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12B1 -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12B1
KR100671412B1 KR20050007097A KR20050007097A KR100671412B1 KR 100671412 B1 KR100671412 B1 KR 100671412B1 KR 20050007097 A KR20050007097 A KR 20050007097A KR 20050007097 A KR20050007097 A KR 20050007097A KR 100671412 B1 KR100671412 B1 KR 100671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aterproofing
self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6157A (ko
Inventor
권영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삼성건업
권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삼성건업, 권영화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0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1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6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1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는 비가황계 고무시트, 및 상기 비가황계 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이형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탕기재, 고무 프라이머, 및 상기 자착식 비가황계 합성 고무시트층을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지는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수제 및 방수공법은 자착식 비가황계 접착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의 상부 바닥방수와, 토목구조물의 외부 방수 및 철도 및 도로 교량의 교면 방수, 터널용 방수, 쓰레기 매립장, 특수지하저장시설 방수 등 사용범위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자착식 고무 시트, 고무 도막 방수재, 부직포, 비가황계 합성고무 시트, 방수성

Description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Un-Vulcanized Buthyl Synthetic Rubber sheets-waterproof material of Self-adhesion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각종 구조물 바탕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방수공법에 관한 개략도.
도 2는 각종 구조물 바탕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의 제조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한 비노출 방수공법 에서의 시공 구조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한 시트 연결 이음 및 보강 방법에서의 시공 구조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에 관한 기본 시공 구조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와 액상형 고무 도막재와의 조합 적층한 비노출 공법에 관한 구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와 다른 일반 도막방수재 사이에 보강재를 조합 적층한 비노출 방수공법에 관한 시공 구조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한 시트 연결 이음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시공 구조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탕기재
2: 면고르기 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6: 보호 누름층
3: 일반 프라이머층 7: 탑코트층
31: 고무 프라이머층 8: 고무보강층
4: 일반 시트 방수층 401: 이형지층
41: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 시트 402: 부틸고무층
411: 자착식 보강 부틸테이프 403: 표면보호층
42: 일반도막 방수층 404: 망사층
43: 액상 합성고무 방수제 405: 중심보강재층
44: 일반보강층 9: 절연 공간층
5: 보호몰탈층
본 발명은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고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축성과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 합성고무를 방수용 시트형태로 제조한 자착식 고무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적층형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에서 방수공법이 적용되는데, 예전에는 주로 도 1의 방수공법이 적용되었다. 도 1의 종래 방수공법은, 각종 바탕기재(1) 위에 시멘트와 모래를 교반한 시멘트 몰탈로 면고르기 몰탈층 또는 바탕 마감층(2)을 시공한후, 그 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프라이머(3)를 코팅한다. 상기 프라이머 시공후 건조가 완료되면 그 위에 일반 시트 방수층을 부착하거나(4) 또는 일반 도막 방수층(42)을 도포한다. 상기 방수층 또는 도막층의 방수 시공이 완료되면 방수층을 보호할 목적으로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해서 보호 몰탈층(5)을 타설한다. 이후, 바탕기재(1)와 일반 시트 방수층(4) 또는 일반 도막 방수층(42)과의 들뜸 방지를 위해, 시멘트, 모래, 자갈로 구성되는 레미콘을 이용해 보호누름층(6)을 타설하는 과정에 의해 공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바탕기재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목재, 벽돌, 철골,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프라이머로는 아스팔트계, 우레탄계, 탄성무기질계, 아크릴계 프라이머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일반시트 방수층으로는 주로 아스팔트계 시트가 사용되고, 일반도막 방수층(42)은 주로 우레탄 방수나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 아크릴 고무계, 아스팔트계 등에서 선택된 1종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방수공법은 방수제가 보호하려는 바탕기재 및 이 바탕기재를 통과한 물에 대한 방수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1차적으로 바 탕기재는 여러 특수한 물리적, 화학적인 외부 환경조건에 노출되어 각 구조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현대식 건축, 토목 구조물들은 대부분 철근과 콘크리트 소재를 사용한 구조물이므로 각종 강우에 의한 단기적인 수분영향과 지하수에 의한 장기적인 수분영향을 받게된다. 또한, 강우와 지하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산, 알카리, 염소, 오일, 오염 물질 등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촉진과 철근의 부식에 따른 내구성능 저하를 일으키고 2차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잔존수명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거나 구조물 자체의 안정성을 저해 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강우와 지하수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다양한 형태의 물성을 가진 방수 소재를 이용하여 방수시공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종래 방수시공은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의 표면에 시트방수재를 부착하거나, 도막방수재를 페인트 로울러, 고무솔 등으로 덧바름하여 시공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한 방수 재료 자체의 내구성과 방수 성능이 부족하여 종래 방수재를 시공하는 것만으로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충분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예전에는 방수 시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도 1의 일반도막 방수층(42)에 가장 오래된 아스팔트 도막 방수공법을 사용한 바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주로 현장에서 고체상태의 아스팔트를 가마솥에 넣고 가열 용융하여 액체상태로 제조한 후, 루핑과 펠트라는 종이에 덧발라 적층 시공하였으나 시공이 불편하 고, 작업 속도가 매우 늦고, 용융된 아스팔트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과 공정수 과다로 인한 인건비 상승으로 최근에는 시공이 간편한 아스팔트계 일반시트(4)가 사용되게 되었다.
상기 아스팔트시트 방수제의 경우, 생산 공장에서 아스팔트를 가열 용융 시킨 후 일정 두께와 폭으로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제조하며, 기성품화된 방수시트를 현장에서 방수 작업시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장점과 방수층 자체의 균일한 두께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아스팔트 시트 방수제는 방수시트 재료와 재료간의 연결 이음부가 반드시 토치 버너에 의한 아스팔트 층간 가열 용융 접합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직화 열원, 즉 토치(torch) 램프의 사용미숙 으로 인한 과다 열원이 투입 되며, 이로 인해 아스팔트 시트 방수층 자체의 아스팔트가 타면서 반고체 상태의 아스팔트가 액체 상태의 아스팔트 용융되면서 이물질로서 재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아스팔트 재는 유막 형태로 아스팔트 계면에 형성되고, 이음부 유막층과 유막층간의 계면 접착시 겉으로는 완전한 용융 접합이 이루어진 것 같으나 잦은 온도 변화에 따른 유막층간 분리로 강우시 유막층 부위가 물의 유입 경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시트 방수의 가장 근원적인 문제점은 직화 열원에 의한 이음부의 연결방법을 해결하는 것이다.
하지만 아스팔트시공 과정상 방수 기능공들이 토치 조작에서 시트방수층의 용융 작업후, 토치 램프로 달군 인두 등으로 유막층에 대한 유막 형성을 제거 또는 치환하는 하는 등의 노력을 하여야 하나, 방수 시공상 무수히 발생하는 이음부위에 관한 정밀 시공은 절대적으로 사람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시공에 있어 기술적인 한계이며 문제점이다.
상기 열공법에 의한 아스팔트 도막방수제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멤브레인계 도막 방수제가 사용되게 되었는데, 상기 방법은 주로 상온에서 냉공법에 의한 액체 상태의 도료, 및 페인트를 로울러, 솔, 붓, 헤라 등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방수제로서 별도 열원 없이 기성 제품을 현장에 반입하여 철근콘크리트 바탕에 수회 적층 시공하여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여 방수성을 확보하고자하였다. 그러나, 상기 시공방법은 아스팔트 시트 방수제에 비하여 균일한 성막 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우며, 성막 두께 편차에 따른 두께유지 관리가 매우 어려워 근래에는 도 2에 도시된 시트 방수제와 도막방수제를 조합 적층한 시공법이 대두되었다.
도 2는 종래 복합방수공법으로서, 바탕 기재(1) 위에 일반방수층과 즉, 일반시트 방수층(4) 또는 일반 도막방수층(42)이 바탕 기재(1)와 밀착시키지 않도록 절연 공간층(9)을 형성하여 서로 부착되지 않으며, 방수층 형성은 일반 시트 방수제(4)와 일반도막 방수제(42)를 서로 조합하여 적층하는 것으로 적층 완료후 방수층 (4)또는 도막방수층 (42) 위에 탑 코팅층(7)을 형성하며 탑 코팅층(7)은 주로 자외선 차단과 방수층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방수제 자체의 근본적인 재료의 물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존에 생산, 시공되고 있는 일반 시트 방수제와 일반 도막 방수제만을 대상 으로만 조합 시공함으로써 그 방수 성능의 확보가 어려우며, 콘크리트 바탕과는 순응하지 못하여, 바탕기재와의 들뜸 문제, 바탕균열에 따른 방수층 파단, 외부 진 동에 대한 순응성 부족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회피방법으로 바탕과의 밀착 접착 방법이 아닌 바탕과의 절연 공간층(9)을 형성 시키는 방법으로 재료적인 한계와 시공상 들뜸 등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으나 근원적 해결 방법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2-87242호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 수지와 세라믹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용매, 가교제, 충전제, 노화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를 이용한 도막 방수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목적은 주로 세라믹을 이용하여 단열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습한 환경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2-87236호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100 중량부와 고무가루 40~70 중량부에 자일렌 200~400 중량부, 보강성충전제 3~6 중량부, 가교제 4~7 중량부, 노화방지제 2~5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2~5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가루가 혼합된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막 방수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고무가루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크랙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시공후 기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나, 용제형 제품이므로 지하구조물의 습한 환경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된 고무는 가황계 고무로서 저장 안전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일반 시트 방수제의 내구성향상, 시공성 향상, 작업의 편리성 추구, 이음부 연결의 간편 성과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고무를 소재로 하는 기능성 시트 방수재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요구하는 방수성 확보, 및 구조물 진동에 대응할 수 있는 자착식 부틸고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 고유의 방진 특성, 장기적인 내구성 보장, 이음부 자착 특성에 따른 냉공법 방식에 의한 시공성 향상과 경제성이 뛰어난 비가황계의 자착식 합성부틸 고무시트 방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주재로 포함하고 이중 적층에 의해 복합화된 방수층과 바탕층이 일체화되어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비노출, 또는 노출겸용 시공이 가능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바탕기재와 밀착 시공을 가능케하는 고무를 소재로 하는 부틸고무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부틸고무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종래 이중 복합 방수공법에서 해결하지 못한 접착 시공에 의해 바탕기재와 부틸고무 시트 방수제의 절연 공간층 형성 방수공법이 아닌 바탕기재와 밀착 시공이 가능하여, 일반 방수 시트 방수 공법과의 복합 시공이 가능한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착식 비가황 합성 접착 고무시트를 포함하여 건축물의 옥상, 지하주차장의 상부 바닥방수와 토목구조물의 외부 방수 및 철도 및 도로 교량의 교면 방수, 터널, 쓰레기 매립장, 특수 지하 저장시설 방수 등 사용범위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가황계 고무시트, 및 상기 비가황계 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이형지를 포함하는 자착식 고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고무 주재 20 내지 50 중량부, 톨루엔 2 내지 10 중량부, 지방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아스팔트 3 내지 10 중량부, 및 보강충전재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의 고무계 도막 방수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계 수지 6 내지 20 중량부, 금속산화물 0.1 내지 3 중량부, 가황촉진제 0.01 내지 0.5 중량부, 보강재 0.5 내지 5 중량부, 충전제 0.01 내지 0.5 중량부, 합성수지 3 내지 15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1), 상기의 고무 프라이머(31), 및 상기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 층을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지는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계 도막 방수재(43)는 자착식 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포함되거나, 방수공법에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과 방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 합성고무를 방수용 시트형태로 제조한 점, 접착성 자착식 고무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적층형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주로 건설 분야의 방수공사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시트형 방수제에서 가장 문제시 되고 있는 시트 연결 이음부 연결을 별도 접착제나 작업도구에 의하지 않고도 부틸고무 자체의 점, 접착력 만으로도 시트 연결부 이음시 고무 자체에 부여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성에 의한 계면 접착과 자착기능을 부여한 방수제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른 방수제와의 상용성과 조합 적층 시공이 용이하고 높은 시공성과 방수 시공 이후의 시공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는 방수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바탕기재에 적용되는 방수재에 있어서, 가황계 고무 상태로 전이되는 고무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 상태에서 자착성을 가지는 비가황계 합성 부틸고무를 방수시트 형태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재로서 자착성의 고무 시트와 함께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방수공법에 조합 적층함으로써, 방수기능 외에 방진 기능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성능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착식 고무 시트는 비가황계 합성고무 시트로서 신축성과 점착성이 우수하고 시트와 시트간 접착 연결시 자착 특성에 의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일체화가 가능하며, 고무자체의 방수성, 방음성 및 방진성으로 방수재, 및 코팅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시트형태로 제조하면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자착식 비가황 고무 시트는 고무상 수지 44 내지 51.5 중량부, 충전제 37.4 내지 4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1.3 중량부, 및 첨가제 10.1 내지 14.7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고무상 수지로는 하기 화학식 1의 부틸고무,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고무를 사용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04612495-pat00001
상기 충전제로는 탈크, 카본블랙,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산칼슘의 분쇄크기에 따라 경탄과 중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탄산칼슘이 분쇄된 입자 크기가 약 325 메쉬(mesh) 정도로 작아 비중이 작은 것을 경탄이라고 하고, 입자의 크기가 약 150 메쉬(mesh) 정도로서 비중이 큰 것을 중탄이라고 한다.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및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사이트릭애시드에스테르, 텍사놀/에스테르알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1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로진(송진),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1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착식 비가황계 합성고무 시트의 제조방법은, 각 조성성분을 칭량 후 니더와 롤러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물질 방지와 숙성을 위해 파렛트 및 선반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저장하여 혼합물을 숙성시킨다. 이후, 혼합물을 압출기와 와인더를 이용하여 0.2~10mm 정도의 균일한 두께로 압출 성형하고 권취하여 시트를 제 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 합성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이형지를 포함하는 자착식 고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착식 합성 고무시트는 방수 표면 보호층(403) 또는 중심보강층(405)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의 A), D), 및 E))
상기 방수 표면 보호층(403)은 방수시트를 보호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방수 표면 보호층은 고무시트와 접착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방수 표면 보호층으로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필름을 사용한다.
상기 자착식 고무 시트는 건축 및 토목구조물의 방수용도로 사용을 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상바닥방수, 지하주차장의 상부 바닥, 지하구조물의 외부방수용 및 철도, 도로교량의 교면 방수용, 수영장 방수용, 쓰레기매립장, 터널 방수용, 특수지하 저장시설방수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착식 고무 시트의 경우 신장율이 우수하므로 구조물의 진동에 대한 저항성이 커서 구체균열에 의한 방수층의 파단을 방지하고 복잡한 부위나 벽체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중심보강재층(405)은 자착식 고무시트를 보호하고 시트의 물성상태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부직포 및 직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 용할 수 있다. 상기 중심보강재층의 예를 들면, 유리섬유(Glass Fiber)직포,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 직포,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직포,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부직포,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필름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착식 고무 시트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시트는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합성고무(402)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이형지(401),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합성고무(402), 표면 보호층(403), 망사층(404), 및 중심보강재층(405)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 내지 E) 타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3의 A)는, 시트 하부에 이형지(401), 자착식 부틸 고무층(402), 고무층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403)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3 B)타입은 시트하부에 이형지(401), 부틸 합성고무층(402), 부틸고무층 상면에 이형지(401) 등으로 구성된다. 도 3의 C)타입은 시트 하부에 이형지(401), 부틸 합성고무층(402), 부틸고무 상면에 망사층(404)으로 구성된다. 도 3의 D)타입은, 하부에 이형지(401), 부틸고무층(402), 망사층(404), 및 상면에 표면보호층(403)로 구성된다. 도 3의 E) 타입은 시트하부에 이형지(401), 부틸고무층(402), 중심보강재층(405), 부틸고무층(402), 상면에 표면보호층(40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방수 표면 보호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보강층을 포함할 경우, 상기 부직포나 직포 등을 2층의 부틸 합성고무층(402) 상부에 보강 적층하여 이형지(401),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층(402), 중심보강재층(405),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층(402), 및 이형지(401)로 이루 어지는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 시트(4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직포나 직포를 사용할 경우는 제조된 자착식 고무시트는 벽체부위 및 돌출물 보강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가황계 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단독으로 방수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고무 성분으로 조성된 액상형 고무 방수제와 조합하여 복층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방수제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 다른 일반 도막방수제와의 상호 적층 시공이 가능하여 방수공법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수재는 방수뿐만 아니라 고무 고유의 방음, 방진성을 함께 가진 기능성 방수재로서 건축물의 옥상방수, 지하구조물의 외방수 및 지하주차장 상부 바닥 도로 및 철도교량의 교면 방수, 터널 방수 등의 방음, 방진이 요구되는 곳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형 고무 방수제는 방향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고무 주재 20 내지 50 중량부, 톨루엔 2 내지 10 중량부, 지방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아스팔트 3 내지 10 중량부, 및 보강충전재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상기 액상의 고무계 도막 방수재 조성물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고무계 도막 방수재는 토목 구조물, 지하차도, 공동구, 도로 및 철도 교량의 교면방수에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고무계 도막 방수재는 상기 자착식 합성 부틸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포함되거나 방수공법에 포함되어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는 코오롱 유화의 HIKOTACK P-시리즈 및 HIKOTACK C-시리즈 제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IKOTACK P-시리즈는 방향족 C-9 석유수지로서 연화점이 90℃부터 160 ℃까지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각종 접착제용 점착 부여제, 고무 배합용 가공 보조제, 페인트 및 잉크제품의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HIKOTACK C-시리즈는 쿠마론 수지로서 95 ℃ 및 120 ℃정도의 연화점을 가진 제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페인트 첨가제나 고무 배합의 가공 보조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고무 도막 방수재에서 톨루엔은 고무를 용해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상기 고무 주재는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고무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고무(SBR), 폴리부타디엔 고무(BR),이소부티렌 이소프렌고무 (IIR), 에틸렌프로필렌 러버고무(EPT), 클로로프렌(CR)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러버고무(NBR), 우레탄 고무, 재생고무 및 하이파론 고무 등이 있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HIKOREZ A-시리즈, HIKOREZ C-시리즈, HIKOREZ R-시리즈 및 HIKOREZ Z-시리즈 제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IKOREZ A-시리즈는 지방족 C-5 석유수지로서 여러 종류의 엘라스토머 들과 좋은 상용성을 나타내며, 다양한 유기 용제들과의 용해성도 우수하다. 주요 용도는 감압형 접착제(PSA), 열용융형 접착제(HMA), 및 고무배합의 점착부여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HIKOREZ C-시리즈는 지방족 C-5 석유수지의 일종으로 HIKOREZ A-시리즈보다 큰 분자량을 가진 제품이며, 감압형 접착제에 사용될 경우 보다 강화된 접착강도를 나타내고, 주요 용도는 감압형 접착제(PSA), 열융용형 접착제(HMA), 및 고무배합의 점착부여제로 사용된다. 상기 HIKOREZ R-시리즈는 산 변형 지방족 C-5 석유수지로서 열용융형 도로 표시제(HMRM)에 사용될 경우 안료 및 충전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최종제품의 흐름성향상과 점도저하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HIKOREZ T-시리즈는 방향족이 첨가된 지방족(C-5/C-9) 석유수지이며, 연화점 정도에 따라 선택 사용가능하다. 상기 제품은 다양한 엘라스토머, 특히 EVA 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과 같이 비교적 극성도가 높은 엘라스토머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낸다. 상기 아스팔트는 통상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석유공업, 동남유화 등의 AP-3, AP-5, 방수용 아스팔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브로운 아스팔트, 아스팔트 컴파운드 컷백 아스팔트, 유화 아스팔트 등이 있고,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보강충전재는 석분계열의 광물성 첨가제이면 모두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탈크, 탄산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액상의 고무계 도막 방수재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틸 합성고무시트와 액상 합성고무 이용하여 건축물이나 토목구조물 등의 방수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수공법은 기본적으로 바탕기재, 고무프라이머, 및 상기한 자착식 합성고무시트 층을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공법은 기재와 고무 프라이머 사이에 면고르기 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수공법의 일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탕기재(1), 면고르기 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액상 고무프라이머(31), 상기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 보호몰탈층(5), 보호누름층(6)을 차례로 적층 시공하여 방수시공을 한다.
상기 방수 시공 중 시트와 시트 연결이음부의 겹침처리는 30mm ~ 100mm 범위내에서 자착식으로 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도 5), 시트연결 지점이 3겹점 내지 4겹점 이상이 발생될 때에는 액상고무 프라이머(31)의 점도를 고점도화 시킨 고무보강층(8)을 시공하여 연결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5)
또한, 상기 방수공법은 고무 프라이머(31)와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 사이 또는 자착식 부틸합성고무시트(41) 위에 상기한 액상 고무계 도막방수재 조성물(43), 또는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부직포, 아크릴도막 방수재, 아스팔트 방수시트, 합성고분자계 연질시트 방수재, 무기질탄성 도막 방수재, 및 우레탄계 도막 등과 같이 국, 내외에서 일반적으로 구입 또는 수입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하여 적층 시공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고무계 액상 도막 방수재(43)를 사용한다.
상기 도막 방수재를 포함하는 방수공법의 예를 들면, 바탕기재(1), 면고르기 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고무 프라이머(31), 액상고무계 도막 방수재(43), 자착식 고무시트(41), 보호몰탈(5), 누름콘크리트(6)로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6). 또한, 상기 방수공법은 바탕기재(1), 프라이머(3),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42), 부직포 또는 직포등의 일반보강층(44),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42), 및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를 적층 시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도 8).
상기 방수공법은 필요에 따라, 표면부에 누름층(6), 보호재, 및 탑코트(top coat)층(7)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탑코트층(7)이 있는 경우에는 누름층(6)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누름층(6)은 콘크리트, 자갈 블럭 또는 중량물을 사용하여 누름 방식에 의해 누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층 보호재는 폴리우레탄 발포폼, 폴리에틸렌 발포폼, EVA폼, 아이소핑크, 폴리에틸렌경질판, 아스팔트계 경질판, 나무합판, 경질 섬유판, 연질섬유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자착식 부틸합성고무시트의 두께는 0.2~10mm를 사용할수 있으며 도막방수재가 사용이될 경우의 두께는 0.3~10mm가 바람직하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공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방수공법은 기재(1),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고무프라이머(31),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 우레탄계 또는 무기질계 일반도막 방수재(42), 및 탑코트(top coat)층(7) 순으로 적층 시공할 수 있다(도 7).
또한, 바탕기재(1),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고무프라이머(31),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 및 우레탄계 또는 무기질계 일반 도막 방수재(42)순으로 적층 시공하거나, 바탕기재(1),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일반 프라이머(3), 우레탄계 일반 도막방수재(42),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 시트(41)순으로 적층시공하거나,
바탕기재(1),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 일반프라이머(3), 합성고분자계 연질형 일반시트방수재(4), 및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 시트(41)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거나,
바탕기재(1),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고무프라이머(31), 및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41)의 순으로 적층시공하거나(도 4),
바탕기재(1),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2), 아스팔트 일반프라이머(3),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및 자착식 고무 시트순(41)으로 적층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 고무시트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 적층형 비노출 방수공법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바탕기재(1),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2), 아스팔트 일반프라이머(3), 일반 도막방수재(42), 일반보강층(44), 일반 도막방수재(42), 자착식 고무 시트순(41), 보호몰탈층(5), 및 보호 누름층(6) 순으로 적층 시공할 수 있다.(도 8)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 합성고무시트를 이용하여 자착식 부틸 테이프를 이용한 이음 연결 공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착식 비가황계 부틸 합성고무시트와 다른 자착 부틸 테이프 공법에 관한 시공 구조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보면, 방수 시공중 시트와 시트 연결이음부를 서로 맞대어 평탄하게 겹이음하려고 할 경우에는 폭 60mm ~ 200mm 범위내에서 자착식 보강 부틸테이프(411)를 이용하여 자착식 부틸 합성 고무 시트(41)와 시트 연결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방수공법에서 상기 바탕기재는 콘크리트, 블록, 벽돌, 금속판, 조립식 건축용 경량패널 또는 합성수지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판은 아연도금강판, 일반강판, 필름 라미네이팅 금속판, 알루미늄 합금판, 스테인레스 강판, 연판, 및 동판, 이종금속혼합 경질판, 개질 특수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고무 프라이머 또는 일반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무 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상기 고무 프라이머는 고무계 수지 6 내지 20 중량부, 금속산화물 0.1 내지 3 중량부, 가황촉진제 0.01 내지 0.5 중량부, 보강재 0.5 내지 5 중량부, 충전제 0.01 내지 0.5 중량부, 합성수지 3 내지 15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계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부틸고무,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고무를 사용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04612495-pat00002
상기 금속산화물은 MgO, ZnO 등의 2가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티우람 설퍼(TS, thiuram sulfur),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및 디페닐 구아니딘 설퍼(diphenyl guanidine sulfu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로는 탈크, 화이트 카본 등을 1 종 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흑연, 카본블랙, 코크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로는 페놀수지, 석유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 헥산, 벤젠 등과 같이 상기 성분들 을 용해시킬 수 있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1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는 물 15-20 중량부, 증점제 0.2-0.8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공중합 에멀젼 10-20 중량부, 양이온 유화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부, 비실리콘소포제 0.2 내지 0.8 중량부 및 방부제 0.01-0.0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포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교반날개와 회전수를 조정한 혼합기를 세정한 후, 물을 투입하고 지정속도로 교반하면서 증점제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후, 비닐아세테이드 에틸렌 공중합 에멀젼과 글리콜에테르를 주제로 한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투입하여 지정속도로 약15분간 교반하고 교반상태에서 양이온으로 유화된 유화 아스팔트를 서서히 투입한다. 투입이 완료되면 30분간 지정속도로 교반하여 분산된 상태를 확인하고 점도를 800 ~ 1000 cps로 조정한 후, 방부제를 투입하여 pH 및 고형분 등을 검사하고 지정용기에 포장하여 완성된다.
상기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에멀젼 20 내지 35 중량부, 유화제 0.3 내지 1.0 중량부, 증류수 3 내지 10 중량부,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50 내지 80 중량부, 및 소포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에멀젼은 유화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화제로는 혼화성 음이온계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며, 예를 들면 로진산염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화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미네랄 오일 타입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의 제조방법은, 작업온도를 60 ℃에서 120℃ 사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된 혼합기 탱크와 특수하게 제작된 교반날개가 장착된 혼합기를 세정하고,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에멀젼을 25 ~ 50 ℃로 온도를 조정하여 혼합기에 투입하고 지정속도로 교반한다. 이후, 로진을 주제로 한 유화제와 물을 투입하고 혼합기내의 온도를 20 ~ 45 ℃로 유지되도록 하여 교반한다. 그리고, 반응기의 온도를 110 ~ 125 ℃로 올리고,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지정된 유속으로 혼합기에 투입하면서 교반기를 지정속도로 조정하면서 혼합기내의 온도를 다시 80 ~ 90 ℃로 유지하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투입을 완료한다. 샘플링검사를 통해서 점도를 250 ~ 500 cps 사이가 됨을 확인하고 온도가 40℃이하가 되도록 냉각후 비실리콘 소포제를 투입하여 30분간 지정속도로 교반하여 pH 및 고형분 등을 검사하고 지정용기에 포장하여 완성된다.
상기 합성고분자계 연질시트 방수재는 고밀도 포리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및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이루어진 시트 또는 한국공업규격 (KSF 4911), 일본공업규격에 적용되는 합성고분자계 적용방수제를 이용하여 건축, 토목구조물에 시공하는 방수재를 말하며, 이러한 시트 방수층에 신축, 보수를 요하는 곳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도막은 우레탄 도막 방수재, 타르우레탄(tar urethane) 도막 방수재 및 노출우레탄 도막 방수재, 수화반응형 우레탄, 1액상형 우레탄, 고경질 우레탄, 연질우레탄 방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질탄성도막 방수재는 아크릴 에멀젼 48-50 중량부, 액상 첨가제 0-2 중량부, 보통 시멘트 15-20 중량부, 실리카 샌드 30-35 중량부, 규조토 2-5 중량부, 분말 첨가제 1-3 중량부를 포함하며, 통상의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상 첨가제는 유동화제, 소포제, 분산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분말 첨가제는 증점제, 소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탑 코트(top coat) 도막의 조성은 아크릴에멀젼 40-45 중량부, 탈크 20-25 중량부, 탄산칼슘 20-25 중량부, 착색안료 3-8 중량부 및 액상 첨가제 2-5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방수공법의 기본적인 방수 시공 방법은, 기본적으로 바탕기재(1)에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2)를 시공한 후, 고무프라이머 층(31)을 도포하고, 그 위에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41)를 접착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위에 적층되는 재료들은 시트 형식으로 제조하여 이용하거나, 액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종 시공 작업도구를 이용 하여 시공할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방수재(건설용방수재)는 기본적으로 신축성과 방음성, 방진성방수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한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 시트를 이용하고, 여기에 방수성이 우수한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토목 구조물, 지하차도, 공동구, 도로 및 철도교량의 교면, 터널, 건축 구조물의 옥상, 아파트의 지하 주차장의 상부 바닥의 방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및 2)
고무시트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각 조성성분을 칭량 후 니더와 롤러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이물질 방지와 숙성을 위해 파렛트 및 선반을 이용하여 일정시간 저장하여 혼합물을 숙성시켰다. 이후, 혼합물을 압출기와 와인더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고 권취하여 자착식 비가황계 고무인 자착식 고무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제조예 1의 자착식 고무 시트는 양면에 이형지를 부착하여 시트를 제조하였고(도 3 B)타입), 제조예 1의 자착식 고무 시트를 이용하여 한면에는 이형지를 부착하고 다른면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도 3 A 타입)을 부착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표 1]
구 분(중량부) 제조예 1 제조예 2
부틸고무 25 16
폴리부텐 19 18
내열성 고무 - 17.5
탈크 40 12
경탄 - 15
중탄 - 10.4
가소제(DOP) 1.3 1
카본블랙 5 1.5
로진(송진) 9 8
스테아린산 0.7 0.6
(시험예 1)
상기 제조예 1, 2에서 제조된 자착식 고무 시트에 대한 물성을 표 2의 기준 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
시험항목 성능기준 시험방법
인장강도(N/cm) 60 이상 ㉿ KS F 4911 기준 합성고무계 방수시트
파단시 신장율(%) 250이상
인열강도(N) 30 이상
[표 3]고밀도폴리에틸렌 필름을 표면보호층으로 부착된 자착식고무시트의 결과치
시험항목 제조예 1 제조예 2
인장강도(N/cm) 2,036 2,526
파단시 신장율(%) 650 860
인열강도(N) 1,401 1,395
(제조예 3)
하기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고무 프라이머를 제조하였다.
[표 4]
구 분(중량부) 제조예 3
부틸고무(#268) 5.97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Denka, A 90) 5.97
MgO 0.44
ZnO 0.44
가황촉진제(TS) 0.025
탈크 1.25
화이트 카본(white carbon) 1.24
카본블랙 0.06
페놀수지 4.5
석유수지 5.03
톨루엔 58.4
헥산 16.7
(제조예 4)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액상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제조하였다.
[표 5]
구 분(중량부) 제조예 4
방향족 석유수지(HIKOTACK P-Series 방향족 C-9 석유수지, 연화점 90 ℃ 17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38
톨루엔 9
지방족 석유 수지(HIKOREZ A-시리즈, C-5) 18
아스팔트(AP-3, 한국석유공업) 9
보강 충전재(탄산칼슘, 영신) 9
(제조예 5 및 6)
무기질 탄성 도막 방수재, 탑코트는 하기 표 6 및 7과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단위, 중량부)
[표 6](무기질 도막 방수재)
제조예 5
아크릴 에멀젼 49
액상 첨가제 1
보통 시멘트 15
실리카 샌드 30
규조토 3
분말 첨가제 2
주) 상기 표 6에서, 액상 첨가제는 SN-5047,HS-200, NXZ (SANNOP제조회사)을 사용하였고, 분말 첨가제는E-411X, SODIUM CITRATE(AKZO NOBEL 제조회사)을 사용하였다.
[표 7](탑코드 조성)
제조예 6
아크릴 에먼젼 43
탈크 24
탄산칼슘 25
착색안료 5
액상 첨가제 3
주) 상기 표 7에서, 액상 첨가제는 SN-5047,HS-200, NXZ (SANNOP제조회사)을 사용하였고, 착색안료는 Green pigment (우신퍼그먼트 제조회사)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기재로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조예 3의 고무 프라이머층을 적층하고,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자착식 고무 시트의 한면(접착면)에서 이형지를 제거후 적층하여 방수층 형성 하였다.
(실시예 2)
기재로서 알루미늄 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층을 형성 하였다.
(실시예 3)
자착식 고무 시트와 프라이머 사이에 제조예 4의 고무계도막 방수재를 적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층을 형성 하였다.
(실시예 4)
기재로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고무 프라이머층을 적층하고, 제조예 4의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적층하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 직포를 적층하고, 그 위에 다시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적층하고, 제조예 2의 자착식 고무 시트의 한면에서 이형지를 제거후 적층하여 방수층을 형성 하였다.
(실시예 5)
기재로서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그 위에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프라이머층을 적층하고,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자착식 고무를 적층하고, 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적층하고, 그 위에 제조예 6의 탑코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 하였 다.
(실시예 6)
우레탄 도막 방수재 대신, 제조예 5의 무기도막 방수재를 적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수층을 형성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제 및 방수공법은 작업도구나 특별한 작업 방법에 의하지 않고 간단히 연결 이음부위 시트에 손으로 손쉽게 눌러 접합 시켜주기만 하면 온도변화에서도 서로 떨어지지 않고 부틸합성 고무 특유의 자착성능을 발휘하여 연결부 이음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시공함으로써 시트 시공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어 종래 일반 시트형, 일반 도막형 방수 시공방법들에 비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가황계 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단독으로 방수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고무 성분으로 조성된 액상형 고무 방수제와 조합하여 복층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방수제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시 다른 일반 도막방수제와의 상호 적층 시공이 가능하여 방수공법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수재는 방수뿐만 아니라 고무 고유의 방음, 방진성을 함께 가진 기능성 방수재로서 건축물의 옥상방수, 지하구조물의 외방수 및 지하주차장 상부 바닥 도로 및 철도교량의 교면 방수, 터널 방수 등의 방음, 방진이 요구되는 곳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비가황계 고무시트, 및 상기 비가황계 고무시트의 적어도 어느 한면에 이형지를 포함하는 두께가 0.2 내지 10 mm인 자착식 고무 시트로서,
    상기 비가황계 고무 시트는 고무상 수지 44 내지 51.5 중량부, 충전제 37.4 내지 40 중량부, 가소제 1 내지 1.3 중량부, 및 첨가제 10.1 내지 14.7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며,
    상기 고무상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부틸고무 및 폴리부텐의 혼합물 또는 부틸고무, 폴리부텐 및 내열성 고무의 혼합물이며,
    상기 충전제는 탈크, 카본블랙,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사이트릭애시드에스테르, 및 텍사놀/에스테르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며, 및,
    상기 첨가제는 로진(송진), 및 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자착식 고무 시트.
    (화학식 1)
    Figure 112006075567505-pat00012
  2. 제 1항에 있이서, 상기 고무상 수지가 부틸고무 25 중량부 및 폴리부텐 19 중량부 또는 부틸고무 16 중량부, 폴리부텐 18 중량부 및 내열성 고무 17.5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착식 고무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황계 고무 시트는 어느 한면에 방수표면보호층 또는 중심보강재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수표면보호층은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상기 중심보강재층은 유리섬유(Glass Fiber)직포,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 직포,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직포, 폴리프로필렌(PP) 부직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부직포, 및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필름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직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자착식 고무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황계 고무 시트는 이형지, 비가황계 자착식 고무 시트, 및 방수표면보호층 또는 중심보강재층의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인 자착식 고무 시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황계 고무 시트는 이형지, 비가황계 자착식 고무 시트, 중심보강재층, 자착식 고무, 및 방수표면보호층 또는 이형지의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자착식 고무 시트.
  6. 방향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고무 주재 20 내지 50 중량부, 톨루엔 2 내지 10 중량부, 지방족 석유수지 15 내지 20 중량부, 아스팔트 3 내지 10 중량부, 및 보강충전재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는 연화점 90℃ 내지 160 ℃의 방향족 C-9 석유수지, 연화점 95 ℃의 쿠마론 수지, 및 연화점 120 ℃의 쿠마론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고무 주재는 천연고무,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 폴리부타디엔 고무(BR), 이소부티렌 이소프렌 고무(IIR), 에틸렌프로필렌 러버(EPT), 클로로프렌(CR)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러버(NBR), 우레탄 고무, 재생고무 및 하이파론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지방족 C-5 석유수지, 산 변형 지방족 C-5 석유수지, 및 방향족이 첨가된 지방족(C-5/C-9)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아스팔트는 AP-3, AP-5, 방수용 아스팔트,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브로운 아스팔트, 아스팔트 컴파운드 컷백 아스팔트, 및 유화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보강충전재는 탈크 및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고무계 도막 방수재 조성물.
  7. 삭제
  8. 고무계 수지 6 내지 20 중량부, 금속산화물 0.1 내지 3 중량부, 가황촉진제 0.01 내지 0.5 중량부, 보강재 0.5 내지 5 중량부, 충전제 0.01 내지 0.5 중량부, 합성수지 3 내지 15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는 부틸고무,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클로로술폰화폴리에틸렌, 및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금속산화물은 MgO 및 Zn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가황촉진제는 티우람 설퍼(TS, thiuram sulfur), 디벤조티아질 디설파이드(dibenzothiazyl disulfide), 디큐밀 퍼옥사이드(dicumyl peroxide) 및 디페닐 구아니딘 설퍼(diphenyl guanidine sulfu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보강재는 탈크 및 화이트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충전제는 흑연, 카본블랙, 및 코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합성수지는 페놀수지, 및 석유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고, 상기 유기용매는 톨루엔, 벤젠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고무 프라이머.
  9. 삭제
  10. 콘크리트, 나무, 벽돌, 블럭, 금속판, 조립식 건축용 패널 또는 합성수지판인 바탕기재,
    제 8항에 따른 고무프라이머, 및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두께가 0.2 내지 10 mm인 자착식 합성고무시트 층을 적층시공하여 이루어지는 방수공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공법은 고무 프라이머와 자착식 부틸 합성고무시트 사이 또는 자착식 부틸합성고무시트 위에 제6항에 따른 액상 고무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또는 수용성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부직포, 아크릴도막 방수재, 아스팔트 방수시트,합성고분자계 연질시트 방수재, 무기질탄성 도막 방수재, 및 우레탄계 도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적층하여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수공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공법은 기재와 고무 프라이머 사이에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수공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공법은 표면부에 누름층, 보호재, 및 탑코트(top coat)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수공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공법은 바탕기재, 면고르기몰탈 또는 바탕 마감층, 고무 프라이머, 자착식 비가황계 합성 고무시트, 및 액상형 고무계 도막 방수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방수공법.
  15. 삭제
KR20050007097A 2005-01-26 2005-01-26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10067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7097A KR100671412B1 (ko) 2005-01-26 2005-01-26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7097A KR100671412B1 (ko) 2005-01-26 2005-01-26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57A KR20060086157A (ko) 2006-07-31
KR100671412B1 true KR100671412B1 (ko) 2007-01-19

Family

ID=3717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7097A KR100671412B1 (ko) 2005-01-26 2005-01-26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12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KR100858734B1 (ko) * 2007-07-20 2008-09-17 헨켈코리아 유한회사 수밀용 실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실링 테이프
KR100934731B1 (ko) * 2008-02-21 2009-12-30 (주)평화엔지니어링 자착식 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자착식 방수시트 및 자착식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0935417B1 (ko) * 2009-03-05 2010-01-06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공법
KR100957621B1 (ko) * 2009-08-19 2010-05-13 (주)삼성건업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KR101061986B1 (ko) * 2009-12-22 2011-09-05 권영화 교면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073472B1 (ko) 2010-10-05 2011-10-17 강용석 아스팔트 방수쉬트와 일체화가 되는 도막형 프라이머의 시공방법.
KR101176591B1 (ko) 2009-02-27 2012-08-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1262581B1 (ko) 2010-03-15 2013-05-08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코어층을 이용한 바닥재
KR101466140B1 (ko) * 2013-12-24 2014-11-27 주식회사 세명크리텍 실란화합물을 포함하는 속건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와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자착식형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614442B1 (ko) * 2015-10-08 2016-04-22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공법을 이용한 유니트박스 녹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14127A (ko) 2015-07-29 2017-02-08 노아이엔지 주식회사 아스팔트계 점착성 방수시트
KR101775438B1 (ko) 2017-06-22 2017-09-19 강충모 방수시트와 발포폼을 사용한 구조물의 방수·방수층 보호·단열구조
KR101976185B1 (ko) 2018-12-20 2019-05-09 주식회사 지엘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350803B1 (ko) * 2021-01-28 2022-01-14 주식회사 한국콘젝트시스템 전기발열 자착식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또는 블랙아이스 방지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992B1 (ko) * 2007-01-09 2007-12-06 김기철 자착식 방수시트
KR100971254B1 (ko) * 2007-10-01 2010-07-20 주식회사 오피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12301B1 (ko) * 2007-10-05 2008-03-10 윤광수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1855B1 (ko) * 2008-07-24 2010-09-13 이기형 풀리 표면 피복용 접착 고무시트 제조방법 및 상기고무시트를 이용한 강력고무 접착제 제조방법, 이들을이용한 기능성 외피 고무의 풀리 표면 피복방법
KR101087609B1 (ko) * 2009-04-08 2011-11-29 (주) 우성폴리텍 프리케스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및 접합용 자착식 부틸고무테이프의 구조
KR100940311B1 (ko) * 2009-07-20 2010-02-05 김인천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0958884B1 (ko) * 2009-10-08 2010-05-20 한폴 주식회사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0977160B1 (ko) * 2009-11-25 2010-08-20 주식회사페트로산업 무용제형 폴리우레탄 매스틱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032451B1 (ko) * 2010-05-25 2011-05-03 김원준 교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교면방수방법
CN103088846B (zh) * 2013-02-04 2015-06-17 常熟市三恒建材有限责任公司 橡胶类反应性丁基橡胶自粘防水卷材
CN105328940A (zh) * 2014-08-06 2016-02-17 夏鹤鸣 高分子杀菌弹性自粘防水卷材
KR101598108B1 (ko) * 2014-11-28 2016-02-26 김현용 목재용 방수조성물
KR101675906B1 (ko) * 2016-02-18 2016-11-14 장산씨엠주식회사 수압을 받는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구체방수 공법
KR101713624B1 (ko) * 2016-09-28 2017-03-22 신승레버 (주) 자착식 노출 복합시트
KR101941262B1 (ko) * 2018-09-21 2019-01-22 주식회사 성오방수건설 시공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착식 노출형 아스팔트 방수 시트의 제조 및 복합 방수시공방법
KR102008980B1 (ko) * 2019-01-29 2019-08-09 (주)삼성건업 점착유연형 방수제
KR102642640B1 (ko) * 2022-04-27 2024-03-04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철도교의 시공방법
KR102632096B1 (ko) * 2023-03-22 2024-01-31 김민호 방수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384A (ja) * 1995-01-18 1996-08-06 Kyowa:Kk 屋外貯蔵タンクの雨水浸入防止用被覆材
KR20000013690A (ko) * 1998-08-12 2000-03-06 류중근 열가소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6737A (ko) * 1999-11-15 2001-06-1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20040039457A (ko) * 1995-12-14 2004-05-10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프라이머 조성물, 미가류고무조성물, 고무성형물, 및 고무성형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384A (ja) * 1995-01-18 1996-08-06 Kyowa:Kk 屋外貯蔵タンクの雨水浸入防止用被覆材
KR20040039457A (ko) * 1995-12-14 2004-05-10 다이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프라이머 조성물, 미가류고무조성물, 고무성형물, 및 고무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000013690A (ko) * 1998-08-12 2000-03-06 류중근 열가소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46737A (ko) * 1999-11-15 2001-06-15 이대우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091A1 (en) * 2007-04-19 2008-10-30 Ki Chel Kim Un-vulcanized synthetic rubber sheets-waterproof material of self-adhesion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96019B1 (ko) 2007-04-19 2008-01-21 김기철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KR100858734B1 (ko) * 2007-07-20 2008-09-17 헨켈코리아 유한회사 수밀용 실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실링 테이프
KR100934731B1 (ko) * 2008-02-21 2009-12-30 (주)평화엔지니어링 자착식 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자착식 방수시트 및 자착식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1176591B1 (ko) 2009-02-27 2012-08-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착식 아스팔트 방수 시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935417B1 (ko) * 2009-03-05 2010-01-06 한국석유공업 주식회사 방수공법
KR100957621B1 (ko) * 2009-08-19 2010-05-13 (주)삼성건업 방수 방근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공법
KR101061986B1 (ko) * 2009-12-22 2011-09-05 권영화 교면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262581B1 (ko) 2010-03-15 2013-05-08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코어층을 이용한 바닥재
KR101073472B1 (ko) 2010-10-05 2011-10-17 강용석 아스팔트 방수쉬트와 일체화가 되는 도막형 프라이머의 시공방법.
KR101466140B1 (ko) * 2013-12-24 2014-11-27 주식회사 세명크리텍 실란화합물을 포함하는 속건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와 이축연신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한 자착식형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20170014127A (ko) 2015-07-29 2017-02-08 노아이엔지 주식회사 아스팔트계 점착성 방수시트
KR101614442B1 (ko) * 2015-10-08 2016-04-22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수방근공법을 이용한 유니트박스 녹화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5438B1 (ko) 2017-06-22 2017-09-19 강충모 방수시트와 발포폼을 사용한 구조물의 방수·방수층 보호·단열구조
KR101976185B1 (ko) 2018-12-20 2019-05-09 주식회사 지엘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350803B1 (ko) * 2021-01-28 2022-01-14 주식회사 한국콘젝트시스템 전기발열 자착식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및/또는 블랙아이스 방지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157A (ko) 2006-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412B1 (ko) 비가황계 자착식 부틸합성고무 시트 방수제, 및 이를이용한 방수공법
KR101117183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양면 자착식 매스틱 방수시트
KR100958884B1 (ko) 부틸합성고무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공법.
KR101976185B1 (ko)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0380B1 (ko) 아스팔트 및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 균열 및 파손 보수재, 이를 이용한 부분보수 공법 및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덧씌우기 공법
KR101005939B1 (ko) 고무화 아스팔트계 자착식 방수재를 포함하는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50875B1 (ko) 겔상태의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718082B1 (ko)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988801B1 (ko) 교면용 가열 복합방수공법
KR10128657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시트 복합 방수재
JP5071630B2 (ja) 複合防水工法
KR102113548B1 (ko) 거동 대응형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KR100781992B1 (ko) 자착식 방수시트
JP4902255B2 (ja) 防水・止水材用改質アスファルト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33231B1 (ko) 도막방수층 보강을 위한 스트레치 고무 아스팔트 펠트 및그를 이용한 도막 및 펠트 적층방수재
KR100344940B1 (ko) 미가류 상태인 점착성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사용한 시공방법
KR100941747B1 (ko) 교면용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31826B1 (ko) Epdm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보강된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090014480A (ko) 건축용 방수 및 방근 시공방법
KR20190102682A (ko)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KR100607154B1 (ko)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 적층 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90043897A (ko) 박리 방지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30028286A (ko) 고분자 합성수지 복합방수시이트,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시공방법
JPH093855A (ja) 遮水シート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2007000822; OPPOSITION DATE: 20070412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