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10B1 - 체결형 방수시트 - Google Patents

체결형 방수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010B1
KR101162010B1 KR1020110022133A KR20110022133A KR101162010B1 KR 101162010 B1 KR101162010 B1 KR 101162010B1 KR 1020110022133 A KR1020110022133 A KR 1020110022133A KR 20110022133 A KR20110022133 A KR 20110022133A KR 101162010 B1 KR101162010 B1 KR 101162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length direction
waterproof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윤모
윤한샘
Original Assignee
윤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윤모 filed Critical 윤윤모
Priority to KR1020110022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010B1/ko
Priority to PCT/KR2011/004260 priority patent/WO201212486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2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by locking the edge of one slab or sheet within the profiled marginal portion of the adjacent slab or sheet, e.g. using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 E04D3/363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방수시트; 그리고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방수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수시트와 제2방수시트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결형 방수시트{INSERTION AND COMBINATION TYPE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체결형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접합부의 융착 과정없이 끼움 결합에 의하여 방수 접합이 가능한 새로운 방수시트를 제안한다.
터널 내부, 건물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등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시행하며, 시공 편의상 일정 규격의 방수시트를 바닥면에 펼쳐 설치하는 시트방수 공사가 널리 채택되고 있다.
방수시트는 주요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폴리우레탄, PVC 등 합성고분자계 재료로 제작된 방수시트가 많이 이용된다. 합성고분자계 방수시트는 보통 신장률이 크기 때문에 건축물 모체의 균열 또는 거동에 대한 추종성 및 순응성이 양호하고 내후성 내열성 등 충분한 내구성이 있어 통상 시트방수에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큰 신장률 때문에 외기의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여 수축?팽창이 잘 일어났으며, 이는 방수시트의 방수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 즉, 방수시트의 수축 및 팽창 정도가 크고 수축 및 팽창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방수시트는 부착성능을 상실하게 되며 균열에 의한 파손이 생기기 쉬웠다.
한편, 방수시트는 규격화된 폭 및 길이를 가지는 롤(roll) 형의 시트로 제작되며 이를 바닥면 위에 일정 간격으로 펼쳐 설치하게 되므로, 필연적으로 시트 간의 이음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음부는 시트 방수에 있어 방수성능 상 가장 취약한 부위로서 적절하게 처리되지 못할 경우 방수 하자의 원인이 되므로 이음부의 처리방법에 대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방수시트 이용한 시공 방법에서는 시트의 가장자리, 즉 두 시트가 이어지는 부분의 접합 방법으로 방수 시트의 접합부위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접합 용제 방법과, 방수 시트의 접합 부위를 따라 실링제를 도포하는 실링 접합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 등의 영향으로 방수시트 이음부의 접합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방수시트 이음부의 접합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열풍기를 이용하여 접합 부위를 따라 열을 가해 융착을 가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시공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음부의 접합이 용이한 새로운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밀성이 우수하며,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방수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방수시트; 그리고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방수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수시트와 제2방수시트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1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는 각각 동일 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와 대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와 대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수용부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와 돌출부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 내면에는 접착제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 표면에는 수팽창성 표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와 수용부의 견고한 밀착 결합에 의한 방수가 가능하고, 수용부에 접착제를 부가하거나 돌출부에 수팽창성 표면부를 형성하여 수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인력에 의하거나 자동화된 기계적 방식으로 쉽게 방수시트를 체결하여 시공 작업 공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시공 및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일반적인 바닥면 뿐만 아니라, 곡면이나 경사면 등에 효과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를 구비한 방수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를 구비한 방수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수용부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방수시트의 돌출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수용부 사이에 접착층이 매개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방수시트의 돌출부가 수팽창성 물질로 형성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시트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인력에 의한 방수시트 체결 방식을 보인 모식도.
도 11은 지그를 이용한 기계적 체결 방식을 보인 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의 시공 방식의 일례를 보인 단면 모식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방수시트의 다른 시공 방식을 보인 단면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방수시트 122a,122b:돌출부
124b,124b:수용부 130:접착층
140:수팽창성 표면부
본 발명은 표면의 가장 자리 근처에 돌출부 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방수시트를 돌출부 또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또 다른 방수시트와 끼움 결합에 의하여 체결하는 새로운 방수시트를 제안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평판형 방수시트(100)가 도시되어 있다. 방수시트는 방수성 재료를 압출 등의 방법으로 시트 형태로 제조하여 두루마리(roll) 형식으로 보관하며, 시공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 만큼 재단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방수시트는 편의상 폭 방향(B)을 제1길이 방향으로 정의하며, 폭 방향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길이 방향(A)을 제2길이 방향으로 정의한다. 제1길이 방향의 폭은 최초 방수시트 제조 시 결정되며, 제2길이 방향의 길이는 시공 현장의 방수 면적 또는 시공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의 가장 자리, 즉 폭 방향의 양쪽 가장 자리(101a, 101b) 근처에 방수시트간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120a, 120b)가 배치된다. 이 체결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수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고, 방수시트 간의 결합 태양에 따라 돌출부 또는 수용부 (또는 한 쌍의 돌출부와 한 쌍의 수용부)가 적절하게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의 방수시트(100a)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의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 양쪽에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돌출부(1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수용부(124b)가 형성된 또 다른 방수시트(100b)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1방수시트(100a)의 돌출부(122a, 122b) 형상과 도 3에 도시한 제2방수시트(100b)의 수용부 내부 구조는 유사하며, 상호 밀착 결합되어 두 방수시트가 고정된다.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122a, 122b)와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124a, 124b)는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간격(d)을 유지한 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배치를 통해 제1방수시트와 제2방수시트가 결합되었을 때 부분적으로 겹치는 구간을 마련한 채로 방수시트를 시공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방수시트 또는 제2방수시트를 시공면(예를 들어, 바닥면 또는 수직 벽면 등)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122a)와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124b)가 끼움 결합되어 두 방수시트가 부분적으로 밀착되어 체결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나의 방수시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다른 방수시트와 각각 체결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체결된 방수시트 조합체를 구성할 수 있다.
방수시트의 돌출부는 수용부에 끼움이 용이한 반면, 제거는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의 구조를 반구형, 화살형, 구형 등의 형태로서 상부는 수용부에 진입하기 용이한 전방 돌출형 구조인 반면 하부에는 걸림부가 존재하여 수용부에 체결된 이후에는 임의로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한다.
방수시트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다른 방수시트의 수용부 내부 구조는 돌출부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돌출부와 수용부가 체결되었을 때 물이 침투하거나 새어나갈 염려가 없지만, 부가적인 밀폐 수단을 더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방수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122a)와 수용부(124b)가 접착층(130)을 매개로 결합되어 상호 간의 결합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와 수용부 사이의 미세 공간이 존재할 경우에도 이러한 공간을 접착층이 메움으로써 누수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의 돌출부를 수팽창성 물질로 형성하여 돌출부와 수용부 체결 이후 결합력이 더욱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수팽창성 물질로 인하여 돌출부와 수용부 사이에 약간의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돌출부의 수팽창 효과로 인해 돌출부와 수용부가 더욱 밀폐된 상태로 고착된다. 이 경우, 방수시트의 형태를 기둥부(123)와 기둥부 외면에 수팽창성 수지(또는 수팽창성 고무) 등으로 형성한 표면부(140)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태는 방수시트의 수용부(124b) 내부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결형 방수시트는 일반적인 방수시트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성 재질을 시트 형태로 압출하면서 가장 자리 부분에 돌출부 또는 수용부를 동시에 성형하여 압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방숫 시트를 먼저 형성한 후 후속적으로 기 형성된 돌출부와 수용부를 각각 방수시트의 표면에 접합시켜 완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한 쌍의 돌출부 또는 한 쌍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구비된 제1방수시트와 수용부가 구비된 제2방수시트를 교대로 배치하여 연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방수시트가 돌출부와 수용부를 함께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방수시트(100c)의 일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부(122)와 수용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2)와 수용부(124)가 동일 평면에 형성되지 않고 방수시트(100d)의 서로 다른 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도 9 참조).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시트에 한 쌍의 돌출부 또는 한 쌍의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에도 돌출부(또는 수용부)를 각각 서로 다른 면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와 수용부가 동일면에 형성되는 경우와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시공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방수시트는 별도의 융착 과정 내지 열처리 과정 없이 방수시트간의 체결만으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력에 의하여 상부 방수시트(100a)의 돌출부(122a)를 하부 방수시트(100b)의 수용부(124b)를 향해 수직 방향으로 힘(F)을 가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의 면적 및 길이가 상당히 크거나 여러 장의 방수시트를 대면적의 시공 현장에서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별도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공법으로 시공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자동화된 지그(미도시)로 힘(F)을 가하여 하부 방수시트(100b)의 수용부(124b)를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상부 방수시트(100a)의 돌출부(122a)를 수용부(124b) 내부로 안착시킨 후 지그로 인가한 힘을 제거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방수시트간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방수시트 연결부를 쉽게 체결함으로써 작업 공수(工數)를 줄일 수 있고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수시트 연결부가 완벽히 접합되어 완전 방수를 달성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하자 보수 등이 필요없기 때문에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 역시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는 지하 주차장의 바닥면, 옥상 바닥면, 수직 벽면, 터널 등의 곡면 등에 효과적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13을 참조하면, 바닥면(110)에 고정용 방수시트(100b)를 배치하고, 그 상부로 다른 방수시트(100a)를 배치하여 접합부(C)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방수시트 상면에는 배수 유도 및 시트 보호를 위하여 부직포(150)를 부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하부의 방수시트(100b)는 상부 방수시트와의 접합부(C) 바깥쪽에 (상부 방수시트 쪽에서 볼때는 접합부 안쪽에) 고정 수단(102)으로 방수시트(100b)를 바닥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상부 방수시트와 하부 방수시트를 정렬시켜 접합부 체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방수시트를 바닥면에 고정한 후 다른 한 장을 쉽고 완전히 체결함으로써 시공 시 하자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방수시트 고정 수단(102)이 방수시트간 접합부와 이격되어 있고 상부 방수시트 기준으로 안쪽에 고정 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방수시트 접합 후 고정 수단이 배치된 영역으로 인한 누수나 방수 기능 저하는 발생할 여지가 없다.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평탄한 바닥면 뿐만 아니라 경사진 벽면, 곡면 등의 방수 시공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방수시트와 하부 방수시트가 교대로 배치된 시공 방식에서는 상부 방수시트가 바닥 또는 벽면을 띄어서 고정하므로 계절 및 온도 변화에 따른 방수시트의 팽창 또는 수축을 수용하게 되어 방수 접합부에서의 균열을 방지하여 완전 방수를 실현하는 장점이 있다. 앞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면에 한 쌍의 돌출부 및 한 쌍의 수용부가 배치된 방수시트, 동일면에 돌출부와 수용부가 배치된 도 8의 방수시트는 상부 및 하부에 교대로 배치하는 시공 방식이 적합하다.
반면, 도 9의 방수시트와 같이 서로 다른 면에 돌출부와 수용부가 형성된 경우, 또는 서로 다른 면에 한 쌍의 돌출부가 배치된 제1방수시트 및 서로 다른 면에 한 쌍의 수용부가 배치된 제2방수시트 간의 시공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형 시공 방식이 적합하다. 제1방수시트(101d)의 하면의 돌출부(또는 수용부)는 제2방수시트(102d)의 수용부(또는 돌출부)에 체결되어 결합되며, 인접한 다른 방수시트(103d)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단식으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볼 때 한옥 건축물의 지붕 기와 배치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된 방수시트는 경사진 방향으로 배수가 용이하기 때문에 특히 경사면의 방수 시공에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방수시트; 그리고
    방수성 재질로 형성한 평판 구조물로서 제1길이 방향으로 가장 자리에 인접한 표면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방수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수시트와 제2방수시트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밀착 결합되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는 각각 동일 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와 대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방수시트는 제1길이 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와 대향된 가장자리에 상기 제1길이 방향과 직각인 제2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선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와 수용부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와 돌출부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수시트의 수용부 내면에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시트의 돌출부 표면에는 수팽창성 표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형 방수시트.
KR1020110022133A 2011-03-12 2011-03-12 체결형 방수시트 KR101162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33A KR101162010B1 (ko) 2011-03-12 2011-03-12 체결형 방수시트
PCT/KR2011/004260 WO2012124861A1 (ko) 2011-03-12 2011-06-10 체결형 방수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33A KR101162010B1 (ko) 2011-03-12 2011-03-12 체결형 방수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010B1 true KR101162010B1 (ko) 2012-07-03

Family

ID=4671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33A KR101162010B1 (ko) 2011-03-12 2011-03-12 체결형 방수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357B1 (ko) * 2015-03-11 2016-01-13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 및 아스팔트 도로 방수시공을 위한 비투먼 고분자 중합체 반사균열방지 탄성방수시트
KR20160026268A (ko) * 2014-08-29 2016-03-09 유한회사 중앙강재 융설 기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융설 시스템
CN109812283A (zh) * 2019-03-28 2019-05-28 中铁二院贵阳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夹链自封式搭接隧道防水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23B1 (ko) 2009-01-23 2009-08-20 송재승 방수시트의 맞물림 이음구조가 적용된 통기성 단열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923B1 (ko) 2009-01-23 2009-08-20 송재승 방수시트의 맞물림 이음구조가 적용된 통기성 단열 방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268A (ko) * 2014-08-29 2016-03-09 유한회사 중앙강재 융설 기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융설 시스템
KR102419365B1 (ko) 2014-08-29 2022-07-11 유한회사 중앙강재 융설 기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 융설 시스템
KR101584357B1 (ko) * 2015-03-11 2016-01-13 (주)테스콤엔지니어링 콘크리트 구조물 및 아스팔트 도로 방수시공을 위한 비투먼 고분자 중합체 반사균열방지 탄성방수시트
CN109812283A (zh) * 2019-03-28 2019-05-28 中铁二院贵阳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夹链自封式搭接隧道防水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162010B1 (ko) 체결형 방수시트
KR100975534B1 (ko) 멀티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시공방법
JP6577076B2 (ja) トンネルの剥落防護構造
KR100733502B1 (ko) 방수시트용 신축 이음 패드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 공법
KR101366160B1 (ko)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218846B1 (ko) 측면 체결형 방수시트
JP4588563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止水構造
KR101128760B1 (ko)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RU2612184C1 (ru) Профилированное полотно и систе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профилированных полотен
KR200455222Y1 (ko)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KR101204156B1 (ko) 체결형 방수시트
KR101616299B1 (ko) 터널용 방수 시트 및 이를 적용한 터널
KR101051477B1 (ko) 방수 블록, 이를 이용한 건물의 방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10026954A (ko)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KR200469089Y1 (ko) 기능성 방수 시트
KR100817011B1 (ko) 일체형 터널용 방수부재, 이를 이용한 터널용 방수구조물및 터널용 방수공법
KR20050120222A (ko) 발포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JP2009270369A (ja) 屋根パネル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KR102226957B1 (ko) 옥상바닥면 방근방수시스템
KR102131768B1 (ko) 방수시트의 이음부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