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52B1 -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 Google Patents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52B1
KR101262052B1 KR1020120077453A KR20120077453A KR101262052B1 KR 101262052 B1 KR101262052 B1 KR 101262052B1 KR 1020120077453 A KR1020120077453 A KR 1020120077453A KR 20120077453 A KR20120077453 A KR 20120077453A KR 101262052 B1 KR101262052 B1 KR 10126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air
opening
compartmen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앤에스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앤에스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앤에스퍼티
Priority to KR1020120077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of plastic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ying, e.g. pla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으로, 격벽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는 복수 개의 구획실을 갖고 전측을 개방한 바디, 구획실 각각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바디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주입부, 구획실 내부에 각각 공급된 탄성코트용 도료를 바디의 개방된 전측으로 분사하도록 구획실에 번갈아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바디의 후측에 구비되는 에어주입부, 및 복수 개의 구획실에 공급된 도료를 번갈아 분사 안내하도록 격벽에 힌지 연결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복수 종류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분사시키는 에어스프레이 건의 내부에 각각의 도료를 동일량만큼 공급받은 후 분사시킴으로써 뿜칠되는 도료 무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뿜칠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AIR SPRAY GUN}
본 발명은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종류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분사시키는 에어스프레이 건의 내부에 각각의 도료를 동일량만큼 공급받은 후 분사시킴으로써 뿜칠되는 도료 무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뿜칠할 수 있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스프레이는 건(gun)의 형태를 지니며 에어호스와 연결되어 고압의 공기와 함께 도료 및 샌드 등의 소재를 분사하면서 도장 작업 및 샌드브라스팅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 중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은 건축용 인테리어 도장 작업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탄성코트는 특수 수용성 수지와 고급 안료로 설계된 최고급 인테리어 도료로서 크랙이 커버되고 보수 도장이 용이하며 천연 대리석질감의 환경친화적인 수성 특수 도료이다.
특히, 탄성코트는 벽면용으로 사용되어 시멘트의 부식방지, 내구성, 습기 방지 등에 쓰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탄성 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을 장착한 페인트 도포장치는 하나의 건 하우징에 하나의 색깔의 페인트가 담긴 페인트용기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단색의 페인트를 도포할 때는 문제가 없으나 대리석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다수의 색상의 페인트를 혼합하여 도포할 때에는 하나의 스프레이 건을 세척한 후 사용해야 함으로써 작업성이 저하되었으며 다수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할 때는 여러 명의 작업자가 다수의 스프레이 건을 사용함으로써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거나 다수의 스프레이 건을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09-0088581호에는 다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기존의 타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는 복수 색상의 도료가 동시에 분출시 도료 입자(무늬)의 크기(면적)가 불균일하여 작업 조건에 따라 뿜칠되는 무늬가 달라져 균일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종류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분사시키는 에어스프레이 건의 내부를 동일 크기로 구획한 구획실에 공급받은 후 번갈아 분사시킴으로써 뿜칠되는 도료 무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뿜칠 가능하도록 한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은: 격벽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는 복수 개의 구획실을 갖고 전측을 개방한 바디, 상기 구획실 각각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주입부, 상기 구획실 내부에 각각 공급된 탄성코트용 도료를 상기 바디의 개방된 전측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구획실에 번갈아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후측에 구비되는 에어주입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구획실에 공급된 도료를 번갈아 분사 안내하도록 상기 격벽에 힌지 연결된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료주입부는, 상기 구획실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되어 해당 도료를 상기 구획실로 공급 안내하는 도료호스, 대응되는 도료를 상기 구획실에 순서대로 공급하고 상기 구획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도료호스에 순서대로 공급하도록 상기 도료호스 각각에 구비되는 도료개폐밸브, 상기 도료호스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탱크, 및 상기 도료개폐밸브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주입부는, 구획실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되어 에어를 상기 구획실로 고압 분사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 각각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펌프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격벽의 전측에 힌지 연결된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의 둘레면에서 연장되어 분출되는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해당 구획실을 개방하면서 이웃한 구획실을 막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도료를 포함한 에어의 직진 분사를 유도하기 위해 에어홀을 갖고, 원추 형상인 어댑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댑터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판과 접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는 분출되는 도료에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해 노즐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은 종래 기술과 달리 복수 종류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분사시키는 에어스프레이 건의 내부를 동일 크기로 구획한 구획실에 공급받은 후 번갈아 분사시킴으로써 뿜칠되는 도료 무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뿜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도 9 및 도 10, 도 11 및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프레이 건의 탄성코트 분사 순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 도 9 및 도 10, 도 11 및 도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스프레이 건의 탄성코트 분사 순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1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탄성코트용 도료(이하에서는 '도료'라고 칭함)를 순서대로 한 색상의 도료씩 단독으로 정량만큼 분사시키는 설비이다.
특히,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10)은 바디(20), 도료주입부(30), 에어주입부(40), 및 개폐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20)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료주입부(30), 에어주입부(40), 및 개폐부(100)를 연결하거나 구비한다.
아울러, 바디(20)는 도료와 에어(air)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획실(22,24)을 구비하고, 구획실(22,24)로 공급된 도료와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전측(前側)을 개방한다. 특히, 구획실(22,24)은 복수 개 구비되고, 각 구획실(22,24)은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구획실(22,24)로 공급되는 도료의 양은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바디(20)의 전측으로 각각 분사되는 도료의 양이 동일함에 따라, 뿜칠되는 무늬는 일정하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편의상, 구획실(22,24)은 제 1구획실(22)과 제 2구획실(24)로 나뉘는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제 1구획실(22)과 제 2구획실(24)은 격벽(21)에 의해 나뉘어진다. 즉, 바디(20)는 내측에 격벽(21)을 구비하여 제 1구획실(22)과 제 2구획실(24)로 구획한다.
물론, 격벽(21)은 바디(20)의 내측에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바디(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바디(2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료주입부(30)는 복수 개의 구획실(22,24) 각각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바디(20)의 둘레면에 구비된다. 그래서, 도료주입부(30)는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를 구획실(22,24)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에어주입부(40)는 구획실(22,24) 내부에 각각 공급된 도료를 바디(20)의 개방된 전측으로 고압 분사할 수 있도록 구획실(22,24)에 번갈아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에어주입부(40)는 바디(20)의 후측에 구비된다.
물론, 도료주입부(30)와 에어주입부(40)가 바디(20)에 연결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도료주입부(30)는 도료호스(32a,32b,32c,32d), 도료개폐밸브(34a,34b,34c,34d), 도료탱크(36a,36b,36c,36d), 및 제어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료호스(32a~32d)는 구획실(22,24)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된다. 편의상, 도료호스(32a~32d)는 4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제 1구획실(22)에는 제 1도료호스(32a)와 제 2도료호스(32b)가 연결되고, 제 2구획실(24)에는 제 3도료호스(32c)와 제 4도료호스(32d)가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는 대응되는 도료호스(32a~32d)를 통해 해당되는 구획실(22,24)로 공급된다. 즉, 제 1도료호스(32a)로 공급되는 도료는 제 1구획실(22)로 충진되고, 제 2도료호스(32b)로 공급되는 도료는 제 1구획실(22)로 충진되며, 제 3도료호스(32c)로 공급되는 도료는 제 2구획실(24)로 충진되고, 제 4도료호스(32d)로 공급되는 도료는 제 2구획실(24)로 충진된다. 이때, 각 도료호스(32a~32d)로 공급되는 도료는 서로 다른 색상이고, 동일 구획실(22 또는 24)로 공급되는 도료는 시간 차이를 두고 공급되도록 제어된다.
물론, 도료호스(32a~32d)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바디(20)에 연결된다.
또한, 도료개폐밸브(34a~34d)는 대응되는 도료를 구획실(22,24)에 순서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료개폐밸브(34a~34d)는 도료호스(32a~32d)에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된다. 그래서, 제 1도료개폐밸브(34a) 또는 제 2도료개폐밸브(34b)가 개방되면, 대응되는 제 1도료호스(32a) 또는 제 2도료호스(32b)를 통해 정해진 도료가 제 1구획실(22)로 공급된다. 이때,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와 제 2도료개폐밸브(34b)는 시간 차이를 두고 개폐되며,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제 3도료개폐밸브(34c)와 제 4도료개폐밸브(34d)는 시간 차이를 두고 개폐되며, 동시에 개방되지 않는다.
도료탱크(36a~36d)는 도료호스(32a~32d)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도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도료탱크(36a)는 제 1도료호스(32a)에 연결되고, 제 2도료탱크(36b)는 제 2도료호스(32b)에 연결되며, 제 3도료탱크(36c)는 제 3도료호스(32c)에 연결되고, 제 4도료탱크(36d)는 제 4도료호스(32d)에 연결된다. 즉, 각각의 도료호스(32a~32d)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는 해당되는 도료탱크(36a~36d)에 저장된다.
한편, 제어부(5)는 도료개폐밸브(34a~34d)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와 제 2도료개폐밸브(34b)와 제 3도료개폐밸브(34c) 및 제 4도료개폐밸브(34d)의 개폐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5)는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가 해당되는 구획실(22,24)에 충진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 또는 제 2도료개폐밸브(34b)가 개방된 후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제 3도료개폐밸브(34c) 또는 제 4도료개폐밸브(34d)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와 제 2도료개폐밸브(34b)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5)는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제 3도료개폐밸브(34c)와 제 4도료개폐밸브(34d)가 동시에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에어주입부(40)는 에어펌프(42a,42b,42c,42d), 에어탱크(44a,44b,44c,44d), 및 제어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펌프(42a~42d)는 구획실(22,24)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되어 에어를 구획실(22,24)로 고압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에어펌프(42a~42d)는 제 1에어펌프(42a), 제 2에어펌프(42b), 제 3에어펌프(42c), 및 제 4에어펌프(42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제 1에어펌프(42a)와 제 2에어펌프(42b)는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고, 제 3에어펌프(42c)와 제 4에어펌프(42d)는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에어펌프(42a~42d)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바디(20)의 후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탱크(44a~44d)는 에어펌프(46a~46d) 각각에 연결되어 에어를 구획실(22,24)에 순서대로 공급하도록 에어펌프(42a~42d) 각각에 구비된다. 즉, 에어탱크(44a~44d)는 제 1에어펌프(42a)에 연결되는 제 1에어탱크(44a), 제 2에어펌프(42b)에 연결되는 제 2에어탱크(44b), 제 3에어펌프(42c)에 연결되는 제 3에어탱크(44c), 및 제 4에어펌프(42d)에 연결되는 제 4에어탱크(44d)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에어탱크(44a~44d)는 대응되는 에어펌프(42a~42d)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5)는 에어펌프(42a~42d)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어부(5)는 서로 다른 색상의 도료가 해당되는 구획실(22,24)에 충진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제 1에어펌프(42a) 또는 제 2에어펌프(42b)가 설정시간 작동된 후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제 3에어펌프(42c) 또는 제 4에어펌프(42d)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제 1구획실(22)에 연결되는 제 1에어펌프(42a)와 제 2에어펌프(42b)가 동시에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5)는 제 2구획실(24)에 연결되는 제 3에어펌프(42c)와 제 4에어펌프(42d)가 동시에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는, 도료의 분사압력이 동일하도록 하여 뿜칠되는 도료의 퍼짐을 동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에어펌프(42a~42d)는 동일 용량으로 적용한다.
아울러,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와 제 1에어펌프(42a)가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제 2도료개폐밸브(34b)와 제 2에어펌프(42b)가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제 3도료개폐밸브(34c)와 제 3에어펌프(42c)가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고, 제 4도료개폐밸브(34d)와 제 4에어펌프(42d)가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기적'은 설정시간동안 임의의 도료개폐밸브(34a~34d)가 개방되어 해당되는 구획실(22,24)에 도료를 충진 후 정해진 시간동안 대응되는 에어펌프(42a~42d)가 작동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제 1구획실(22)에 충진된 도료가 에어에 의해 분사시, 제 2구획실(24)은 다른 색상의 도료가 충진된다.
이때, 제 2구획실(24)에 충진되는 도료가 제 1구획실(22)의 도료에 혼합되어 분사될 수 있다.
그래서, 제 1구획실(22)에서 도료가 분사시, 제 2구획실(24)은 막힌 상태에서 충진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제 2구획실(24)에서 도료가 분사시, 제 1구획실(22)은 막힌 상태에서 충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개폐부(100)가 구비된다. 개폐부(100)는 복수 개의 구획실(22,24)에 공급된 도료를 번갈아 분사 안내하도록 격벽(21)에 힌지 연결된다.
즉, 개폐부(100)는 힌지축(110), 및 개폐판(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힌지축(110)은 격벽(21)의 전측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격벽(21)의 전측 테두리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개폐판(120)은 힌지축(110)에 하나 구비되어 번갈아 제 1구획실(22)과 제 2구획실(24)을 개폐한다. 개폐판(120)은 힌지축(110)에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구획실(22)에서 도료를 포함한 에어가 분사시, 개폐판(120)은 분사력에 의해 회동되며 제 1구획실(22)을 개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개폐판(120)은 제 2구획실(24)을 막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구획실(24)에서 도료를 포함한 에어가 분사시, 개폐판(120)은 분사력에 의해 회동되며 제 2구획실(24)을 개방하게 됨과 연이어 제 1구획실(22)을 막게 된다.
한편, 도료가 바디(20)의 개방된 전측으로 분사시 개폐판(120)에 부딪히면서 퍼지게 됨에 따라, 뿜칠되는 도료의 입체감이 저감된다.
그래서, 도료가 뭉친 상태로 직진 분사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디(20)는 도료를 포함한 에어의 직진 분사를 유도하기 위해 에어홀(52)을 갖고, 원추 형상인 어댑터(50)를 구비한다. 어댑터(50)는 분사되는 도료를 뿜칠 위치에 집중적으로 직선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어댑터(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고, 바디(20)의 전측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개폐판(120)이 제 2구획실(24)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제 2구획실(24)로 충진되는 도료가 개폐판(120)을 밀려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개폐판(120)은 소정 개방되며 충진량이 줄어듦에 따라 도료의 분사량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어댑터(50) 내측면에는 개폐판(120)과 접하는 걸림턱(54)이 구비된다.
걸림턱(54)은 제 1구획실(22) 또는 제 2구획실(24)을 막은 상태인 개폐판(120)의 단부 테두리와 접함에 따라 개폐판(120)의 임의적 개방을 막는 역할을 한다. 물론, 개폐판(120)은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강제 개방된다.
한편, 어댑터(50)는 분출되는 도료에 더욱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해 직관 형상의 노즐(6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노즐(60)은 분사홀(62)을 형성하여 도료의 분출을 안내한다.
특히, 제 1구획실(22)과 제 2구획실(24)에 충진되며 순서대로 번갈아 분사되는 도료는 건조시 수축량이 다른 성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료의 건조 수축량을 달리함으로써 뿜칠 상태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10)의 사용 상태로서, 복수 개의 바디(20)를 서로 묶거나 일체로 구비함에 따라 뿜칠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1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작업자는 제어부(5)를 작동하며 설정시간동안 제 1도료개폐밸브(34a)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1도료탱크(36a)로부터 제 1구획실(22)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서 뿜칠하기 위해 제 1에어펌프(42a)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 1구획실(22)의 도료가 포함된 에어가 개폐판(120)을 밀어 제 1구획실(22)을 개방시키며 어댑터(50)의 에어홀(52)을 통해 분사된다. 그래서, 해당 도료가 뿜칠된다.
이때, 개폐판(120)이 회동되면서, 제 2구획실(24)을 막게 된다.
특히, 제어부(5)는 제 2도료개폐밸브(34b), 제 3도료개폐밸브(34c), 제 4도료개폐밸브(34d), 제 2에어펌프(42b), 제 3에어펌프(42c), 제 4에어펌프(42d)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를 개방함과 연이어 제 3도료개폐밸브(34c)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3도료호스(32c)를 통해 제 2구획실(24)로 충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1에어펌프(42a)는 설정시간동안 작동함으로써, 제 1구획실(22)에 충진된 도료는 모두 분사된다. 아울러, 제 3도료개폐밸브(34c)는 도료가 제 3도료호스(32c)를 통해 제 2구획실(24)에 설정량만큼 충진될 때까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작업자는 제어부(5)를 작동하며 설정시간동안 제 3도료개폐밸브(34c)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3도료탱크(36c)로부터 제 2구획실(24)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서 뿜칠하기 위해 제 3에어펌프(42c)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 2구획실(24)의 도료가 포함된 에어가 개폐판(120)을 밀어 제 2구획실(24)을 개방시키며 어댑터(50)의 에어홀(52)을 통해 분사된다. 그래서, 해당 도료가 뿜칠된다.
이때, 개폐판(120)이 회동되면서, 제 1구획실(22)을 막게 된다.
특히,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 제 2도료개폐밸브(34b), 제 4도료개폐밸브(34d), 제 1에어펌프(42a), 제 2에어펌프(42b), 제 4에어펌프(42d)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5)는 제 3도료개폐밸브(34c)를 개방함과 연이어 제 2도료개폐밸브(34b)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2도료호스(32b)를 통해 제 1구획실(22)로 충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3에어펌프(42c)는 설정시간동안 작동함으로써, 제 2구획실(24)에 충진된 도료는 모두 분사된다. 아울러, 제 2도료개폐밸브(34b)는 도료가 제 2도료호스(32b)를 통해 제 1구획실(22)에 설정량만큼 충진될 때까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 후, 도 11 및 도 12에서처럼, 작업자는 제어부(5)를 작동하며 설정시간동안 제 2도료개폐밸브(34b)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2도료탱크(36b)로부터 제 1구획실(22)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서 뿜칠하기 위해 제 2에어펌프(42b)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 1구획실(22)의 도료가 포함된 에어가 개폐판(120)을 밀어 제 1구획실(22)을 개방시키며 어댑터(50)의 에어홀(52)을 통해 분사된다. 그래서, 해당 도료가 뿜칠된다.
이때, 1개폐판(120)이 회동되면서 제 2구획실(24)을 막는다.
특히,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 제 3도료개폐밸브(34c), 제 4도료개폐밸브(34d), 제 1에어펌프(42a), 제 3에어펌프(42c), 제 4에어펌프(42d)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5)는 제 2도료개폐밸브(34b)를 개방함과 연이어 제 4도료개폐밸브(34d)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4도료호스(32d)를 통해 제 2구획실(24)로 충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2에어펌프(42b)는 설정시간동안 작동함으로써, 제 1구획실(22)에 충진된 도료는 모두 분사된다. 아울러, 제 4도료개폐밸브(34d)는 도료가 제 4도료호스(32d)를 통해 제 2구획실(24)에 설정량만큼 충진될 때까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마지막으로, 도 13 및 도 14에서처럼, 작업자는 제어부(5)를 작동하며 설정시간동안 제 4도료개폐밸브(34d)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4도료탱크(36d)로부터 제 2구획실(24)에 공급되도록 하고 나서 뿜칠하기 위해 제 4에어펌프(42d)를 가동시킨다.
그러면, 제 2구획실(24)의 도료가 포함된 에어가 개폐판(120)을 밀어 제 2구획실(24)을 개방시키며 어댑터(50)의 에어홀(52)을 통해 분사된다. 그래서, 해당 도료가 뿜칠된다.
이때, 개폐판(120)이 회동되면서 제 1구획실(22)을 막게 된다.
특히, 제어부(5)는 제 1도료개폐밸브(34a), 제 2도료개폐밸브(34b), 제 3도료개폐밸브(34c), 제 1에어펌프(42a), 제 2에어펌프(42b), 제 3에어펌프(42c)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5)는 제 4도료개폐밸브(34d)를 개방함과 연이어 제 1도료개폐밸브(34a)를 개방하여 해당 도료가 제 1도료호스(32a)를 통해 제 1구획실(22)로 충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4에어펌프(42d)는 설정시간동안 작동함으로써, 제 2구획실(24)에 충진된 도료는 모두 분사된다. 아울러, 제 1도료개폐밸브(34a)는 도료가 제 1도료호스(32a)를 통해 제 1구획실(22)에 설정량만큼 충진될 때까지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제 1구획실(22)의 면적과 제 2구획실(24)의 면적이 동일하고, 각 구획실(22,24)에 충진되는 도료의 양과 분사를 위한 에어의 공급양이 동일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뿜칠되는 도료의 무늬는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스프레이 건 20: 바디
21: 격벽 22,24: 제 1,2구획실
30: 도료주입부 32a,32b,32c,32d: 제 1,2,3,4도료호스
34a,34b,34c,34d: 제 1,2,3,4도료개폐밸브
36a,36b,36c,36d: 제 1,2,3,4도료탱크
40: 에어주입부 42a,42b,42c,42d: 제 1,2,3,4에어펌프
44a,44b,44c,44d: 제 1,2,3,4에어탱크
100: 개폐부 110: 힌지축
120: 개폐판

Claims (7)

  1. 격벽에 의해 내부가 구획되는 복수 개의 구획실을 갖고, 전측을 개방한 바디;
    상기 구획실 각각의 내부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의 둘레면에 구비되어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탄성코트용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주입부;
    상기 구획실 내부에 각각 공급된 탄성코트용 도료를 상기 바디의 개방된 전측으로 분사하도록 상기 구획실에 번갈아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바디의 후측에 구비되는 에어주입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구획실에 공급된 도료를 번갈아 분사 안내하도록 상기 격벽에 힌지 연결된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분출되는 에어의 분사력에 의해 해당 구획실을 개방하면서 이웃한 구획실을 막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는 도료를 포함한 에어의 직진 분사를 유도하기 위해 에어홀을 갖는 원추 형상의 어댑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주입부는,
    상기 구획실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되어 해당 도료를 상기 구획실로 공급 안내하는 도료호스;
    상기 구획실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상기 도료호스에 순서대로 공급하도록 상기 도료호스 각각에 구비되는 도료개폐밸브;
    상기 도료호스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탱크; 및
    상기 도료개폐밸브 각각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부는,
    상기 구획실 각각에 복수 개 연결되어 에어를 상기 구획실로 고압 분사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 각각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탱크; 및
    상기 에어펌프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격벽의 전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개폐판을 연결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내측면에는 상기 개폐판과 접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분출되는 도료에 직진성을 부여하기 위해 노즐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1020120077453A 2012-07-16 2012-07-16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10126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53A KR101262052B1 (ko) 2012-07-16 2012-07-16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453A KR101262052B1 (ko) 2012-07-16 2012-07-16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052B1 true KR101262052B1 (ko) 2013-05-21

Family

ID=4866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453A KR101262052B1 (ko) 2012-07-16 2012-07-16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519B1 (ko) 2021-03-03 2021-08-20 미도산업개발(주)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KR102525883B1 (ko) 2022-06-15 2023-04-26 미도산업개발(주) 자가 세척 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미끄럼 방지 도료 분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59A (ja) * 1997-06-18 1999-01-19 Sk Kaken Co Ltd 多色塗装方法
JP3964955B2 (ja) * 1997-03-11 2007-08-22 株式会社共立 送風切換装置
KR100834895B1 (ko) 2006-11-24 2008-06-03 최춘식 삼도무늬형 분무기
KR101113266B1 (ko) * 2009-10-30 2012-02-20 조성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4955B2 (ja) * 1997-03-11 2007-08-22 株式会社共立 送風切換装置
JPH1110059A (ja) * 1997-06-18 1999-01-19 Sk Kaken Co Ltd 多色塗装方法
KR100834895B1 (ko) 2006-11-24 2008-06-03 최춘식 삼도무늬형 분무기
KR101113266B1 (ko) * 2009-10-30 2012-02-20 조성암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519B1 (ko) 2021-03-03 2021-08-20 미도산업개발(주) 미끄럼방지 도료 분사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도료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피복층 도로포장 시공공법
KR102525883B1 (ko) 2022-06-15 2023-04-26 미도산업개발(주) 자가 세척 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미끄럼 방지 도료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162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
KR100906256B1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장치
KR101262052B1 (ko)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100772938B1 (ko) 도관 도장장치
KR101276589B1 (ko) 스프레이 건 및 도장 시스템
KR100707295B1 (ko) 스프레이건을 장착한 페인트 도포장치
KR101107671B1 (ko) 무용제 청소형 도료 혼합기를 구비한 2액 내부혼합형 폴리우레탄 도장장치
JP3833792B2 (ja) 多彩色模様塗装を施す塗装装置及び塗装方法
JP6794550B2 (ja) 塗装システム及び塗装方法
KR101113266B1 (ko)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 건
KR101892665B1 (ko) 차선 도색용 페인트 분사장치
SU713594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крас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25296B1 (ko) 주제 및 경화제 비율의 정량 토출과 자동세척이 가능한 차선 도색장치
KR100889318B1 (ko) 탄성코트용 에어 스프레이 건
KR101332896B1 (ko) 컬러 분체도장 장치
KR200422476Y1 (ko) 스프레이건을 장착한 페인트 도포장치
KR101848596B1 (ko) 유체이송장치
KR200491806Y1 (ko) 스프레이 도장용 호퍼건
KR102145044B1 (ko) 경화제-경화개시제 1:1 혼합식 차선 도색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차선 도색방법
KR101562216B1 (ko) 탄성코트용 에어스프레이의 분사장치
KR20180102748A (ko) 도료 분사장치
KR20090088581A (ko) 다 색상 페인트 도포용 분사장치
WO2022220091A1 (ja) 塗装装置、カートリッジ、塗装ガン本体及び混合液の噴射方法
KR20080047132A (ko) 삼도무늬형 분무기
KR102175569B1 (ko) 방사상 아암의 도료 균일 분사를 위한 노즐 레귤레이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