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벨크로는 양면으로 수형 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와 접하는 면의 수형 벨크로가 상기 부직포와 벨크로식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은, 터널의 방수공법으로서, 터널 굴착 후 숏크리트를 시공한 후, 상기 숏크리트면에 방수시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숏크리트면을 통해 유출되는 침출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부직포에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시트와 부직포 일체형 방수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부직포에 접합된 고정부를 상기 숏크리트면에 고정하여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상기 숏크리트면에 대면하도록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터널의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의 배수유도로는 터널 내경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오목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구비하여 침출수의 흐름을 아래로 안내한다.
본 발명은, 터널공사용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하는 합성수지시트 공급부; 부직포를 상기 합성수지시트 상에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롤러; 상기 이송되는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 사이에 열풍을 가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제1 접합유닛;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가 일체화된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에 고정부를 제공하는 고정부 공급롤러; 상기 방수시트 부직포 상에 제공된 고정부를 상기 부직포 상에 접합시키는 제2 접합유닛;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가 일체화된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에 상기 고정부와 이격한 위치로 배수유도로를 구비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공급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로부터 상기 부직포 상에 제공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상기 부직포 상에 접합시키는 제3 접합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터널공사용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성 시트와 부직포와 일체로 결합된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길이 방향으로, 숏크리트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제공하는 고정부 공급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제공된 상기 고정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고정부 접합 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상기 고정부의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로, 배수유도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제공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제공된 상기 배수유도시트를 열풍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배수유도시트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양면으로 수형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로 제공되고, 상기 고정부 접합 단계는 접착물질 없이 가압을 통하여 상기 부직포와 접하는 면의 수형 벨크로가 상기 부직포와 벨크로식으로 부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시트에 충분한 배수 유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되어 있어서 우수한 배수성능 및 방수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다. 따라서 별도의 드레인 보드 시공 없이도 충분한 배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터널 벽면에서 유출되는 지하수가 주변으로 확장됨이 없이 신속하게 아래로 유도하도록 배수성능이 향상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드레인 보드 시공시 발생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방수시트가 설치된 터널 벽면에서 다량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경우에 지하수가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수 불량의 하자 범위를 최소화하고, 불량 부분의 신속한 확인을 통해 하자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어 파손으로 인한 배수효과의 저하가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종래의 배수 유도와 관련된 보드는 고밀도 폴리스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은 저온에 약하고 동절기에 깨어지기 쉬운 특성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구성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100)는 방수막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시트(110)와, 합성수지시트(110)에 적층되는 부직포(120)와, 상기 부직포(120)에 적층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및 고정부(130)를 포함한다.
합성수지시트(110)는 방수막 형성하며, 지하수가 라이닝 콘크리트가 타설된 터널 내부 벽면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직포(120)는 합성수지시트(110)의 상면에 적층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합성수지시트(110)와 부직포(120)는 열풍에 의해 일체화된다. 합성수지시트(110)와 부직포(120)의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선융착 및 점융착이 공지되어 있다.
부직포(120)의 상부면에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가 방수시트의 연장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부직포(12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고정부(130)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의 표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수유도로가 구비되어 터널 벽면을 통해 유출되는 지하수를 터널 하면 방향 즉, 아래로 유도한다. 배수유도로는 숏크리트면을 향하여 융기되며, 방수시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142)와, 돌출부(142) 사이의 오목한 오목부(144)로 형성되어 돌출부(142)의 사이의 오목부(144)를 통해 지하수가 아래로 유도되도록 한다. 배수유도시트는 폴리에틸렌 계열의 수지로 제조되는 데,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계열의 수지는 인장강도, 신장률, 내충격성, 내후성, 내구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계열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벽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에 대해 충분한 신장률과 강도를 가지면서 지하수를 아래로 배수 유도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의 사이에는 고정부(130)가 고정된다. 고정부(130)는 중간고정용부직포(132) 또는 벨크로(134)로 형성된다.
중간고정용부직포(132)는 부직포(120)에 접착물질 또는 열풍에 의해 부착되는 데,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부직포(130)에 부착된 것으로, 타측을 타정 못을 이용하여 숏크리트면에 고정함으로써 방수시트(100)가 숏크리트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고정부(130)는 벨크로(134)로 형성된다. 벨크로(134)는 그 표면에 수형벨크로를 형성하는 걸림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숏크리트면에 먼저 고정된 암형벨크로로 형성된 부착면(미도시)에 부착된다. 벨크로(134)는 부직포(120)에 열풍 또는 접착물질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벨크로(134)는 양면으로 수형벨크로가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부직포(120) 접하는 면에서 벨크로(134)의 걸림돌기가 부직포(130)를 직조 조직에 걸림 고정되어 벨크로식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벨크로(134) 고정을 위해 열풍 또는 접착물질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벨크로(134)가 부직포(120) 상에 적층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시키면서 가압을 제공하는 것으로 벨크로(134)를 부직포(120)에 접합할 수 있다. 벨크로(134)를 고정부(130)로 이용하는 경우 숏크리트면에는 벨크로(134)가 부착되는 암형 벨크로로 된 부착면을 먼저 시공한다. 부착면은 벨크로(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띠 형태로 시공된다. 벨크로(134)를 이용하는 경우 방수시트를 숏크리트면에 고정할 때 부착면에 벨크로(134)를 부착시키는 간단한 시공으로 방수시트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제조 장치는 방수막을 형성하는 합성수지재질의 합성수지시트 공급부(10)와, 부직포 공급롤러(20), 고정부 공급롤러(30),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40)를 포함하며, 각 시트를 일체화하는 접합유닛(50a, 50b, 50c)을 포함한다.
도 4 을 참조하면,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제조 장치에 의하면, 후방으로 합성수지시트 공급부(10)가 제공되어 합성수지시트(110)가 전방으로 공급되어 이동하면서, 부직포(120)와 열풍에 의해 열융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방으로 진행되는 합성수지시트(110)의 상부에는 부직포 공급부인 부직포 공급롤러(20)가 배치되어 부직포(120)가 합성수지시트(110)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합성수지시트(110)의 상부로부터 제공된 부직포(120)는 안내되어 합성수지시트(110)의 상부로 적층되면서 제1 접합유닛(50a)을 통과한다.
제1 접합유닛(50a)은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노즐(51a)과 그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를 가압하여 부착시키는 가압롤러(52a, 53a)를 포함한다.
합성수지시트(120)와 부직포(130)는 경로 상에 제공된 열풍노즐(51a)에 의해 제공되는 열풍을 받으면서 가압롤러(52a, 53a)를 통과하면서 열융착된다. 열풍노즐(51a)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합성수지시트(120)와 부직포(130)는 복수줄로 융착된다. 이때 융착 방식은 선융착 및 점융착 모두 가능하다.
열융착 유닛(50a)을 통과하면서 합성수지시트(120)와 부직포(130)가 일체로 접합된 방수시트는 계속 진행하고, 그 상부로 고정부 공급롤러(30)로부터 제공되는 고정부(130)가 적층되면서 제2 접합유닛(50b)을 통과하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제2 접합 유닛(50b)은 제1 접합 유닛(50a)과 같이 열풍 노즐(51b)과 가압롤러(52b, 53b)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30)로서 벨크로(134)가 제공되는 경우, 벨크로(134)는 양면으로 수형 벨크로를 구비한 형태로 제공되어, 열풍의 제공 없이 가압롤러(52b, 53b)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제2 접합유닛(50b)은 가압롤러(52b, 53b)만으로 구성된다. 가압롤러(52b, 53b)에 의해 충분한 가압이 제공되어 벨크로(134)에서 부직포(120)와 면하는 면의 수형 벨크로가 부직포(120)를 부착면으로 하여 벨크로 테이프 접착식으로 접합된다.
고정부(130)가 고정된 방수시트는 계속 진행하고, 부직포(120)의 표면에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가 제공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를 제공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40)는 방수시트에 따라 복수개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2기가 제공되는 경우 고정부(130)의 양 측면으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30)를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40)로부터 풀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상면으로 배수유도로를 형성하는 돌출부(142)와 오목부(144)가 위치한 상태로 고정부(130)의 측면으로 제공되어 제3 접합유닛(50c)에 의해 일체화된다. 부직포(120)와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의 사이에 열풍노즐(51c)에 의해 열풍이 제공되고, 가압롤러(52c, 53c)를 지나면서 서로 열융착된다.
도 4 에 의하면 고정부(130) 부착 공정 다음에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부착 공정이 수행되고 있으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가 먼저 부착된 후, 고정부(130)가 부착되도록 장치의 공정 순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130) 및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모두 부직포(120)의 일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30)와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부착을 위한 제2 및 제 3 접합유닛(50b, 50c)은 하나의 접합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30) 부착을 위한 열풍 노즐(51b)과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부착을 위한 열풍 노즐(51c)을 측면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동일 축 상에 고정부(130) 및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부착을 위한 가압롤러(52b, 52c, 53b, 53c)를 설치하여 고정부(130) 및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 부착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숏크리트면(1)에 타정 못(2)을 이용하여 고정부(130)를 고정하고, 방수시트가 겹치는 부분에서 인접한 합성수지시트(110)는 열풍으로 서로 이음하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이후 합성수지시트(110) 위로 라이닝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의 방수공법에 의하면, 숏크리트면(1)에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가 위치하게 된다.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침출수를 아래로 유도할 수 있는 배수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물을 신속하게 아래로 안내한다. 따라서 배수가 보다 신속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는 침출수가 채널형 배수유도시트(140)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침출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하자보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10: 합성수지시트 공급부 20: 부직포 공급롤러
30: 고정부 공급롤러 40: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
100: 방수시트 110: 합성수지시트
120: 부직포 130: 고정부
132: 중간고정용부직포 134: 벨크로
140: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142: 돌출부
144: 오목부

Claims (11)

  1.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일체로 접합된 부직포를 구비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는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시트는, 상기 부직포와 면하는 면의 반대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오목한 오목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배수유도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시트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는 복수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서로 이격되어 접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숏크리트면에 고정을 위한 고정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중간고정용 부직포 또는 수형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는 양면으로 수형 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와 접하는 면의 수형 벨크로가 상기 부직포와 벨크로식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7. 터널의 방수공법으로서, 터널 굴착 후 숏크리트를 시공한 후, 상기 숏크리트면에 방수시트를 시공함에 있어서,
    숏크리트면을 통해 유출되는 침출수를 안내하는 배수유도로가 형성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부직포에 일체로 접합된 합성수지시트와 부직포 일체형 방수시트를 제공하고, 상기 부직포에 접합된 고정부를 상기 숏크리트면에 고정하여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상기 숏크리트면에 대면하도록 방수시트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방수공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의 배수유도로는 터널 내경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의 오목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된 형상을 구비하여 침출수의 흐름을 아래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의 방수공법.
  9. 터널공사용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합성수지시트를 공급하는 합성수지시트 공급부;
    부직포를 상기 합성수지시트 상에 공급하는 부직포 공급롤러;
    상기 이송되는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 사이에 열풍을 가하여 서로 접합시키는 제1 접합유닛;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가 일체화된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에 고정부를 제공하는 고정부 공급롤러;
    상기 방수시트 부직포 상에 제공된 고정부를 상기 부직포 상에 접합시키는 제2 접합유닛;
    상기 합성수지시트와 상기 부직포가 일체화된 방수시트의 상기 부직포 상에 상기 고정부와 이격한 위치로 배수유도로를 구비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공급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
    상기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롤러로부터 상기 부직포 상에 제공된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열풍과 가압에 의하여 상기 부직포 상에 접합시키는 제3 접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 장치.
  10. 터널공사용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의 방수성 시트와 부직포와 일체로 결합된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길이 방향으로, 숏크리트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제공하는 고정부 공급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제공된 상기 고정부를 일체로 접합하는 고정부 접합 단계;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상기 고정부의 측면으로 이격된 위치로, 배수유도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형 배수유도시트를 제공하는 채널형 배수유도시트 공급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의 부직포 상에 제공된 상기 배수유도시트를 열풍에 의하여 융착시키는 배수유도시트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면으로 수형 벨크로가 형성된 벨크로로 제공되고,
    상기 고정부 접합 단계는 접착물질 없이 가압을 통하여 상기 부직포와 접하는 면의 수형 벨크로가 상기 부직포와 벨크로식으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83713A 2010-08-27 2010-08-27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KR20120020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13A KR20120020018A (ko) 2010-08-27 2010-08-27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713A KR20120020018A (ko) 2010-08-27 2010-08-27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018A true KR20120020018A (ko) 2012-03-07

Family

ID=4612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713A KR20120020018A (ko) 2010-08-27 2010-08-27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01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46B1 (ko) * 2012-04-04 2013-01-09 윤윤모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KR101227035B1 (ko) * 2012-06-04 2013-01-28 이해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3527222A (zh) * 2013-10-31 2014-01-22 张俊峰 防水板铺设新工法
CN105332720A (zh) * 2015-11-25 2016-02-17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工字钢骨架防水密闭的施工方法
CN105736020A (zh) * 2016-04-18 2016-07-06 同济大学 一种山岭隧道衬砌防水层施工装置与方法
KR102087620B1 (ko) 2019-09-03 2020-03-11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 제조 방법 및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846B1 (ko) * 2012-04-04 2013-01-09 윤윤모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KR101227035B1 (ko) * 2012-06-04 2013-01-28 이해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N103527222A (zh) * 2013-10-31 2014-01-22 张俊峰 防水板铺设新工法
CN105332720A (zh) * 2015-11-25 2016-02-17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工字钢骨架防水密闭的施工方法
CN105332720B (zh) * 2015-11-25 2017-10-10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工字钢骨架防水密闭的施工方法
CN105736020A (zh) * 2016-04-18 2016-07-06 同济大学 一种山岭隧道衬砌防水层施工装置与方法
CN105736020B (zh) * 2016-04-18 2018-04-03 同济大学 一种山岭隧道衬砌防水层施工装置与方法
KR102087620B1 (ko) 2019-09-03 2020-03-11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 제조 방법 및 돌기를 갖는 이중방수시트를 이용한 터널 방수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018A (ko) 채널형 배수유도시트가 일체화된 터널 공사용 방수시트 및 그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공법
JP5097634B2 (ja) トンネル防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108460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の施工方法
JP5727306B2 (ja) トンネル覆工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JP2000145392A (ja) トンネル施工法
KR100858239B1 (ko) 터널 내 방수막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CN206957745U (zh) 一种隧道用魔术贴式防水层
KR102286256B1 (ko)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231060B1 (ko) 벨크로띠를 구비한 터널공사용 방수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터널의 방수공법
KR20090107178A (ko) 터널용 방수 구조물
KR101162010B1 (ko) 체결형 방수시트
KR100817011B1 (ko) 일체형 터널용 방수부재,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구조물및 터널용 방수공법
JP5198217B2 (ja) 床被覆材の継目構造及び継目施工法
KR200354489Y1 (ko) 지체, 확산기능을 갖는 돌출무늬가 형성된 터널내 방수부재
KR101234763B1 (ko) 파형 채널부가 형성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방수구조
KR20110057482A (ko) 터널용 방수 시트, 터널, 및 터널 시공 방법
KR20090106930A (ko) 배수 유도용 시트 적층물과, 그것을 이용하는 터널 방수구조 및 터널 방수 공법
JP3916737B2 (ja) 裏込め面状排水材
KR20100040774A (ko) 터널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58789A (ko) 수용성 채움재를 이용한 방수부재 및 방수부재의 연결방법
KR20090122661A (ko) 결합판이 형성된 터널용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용방수부재
JP6534208B2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KR20130114338A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217262U (ja) トンネル用防水シート
CN217107058U (zh) 一种用于隧道和水利工程防护的高强度防水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