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148B1 - 방수재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방수재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148B1
KR100729148B1 KR1020060049307A KR20060049307A KR100729148B1 KR 100729148 B1 KR100729148 B1 KR 100729148B1 KR 1020060049307 A KR1020060049307 A KR 1020060049307A KR 20060049307 A KR20060049307 A KR 20060049307A KR 100729148 B1 KR100729148 B1 KR 100729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aterproofing material
gate valve
storage tank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석준
Original Assignee
유석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준 filed Critical 유석준
Priority to KR1020060049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 E01C19/17Application by spraying or throwing
    • E01C19/178Elements or attachments for spreading-out or smoothing-down the applied material, e.g.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2019/205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1C2019/2065Sens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actually being distribu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면에 캐스터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충전된 방수재를 베이스를 통해 배출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베이스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밸브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밸브와 연결되어 게이트밸브를 이동시키는 조절레버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포된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스크리드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교면에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교면 방수층의 내구성을 높이고, 방수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보수의 발생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교면, 방수재, 균일, 도포장치, 히터, 스크리드날, 센서

Description

방수재 도포장치{PAINTING DEVICE FOR A WATERPROOF AGENT}
도 1a와 도 1b은 종래의 도포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스크리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헤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 도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레버와 게이트밸브간의 연동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용 캐스터의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스크리드날 부위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포장치 110 : 베이스
111 : 콘트롤러 112 : 배터리
113 : 고정캐스터 120 : 손잡이
121 : 디스플레이부 122 : 전원스위치
130 : 조절레버 131 : 힌지부
132 : 피니언기어 140 : 저장탱크
141 : 게이트밸브 142 : 랙기어
150 : 히터 160 : 스크리드날
161 : 단부 162 : 전열선
163 : 센서 170 : 에어노즐
180 : 가변캐스터 181 : 나사축
182 : 스프링
본 발명은 방수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면의 방수작업시 교면에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할 수 있도록 한 방수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면의 방수작업시 방수재의 도포가 실제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감각이나 경험에 의존하여 도포작업을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리드나 헤라 등과 같은 간단한 도구를 이용하여 교면 즉 콘크리트면에 도포된 방수재를 적당한 두께 로 바르는 식의 수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스크리드나 헤라를 이용한 수작업시는, 작업자가 직접 스크리드나 헤라를 이용하여 교면에 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작업공정이 불편하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가열식 개질 아스팔트형 방수재 경우는 가열된 방수재가 스크리드나 헤라에 달라 붙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자 가스 토치로 열을 가하면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불편함이 더 가중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교면에 도포된 방수재의 두께가 스크리드나 헤라를 이용한 작업자의 직감에 의해서만 이루어짐으로써 방수재 두께의 균일성 유지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때, 방수재의 두께가 규정치(한국산업안전규격, KS규격) 두께인 2mm 이하로 도포된 경우에는 아스콘 포설 작업 시 포설장비의 통과, 골재관입, 또는 날카로운 물체에 구멍 뚫림 등에 의해 교면의 방수층이 파괴 및 손상되는 등의 하자 발생빈도가 높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면의 방수작업시 교면에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교면 방수층의 내구성을 높이고, 방수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보수의 발생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방수재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수재 도포장치는,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면에 캐스터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충전된 방수재를 베이스를 통해 배출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베이스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밸브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밸브와 연결되어 게이트밸브를 이동시키는 조절레버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포된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스크리드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레버는 베이스에 힌지된 힌지부상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상기 게이트밸브에는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와 게이트밸브에는 방수재를 가열시킴과 아울러 방수재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리드날의 절곡된 단부에는 전열선이 내장된다.
또,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방수재의 도포 전 에어로서 교면을 청소하는 에어노즐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캐스터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는 그 상면에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의 외주면에는 그 양단부가 베이스와 캐스터에 각각 지지되는 스프링이 끼워져 설치된다.
또, 상기 스크리드날 상부의 베이스에는 도포된 방수재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방수재의 두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감지된 방수재의 두께가 설정된 두께 이하일 때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 도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방수재 도포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상에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선단부에는 손잡이(120)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20)에는 후술하는 센서(163)에 의한 도포된 방수재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의 일측에는 전원스위치(1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하면에는 도포장치(100)의 이동을 용이케 하는 구름가능한 다수의 캐스터가 설치된다.
상기 캐스터 중에서 후술하는 저장탱크(140)의 배출구 전방의 캐스터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캐스터(180)로 구성되되, 상기 가변캐스터(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베이스(11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18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181)의 외주면에는 그 양단부가 각각 베이스(110)와 가변캐스터(180)에 접하여 지지되는 스프링(182)이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캐스터(180)는 베이스(110)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그 높이가 조절되어, 교면에 도포되는 방수재의 두께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의 고정캐스터(113)와 가변캐스터(180)는 그 크기 즉 바퀴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캐스터(113)의 바퀴가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후방부에는 그 내부에 가열 용융된 방수재가 충전되는 저장탱크(140)가 설치되어 베이스(110)를 통해 방수재를 교면상에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40)에는 저장탱크(140)의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밸브(141)가 상기 베이스(110)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20)와 이격된 베이스(110)에는 그 일단이 베이스(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레버(130)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레버(130)의 힌지부(13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밸브(141)의 랙기어(14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32)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레버(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게이트밸브(141)의 개폐량이 조절됨으로써 도포되는 방수재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40)와 게이트밸브(141)에는 방수재가 가열식 아스팔트계열의 방수재인 경우, 방수재의 특성에 따라 방수재가 일정온도 즉 대략 150∼200℃ 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함과 아울러 도포되는 방수재가 저장탱크(140)나 게이트밸브(141)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수재가 비가열 상온식 방수재인 경우에는, 히터(150)의 작동이 불필요하므로 인해 후술하는 배터리(112)의 전원만으로도 도포장치(100)의 작동이 가능하나, 가열식 방수재인 경우에는 히터(150)가 작동되므로 인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별도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40)와 이격된 베이스(110)의 단부에는 교면에 도포된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스크리드날(160)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리드날(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와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고, 그 단부는 외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리드날(160)의 단부(161)에는 도포된 방수재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전열선(162)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리드날(160) 상부의 베이스(110)에는 스크리드날(160)에 의해 교면에 균일하게 발라진 방수재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163)가 설치되되, 상기 센서(163)는 초음파센서나 광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초음파 센서(163)는 가변캐스터(180)의 높이를 조절하여 형성되는 스크리드날(160)과 교면 사이의 간격을 방수재 두께의 절대값으로 셋팅하여, 도포된 방 수재의 두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변캐스터(180)와 고정캐스터(113) 사이의 베이스(110) 하면에는 방수재의 도포 전 에어로서 교면을 청소하는 에어노즐(170)이 설치되고, 상기 에어노즐(17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컴프레서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에는 초음파 센서(163)에 의해서 감지된 방수재의 두께가 설정된 두께 이하일 때 경고음 등과 같은 경고발생부(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111)가 설치되고,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2)가 안착되어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수재 도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방수재를 도포하고자 하는 교면상에 기본적인 면고르기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청소작업을 선행한다.
이후, 도포장치(100)의 저장탱크(140)에 방수재를 충전하고, 방수재 두께의 균일성 확보를 위해 가변캐스터(180)를 조절한다.
즉, 교면과 스크리드날(160)의 단부(161) 사이에 요구되는 방수재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갖는 별도의 게이지블럭(미도시)을 끼워 넣고 가변캐스터(180)를 베이스(110)에서 회전시켜 스크리드날(160)의 단부(161)가 게이지블럭에 접할 때까지 가변캐스터(18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163)를 작동시켜 현재의 교면과 스크리드날(160) 사이의 간격을 기준값으로 보정하여 리셋팅한 후, 도포작업을 시행한다.
한편, 도포작업은 작업자가 도포장치(100)의 손잡이(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포장치(100)를 당겨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고, 조절레버(130)를 회전시켜 게이트밸브(141)의 개도량을 조정하여 적당한 양의 방수재가 교면에 도포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교면에 도포되는 방수재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장치(100) 후단부의 스크리드날(160)의 단부(161)에 의해 균일한 두께로 퍼져 발라지게 된다.
그리고, 초음파 센서(163)에 의한 도포된 방수재의 두께 값이나 또는 높이 차이 값 등이 디스플레이부(121)에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감지되는 방수재의 두께는, 규정치의 두께 값보다 얇은 경우에는 방수에 문제가 있으나, 규정치 보다 약간 두꺼운 경우는 방수에 문제가 없으므로, 콘트롤러(111)는 초음파 센서(163)의 감지 값이 설정된 두께 이하일 때만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어느 작업위치의 방수재 두께가 문제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어, 작업 중이나 또는 작업진행 후 보완 및 수정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도포장치(100)를 끌고 뒤로 가면서 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도포된 방수재의 도막 상태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 가능하며, 연속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고, 작업자에 의한 의존성이 낮아져, 작업의 균일성 확보가 용이하다.
그리고, 소비된 방수재는 계속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받아 저장탱크(140)에 채워짐으로써 연속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자도 허리를 굽히거나 힘을 들이지 않고 서 서 뒤로 걸어가며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수재 도포 작업 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교면의 청소작업이 선행됨에도 불구하고, 에어노즐(170)을 통해 방수재가 도포되기 바로 직전의 교면을 에어로서 재차 청소함으로써 도포된 방수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행되는 청소작업 후에도 바람 등에 의해 프라이머(접착제)가 도포된 교면에 작은 먼지가 달라 붙게 되는데, 이런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은 결국 방수재의 접착력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됨으로써 에어노즐(170)로서 이러한 이물질을 방수재의 도포 바로 직전에 제거하여 방수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재 도포장치(100)는, 가열식 방수재나 비가열 상온식 방수재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되, 단지 가열식 방수재의 경우는 히터(150)와 전열선(162)을 통해 저장탱크(140)와, 게이트밸브(141) 및 스크리드날(16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면 된다.
이는, 가열식 방수재가 저장탱크(140)나 게이트밸브(141) 및 스크리드날(160)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여 방수재와 위 부품 간의 원활한 유동성 확보 및 도포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재 도포장치에 따르면, 교면에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교면 방수층의 내구성을 높이고, 방수성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유지보수의 발생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편리하고, 작업자에 의한 의존성이 낮아져 작업의 균일성 확보가 용이하며, 연속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상면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면에 캐스터가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충전된 방수재를 베이스를 통해 배출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베이스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탱크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밸브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밸브와 연결되어 게이트밸브를 이동시키는 조절레버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설치되고 도포된 방수재를 균일한 두께로 바르는 스크리드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는 베이스에 힌지된 힌지부상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상기 게이트밸브에는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게이트밸브에는 방수재를 가열시킴과 아울러 방수재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리드날의 절곡된 단부에는 전열선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방수재의 도포 전 에어로서 교면을 청소하는 에어노즐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캐스터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캐스터는 그 상면에 베이스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의 외주면에는 그 양단부가 베이스와 캐스터에 각각 지지되는 스프링이 끼워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리드날 상부의 베이스에는 도포된 방수재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방수재의 두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감지된 방수재의 두께가 설정된 두께 이하일 때 경고발생부를 작동시키는 콘트롤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재 도포장치.
KR1020060049307A 2006-06-01 2006-06-01 방수재 도포장치 KR100729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07A KR100729148B1 (ko) 2006-06-01 2006-06-01 방수재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307A KR100729148B1 (ko) 2006-06-01 2006-06-01 방수재 도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800U Division KR200426855Y1 (ko) 2006-06-22 2006-06-22 방수재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148B1 true KR100729148B1 (ko) 2007-06-18

Family

ID=3837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307A KR100729148B1 (ko) 2006-06-01 2006-06-01 방수재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1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66Y1 (ko) * 2008-07-08 2010-11-05 마장훈 방수제 도포장치
KR101128525B1 (ko) 2011-07-19 2012-03-28 (주)리뉴시스템 아스팔트가 첨가된 방수재의 도포시스템 및 이 도포시스템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953329B1 (ko) * 2018-08-17 2019-02-28 조규선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KR102173070B1 (ko) * 2019-05-13 2020-11-03 (주)서현하이텍 수작업용 방수제 도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2454A (ko) * 1990-11-14 1992-09-04 와시오 히데오 포장 기계에 있어서의 포장 두께 제어방법 및 자동 제어의 조건 설정방법
JPH0734412A (ja) * 1992-08-25 1995-02-03 Takenaka Komuten Co Ltd 樹脂系カラー舗装用材料の薄層舗装用の舗設機械
JPH0885912A (ja) * 1994-09-19 1996-04-02 Tomosada Kenki:Kk トッピング材散布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702454A (ko) * 1990-11-14 1992-09-04 와시오 히데오 포장 기계에 있어서의 포장 두께 제어방법 및 자동 제어의 조건 설정방법
JPH0734412A (ja) * 1992-08-25 1995-02-03 Takenaka Komuten Co Ltd 樹脂系カラー舗装用材料の薄層舗装用の舗設機械
JPH0885912A (ja) * 1994-09-19 1996-04-02 Tomosada Kenki:Kk トッピング材散布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866Y1 (ko) * 2008-07-08 2010-11-05 마장훈 방수제 도포장치
KR101128525B1 (ko) 2011-07-19 2012-03-28 (주)리뉴시스템 아스팔트가 첨가된 방수재의 도포시스템 및 이 도포시스템을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953329B1 (ko) * 2018-08-17 2019-02-28 조규선 도막방수재 용융장치
KR102173070B1 (ko) * 2019-05-13 2020-11-03 (주)서현하이텍 수작업용 방수제 도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148B1 (ko) 방수재 도포장치
CA2598266C (en) Thermal dispersion flow meter with chronometric monitor for fluid leak detection
EP2335539A3 (en) Apparatus for hands-free dispensing of a measured quantity of material
KR200426855Y1 (ko) 방수재 도포장치
US2007014465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bonding substrates
KR100673657B1 (ko) 온수 제어장치
US4732109A (en) Mobile sealant applicator for road joints and cracks
US20110250547A1 (en) Burner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
CN110468656A (zh) 铺路机控制系统
US5110398A (en) Machine for applying heat welds or solvent welds to roof membranes
CN109353582B (zh) 一种铝型材贴膜装置
US3873227A (en) Paving crack sealer machine
CN110004813A (zh) 一种具有智能监测功能的热熔标线机
KR102570639B1 (ko) 자동 도포 기능을 지닌 도장용 롤러 장치
CN207268068U (zh) 一种漆量可控刷墙机
KR102158248B1 (ko) 와이어 자동송급장치
TW201241271A (en) Thermoplastic die box with quick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7234195B2 (en) Cleaning apparatus using compressed air
KR20130010152A (ko) 전기로 냉각수 패널의 국부 코팅유닛 및 코팅시스템
CN111270819B (zh) 一种墙面粉刷装置
JP4753689B2 (ja) 転圧輪加熱装置
JP2006239521A (ja) アスファルト系塗布材の吹付け装置
CN214344348U (zh) 一种操场场地划线装置
CN220356840U (zh) 一种单面胶表面抗刮检测装置
JP4349601B2 (ja) アスファルト防水施工法とそ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